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接合部에 사용되는 스터드볼트의 極限引張耐力에 關한 實驗的 硏究 : 콘크리트 强度變化를 中心으로

        강성웅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硏究는 接合部에 사용되는 스터드볼트의 極限引張耐力에 關한 實驗的 硏究로서 콘크리트 强度變化(F_(C)=210, 300kg/㎠)를 中心으로 純粹引張을 받는 스터드볼트의 極限引張耐力 및 變形, 破壞時의 콘크리트의 Cone形狀등에 대한 力學的 擧動을 규명하고 試驗體의 實驗結果를 外國에서 이루어진 實驗硏究들과 比較分析하여 設計의 基本方向과 破壤時의 擧動을 제시하고, 아울러 앞으로 다른 變數들(스토드볼트의 길이ㆍ직경ㆍ머리직경ㆍ간격, 綠端距離, 스터드볼트群)에 대한 硏究의 資料를 제공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本 硏究에서는 16개의 시험체로 單一 스터드볼트에 대한 純粹引張實驗을 행하였으며 實驗의 變數로 콘크리트 壓縮强度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콘크리트 强度變化에 따른 시험체의 實驗破壞荷重과 외국의 規準들에 의한 豫想破壞荷重을 比較分析하였으며, 또한 荷重과 變形, 破壞時 콘크리트의 Cone形狀도 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콘크리트의 Cone形狀은 콘크리트强度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콘크리트强度가 크면 클수록 Conical Section에 포함된 콘크리트의 耐力이 增加되어서 Cone面積이 減少되기 때문이다. 2. 콘크리트强度 차이에 따른 스터드볼트의 變形度는 G(300)시험체가 G(210)시험체보다 다소 큰 값으로 나타났고, G(210), G(300)시험체 모두 스터드볼트 上ㆍ下部의 變形이 별다른 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것은 附着에 의한 耐力의 增加가 없다는 것이다. 3. 모든 시험체는 콘크리트破壞에 의해 지배되었으며, 콘크리트의 破壞를 기준으로 한 實驗破壞荷重은 G(300)시험체가 G(210)시험체보다 약 48% 더 큰 값을 보였다. 4. 本 實驗破壞荷重은 References 1,2,3에 의한 豫想破壞荷重보다 약 74% 더 작은 값으로 豫想破壞荷重에 대한 實驗破壞荷重의 比가 1.0보다 작아서 불안적측에 있다. 또한 References 4,5,6,7에 대한 豫想破壞荷重보다는 약 3.6% 더 큰 값으로 豫想破壞荷重에 대한 實驗破壞荷重의 比가 1.0보다 커서 안전측에 있다. 5. 接合部에 사용되는 스터드볼트가 純粹引張을 받을 때 콘크리트의 破壞를 기준으로 한 極限引張耐力 算定은 References 5,6,7에 의한 計算式-P_(c)=□□(□+d_(h))(4□)-이 合當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hich is an experimental study on ultimate tensile capacity of headed stud bolt using in connection, is to inquire into the mechanical behavior closely about ultimate tensile capacity, deformation, concrete cone shape in cracking, etc. and to present a basic design direction, a failure behavior by comparing test results of specimen with foreign experimental studies. And also,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search data for other variables(length·diameter·head diameter·space of headed stud bolt, edge distance, grouping). In this study, conducted a monotonic tension test about single headed stud bolt with 16 specimens, us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as experimental variable. Compared and analyzed the experimental failure load of specimen with predicted failure load by foreign references, according to strength change of concrete. Also,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by analyzing load and deformation, concrete cone shape in creaking. 1. Concrete cone shape was displayed some difference according to concrete strength, because cone area decreased due to increasing of concrete capacity (contained within the conical section with increase of concrete strength. 2. The strain intensity of headed stud bolt according to concrete strength difference appeared some larger strain in G(300) specimen than in G(210) specimen. also, in every G(210),G(300) specimen, the upper and lower straiin of headed stud blt appeared much the same, this means that increase of capacity by bandage is none. 3. Every specimen was governed by concrete failure, the experimental failure load governed by concrete failure appeared about 48 percent larger in G(300) specimen than in G(210) specimen. 4. The experimental failure load appeared about 74 percent smaller than the predicted failure load by references 1,2,3 lies in unconservative as the ratios of experimental failure load to predicted failure load is smaller than 1.0. Also, this appeared about 3.6 percent Larger than the predicted failure load by references 4,5,6,7 lies in conservative as the ratios of experimental failure load to predicted failure load is larger than 1.0. 5. When headed stud bolt using in connection is in monotonic tension, the computation of ultimate tensile capacity governed by concrete failure appeared that the calculation formula by references 5,6,7 -P_(o)=πℓ_(o)(ℓ_(o)+d_(h))(4√f'_(c))-was suitable.

      • 정보영재학생의 최단경로 탐색 과정 분석

        강성웅 서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정보화 시대가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대중화된 스마트 기기와 소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정보의 무한한 생산이 가능한 시대이다. 21세기 정보화 사회는 정보영역이 기초학문으로서 중심의 자리를 차지하는 시대이고, 이러한 정보화 시대를 이끌어 갈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펼칠 대한민국의 정보영재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하는 일은 영재 개인뿐만 아니라 국가적, 세계적으로 의미 있고 중요한 일이다. 아쉽게도 정보영재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정보영재교육대상자는 선발 과정에서부터 수학, 과학 영재와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지 않다. 정보영재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PISA 2012 문제해결력 평가를 기존의 지필평가를 대신해 컴퓨터 기반의 평가로 실시했다. 이러한 컴퓨터 기반 평가는 정보영재학생들에게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컴퓨터는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기이자 평가의 기반이 되는 매체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보영재학생은 컴퓨터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하고, 컴퓨터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분명한 명령을 내려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계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가 어느 분야든 영향을 미치는 시대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새로운 교육적 자극을 줘야한다. 문교식(2007)은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컴퓨터의 기본 원리를 배울 수 있고,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분석력과 논리력,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정확한 표현과 절차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창의적 사고, 계산적 사고 등 고차적 사고를 발휘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래밍 교육은 알고리즘적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보영재학생들은 물론 일반학생들 또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한 알고리즘적 사고를 배워야 한다. 본 연구는 PISA 2012 문제해결력 평가 문항 중 이산수학의 그래프 이론이 적용된 ‘TRAFFIC’ 문항을 바탕으로 총 19문항의 최단경로 탐색 문제를 웹기반 컴퓨터 평가로 검사도구를 제작했다. 검사도구의 적용을 통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최단경로 탐색 문제에 대한 정답률과 문제해결에 걸린 시간, 노드(node)와 엣지(edge)의 변화에 따른 정답률과 문제해결시간의 차이, 최단경로 탐색 문제의 해결하는 과정에서 파악할 수 있는 알고리즘적 사고를 바탕으로 영재학생의 인지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최단경로 탐색 과정을 통해 정답률과 문제해결에 걸린 시간의 관계는 일정 시간까지는 상관관계가 있지만 일정 정답률 이상에서는 크게 작용을 하지 않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노드와 엣지의 증가로 문항의 곤란도가 높아짐에 따라 문제해결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변수는 엣지 보다 노드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보영재학생이 최단경로 탐색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개념적 알고리즘인 동적(Dynamic) 알고리즘, 탐욕(Greed) 알고리즘과 같은 알고리즘적 사고를 거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정답률과 문제해결시간과의 관계, 노드와 엣지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영재의 인지적 특성인 ‘효율화 능력’과 ‘정보 구조 기억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oriented age is changing rapidly. This is the age that is capable of producing limitless information based on the popular smart devices and social network. I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information area is occupying the central area of the seat as a basic studies. Providing educational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information gifted student's personal property who will lead the age of this knowledg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ased on creative and innovative ideas is a meaningful and important work not only individually but also nationally and even globally. Unfortunately, research on information gifted student is not actively being made. From the selection process of information gifted student, it does not clearly distinguish them from the students gifted in math and science. It is necessary to pinpoint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 to develop appropriate programs, and apply them.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arried out problem solving ability assessment of PISA 2012 via computer-based assessment on behalf of the traditional paper-based assessment. This computer-based assessment suggests a need for programming education to information gifted students. It is because the computer has been settled as an indispensable and significant instrument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s of everyday life and as a media that is underlying in assessment. Therefore, information gifted students should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using the computer and give clear enough commands to the computer so that it can perform the procedure. In addition, since it is the age that the computational thinking is affecting every sectors, it should give students new educational stimuli. Gyosik Moon(2007) saw that it is possible to learn the basics of computer through programming, and one can develop capacity for analysis, logic, and creativity through problem solving process. Programming training needed to exert higher-order thinking such as these exact wording, procedural and log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is achieved through learning algorithms. Therefore information gifted students as well as general students should learn the algorithmic thinking through programming education. This study has produced a checker of the shortest path search problem with a total of 19 questions as a web-based computer evaluation based on the 'TRAFFIC' questions where graph theory of discrete mathematics was applied out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ssessment items of PISA 2012.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checker, the analysis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ate of the correct answer, the time it took for solving problems on the shortest path search of th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difference in time between the rate of correct answers and the time for problem solving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in node and edge, and algorithmic thinking that could be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shortest path search. Through the study, the results attained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e of correct answers and the time took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the shortest path proces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a certain time, but it did not have effect over a certain rate of correct answers. Second, the variable that affected the problem solving as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rises due to the increase of nodes and edges turned out to be the node than the edge. Third, it was revealed that information gifted students went through algorithmic thinking such as dynamic algorithm and greed algorithm which are conceptual algorithms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shortest path search problem. In additio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gifted students such as ‘efficiency ability’ and ‘structured information recall ability’ could be confirmed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problem solving time, and the result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nodes and edges.

      •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위한 단결정성 사티탄산바륨 나노막대의 합성 및 특성분석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ingle-Crystalline Barium Titanate Nanorods for Nonvolatile Memory Device

        강성웅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자발분극 특성에 의한 강유전체의 광범위한 응용분야와 더불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기능적 요소 및 타구조체와의 다중복합 구조 및 특성에 대한 가능성으로 인해, 강유전체는 최근 매우 중요한 연구분야로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구조 및 구동특성과 달리, 비휘발성 메모리의 경우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에도 0 또는 1의 데이터상태를 유지하는 구동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그리고 구동특성적 이점으로 인하여 강유전체를 응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의 한분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기능적 요소의 관점에서 볼때, 강유전체는 다층축전기 (mlutilayer capacitor) 및 큰 유전상수를 가지는 절연체 (high-k insulator)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기존 전자소자산업의 소자소형화 추세에 따라 나노크기 강유전체의 특성평가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개발 및 산업화에 필수적 요소로서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적 필요성에 의해 본 연구에서는 단결정성 강유전체 나노구조체를 합성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기능적 요소로서의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는 특성적 분석평가가 이루어졌으며, 또한 강유전체 나노구조체와 반도체 나노구조체의 교차접합 구조를 가지는 원시적형태의 강유전체 게이트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 및 그 구동특성을 평가하였다. 강유전체를 대표하는 perovskite 구조는 그레인 (grain)의 임의적인 성장성과 a-축과 c-축의 낮은 격자상수 비율로 인해 특별한 형태를 가지는 나노구조체로 성장시키기 어려운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합성적 방법에서는 기존의 세라믹합성법중에서 보편적인 졸-겔법을 이용하여 육티탄산칼륨 (K2O․6TiO2) 나노구조체를 형성하여 수열합성을 통한 이온교환 및 구조적전이를 유도하여 단결정성 사티탄산바륨 (BaTiO3) 나노막대를 합성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과정을 통해 고수율, 단결정성, 균일한 표면 및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안정된 형태의 강유전성 나노구체를 합성하였으며 또한 강유전체의 표면특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전반적인 실험과정에서 배제하였다. 합성된 강유전체에 대한 분석적인 결과들은 최종결과물이 단결정성 사티탄산바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축을 따라 배양되어 성장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수열합성을 통하여 perovskite 구조로의 전이도 완전히 이루어졌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강유전성은 강유전체의 구조에 결정적으로 의존하므로, 특정온도에서 나노강유전체의 구조상에 대한 분석은 산업적인 강유전체의 활용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련의 실험적 과정을 통해 제조된 사티탄산바륨 나노막대의 상온구조를 X-ray 회절분석을 통한 Rietveld refinement 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기존의 논쟁적인 문헌보고들에 의하면 사티탄산바륨 나노입자의 강유전성이 사라지는 임계크기는 합성방법에 의해 다양한 범위에 존재하며, 또한 입자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강유전성의 변화는 물론 구조적변화도 복잡하게 전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합성법으로 제조된 사티탄산바륨의 경우 상온에서 입방정계 (cubic phase)와 정방정계 (tetragonal phase)의 상 혼합비가 98% 이상의 정방정계로 이루어져 있다는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자발분극의 크기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소인 원자변위 (atomic displacement)는 기존의 벌크 (bluk) 물질에 비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Rietveld refinement된 구조적 분석결과들로 강유전체 나노막대의 5.5067 μC/cm2 의 자발분극을 계산하였으며 격자상수의 비 (a/c)는 벌크물질과 비교하였을 때 감소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분석 결과들은 나노크기로 크기가 축소됨에 따른 강유전체의 특성변화에 대한 학계의 일반적인 보고들과 잘 일치하고 있다. 강유전체 나노막대의 구조적분석결과들로부터 정방정계 사티탄산바륨의 전자 전하-밀도 분포 및 원자들 간의 결합종류를 maximum entropy method (MEM)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MEM의 분석결과로 부터 합성된 사티탄산바륨의 격자구조에서 Ba과 O원자는 이온결합 그리고 Ti과 O원자는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강유전체의 자발분극이 사라지는 임계크기는 산업적인 활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임계크기 이하에서는 강유전체의 활용가치가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강유전체 박막이나 나노구조체의 임계크기를 조사하는 것은 필수 불가결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에 perovskite 나노박막의 임계두께에 대한 실험적 그리고 이론적 연구들은 12Å 그리고 24Å의 두께까지 강유전성 구조가 유지된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액상법으로 합성된 사티탄산바륨 나노선에 대해 EFM을 이용하여 강유전성을 조사한 연구결과는 강유전성이 10 나노미터반경까지 유지됨을 보고하였다. 본 합성적방법을 통한 강유전체 나노막대의 강유전성 특성평가는 EFM을 이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서 요구되는 자발분극의 전환특성 (switching property), 강유전성의 임계두께, 그리고 일정범위 전기장세기에 대한 강유전성 도메인들의 시간의존성에 집중하여 실시되었다. 강유전체 표면에 형성된 국소도메인은 원자현미경 (AFM)의 전도성 팁 (metallized tip)을 통한 직류전압에 의해 정확히 형성되었으며 또한 인가전압의 방향전환에 대해 자발분극의 전환특성을 확실히 보여주었다. 강유전체 나노막대의 임계두께에 대한 특성평가는 본 합성방법으로 제조된 강유전체 나노막대의 경우 ~5 나노미터의 두께까지 강유전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전압인가 시간에 따른 강유전체 도메인들의 시간의존적 특성을 강유전체 표면위에서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강유전체 나노막대와 반도체 나노선의 교차접합 구조를 가지는 강유전성 게이트효과 트랜지스터 (ferroelectric gate-effect transistor)의 나노구조체를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SiO2/Si 기판위에서 제작하였으며. 여러 가지 실험적 변수를 이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효과를 관찰 하였다. 일정 소스-드레인 전압(Vds)에 대하여 게이트전압 (Vgs)에 의한 소스-드레인 전류값 (Ids)은 계면효과 트랜지스터 (field-effect transistor) 채널의 (Si-channel)의 전도도가 게이트전압에 의한 효과와 함께 히스테리시스 거동 (hysteresis loop)을 보이는 강유전체에 의한 게이트효과에 의해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강유전성 게이트효과에 의한 비휘발성 메모리 효과는 소스-드레인 전류-게이트 전압곡선의 히스테리시스 거동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또한 게이트전압이 0 V의 조건에서 (즉, 외부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강유전체의 잔류분극 (remanent polarization)에 의한 비휘발성 메모리 효과를 확실히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저항값의 변조범위는 약 1.5정도였다), 이러한 0 또는 1의 데이터상태를 표현하는 소자의 구동특성은 48 h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관찰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결정성 강유전체 나노구조체의 합성적 방법이 소개되었으며 이러한 실험적 과정들은 광범위한 perovskite 구조체의 합성에 효과적인 제조과정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노크기 강유전체의 분석적 특성평가는 강유전체의 강유전성구조는 실험적 방법에 의존하며 기존의 벌크강유전체에 비교하여 나노강유전체의 강유전성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반도체 나노선과 강유전체 나노막대를 이용하여 제작된 원시적형태의 강유전성게이트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작과 그 구동특성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기능적인 요소로서 단결정성 나노강유전체의 중요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선박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용 합금주철의 부식마멸에 미치는 분위기의 영향

        강성웅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박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용 합금주철의 부식마멸에 미치는 분위기의 영향 Effect of Atmosphere on Corrosive Wear of Alloy Cast Iron for Cylinder Liner of Large Ship Engine 기계․금속교육전공 강 성 웅 지도교수 박 흥 식 대형 선박의 엔진은 불순물과 황이 많이 포함된 벙커C유를 연료로 사용하고 습한 지역에서 가동되고 있기 때문에 실린더 라이너의 표면에서 스커핑(scuffing)과 같은 손상이 매우 발생되기 쉬운 환경에 있다. 지금까지 조사된 스커핑의 발생 원인은 연료에 포함된 물과 황, 마모성 불순물 및 윤활 불량으로 인한 유막파괴 및 부식마멸이 가장 유력시 되고 있다. 따라서 운전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스커핑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하여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부식 환경에서 실린더 라이너 소재의 윤활마찰 및 마멸에 의한 표면 손상에 대한 여러 가지 자료를 구축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식 환경에 따른 실린더 라이너의 손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린더 모의한 왕복동 윤활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고, 부식 분위기에 맞는 실험 조건을 설정하여 마찰마멸 실험을 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부식 환경 하에서 가동되는 선박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의 손상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주요어 : 실린더 라이너(Cylinder liner), 주철(Cast iron), 스커핑(Scuffing), 부식 마멸(Corrosion wear)

      • 펩신 검출용 펩타이드 기반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 개발

        강성웅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역류성 인후두염은 위산과 펩신을 함유한 위 내용물이 식도를 거쳐 후두와 인두로 역류하여 점막 손상과 여러 상부 기도 염증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현재 역류성 인후두염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설문지를 이용한 증상 평가, 인후두 내시경,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사용한 경험적 약물 치료, 24시간 이중 탐침 pH 모니터링 등이 있다. 기존 진단 방법들은 주관적이고 정확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침습적이어서 사용이 불편하다. 따라서 비침습적이고 객관적이며 빠르고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법이 필요하다. 펩신은 위에서만 분비되는 효소인데, 역류질환이 있으면 타액에서 발견될 수 있으므로, 타액 내 펩신은 역류성 인후두염에 대한 바이오마커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펩신에 의해 특이적으로 분해되는 펩타이드 리포터를 이용하여 타액 내 펩신을 검출하는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을 개발하였다. 스트립은 네 개의 부분 - 샘플 패드, 접합 패드, 니트로셀룰로스(nitrocellulose, NC) 멤브레인, 흡수 패드 - 으로 구성하였다. 접합 패드에는 펩타이드 리포터와 결합할 수 있는 금 나노입자-fluorescein isothiocyanate(FITC) 항체 접합체를 포함시켰다. 그리고 색 변화를 나타낼 NC 멤브레인에는 각각 polystreptavidin과 anti-rabbit immunoglobulin G로 검사선과 대조선을 구성하였다. 타액 내 펩신이 없을 경우, 금 나노입자-FITC 항체 접합체와 펩타이드 리포터가 결합하여 검사선에 색이 나타난다. 그러나 펩신이 고농도로 존재하면, 펩신에 의해 펩타이드 리포터가 분해되어 금 나노입자-FITC 접합체와 결합한 펩타이드 조각은 검사선에 결합하지 못해 색이 연해진다. 이러한 원리를 기반으로 최적의 신호 강도를 얻기 위해 펩신에 의해 분해되는 펩신 특이 펩타이드 리포터의 분해 조건 (반응 온도, 시간, pH)과, 스트립 분석 조건(flow 버퍼 조성, polystreptavidin 및 금 나노입자-FITC 항체 접합체 농도) 등을 최적화였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펩신 검출용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은 펩신 4-500 ng/mL 농도 범위에서 선형성(R2 = 0.996, n = 3)을 보였으며, 트립신, 아밀라제, 라이소자임 및 뮤신과 같은 다른 효소들에 의한 간섭효과는 나타나지 않아 양호한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펩타이드 기반 측방 유동 분석 스트립은 타액 내 펩신 검출을 통해 역류성 인후두염을 진단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도구로서 활용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 Proteomics를 이용한 Adenosine dialdehyde-treated C6 rat glioma cells에서 Protein L-isoaspartate O-methyltransferase와 관련한 protein methylation 억제 : Proteomic analysis of the inhibition of protein methylation related with L-isoaspartate O-methyltransferase in adenosine dialdehyde-trea

        강성웅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oteome is the protein compliment of the genome and is the result of genetic expression, ribosomal synthesis and proteolytic degradation. Proteins participate in most major cell processes and their function is highly regulated by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such as methylation, acetylation and phosphorylation. As a result, hypo-methylation-induced by changing in protein levels, function or regulation could have a negative impact on neuronal viability. At the molecular level, direct modifications of individual proteins by various chemicals or drugs is likely to lead to perturbation of tertiary structure and a loss of function. We investigated not only functional analysis, but also the global distribution of methylaccepting proteins in C6 rat glioma cells by two-dimensional (2-D) gel electrophoresis. The 2-D electrophoreograms of normal and hypo-methylation (cells grown with a methyltransferase inhibitor adenosine dialdehyde) protein extracts exhibited 107 spot differences. And in vitro methylation of the hypo-methylated extracts in the presence of the methyl-group donor S-adenosyl-[methyl-^(3)H]-methionine revealed close to a hundred signals. Less than one-fifth of the signals could be correlated with protein stains, indicating that most of the methylaccepting proteins are low abundant ones. We analyzed four spots (hnRNP A2/B1, hnRNP A1, vimentin, tubulin beta) as represent for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 levels, and two spots that were stained (hnRNP A2/B1, hnRNP A1) by autoradiography. Also I suggested their ident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