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청소년 언어 연구 발달사 - 20세기 이후 연구방법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강명희 한국독어학회 2015 독어학 Vol.31 No.-

        In vorliegendem Aufsatz wird zunächst ein Blick auf die Forschunggeschichte zur deutschen Jugendsprache geworfen. Außerdem finden die verschiedenen Forschungsmethoden und herausragende Sprachwissenschaftler seit dem 20. Jahrhundert Erwähnung. Bereits für das Mittelalter kann die Erforschung der Jugendsprache in Deutschland festgestellt werden. Diese frühe Jugendsprachforschung manifestierte sich hauptsächlich in Form einzelner Wörtersammlungen der 'Studentensprache'. Beachtenswerte Forschungsergebnisse zur Studentensprache sind indessen ab Anfang des 20. Jahrhunderts nicht mehr zu verzeichnen. Später wurde die Jugendsprache von den Gymnasiallehrern für pädagogische Zwecke untersucht und dadurch als 'Schülersprache' bezeichnet. Die Forschungen zur 'Studenten-' und 'Schülersprache' weisen jedoch eine Grenze hinsichtlich der Tatsache auf, dass beide die Sprache der Jugendlichen außerhalb des institutionellen Erziehungsbereichs nicht enthalten. Ab den 30er Jahren ist die Tradition der Jugendsprachforschung in Deutschland ungefähr dreißig Jahre lang wegen des Nationalsozialismus und des Zweiten Weltkriegs unterbrochen. Anfang der 60er Jahre wurde die deutsche Jugendsprache dann als 'Halbstarkendeutsch' oder 'Teenager-Jargon' abgetan, und als Spracherscheinung heftig kritisiert, die die Norm der Standardsprache bedrohe. Ende der 60er Jahre bis Anfang der 70er Jahre zeigte sich die deutsche Jugendsprache als 'Sprache der 68er' bzw. als 'Apo-Sprache', was bezeichnend ist für den Charakter der politischen Sprache unter dem Einfluss der Studentenbewegung. Erst in den 80er Jahren wurde die Jugendsprache als ein ernst zu nehmender sprachwissenschaftlicher Forschungsgegenstand betrachtet, was zu verschiedenen empirischen Forschungsergebnissen führte. Nach den 90er Jahren wurde die Jugendsprache als ein Fachgebiet der Soziolinguistik in den verschiedensten Bereichen mit Nachdruck untersucht. Ausser der geschichtlichen Entwicklung der Jugendsprachforschung behandelt vorliegender Aufatz die wichtigen Forschungsmethoden und namhafte Sprachwissenschaftler, etwa H. Henne mit dem Schwerpunkt Wortbildungsebene, P. Schlobinski mit Pragmatik, E. Neuland auf der Ebene der Soziolinguistik, sowie H. Ehmann unter dem Blickwinkel der Lexikographie. 오늘날 다양한 매체의 발전과 더불어 그 어떤 세대보다 빠르게 소비자로부각되고 있는 청소년은 실로 소통의 중심에 있는 세대로 간주되고 있다. 본래 ‘표준 언어 Standardsprache1)’와 구분되는 여러 자질을 지닌 ‘청소년 언어Jugendsprache’는 그 개념과 대상에 대한 불확정한 상태에도 불구하고 일차적으로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정의되고 있다 (강명희 2012: 2ff). 대개청소년 언어는 청소년 특유의 기존 관습에 대한 저항의 관점에서 ‘성인 언어Erwachsenesprache’로 대변되는 일반 언어에 대한 반항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청소년에 의해 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언어를 통한 사회적 규범에 대한 경계설정과 저항으로도 볼 수 있다. 특히 SMS, Chat, E-Mail과 같이 새로운 매체를통한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언어 사용에 따른 특징과 결과물들이두드러진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외부적인 언어 사용 환경의 변화와발전에 따라 청소년 언어는 다양한 사회 언어적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만큼 청소년 언어가 미치는 사회적, 언어적 영향력도 크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들의 사고와 문화를 이해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먼저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언어학적측면에서 청소년 언어에 대한 지속적인 고찰과 연구는 청소년 문화에 대한이해의 차원을 넘어서서 현대 언어학의 중요한 연구 과제라고 볼 수 있다. 청소년 언어 연구는 청소년이라는 언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회언어학의 영역에서 사용 맥락과 배경, 조건 등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발화를 중심으로 하는 화용론적 관점, 관용구, 조어론, 문체론, 사전편찬 등 다양한 언어학적 연구 영역과 외연관계를 맺고 있다. 그밖에 교육, 매체, 소비, 유행, 집단 심리 등의 키워드를 통해서도 많은 연구 분야의 접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써 청소년 언어는 연구 대상으로서 거대한 아카이브를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그만큼 밀도 높은 연구 결과를 제시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도 안고 있다. 독일에서 이와 같은 청소년 언어라는 개념은이미 중세 때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그 역사적 출발과 궤를 함께하여 현재에는 사회학, 언어학, 교육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언어학 영역에서 독일 청소년 언어의 연구는어휘적, 화용론적, 사회언어학적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이와 더불어 사용 언어의 차이로 인해 일반인들과 청소년 사이에 초래될 수 있는 소통의 장벽을 막기 위해 시대별 사전 편찬도 함께 이루어져 왔다. 최근 유럽통합 이후 독일 청소년 언어 연구는 유로존에 속하는 국가 간의 이해와 소통을 위해 상호 비교 측면에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독일청소년 언어 연구의 발달과정에 대한 조망은 한국의 청소년 언어 연구에도하나의 범례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독일 청소년 언어 연구의 초기 형태와 시대별 발달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청소년 언어가 본격적인 학문의 대상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의 주요 연구방법과 연구자들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강명희 2008, 2014).

      • KCI등재

        독일 교육방송을 활용한 DaF 수업

        강명희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4 No.74

        Dies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utschen Bildungssendungen als Lehrmaterial im DaF-Unterricht. In Deutschland wurden in den frühen 60er Jahren neue Unterrichtsmethoden eingeführt, um das Medium Fernsehen in Schulklassen zu nutzen. In regelmäßigen Abständen werden Schulfernseh- sendungen übertragen, damit die Lehrer sie als Unterrichtsmaterial im Unterricht verwenden können. „Planet Schule“ des SWR/WDR Fernsehens und „ARD-alpha“ des Bayerischen Fernsehens bieten verschiedene Sendungen für den Schulunterricht an. Diese Bildungssendungen umfassen alle unterrichteten Schulfächer wie z.B. Geschichte, Naturwissenschaften, Kunst, Sprache und Gesellschaft und sind auch für den Einsatz im DaF-Unterricht geeignet. „Planet Schule“ deckt die unterschiedlichsten Themen ab und bietet viele Programme zur deutschen Sprache, Literatur und Kultur an. Auf der Internetseite von „Planet Schule“ kann man verschiedene Videoclips, dazugehörige Unterrichtsmaterialien und Übungen herunterladen. In der vorliegenden Studie werden die für den DaF-Unterricht geeigneten Sendungen vorgestellt und darüber hinaus einige Lehrmethoden, die im Unterricht angewendet werden können, vorgeschlagen. 독일어 학습과 관련된 인터넷 정보는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전문적인 교육 사이트부터 독일 관련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한 사이트 및 동영상 공유 사이트까지 전통적인 책을 통한 정보 외에도 우리가 직접적으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독일어 학습 자료들은 넘쳐날 정도이다. 이러한 인터넷 자료들은 교수자나 학습자 모두에게 더없이 유용하고 편리한 학습 도구로 활용될 수 있지만 정작 이를 선별하는 과정은 그와 같은 편리함을 무색하게 만들 정도로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만든다. 필자는 이미 10여 년 전에 당시 학생들에게 새로운 미디어 환경으로 호응을 얻기 시작한 유튜브를 예로 들어 이러한 점을 지적하고 수업에 적합한 동영상 자료들을 선별하여 교수 방안과 함께 소개한 바 있다(강명희 2010 참고). 그사이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냅챗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와 매체의 진화는 이러한 정보와 자료들의 범람을 더욱 가속화 시켰고 선별의 어려움은 그만큼 더 가중되었다. 인터넷은 청소년을 비롯하여 젊은 층의 학습자들에게 친근한 매체로서 접근성, 다양성, 창의성, 재미 등 많은 장점을 지닌 학습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새로운 학습 자료들은 학습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지루하지 않은 수업을 원하는 교수자들에게도 더없이 좋은 자료들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수많은 자료와 정보들 가운데 어떤 것이 실제로 유용한 지에 대한 판단은 쉽지 않고, 이를 위해 교수자 및 학습자 개개인이 할애해야하는 유무형의 소비는 피로감을 유발시킬 정도이다. 특히 전문가들이 아닌, 아직 해당 분야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한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더더욱 유용성, 실효성과 관련된 효과를 미리 가늠하기가 쉽지 않다. 인터넷에는 검증되지 않은 것들도 포함해서 수많은 자료들이 있고, 이들 중에 학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자료들을 파악하고 이를 수준에 맞게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도 이제는 교수자들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로써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독일어 학습 자료들 가운에 특히 양질의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독일 교육방송 프로그램들을 소개하고 이를 대학의 DaF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독일은 새로운 매체를 수업에서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교육 환경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서비스 제공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Wampfler 2017 참고). 특히 지역공영 방송사들을 통해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들은 학교에서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전문적인 감독 하에 철저히 교육에 적합한 내용들로 검증된 학습 자료를 제공한다. ‘수업용 TV 방송 Schulfernsehen’이라 지칭되는 독일의 교육방송은 한국의 EBS처럼 독립된 방송국이 별도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기존 방송채널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면서 일종의 교육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수업용 TV 방송’은 무엇보다 학습과 교육을 목적으로 제작된 만큼 다른 인터넷 자료들과 비교할 때 교육적 신뢰도가 높고 전문적인 교수법에 대한 정보와 관련 유인물들까지 제공하고 있어 교수자들의 수업준비 시간을 단축시키고 그만큼 양질의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

      • KCI등재

        A preparatory study on fish behavioral properties in a set-net

        강명희,Jenming LIU,Raja Bidin bin Raja HASSAN,리나 파야리안티,황보규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0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6 No.2

        The fish influx and behavioral properties at a set-net off Goseong, South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an imaging sonar. As a result, the average influx of fish was 33.9% at day time and 66.1% at night time,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a majority of fish entered into a playground in the set-net at night. The fish behavioral properties such as target (fish) length, range, orientation and major-axis angle were examined and compared among survey dates (4, 5, and 6 June 2019)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tool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behavioral properties presented differently sometime of survey dates. This is preparatory study to support fish behavior properties in a set-net. It is expected that more elaborated behavioral information of fishes in the set-net is beneficial for designing and deploying a set-net fishing gear as well as general fish behavior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비공식 멘토 수와 멘토링 기능

        강명희,김지현,유영란,유지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4

        조직을 둘러싼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조직 구성원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기업 경쟁력의 원동력으로 활용하지 않으면 그 성장이 멈추는 상황이 되어가고 있다. 이에 조직 내 자연스러운 사회적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비공식 멘토링은 조직이 계획하고 추진하는 공식 멘토링보다 구성원의 역량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어, 본 연구는 조직 내의 비공식 멘토링 상황을 주목하였다. 조직성과를 가늠할 수 있는 조직유효성 변인으로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을 상정하고, 비공식 멘토링 상황에서 개인이 인식하는 멘토 수와 멘토링의 세 기능인 경력개발, 심리사회적, 역할모델 기능을 예측변인으로 선정하여, 2개 조직 112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비공식 멘토 수와 경력개발 멘토링 기능은 조직몰입을 촉진하였고, 심리사회적 기능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비공식 멘토링의 세부 세 기능을 독립변인으로 상정하여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기능을 규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조직이 비공식 멘토링을 지원하게 되면 조직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몰입과 이타적인 행동을 향상시켜 조직 경쟁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할 것이라는 시사점도 얻을 수 있었다. One of the major challenges facing organization today is strengthening the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by enhancing personal capabilitie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Previous research suggested that mentoring was one of effective methods to expand the personal capability through the socialization among members. Moreover, informal mentoring was more effective than formal mentoring.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informal mentoring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OE). Organizational commitment(OC)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were chosen a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number of mentors, and three mentoring functions(career development, psychosocial, and role modeling) were included as mentoring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research oriented organizations in Korea, and a total of 112 responses were analyze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toring variables and OE(OC and OCB).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mentors and career development func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OC. In addition, psychosocial func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OCB. The result showed that informal mentoring allowed the members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refore, organization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and encourage members to expand their human networks for facilita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제주도 서북 해역에서의 우점종 생물량 추정에 환경 유전자의 적용에 관한 시범 연구

        강명희,박경동,민은비,이창헌,강태종,오태건,임병권,황두진,김병엽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2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8 No.1

        이 연구는 이 환경 DNA 기술을 수산 자원 평가의 직접적인 조사 방법 중 하나인 음향 트롤 조사에 접목한 시범 연구이다. 제주도 서북 해역에서의 우점종에 대한 생물량을 기존의 트롤 어획 비율과 환경 DNA 결과인 어종 순위 비율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조사 해역에서 최우점종은 등가시치로 트롤 어획 비율은 68.2%, 환경 DNA의 우점 비율은 81.3%를 차지하였다. 이 두 가지 방법으로 추정한 등가시치의 생물량은 7199.4 ton(트롤) 과 생물량은 8584.6 ton(환경 DNA)이었다. 환경 DNA 우점 비율 방법으로 구한 생물량이 트롤 어획 비율 방법 으로 구한 것보다 1.2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조사 해역에서의 수평적인 NASC값(120 kHz)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135.5와 157.7 m2/nm2이었다. 제주도 북서쪽 위도 34°와 경도 126°15’에 강한 음향 산란신호 가 관찰되었다. 조사 해역에서의 음향산란신호는 염분 32~33 psu의 범위와 수온 19~20℃ 범위의 해양 환경에 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 기술을 이용하여 정도 높은 정량적인 추정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이 다수 있음이 고찰하였다.

      • KCI등재
      • 대학 교수개발의 과제 : 효율적인 교수법개발을 중심으로 Issues on Improving Teaching Effectiveness

        강명희 덕성여자대학교 고등교육연구소 1997 敎育硏究 Vol.5 No.-

        Faculty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has recently been concerned among campus administrators and educational reformers. Despite many universities have devoted to developing programs to help faculty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ir professional responsibilites, the main focus of programs has been on supporting faculty members' research activities by neglecting their instructional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some issues on instructional development of faculty in the context of faculty development. Recent programs for faculty members' instructional development in the US were examined in light of finding ways of hew our educational institutions can help faculty improve their teaching and thus positively impact student learning.

      • KCI등재

        마음과 자연환경과의 관계 -『유가사지론』종자설 중심으로-

        강명희 한국선학회 2014 한국선학 Vol.38 No.-

        본 연구는 아뢰야식의 마음에 결합하고 있는 자연환경으로 대표되는 기세간의 문제를 다룬다. 아뢰야식 사상은 『해 심밀경』 이래 집수의 개념이 정립되면서, 아뢰야식이 대표적으로 집수하는 것은 유근신(有根身), 명언(名言)이라고 한다. 유근신은 스스로 지어놓은 자종자(自種子)에 해당하고, 명언은 수많은 객관에 대하여 분별하여 만들어 놓은 희 론(戱論)의 법종자라고 할 수 있다. 집수의 개념은 유근신의 몸과 문자와 언어로 대표되는 명언이라고 할 수 있지만, 유식은 마음의 기능에 점차 객관에 놓인 무시무변의 자연환경과 우주법계 일체라고 할 수 있는 기세간의 문제를 조심 스럽게 포함시키고 있다. 아비달마불교에서는 이 자연환경을 포함하는 기세간을 욕계로 한정하고 시간적 개념으로 이해하지만, 유식불교에 이르면 점차 마음의 현상과 결합시켜 더 넓은 세계로 이해하게 된다. 특히 『유가사지론』은 각 지분 간의 성립연대가 다르긴 하지만, 한역 100권을 전반적으로 조망할 때 기세간에 대하 여 20여 종으로 설명하는 특징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 한역 『유가사지론』의 전반적 기세간 설을 정리한 결과, 다음의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아비 달마의 방식과 같은 기세간의 성립과 붕괴를 시간적으로 기술하기도 하지만, 객관의 대상성이라고 할 수 있는 소취법 (所取法)의 희론과 관계한다고 기술하고 있었다. 둘째, 내연(內緣)의 자종자(自種子)와 상호 연결되는 외연(外緣)의 기세간의 모습이 동시성이라고 보고 있었다. 셋째, 기세간을 종자로 보고 아뢰야식 속 외부경계에 의해 만들어지는 상박(相縛)과 관계한다고 설명하고 있었다. 『유가사지론』의 22종의 기세간설 중 아뢰야식과의 결합을 설명한 것은 본지분의 「오식신상응지」에 나타난 종자 의(種子依)였으며, 섭결택분 중 「오식신상응지의지」에 나타난 아뢰야식의 잡염환멸상 중 외부의 소연상(所緣相)부 분이었다. 특히 소연상 부분에서는 외부의 무분별의 기세간의 모습은 요별을 의지하는 것이며, 안의 자종자(自種子)를 연(緣)하 여 아뢰야식을 집수하기 때문에 모든 시간에 끊어짐이 없으며, 기세간의 모습은 등불이 생길 때 안의 기름 심지를 집 지해야 밖의 광명이 비추는 것과 같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내연의 자종자와 외연의 기세간의 상호연결성은 『섭대승 론』 계통의 공종자의 기세간종자설과 흡사하며, 『유식삼십송』의 처료(處了; sthāna-vijñaptika)의 개념과 흡사하 며, 『성유식론』의 내식이 밖의 경계와 흡사하게 전변하여 아와 법의 분별을 낳는다는 논리와도 관계한다고 볼 수 있다.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is the problem of the bhājanaloka(器世間) which is united with the ālayavijñāna. From the concept of upādi having been established in the Sandhinirmocanasūtra, the upādi of ālayavijñāna have been known as satindriyakāya(有根身), nāman(名言), the bhājanaloka. satindriyakāya is ātma-bīja(自種子) made by itself, nāman is the dharma of prapañca(戱論) made by the differentiation to the object, and the bhājanaloka is all thing of the object world includ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universe. In Abhidharma buddhism, the bhājanaloka is set limits to kāma-dhātu(欲界), and understood through the concept of time, but, in Vijñāptimātra thought, the bhājanaloka have been understood in the view point of the phenomenon of the mind. The Yogācārabhūmi explains about20 kinds of the bhājanaloka. In this paper, we will observe that the Yogācārabhūmi explains o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the bhājanaloka not only in the point of time which is same with the point of Abhidhrma buddhism, but also in the point of the relation with prapañca of grāhya-dharma(所取法) which we can say as the objectivity of object. The Yogācārabhūmi also explains on the bhājanaloka as the appearances of ālambana of outer conditions(外緣) which are mutually connected with ātma-bīja of inner conditions(內緣), and in the relation with lakṣaṇa-bandha(相 縛) which is made by an outer perimeter in the ālayavijñāna. Amomg the 22 kinds of the bhājanaloka theories explained in the Yogācārabhūmi, the one which explains on the unite with the ālayavijñāna is bīja-āśraya(種子依) of pañca-vijñāna-kāya-saṃprayuktā-bhūmi(五識身相應地) in Bahubhumika(本地分), and the part of outer ālambana(所緣) in the saṃkleśa-nivṛtti-laṣaṇa(雜染還滅相) of pañca -vijñāna-kāya-saṃprayuktā-bhūmi namas-bhūmi(五識身相應地意地) in Viniścayasaṃgrahaṇī(攝決擇分). Here, the Yogācārabhūmi explains that the appearance of the bhājanaloka is dependent on devide, and it never stop at any time because it holds the ālayavijñāna by the condition of inner ātma-bīja, and it is similar that when a lamp starts to fire, there is the exposing of the light from holding a lamp wick. Such a interconnectivity between the ātma-bīja of inner conditions and the bhājanaloka of outer conditions is similar to the bhājanaloka-bīja theory in the Mahāyānasaṃgraha, and to the concept of the sthāna-vijñaptika(處 了) in the Triṃśika Vijñaptimātratāsiddhi, and it is related with the theory of The commentary on Triṃśika Vijñaptimātratāsiddhi compiled by Hsuan-tsang(成唯識論) that inner consciousness changes along with outer appearance, so makes the concept of the subject-object.

      • KCI등재

        Semiautomated Analysis of Data from an Imaging Sonar for Fish Counting, Sizing, and Tracking in a Post-Processing Application

        강명희 한국수산과학회 2011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14 No.3

        Dual frequency identification sonar (DIDSON) is an imaging sonar that has been used for numerous fisheries investigations in a diverse range of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The main purpose of DIDSON is fish counting, fish sizing, and fish behavioral studies. DIDSON records video-quality data, so processing power for handling the vast amount of data with high speed is a priority. Therefore, a semiautomated analysis of DIDSON data for fish counting, sizing, and fish behavior in Echoview (fisheries acoustic data analysis software) was accomplished using testing data collected on the Rakaia River, New Zealand. Using this data, the methods and algorithms for background noise subtraction, image smoothing, target (fish) detection, and conversion to single targets were precisely illustrated. Verification by visualization identified the resulting targets. As a result, not only fish counts but also fish sizing information such as length, thickness, perimeter, compactness, and orientation were obtained. The alpha-beta fish tracking algorithm was employed to extract the speed, change in depth, and the distributed depth relating to fish behavior. Tail-beat pattern was depicted using the maximum intensity of all beams. This methodology can be used as a template and applied to data from BlueView two-dimensional imaging sonar.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과학 경험, 학습동기, 성취도, 진로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강명희,김영주,임현진,유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3

        국가의 지속적인 성장 동력으로 과학기술 인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는 과학교육 혁신을 통한 우수 과학인재 양성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결정 단계에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진로의향과 과학 성취도를 과학교육의 성과 변인으로, 교육의 환경요소인 과학 경험과 학습자 개인 특성인 과학 학습동기를 핵심 영향 변인으로 선정하여 이들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와 직, 간접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1개 고등학교 1학년 136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자료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한 결과, 과학 경험은 과학 학습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β= .72(t = 6.16, p < .05)), 과학 학습동기는 과학 성취도(β=.66(t = 8.73, p < .05))와 과학 진로의향(β= .66(t = 8.45, p < .05))에 유익한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과학 경험은 과학 학습동기를 매개로 과학 성취도와 과학 진로의향에 간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과학수업에서 뿐 아니라 학교 밖에로 구성된 과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것으로써, 우수 과학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수업과 학교 밖에서의 과학경험을 더욱 의미 있고 긍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고안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나아가 과학 성취도와 과학 분야를 진로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과학 학습동기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내재동기를 포함한 하위요소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학 학습전략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Due to the importance of talented scientists and engineer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country, attracting and nurturing talented individuals in the field of science have been drawing attention through innovation of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cience experienc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career orient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One hundred thirty-six 10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hypothetical model and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s a result, the proposed model was acceptable with a good fi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ith all the paths of the model. That is, science experience positively nfluence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positively influenced both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career orientation. Furthermor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between science experience and both science achievement and career orientation. The result implies that various science experiences have an effect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including intrinsic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and grade motivat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strategies for supporting in-class or out-of-class science experiences would be needed for nurturing talented science human resource. It is also crucial to study strategies which facilitat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including intrinsic motivation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