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의 상관관계 :준비연구

        강대혁,노종수,지석연,김진경,이택영,박소연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본 준비연구(pilot study)는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가 작업수행능력의 질적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이 두 가지 평가도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작업치료사의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상호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만 3세에서 15세 사이의 발달장애아동 7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충남 서산에 소재하는 지역사회 아동발달 센터에서 주 2회씩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클라이언트중심의 작업치료프로그램 전과 후의 점수변화를 비교한 결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의 운동기술(AMPS-M) 영역(p>0.05)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각각 p<0.05). 스피어맨 순위 상관계수(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처리기술(AMPS-P) 영역과 작업수행도(COPM-P) 영역 사이에서(rs=.901), 처리기술(AMPS-P) 영역과 작업수행만족도(COPM-S) 영역 사이에서(rs=.857) 통계학적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COPM과 AMPS 모두 작업수행능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평가도구이며, 둘째 클라이언트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작업치료사의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상호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셋째 두 평가도구 모두 우리나라 문화에서도 작업치료의 효과(occupational therapy outcome)를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pilo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cores of COPM which are rated by clients and those of AMPS that are ra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hen measuring the changes in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s. Methods : Sev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tween 3 and 15 years of age from a local after-school program in Seosan City participated in a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six months(2 sessions per week). Results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ore changes in all areas(p<0.05 respectively) except for AMPS-M(p>0.05) through Wilcoxon signed ranks test after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Positive high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MPS-P and COPM-P(rs=.901), between AMPS-P and COPM-S(rs=.857) through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pilot study suggest that both COPM and AMPS are valid and sensitive measurement tools in dete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fter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nd these two essential occupation-based assessments work in harmony regardless of cultural difference in measuring occupational therapy outcome.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성과 평가를 위한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의 유용성 연구

        강대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4

        목적 :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이 정신과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평가도구인지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9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소재의 정신보건기관에서 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환자가 인식한 문제 활동은 COPM, 이에 대한 수용도는 COPM 유용성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COPM의 기준관련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평가척도(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 BASIS-32)와 단축형생활기술척도(Abbreviated Life Skills Profile-16; LSP-16)를 활용하였다. 결과 : COPM 평가 후 유용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 49명 중 46명(94.0%)이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본인이 참여하는것이 도움이 된다고 답하였고, 본인이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인식한 영역은 생산적 활동이 87개(38.5%)로 가장 많았고 여가(35.0%), 자기관리(26.5%) 순이었다. COPM과 LSP-16, BASIS-32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일부 하부항목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COPM은 국내 정신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가도구들이 제공하기 어려운 정보, 즉 환자들이 스스로 인식한 문제들을 밝히는데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국내 정신장애인은 국외 장애인과는 달리 치료 목표로 생산적인 활동에 초점을 둔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과 재활 서비스에서 작업치료사의역할과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해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국내 정신보건 서비스 현황과 정신과 작업치료사의 역할

        강대혁,김선옥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국내 정신보건 서비스 실태와 제도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사례와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우리나라의 정신보건법은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질환자의 의료 및 사회복귀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정신건강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1995년 제정되었다. 이후 3차례의 개정을 거쳐 최근 정신질환자의 인권보호강화 및 작업요법에 대한 근거 신설(제46조의 2) 등을 주요내용으로 일부 개정되어‘작업요법’이 재활서비스의 중요한 부분으로 명기 되었다. 그러나 국가인권위원회가 2008년 10월부터 12월까지 국?공립병원 3개소와 민간병원 4개소를 대상으로 정신보건시설 방문조사 결과 작업치료부재 또는 종류 부족, 작업 치료 계획과 평가, 작업치료일지 작성 미흡, 작업치료의 명목의 화장실?병동 간호사실 청소 및 중증환자 간병 등의 인권 침해사례가 보고 된 바 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은 부적합한 용어(작업요법)의 사용으로 상위법(정신보건법)과 하위법(시행규칙) 간의 모순을 초래하여 작업치료서비스가 작업치료사가 아닌 비전문가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정신보건법 개정 기본 취지인 정신질환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양질의 정신보건서비스 제공을 보장하여 정신보건시설 내의 작업치료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즉 정신보건법에 작업치료의 정의와 작업치료사의 업무범위를 명시하고 작업치료사가 정신과 필수인력으로서 종사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우선적으로 이러한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 질 때 그에 따른 정신과 작업치료사의 전문성 확립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캐나다작업치료측정(COPM)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의 상관관계: 준비연구

        강대혁,노종수,지석연,김진경,이택영,박소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 The aim of this pilo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cores of COPM which are rated by clients and those of AMPS that are rat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hen measuring the changes in th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s. Methods : Seve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tween 3 and 15 years of age from a local after-school program in Seosan City participated in a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six months (2 sessions per week). Results :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ore changes in all areas (p=.018 respectively) except for AMPS-M (p=.141) through Wilcoxon signed ranks test after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Positive high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AMPS-P and COPM-P (rs = .901), between AMPS-P and COPM-S (rs = .857) through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pilot study suggest that both COPM and AMPS are valid and sensitive measurement tools in detect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of occupational performance after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nd these two essential occupation-based assessments work in harmony regardless of cultural difference in measuring occupational therapy outcome. 목적 :본 준비연구(pilot study)는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가 작업수행능력의 질적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이 두 가지 평가도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작업치료사의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함으로써 상호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연구방법 : 만 3세에서 15세 사이의 발달장애아동 7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충남 서산에 소재하는 지역사회 아동발달 센터에서 주 2회씩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결과 :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통해 클라이언트중심의 작업치료프로그램 전과 후의 점수변화를 비교한 결과 운동처리기술평가(AMPS)의 운동기술(AMPS-M) 영역(p=.141)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각각 p=.018). 스피어맨 순위 상관계수(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처리기술(AMPS-P) 영역과 작업수행도(COPM-P) 영역 사이에서(rs = .901), 처리기술(AMPS-P) 영역과 작업수행만족도(COPM-S) 영역 사이에서(rs = .857) 통계학적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COPM과 AMPS 모두 작업수행능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평가도구이며, 둘째 클라이언트의 수행도와 만족도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와 작업치료사의 클라이언트의 작업수행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줌으로써 상호간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하였으며, 셋째 두 평가도구 모두 우리나라 문화에서도 작업치료의 효과(occupational therapy outcome)를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작업과학(Occupational Science)에 대한 이해

        강대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0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8 No.1

        Occupational science, stemmed from occupational therapy, is a new basic social science defined as the systematic study of the human as an occupational being. Mary Reilly argued that occupational therapy profession should reorganize its academic structure of knowledge by embracing traditional emphasis on occupation. Supporting Reilly’s view, Elizabeth J. Yerxa and her colleagues developed a doctoral program in occupational science with suggestions that the basic science (occupational science) of occupation should focus on the explanation of occupation, whereas the applied science (occupational therapy) should emphasize advancing knowledge on the use of occupation in treatment. The priority of occupational science is to promote theories about the form, function, and meaning as well a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occupation so that the profession of occupational therapy can be nourished. The major contribution of occupational science to occupational therapy will be providing a body of knowledge sharply focused on the concept of occupation which will help in justification and enhancement of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 조사

        강대혁,김진경,이주언 대한작업치료학회 200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근거중심 작업치료(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EBOT)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조사연구를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2006년 3월부터 6월까지 보수교육과 이메일을 통해 작업치료사들에게 배부된 208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116부(56%)를 기술통계와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치료사들 대부분은 EBOT가 작업치료에서 중요하고(84%), 임상에서 과학적인 근거를 세우는데 도움이 될 것(85%)이라고 응답 하였다. 그러나 응답자의 6%(7명)만이 전문학술지에 발표된 연구 근거를 적극적으로 임상에서 적용한다고 하였고, 자주 임상 연구를 기초로 치료를 결정하는 치료사도 11%(13명)에 불과하였다. EBOT 적용을 위한 치료사들의 기초 능력을 묻는 항목에서는 치료사의 12%만이 논문 검색 전 임상문제에 대한 질문을 할 수 있다고 하였고, 발표된 연구에 대한 비평(17%)과 자신의 치료에 대한 객관적 평가(28%)가 치료사들에게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으며, 임상경력과 최종학력에 따라 EBOT에 대한 인식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67%의 치료사들은 새로운 근거를 기준으로 자신의 치료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하였고, 교육의 기회가 된다면 참석하겠다는 치료사들이 81%를 차지하여, 앞으로의 EBOT의 임상 적용에 대한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결론 : 작업치료사가 보다 경쟁력 있는 전문가가 되고 작업치료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학술논문을 이해할 수 있는 연구 방법론적 지식에 대한 교육을 필수적으로 작업치료 교과과정에 포함시키고, 보수교육이나 학회, 세미나 등을 통하여 근거중심 작업치료에 대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며, 이의 적용방법에 대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on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EBOT). Methods : A self-administering written questionnaire was employed for this survey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08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who attended at continuing education workshops and responded through E-mail between March and June in 2006. One hundred sixteen responses were return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cross-tabulations. Results : Majority(84%)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EBOT was important for occupational therapy and 85% expressed that EBOT would help OT practice. Only 6% of the therapists answered that they actively incorporate research evidence into practice and 11% of the therapists were applying research evidence to their clinical decision making. On the questions of basic skills for EBOT, 12% felt confident that they could generate clinical questions before searching database and a little number of therapists felt confident that they have critical appraisal skills(17%) and objective self-evaluation skills of their own practice(28%).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on the perception of EBOT based on academic degrees and clinical experiences. However, 67% felt confident that they could change their practice in response to new evidence and 81% of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EBOT workshop indicating good potential to adopt EBOT to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majority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felt that EBOT was importan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but they needed to enhance skills and knowledge of EBOT. Therefore, it would be important to incorporate EBOT into OT curriculum and provide continuing education on EBOT to ensure the quality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