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동시장 성 격차 해소를 위한 분야별 전략개발(Ⅱ): 직장문화를 중심으로

        강민정,이승현,권소영,강경주,김영옥,임희정,서형도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서론 □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여성노동정책의 방향성은 고용의 양 증대, 저출산 해결을 위한 정책대상 및 도구로 주로 간주되어 왔음. 이제는 전체적인 노동시장정책의 성주류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함. - 중장기 과제로 노동시장의 각종 성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성 격차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어 드러내고 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연구가 추진될 필요가 있음. ○ 최근 글로벌 경제위기, 지속되는 저성장 기조, 일의 가치에 대한 인식변화,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 등과 함께 우리나라의 직장문화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변화를 요구받고 있음. - 우리나라 직장문화의 특성과 문제점은 어느 정도 파악되었으나, 이러한 직장문화가 노동시장의 성 격차와는 어떤 관련이 있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한 연구는 아직 부족함. - 직장문화의 특성과 성 격차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드러내고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는 노동시장의 성 격차 해소를 위한 중장기적 정책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여성노동의 취약성과 성 격차를 극복해나가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정책을 개발하고자 함. -우리나라 직장문화의 특성을 구성하고 실증적으로 측정하여, 그 특성이 노동시장 내 성 격차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여, 궁극적으로는 성평등한 직장문화 형성과 노동시장 내 성 격차 해소에 기여하고자 함. □ 연구내용 ○ 한국의 직장문화 특성 - 연구대상과 범주에 대한 검토 - 한국 특유의 직장문화에 대한 선행연구 및 논의 검토 - 직장문화의 특성과 노동시장 내 성차별과의 관련성 검토 ○ 한국의 직장문화와 성 격차 실태 파악 - 직장문화 실태 파악 ? 표출적 특성: 근로시간, 회의, 회식, 보고, 업무지시, 인사관리시스템, 업무프로세스 등 ? 내재적 특성: 서열문화, 헌신에 대한 요구, 비공식적 업무해결, 폐쇄적 네트워크 등 - 성 격차 현황 파악 ? 일?생활 균형: 모성보호제도, 유연근무제도, 휴가, 근로시간 등의 성별 차이와 격차 ? 인사관리: 채용, 평가, 임금, 승진, 교육훈련 등 경력개발 전 단계에 있어서 성별 차이와 격차 ? 일하는 방식과 문화: CEO, 직속상사의 성평등 인식 수준, 전반적인 조직분위기 등 - 직장문화와 성 격차 ? 기업과 정부의 정책적 방향, 인사관리제도, 직장에서 요구하는 굳어진 일하는 방식 및 규범과 성 격차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힘. ? 성차별적 직장문화가 노동시장의 성 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 노동시장 내 성 격차를 야기하는 직장문화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 성평등한 직장문화 조성과 성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과제 발굴 - 기존의 일하는 문화 개선 정책 및 사업에 활용할 수 있는 정책과제 발굴 □ 연구방법 ○ 선행연구 검토 및 문헌연구 - 우리나라 직장문화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 - 직장문화와 노동시장 내 성 격차 및 성차별과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 ○ 통계 원자료 분석 - 직장문화 관련 기존 원자료 활용: 일?가정 양립 확산을 위한 기업문화 진단지표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강민정 외, 2017) 원자료, 일하는 방식과 문화에 대한 인식조사(고용노동부, 2014) 원자료 등 ○ 실태조사 - 직장문화의 효과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노동시장의 구조적 지위가 유사한 대규모 기업을 대상으로 4개 부문(중공업, 유통, 과학기술, 금융 및 보험업)을 나누어 인사담당자 및 근로자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 ? 목적: 직장문화와 성차별 실태 및 현황을 파악하고, 직장문화의 특성이 성차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측정 ? 대상: 국내 120개 기업 인사담당자, 해당 기업의 근로자 평균 15명 총 1800명(최소기준) ? 조사내용: (인사담당자) 기업 일반현황, 인사관리 현황(채용, 배치, 평가, 보상, 승진 등), 조직관리 현황 등 성차별 현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항목(근로자) 인구학적 특성, 근무현황, 일하는 방식, 근무시간, 기업의 분위기, 성차별 인지 수준 등 ○ 관련 전문가 및 정책담당자 자문회의

      • KCI등재

        도시청년 지역 연계의 사회혁신 거버넌스: ‘청정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강민정,강예원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3 사회적기업연구 Vol.16 No.2

        This study is on the program called ‘Cheong(the youth) Jeong(stay) Project, literally meaning the area where young people stay. Against the background of wicked problems in the Korean society such as decreasing population and weakening local economies, increasing unemployment of urban youths, the Project sought to the urban youth’s work and life in local communities in the local regions during the year of 2018 to 2021. Initially launched as a community service program of a non-profit social venture ‘JUMP’ and then being a policy partner of Seoul city government, the Project and ‘JUMP’ provided urban youths with new work opportunities and tailored mentorship programs in local regions, allowing them to explore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life in the regions. At the same time, as a host place, local communities facing the extinction of population could have opportunities to employ young people at local companies and to provide social services such as after-school classes for kids. On top of the program’s innovative aspects,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political leadership that employs experimental ideas of a social venture for solving social issues, visible performance outcomes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project, coordinating roles among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sharing goals and mutual trust among players in public and civil sector were necessary in order to succeed in such a social innovation program. At the same time, this case study sheds lights on some elements that limi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program; the political aspect of opportunity widow(mayoral power to decision-making), institutional constraints regarding public budget execution,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Seoul and local governments surrounding young people’s in and out of the territory, and different expectations among local companies and the urban youth’s.

      • KCI등재

        대장내시경 전처치로서 4 L Polyethylene Glycol (PEG) 용액의 복용과 2 L PEG 용액 및 비사코딜 병합요법의 비교 분석

        강민정,정성애,정지민,송현주,김성은,정혜경,심기남,유권,문일환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3

        목적: 대장정결제인 polyethylene glycol (PEG) 용액은 안전하고, 정결 효과가 우수하지만 많은 양을 복용해야 하고 독특한 맛에 의해 순응도가 낮다. 저자들은 동일한 환자에게 시간차를 두고 각각 4 L PEG 용액 단일 투여와 대장운동 촉진제인 비사코딜과 2 L PEG 용액을 병용 투여하여 대장 정결도, 환자의 순응도, 복용의 용이성 및 부작용에 대해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화의대 목동병원 소화기내과에 내원하여 기존의 전처치제인 4 L PEG 용액을 복용 후 시행한 대장내시경에서 용종을 진단받고, 2007년 9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용종절제술을 위해 다시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장내시경의 전처치로 검사 전날 저녁 식후 2시간에 대장운동 촉진제인 비사코딜 20 mg과 검사 당일에 2 L PEG 용액을 복용하였다. 대장의 정결도를 평가하여 비교하였고, 복용의 순응도와 용이성, 난이도 및 부작용을 조사하였으며 선호도와 혈액검사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장 정결도는 4 L PEG 용액 복용법이 비사코딜-2 L PEG 용액 복용법에 비해 우수하였고(p=0.035) 순응도는 4 L PEG 용액 복용법과 비사코딜-2 L PEG 용액 복용법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전처치제를 복용하는 용이성 여부에서 4 L PEG 용액을 복용하기 쉽다고 응답한 환자는 15.3%였으나, 비사코딜과의 병용 투여를 쉽다고 응답한 환자는 81.4%로 그 반응이 향상되었고 visual analog scale을 이용하여 평가한 복용 난이도와 선호도 역시 병용 투여에 대한 환자들의 반응이 우수하였다(p<0.001). 부작용은 4 L PEG 용액 복용시 오심, 구토, 불면증 등을 호소하였고, 비사코딜 병용 투여시 복통이 더 많았다(p<0.05). 혈액검사는 비사코딜-2 L PEG 용액군에서 대장내시경 검사 전후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론: 비사코딜-2 L PEG 용액 복용법은 대장 정결도면에서 4 L PEG 용액 복용법만큼 효과적이지는 않았으나 복용의 용이성, 난이도 및 선호도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비사코딜-2 L PEG 용액 복용법은 대장 점막 전체를 주의 깊게 살펴야 하는 선별검사 목적으로는 미흡하지만, 시술을 위한 재검이나 다량의 PEG 용액 복용을 기피하는 환자들에게 선택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고등학교 남자 엘리트 태권도 품새 및 겨루기 선수의 신체적,체력적 특성 및기능적 요소 비교

        강민정,김지석,백경완,원종화,샹잉잉,한정민,성순창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3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major selection of youth Taekwondo player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male elite Taekwondo Poomsae and Kyorugi players (16.95 ± 0.65 yrs). 12 Poomsae and 12 Kyorugi players registered with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evaluation of physical fitness factors such as body composition, maximal oxygen consumption (VO ₂max), muscle strength, agility, flexibility, balance, functional movement, kick power, and joint mobility, Poomsae players had significantly higher capacity of balance and rotary stability, while Kyorugi players had higher knee flexion mobility.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factors related to the stable control of the body is required in the Poomsae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kick speed is more important in the Kyorugi for selecting the major. 본 연구는 고등학교 남자 엘리트 태권도 품새 및 겨루기 선수들의 신체적, 체력적 특성 및 기능적 요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유소년 태권도 선수들이 종목 선택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목적이 있다.본연구에서는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된 고등학교남자 엘리트 태권도 선수들을 (16.95±0.65yrs) 품새 및겨루기 종목별로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총24명,각12명). 선수들의 신체구성,최대산소섭취량,근력,순발력,민첩성,유연성,평형성 등의 체력 요소 및상ㆍ하체 근파워,기능성 움직임, 킥 파워, 하지 관절 가동성 등을 평가한 결과 종목 간 차이는 전반적으로 발견되지 않았으나, 품새 선수들은 평형성 및 신체회전 안정성(rotary stability)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겨루기 선수들은 무릎 굴곡(knee flexion) 가동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즉,품새 종목은 신체의 안정적 제어 능력과 관련된 요소가,겨루기 종목은 발차기의 속도와 관련된 요소가 종목선택을 위한 판단 기준이 될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Category and Customer Knowledge in Country of Origin Effect by Brand and Manufacturing

        강민정,양영근,김명학 한국기업경영학회 2009 기업경영연구 Vol.16 No.2

        Business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changing due to globalization. Recently, FTA negotiation among various countries newly draw the importance of country of origin. Country of origin concept was introduced as an extension of country image. Previous studies found that country of origin work as a salient cue in buyer’s perceived quality. It also has been found for country of origin effect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 purchasing decisions. Not only country of origin by brand but also country of origin by manufacturing appear to affect product evaluation. And country of origin may serve as a proxy variable when quantity of information is not fluen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untry of origin on product evaluation both by brand and by manufacturing. Additionally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knowledge and product category will b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uthors divided the country of origin concept into two categor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at is country image of brand and country image of manufacturing. It should be noticed that two country image (favorable/unfavorable), product categories (high/low involvement), consumer knowledge (high/low) affect product evaluation. As expected, country of origin effect appeared differently by combination of country of origin. Conclusively, customers evaluated the product best when both country of origin by brand and country of origin by manufacturing image are favorable. And 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brand and un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manufacturing, un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brand and 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manufacturing and un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brand and un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manufacturing are in order in product evaluation. But the hypothesis on moderating role of product knowledge and product category (product involvement) are not supported Business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changing due to globalization. Recently, FTA negotiation among various countries newly draw the importance of country of origin. Country of origin concept was introduced as an extension of country image. Previous studies found that country of origin work as a salient cue in buyer’s perceived quality. It also has been found for country of origin effect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 purchasing decisions. Not only country of origin by brand but also country of origin by manufacturing appear to affect product evaluation. And country of origin may serve as a proxy variable when quantity of information is not fluent.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untry of origin on product evaluation both by brand and by manufacturing. Additionally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knowledge and product category will b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uthors divided the country of origin concept into two categor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at is country image of brand and country image of manufacturing. It should be noticed that two country image (favorable/unfavorable), product categories (high/low involvement), consumer knowledge (high/low) affect product evaluation. As expected, country of origin effect appeared differently by combination of country of origin. Conclusively, customers evaluated the product best when both country of origin by brand and country of origin by manufacturing image are favorable. And 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brand and un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manufacturing, un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brand and 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manufacturing and un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brand and unfavorable country of origin by manufacturing are in order in product evaluation. But the hypothesis on moderating role of product knowledge and product category (product involvement) are not sup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