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젝트기반 학습(PBL)이 시각디자인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AR을 활용한 청춘길 홍보 디자인을 중심으로 -

        강소영,이하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캠퍼스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S대학 청춘길 홍보를 위한 프로젝트기반 학습(PBL)을진행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과목을 설계하고 PBL수강자의 NCS향상과 만족도에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단계는 NCS능력단위 선정, 사전평가, PBL 진행, 사후평가, 평가분석으로 5단계로 진행한다. 본 연구범위 및 대상은 서울 소재 S대학 2021년 1학기 2학년 심화타이포그래피와 정보 교과목으로 한정하고 이를 수강한 수강자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선별한 NCS능력단위는 PBL 수업 전보다 PBL 수업 후에 ‘시각디자인프로젝트기획’, ‘디자인개발완료’ 능력이 향상 되었으며 특히 ‘시각디자인프로젝트기획’ 능력이 가장 크게 향상된 것으로설문조사를 통하여 검증되었다. PBL의 만족도 자체평가를 설문조사한 결과는 ‘개인역량 향상’, ‘학교앞 상권 홍보’, ‘학교 홍보’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S대학 청춘길 홍보를 위한 PBL 을 진행하고 디자인 직무능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시각디자인프로젝트기획’ 능력향상과 ‘개인역량 향상’ 대한 수강생의 만족도를 입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프로젝트기반 학습(PBL)은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홍보 환경 변화에 따라 인쇄 홍보물의 홍보 효과 한계를 극복하고 VR보다 접근성이 용이한 AR을 활용하여 리플렛과 연동 가능한 홍보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를통해 청춘길을 이용하는 타겟층인 MZ세대의 흥미를 유발하여 홍보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데 의의가있다. 또한 본 PBL을 통하여 AR과 연동 가능한 리플렛 제작 수업을 통하여 4차 산업시대의 지속가능한 홍보물 제작을 위한 수업 개발 사례의 단초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문법화 과정에 있는 '-ㄹ 터이-'에 관하여

        강소영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2001 이화어문논집 Vol.19 No.-

        This is aims to describe the change of lexical and grammatical character of words which have been grammaticalized, such as '-ul #free noun teo+i->ul #bound noun teo+i> Tonghapgujoche '-ul teoi-'. Grammaticalization has been defined as phenomenon that a lexical item to indicate a concrete object changes into a grammatical item. This definition, however, has its limit by excluding the words that are in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Thus,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grammaticalizatin includes not only 'change result that independent lexical item to be grammatical items that have grammatical function' bur also 'the process of change thar lexical item to be more grammarical than it had been'. In this result of study, Tonghpagujoche '-ul teoi-' is morpho·syntactic structure in which exists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 KCI등재후보

        남녀 대학생의 거절 전략에 관한 조사 연구

        강소영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04 텍스트언어학 Vol.17 No.-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rejection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in statistical methods and to analyze their thought. For this purpose, I divided rejection types into 14 items and mad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35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ejection strategy of college students showed four classes such as collaboration, compromise, clear statements, and evasion. Second, when it was arranged in the order from which the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there was not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Third, after I examined the 14 items of four strategies, I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rejection strategy.

      • KCI등재

        문화 영역 PCK에 따른 한국어 교사용 문화 교재 내용 분석

        강소영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5

        While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the role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it is also right that skills of cultural teaching are an important role in Korean language teachers. Unfortunately, there were rare chance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these skills and re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lso, there were lacking chances to learn these skills and apply to the practical circumstances. In these particular situations, it was true that several Korean teachers had a hard time to design a Korean class while they kept discuss about ways to perceive culture and apply these abilities to Korean language class. Now is the time to have a discussion to solve fundamental problems regarding the obtaining the professional knowledge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structor. In order to enhance the cultural teaching abilit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th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which determines the professionalism of cultural educators, and analyzes the contents of textbook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based on the PCK. This study will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effective teaching-learning by systematizing the knowledge content of cultural teaching. Four cultural textbooks written for teach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hich showed that most of the textbooks serve as introductory text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curricular content knowledge and professional knowledge predominates. However, the professional knowledge only served fragmentary cases for lectures. While we analyze these textbooks, we found that majority of these textbooks covers only simple lectures and are required to implement the teaching methods, educational models, contents of other cultural knowledge, and content for situational knowledge. Reflecting on these results, directions for improvements as well as the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PCK to secure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teachers in the future. 언어 학습에 있어 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한국어 교사의 문화 교수능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어교육에서는 교육 주체로서의 교수자를 위한 논의 자체가 부족했으며,문화 교수를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전문적인 지식이 무엇인지,그것을 어떤 형태로 습득하고 실제 수업에서 실현할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들이 여전히 미진한 실정이다.때문에 한국어 교사는 문화 수업을 설계하면서 문화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져야 하며,문화의 ‘무엇을’,‘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에 대해 어려움을 토로한다.이제는 교수자의 측면에서 교사가 갖추어야 하는 전문적인 지식을 확보하기 위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들이 필요한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문화 교수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 문화 교육의 전문성을 결정짓는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의 개념에 주목하여,문화 영역PCK 의 구성요소에 따라 교사용 문화 교재의 내용을 분석하였다.이를 통해 문화 교수를위한 교사의 지식 내용을 체계화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이론적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교사용으로 집필된 문화 교재 4권을 선정하였다.분석 결과 대부분의교재는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개론서의 역할을 하며 ‘교과 내용지식’과 ‘교수학적 지식’에 해당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하지만 교수학적 지식에 해당하는내용들이 거의 단편적인 수업 사례로서의 역할을 하였다.또한 교재별로 교과 내용지식의 편중 현상이 심하고,교수방법,교육모형,활동에 대한 내용과 타문화 지식,학습자 문화 지식의 내용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그리고 ‘상황적 지식’에 해당하는 내용도 상당히 부족하였으며,전체적으로 교재 구성의 내용이 교재별로 불균형하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확보와 질적 발전을 위해PCK에 근거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근대계몽기 두뇌의 의미 변화 연구 : The Study of Changing Meaning of Brain in Modern Times

        강소영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2 한국문화연구 Vol.22 No.-

        Since port opening in 1876, Korea has been shifted to modern society. Korea opened the gate to import civilization, institution and technology of western countries and consequently numerous new words were made and many existing words changed their meanings. This study reviewed the trace of its change based on the word of ‘brain’. It is appropriate word to show the transition time because the meaning in the traditional times and that in the modern times are conspicuously different. Accordingly, the usage of the word of ‘brain’ was reviewed statistically and its meaning was diachronically reviewed based on the statistic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raditional meaning such as ‘an important thing’ and ‘a part of body’ were dominant and then it came to have ‘judging capability’ from the modern times. Now it experienced various kinds of meaning expansion to compose various concept systems such as container metaphor, machine metaphor and enemy metaphor. Thirty five years’ colonial times that began with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was the transition period for the civilization. As we had transition in a short time from middle age to modern age that took centuries in Europe and Japan, we had big changes in our lives. This study reconstructed the social flow through the meaning change of ‘brain’. There are many other examples that show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meaning change as a consequence. They can be studied and reviewed in future studies to identify when and how those words were shown and what were the intention of intelligence underlying the meaning change. 1876년 개항으로 우리는 근대사회로 진입하였다. 문호를 개방하여 외래 문물, 제도 그리고 기술을 대량으로 받아들였으며, 그 결과 수많은 신어들이 나타났고 또 한편으로는 기존 어휘들의 의미를 변화시켰다. 이 연구는 근대계몽기 이전과 그 이후의 우리 사회의 변화 흔적을 두뇌의 의미변화 과정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두뇌는 근대계몽기 이전과 이후로 나뉘어 쓰이는 양상이 구별되어 우리 사회의 전환기를 보여주는 데 적절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문서와 왕실의 기록물 그리고 고신문 자료에 담긴 두뇌의 사용현황을 통계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두뇌의 의미변화를 통시적으로 짚어보았다. 그 결과 전통적으로는 핵심, 중요한 부분인 [요체]와 신체의 일부분인 [목 윗부분]의 의미로 많이 사용되다가 근대계몽기를 지나면서 사물을 판단하는 힘 [지력]으로서 더 많이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더하여 1910년대 그릇 은유, 1920년대 기계 은유로 다양한 개념체계를 형성하는 의미의 확장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910년 한일합방과 뒤이은 일본 식민지시대는 우리에게 암울한 시기이기도 하였지만 외래문물의 유입으로 새로운 사회로 진입하는 문명의 전환기였으며, 이전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중국 대신에 일본과 서구의 영향력이 힘을 발휘하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사회의 흐름이 바뀌는 징조를 두뇌의 의미영역이 어떻게 바뀌어가고 있는지를 통해 살펴보았다. 사회의 제반현상이 달라지면서 그로 인한 의미의 변화를 보이는 예시는 두뇌 이외에도 많다. 이러한 어휘들이 구체적으로 언제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는지를 살피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KCI등재

        성별 대상어의 의미와 성별 분포와의 상관관계 :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의 연상어휘를 중심으로

        강소영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0 여성학논집 Vol.27 No.1

        Masculinity and femininity are cultural products, so they are neither natural nor fundamental. However, men and wome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in terms of language speaking, and the difference is manifested by the list of vocabulary associated with masculinity/femininity. This study analyzed examples of such vocabulary sampled from corpuse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frequency for each object of description, and found imbalance in the distribution of vocabulary associated with masculinity and femininity. That is, in vocabulary associated with masculinity men held an absolute or competitive advantage, but in vocabulary associated with femininity, not only women but also various objects including men, neutral persons and materials held an advantage. That is, compared to masculinity-related vocabulary, femininity-related vocabulary emphasized 'gender' less. This characteristic of vocabulary associated with femininity appeared also in the analysis of gender based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word pairs. With regard to masculinity, men’s image marked with physical conditions such as height, physique and frame was described, and this image agreed with the masculine image in the early industrial society. This shows that vocabulary associated with masculinity reflects the masculine image settled as a fixed idea regardless of contemporary social changes. On the contrary, vocabulary associated with femininity revealed markedly the feminine image characterized by emphasis on outward appearance and immaturity. It described a woman as one who has to care about outward appearance in a passive attitude of waiting for being loved rather than loving actively. In conclusio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s of vocabulary associated with masculinity and femininity and the distribution of the vocabulary according to gender, we found that the pragmatic meanings of the vocabulary were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observed under traditional male dominant ideology. This shows that it is nothing but an ideal to think that people may have masculine or feminine qualities according to their need regardless of their biological sex, and that it is necessary to assume the attitude of practicing various implications about surrounding femininity and masculinity in daily life. 남성성과 여성성은 문화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자연적이지도 않고 본질적이지도 않다. 하지만 언중은 성별로 특정 속성, 자질을 가지고 있다고 여기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남성/여성다움의 연상어휘 목록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말뭉치 자료를 이용하여 실제 사용 예문을 분석하고, 이를 묘사대상별 빈도수에 의거, 분류를 한 결과,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의 어휘분포도에서 불균형스러운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상어휘들이 갖는 특징은 의미가 비슷한 어휘쌍의 성별의미차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남자다움에는 키, 체격, 골격 등 신체적 조건이 유표적인 남성상이 그려졌는데, 이는 초기산업사회 남성상과 일치하고 있어 현대의 사회변화와는 상관없이 고정관념처럼 자리 잡은 남성상을 반영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리고 여성다움에는 외양 중시, 미성숙한 여성의 모습이 유표적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스스로 사랑하기보다는 사랑받기를 기다리는 수동적인 태도에서 외양 치장에 힘쓸 수밖에 없는 여성의 모습을 담고 있는 것이다. 결국,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의 연상어휘들의 의미와 성별 분포도가 갖는 상관관계를 살핀 결과, 전통적인 남성이데올로기 아래에서 나타난 여성, 남성의 특징을 이 안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남성다움의 연상어휘들이 갖는 의미체계 연구

        강소영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0 탈경계 인문학 Vol.3 No.1

        This paper, in trying to develop mentally inherit achievements from previous studies, crystallizes ‘maleness’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maleness-associated words and arranging their common and distinctive meanings. As a result, Ssikssikhata ‘to be valiant’ is analyzed as [invincible spirit] [high spirits], Yongkamhata ‘to be brave’as [invincible spirit] [immobility], Tanhohata ‘to be firm’ as [invincible spirit] [exclusion], Taypemhata ‘to be large-hearted’ as [invincible spirit] [magnanimity], Kanginhata ‘to be persevering’ as [invincible spirit] [physical healthiness] [endurance], Tangtanghata ‘to be dignified’ as [invincible spirit] [physical healthiness] [fairness], Numrumhata ‘to be dashing’ as [invincible spirit] [physical healthiness][fairness] [dignity], Hwenchilhata ‘to be strapping’ as [physical healthiness] [height], Kencanghata ‘to be robust’ as [physical healthiness] [skeleton], Kangkenhata ‘to be vigorous’ as [physical healthiness] [skeleton] [strong foundation], and Mesissta ‘to be chic’ as [evaluation]. In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maleness-associated words can find their places with linguistic elements of sex discrimin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generally examined.

      • KCI등재
      • KCI등재

        양이온교환수지에 대한 Co(II), Ni(II), Cr(III), Fe(III) 이온의 흡착 특성 - 원자로 일차 냉각재 계통내 탈염 공정에의 적용

        강소영,이병태,이종운,문승현,김경웅,Kang, So-Young,Lee, Byung-Tae,Lee, Jong-Un,Moon, Seung-Hyeon,Kim, Kyoung-Woong 대한방사선방어학회 2002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7 No.1

        가압경수로 일차냉각수내 탈염공정의 효과적 운용을 위하여 Amberlite IRN-77 양이온 교환수지의 특성 및 Co(II), Ni(II), Cr(III), Fe(III) 이온의 흡착거동을 연구하였다. 용존 금속이온 농도가 약 $200\;mgL^{-1}$인 용액 100 mL에 대하여 이온교환수지 투입량은 약 0.6 g이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온교환 반응 속도 측정 결과 대부분의 흡착은 반응 1 시간 이내에 신속히 발생하였다. 수지에서의 양이온 교환은 Langmuir 흡착등온선을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Fe(III)의 경우, 다른 금속과는 달리 쉽게 평형에 이르지 못하였으며 이는 공기와 오래 접촉한 결과 철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을 형성하며 용액 중으로부터 침전되기 때문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자가가 동일한 Co(II)와 Ni(II)가 동시에 포함된 모의 조제용액에 대하여 흡착실험을 한 결과, 각 이온은 거의 동일한 흡착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전자가가 큰 Cr(III)이 첨가된 경우, 이들은 기존에 수지에 흡착되어 있던 전자가가 낮은 금속들을 탈착시키고 대신 흡착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효과적인 탈염 공정을 위해서는 용존 금속 상호간의 경쟁적 흡착관계의 규명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Characteristics of Amberlite IRN 77, a cation exchange resin, and the mechanisms of its adsorption equilibria with Co(II), Ni(II), Cr(III) and Fe(III) 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demineralizing process in the primary coolant system of a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The optimum dosage of the resin for removal of the dissolved metal ions at $200mgL^{-1}$ was 0.6 g for 100 mL solution. Most of each metal ion was adsorbed onto the resin in an hour from the start of the reaction. Each metal adsorption onto the resin could be well represented by Langmuir isotherms. However, in the case of Fe(III) adsorption, continuous formation of Fe-oxide or -hydroxide and its subsequent precipitation inhibited the completion of the equilibrium between the metal and the adsorbent Cobalt(II) and Ni(II), which have an equivalent electrovalence, were adsorbed to the resin with a similar adsorption amount when they coexisted in the solution. However, Cr(III) added to the solution competitively replaced Co(II) and Ni(II) which were already adsorbed onto the resin, resulting in desorption of these metals into the solution. The result was likely due to a higher adsorption affinity of Cr(III) than Co(II) and Ni(II). This implies that the interactively competitive adsorption of multi-cations onto the resin should be fully considered for an efficient operation of the demineralizing ion exchange process in the primary coolan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