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기 아버지의 갈등해석 마인드셋이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갈등해결전략과 일-가정갈등의 매개효과

        강수경,김해미,정미라 한국육아지원학회 2019 육아지원연구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work-family conflicts’ mediating effects in the associations between conflict mindsets and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among fathers in pregnancy. A self-reported survey was answered by 504 fathers in pregnancy who participated in prenatal education program in Seoul and Gyeonggi, and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path from a learning mindset to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through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dual mediation paths from a learning mindset to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through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and work-family conflicts were significant. Third, the dual mediation paths from a judgemental mindset to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though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work-family conflict were also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change individuals’ cognitive mindsets in order to increas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and to reduce work-family conflicts. 본 연구는 임신기 아버지의 갈등해석 마인드셋이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갈등해결전략과 일-가정갈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의 임신기 아버지 504명이고,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적 마인드셋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을 통해서 부부관계 질로 가는 매개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적 마인드셋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과 일-가정갈등을 통해서 부부관계 질로 가는 이중매개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평가적 마인드셋이 부정적 갈등해결전략과 일-가정갈 등을 통해서 부부관계 질로 가는 이중매개경로 또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임신기 부부 관계 질을 높이고 일-가정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갈등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마인드셋을 수정해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임산부의 책략적 성격이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가정갈등과 부부관계 질의 매개효과

        강수경,김해미,정미라 한국육아지원학회 2019 육아지원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working mothers’ proactive personality on maternal-fetal attachment via work-life conflict and marital quality. 360 working pregnant wom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urveyed.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SPSS 21 and M-plus 7.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roactive personality had a direct significant impact on maternal-fetal attachment. Second, marital quality’s mediating effect between maternal proactive personality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was significant. Third, the path from maternal proactive personality to maternal-fetal attachment via work-life conflict and marital quality in order was also significant. Thes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practicing proactive mindsets among pregnant women, reducing work-life conflict, and strengthening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their fetus. 본 연구는 취업상태인 임산부의 책략적 성격이 일-가정갈등과 부부관계 질을 통해 태아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의 취업모 360명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 M-plus 7.4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빈도 분석, 상관 분석,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임산부의 책략적 성격이 태아애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책략적 성격이 부부관계 질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책략적 성격이 일-가정갈등과 부부관계 질을 통하여 태아애착으로 가는 이중매개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책략적 성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여 실천하고, 직장 내 일-가정 갈등을 줄이며, 임산부와 태아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임신기 아버지의 가족친화적 직장조직문화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부부관계 질의 매개효과

        강수경,정미라,김해미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8 한국가족복지학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on happiness of fathers in pregnancy through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quality.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on 338 fathers in pregnancy who participated in prenatal education program in Seoul and Gyeonggi.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of workplace has negative effects on work-family conflicts and does not directly affect marital quality and happiness. Second, work-family conflict has negative effects on the marital quality and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happiness. Third, marital quality has a direct effect on the happiness. Fourth, a partial double mediation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quality was significant between family 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nd happiness. By examining the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it is meaningful to provide measures to reduce the obstacles to pregnancy and childbirth.

      • KCI등재

        문화행정에서의 행정행위 : 문화재보호법 규정을 중심으로

        강수경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圓光法學 Vol.28 No.4

        본질적으로 문화행정은 문화예술단체에 대한 지원 등 급부행정이 그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문화행정에는 규제적 측면과 급부적 측면이 공존하고 있어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당해 행정목적에 적절한 행정수단을 모색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문화행정에서의 규제적 행정으로서의 측면도 행정작용법에서 설명된 일반 원리가 기본적으로 적용된다. 문화행정에서 규제적 측면에서의 행위형식으로서 행정행위(처분)가 행하여지는 경우는 주로 문화재보호나 종교행정 등의 경우에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ay designate more valuable cultural heritage than other similar assets as treasures(or national treasures) following deliberation by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And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ay designate more valuabl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n other similar assets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ollowing deliberation by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ay designate more valuable folklore resources than other similar resources as important folklore resources, following deliberation by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Disposition means the exercise of or refusal to exercise public power by an admnistrative agency as funtion of law enforcement in reration to a specific fact, other similar administrative action.

      • KCI등재

        1920년대 모스크바 공간에 대한 문학적 해석: 불가코프의 『조이카의 아파트』를 중심으로

        강수경 한국노어노문학회 2019 노어노문학 Vol.31 No.1

        본고는 불가코프의 희곡 『조이카의 아파트』에 등장하는 주인공 조야의 ‘집’, 더 정확히는 소비에트 네프시대 ‘코뮤날카’라는 공간의 문제와 그에 대한 불가코프의 문학적 해석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미 선행연구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우리는 1920년대 모스크바 공간의 상징적 장소인 조야의 아파트가 잇따른 외부 세력의 침입과 훼손으로 주거 공간의 질서가 붕괴되고 일상이 위협을 받으며 ‘거주’가 상실되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 불가코프의 희곡에서 집이 거주자를 지켜주는 공간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조차 지킬 수 없는 공간이 되면서, 등장인물들은 그들이 처한 현실을 탈피하여 다른 공간으로의 ‘떠남’을 갈망하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조야의 아파트가 그로테스크한 카니발 공연을 위한 무대로 변신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이 무대에서 벌어지는 음란한 매음굴 공연이 곧 희곡의 중심 사건이 된다. 하지만 중세 민중 축제인 카니발 축제의 면모를 보여주는 이 공연의 준비 과정과 실제 공연에서 불가코프는 놀이, 가면, 익살스러운 인물들의 캐릭터를 통해 1920년대 모스크바 공간을 춤과 노래, 시끌벅적한 웃음소리로 가득 찬 희극적인 공간으로 재현해 낸다. 이처럼 불가코프가 공간 상실의 비극적인 공간인 네프 시대 소비에트 러시아인들의 주된 삶의 공간을 한바탕의 익살극이 벌어지는 희극적인 무대로 해석한 것은 시대를 살아내고자 했던 작가의 문학적 존재방식이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이후 그의 마지막 소설 『거장과 마르가리타』에서 소설적 버전으로 재해석되면서 시대와 공간에 대한 총체적인 예술적 세계관으로 집대성된다.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problem of the space in the main character Zoya's "Apartment" in M.A. Bulgakov's play "The Apartment of Zoika," and, more precisely,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f Bulgakov on it, in the era of Soviet New Economic Policy(NEP). As already mentioned in the preceding study, we were able to look at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Zoika’s apartment was destroyed by successive intrusion and mutilation of outside forces, resulting in the collapse of the order of living quarters, the threat of daily life, and the loss of "residence." In the play of Bulgakov, a ‘house’ becomes a place where it cannot protect its own people and even cannot protect its own existence, and the characters are driven away from the reality and aspire to 'leave' to another space. In this sense, it is natural for Zoya's apartment to transform itself into a stage for a grotesque carnival performance. The obscene performance of the cemeteries on this stage becomes the central event of the play. And Bulgakov reproduces 1920’s Moscow space into a musical comedy. The interpretation of the main space of life of the Soviet Russia as a comic stage in which a comic strip takes place, can be interpreted as the writer's literary way of trying to live through the times. It was later reinterpreted as a fictional version of his last novel "The Master and Margarita," which is a collective view of the artistic world of times and spaces.

      • KCI등재

        18세기 러시아 여성잡지와 여성의 독서: "월간유행, 부인용 문고"를 중심으로

        강수경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2019 러시아학 Vol.- No.19

        This study was designed to shed light on the relevance of modern Russian women’s magazines and the formation of female readers and women’s writers and to examine its dimensions. As the first step in this study, this paper aims to pay attention to women’s magazines as a major cultural device that gave birth to female readers and formed women’s literature in Russia in the 18th century. It also seeks to explore the reading lists and contents of women’s daily reading through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works published in magazines, thereby taking a look at a glimpse of the process of women’s birth as readers. To this end, this paper focuses on the women’s magazine The Monthly Mode, or Library for Ladies’ Room, published in 1779 by N. I. Novikov, which was first published for female readers in Russia. The magazine was published from January to December 1779, first in Petersburg, then in Moscow from the May issue, a total of 12. Novikov, above all, was convinced that literature and media play the first role in education, wanted to enlighten the masses, consider their spiritual maturity as his mission, and produce a journal that could be read by all classes in need of enlightenment. In this context, the publication of a women’s magazine in 1779 is the result of Novikov’s efforts to provide reading for women. Actually his magazine was not popular among female readers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but it later played a role in creating a boom for women’s magazine publication. Given that Novikov recognized women as serious readers before anyone else, it is fair to start studying in his magazine to explore modern women’s reading culture. Therefore in Chapter 2 of this paper, we look at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Russia of the time, which enabled the emergence of women’s magazines first to find out how modern Russian women’s media were involved in women’s reading. In Chapter 3 we read the text contained in Novikov’s magazine and analyze the list and contents of the works. Finally, in Chapter 4, We look at how Russian women’s magazines developed literary tastes for female readers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reflect on the limitations and meaning of Novikov’s magazine.

      • 행정입법의 통제

        강수경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사회과학연구 Vol.11 No.-

        This study mainly aims to indicate problems on the control of the Executive Legislation. The first part contributes to explaining concept and authorization of the Executive Legislation power.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deals with the control of the authorized Executive Legislation. This attempt reveals some problems on the executive legislation procedure and also invite some ways to cure th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at for the more uniform and integrated application, the procedure of executive legislation be incorporated into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through the revision.

      • 中學校 科學科 氣象單元의 目標 分析과 成就度 調査硏究

        강수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0 이화교육논총 Vol.1 No.-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중학교에서 사용되는 5종류의 2종 교과서의 목표를 분석하여 본 결과 각 교과서인 목표 유형별로 강조도가 다소간 차이를 보여 전반적으로 이해(34.0%) 영역을 가장 중시하였으며, 지식(36.5%), 탐구과정 (27.4%), 응용(5.6%), 그리고 기타(2.5%) 영역 순의 분포를 보였다. 2. Type이 다른 3차의 평가지에 의한 목표 도달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목표 유형별로 지식(69.4%)이 가장 높았으며, 탐구영역이 65.2%, 응용과 기타 59.1%, 그리고 이해영역이 58.7%로 측정되었다. 3. 교육목표와 목표 유형별 도달도와의 관계를 x^2(chi-square) test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지식영역이 유의수준 5%에서 7.5로 교과서와 도달도간에 크게 상관되어 있으며, 이해영역은 19.0, 탐구영역이 17.9, 응용 및 기타의 범부는 66.1의 통계치를 얻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서 우리나라 제5차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목표와 5개의 세부목표(문교부, 1988)에서 제시된 과학지식의 문제해결에 활용하는 능력과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사회의 상호연관성의 이해라는 측면과는 달리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목표가 강조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연구의 제한점에서 지적하였듯이 이 연구가 과학과 전반적인 목표분석 결과가 아닌 점을 감안하여야할 것이다. 또한, 기상교육 내용은 교과서에서 이해(34.0%) 영역을 가장 중시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성취도는 가장 낮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보아 교육과정개발시 교육과정의 내용선정과 단원의 조직면에서 더 고려되어져야 할 사항이라 하겠다. 또한, 단원의 앞부분에 제시된 ‘열개념’내용은 기상현상과 원리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선수학습으로서의 연계를 찾을 수 없게 구성되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결론적으로 지식목표 영역은 교과서에서 의도하는 바에 따라서 교육의 성과를 즉시 나타내어 진술된 교과서가 지식위주의 주입식 교육에 더 적당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교육과정 연구자들이나 교과서 집필진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가 내용조직 면에서 과학적 탐구능력 신장에 더욱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다원적인 조사와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 계속 연구과제 본 연구결과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중학교 과학교과는 통합 교과서이므로 기상교육 내용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의 목표 분석도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2.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내용 선정과 조직면에서 면밀한 조사와 개발이 절실하다. 사실과 법칙만을 기억하도록 하는 교육내용과 방법에서 지식을 창조(발견)하고, 그 지식을 실생활에서 적용하는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도구로서의 교과서가 되어야 한다. 과감히 교과서에서 지식의 양을 줄여야 할 것으로 본다. 3.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통계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4. 과학평가, 방법이 개선되어야 한다. 합리적인 평가 방법의 미진, 활용의 부족, 평가 결과의 새로운 학습을 위한 적용과정의 미흡 등을 지적하며, 이들은 계속 연구되어야 할 과제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