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강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주거와 취락구조

        강세호(Seho Kang) 중부고고학회 2018 고고학 Vol.17 No.1

        북한강유역의 원삼국~한성백제기 문화는 주거의 구조적 측면이나 특정 유물들을 대상으로 한 편년 연구에 집중되어 왔지만 자료의 편중과 일률적인 편년체계의 부재 등으로 인해 복잡하고 다양한 이 지역의 문화상을 규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뒤따랐다. 이 글에서는 북한강유역의 원삼국~한성백제기 취락유적을 대상으로 주거와 취락구조의 변천을 분석하였다. 주거구조는 평면형태와 노시설을 각각 3개의 형식으로 대별하여 이들의 결합양상을 통해 동시기의 주거군을 추출하고 각 주거군들이 취락에서 배치된 양상과 부속유구와의 관계를 통해 취락의 구조와 운영시기별 특징과 변천과정을 추적해보았다. 분석 결과, 취락은 기원 1세기대까지는 소규모로 산발적인 분포를 보이며, 주거구조는 단순한 양상을 띤다. 2세기대에는 외줄구들의 출현과 소멸에 따른 주거구조의 변화가 수반되고, 우두동 일대에 대형 취락이 발생하면서 중심지로서의 기능이 나타난다. 3세기대부터는 중도동, 성산리와 같은 주거구조를 중심으로 한 지역으로 대형 취락이 이동하며, 북한강유역에서의 마지막 단계는 화천 원천리취락으로 자체적인 변화를 거치며 5세기대까지 존속한다. 또한 늦은 시기로 내려올수록 취락 내 주거구조와 주거군의 패턴은 단순해지지만, 취락구조는 다양한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With regard to culture in Bukhangang basin from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Hanseong Baekje period, researchers have focused on chronological study for the structural side of dwelling or specific relics. However, due to disproportionate amount of data, lack of consistent chronological system, and so on, closely examining the complicated and diverse cultural aspects in this region was accompanied with a lot of difficulties. In this article, it is intended to analyze dwelling and settlement structure for the remains of settlement in Bukhangang basin from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Hanseong Baekje period. With regard to the structure of dwelling, the plan and heating system was roughly classified into 3 types respectively. And their combination conditions were subdivided, and this study first examined what construction was shown according to type. Besides, this study examin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ttlement administration period through the condition of arrangement of these types, and tried to track the changing process. In the results of analysis, settlements from the 2nd century BC to the 1st century AD showed a dispersed distribution. And with regard to the structure of dwelling, relatively simple type-oriented ones were constructed. In the 2nd century AD, diverse aspects developed in the structural side of dwelling. And nucleated settlement appeared around Udu-dong, Chuncheon city. In the 3rd century, as the nucleated settlement moved to river island etc., Jeomto-type heating system and buttumak (cooking fireplace) was introduced in 呂(凸)-shape or hexagonal plan. And it was verified that there were settlements with high densityㆍmultiplicity according to size. In the final stage, large settlements highly related to Hanseong Baekje, such as Woncheon-ri, Hwacheon-gun, have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5th century. In other words, it is verified that settlements in Bukhangang basin from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Hanseong Baekje period have changed with different structure of dwelling according to administration period, and there is a aspect of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as the nucleated settlements m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