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경』 「십지품」에 담긴 문학성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

        강기선 ( Kang Gi-s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이 논문은 `『화엄경』 「십지품」에 담긴 문학성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해 본 글이다. 여기서의 주 텍스트는 불교의 대승경전인 『화엄경』 「십지품」이다. 이 품에는 오늘날 우리 현대인들이 가져야 할 풍부한 인성교육의 교설들이 함의되어 있다. 특히 이품에서 주목되는 인성은 `마음`으로 표현되고 있다. 다양한 마음의 형태들 중에서, `보살은 열 가지 바른 마음을 일으킨다.`고 하는 가르침은 우리가 지녀야 할 마음가짐이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그 열 가지 마음이 곧 본래부터 가지고 있던 우리의 아름다운 인성[불성]이기 때문이다. 열 가지란, 첫째는 부드러운 마음, 둘째는 갖추어진 마음, 셋째는 인내하는 마음, 넷째는 자율의 마음, 다섯째는 고요한 마음, 여섯째는 진실한 마음, 일곱째는 한결같은 마음, 여덟째는 탐하지 않는 마음, 아홉째는 뛰어난 마음, 열째는 크나큰 마음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실에서 『화엄경』 「십지품」은 아직까지 신앙적·종교적인 테두리 안에서 거의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우리 인간의 정신을 치유해 줄 수 있는 이렇게 수승하고 유익한 가르침을 이제 세상에서 밖으로 드러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인성의 부재로 힘들어하고 있는 사람들이 십지수행으로, 자신의 내면에 잠재된 광명을 제대로 본다면, 본인 스스로 자신의 마음을 치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화엄경』의 중심사상에 들어가는 「십지품」의 십지수행이 어떤 문학성을 함의하고 있으며, 이 함의된 문학성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점점 실종되어가고 있는 인성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또한 이것을 통하여 오늘날 사회전반에서 만연하고 있는 이기주의로부터 벗어나 참다운 인성을 회복하여 21세기 인성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This thesis is the article to analyze the `The Influence on Personality Education from the Sipjipum literature of Avatamska`. This mind set contains the doctrine of rich character education for contemporary people to have today. In particular, the personality that attracted attention for this mind set is expressed as `mind`. From the types of diverse minds, a phrase of teaching that `Buddha causes ten virtuous minds` would be considered as the mindset that we must have.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ose 10 minds would be the beautiful personality [Buddhatva] that we have from the origin. The ten minds are listed, first, tender mind, second, ready-made mind, third, enduring mind, fourth, self-control mind, fifth, placid mind, sixth, truthful mind, seventh, consistent mind, eighth, integral mind, ninth, outstanding mind, and tenth, enormous mind. However, regrettably, under the reality, 『Buddha Avatasakasutra(華嚴經)』 「Sipjipum (Dasabhumika-varga)」 is still unable to break away from the religious and faithful boundaries to this point. Therefore, this researcher contemplates to display the useful and beneficial teachings to heal the mind of humans to the world.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people who have hard time with the lack of personality may heal their mind if they could appropriately see the enlightenment present within them with Sipjisuhaeng. Therefore, under this article, it has shown what literature would be contained in Sipjisuhaeng of 「Sipjipum (Dasabhumika-varga)」 found in the central ideology of 『Buddha avatasakasutra』, and through the contained literature, the influence on the character education that is getting to be lost more and more in our society today has been analyzed. Furthermore, through this endeavor, it is attempted to clarify that the true personality may be recovered by breaking away from the egoism that is prevalent throughout the society today to be the alternative to the 21st century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화엄경』 「십회향품」에 담긴 현대 문학성 연구

        강기선 ( Kang Gi-s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4

        불교의 궁극적 목적은 회향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회향은 자기가 닦은 공덕을 남이나 중생에게 되돌려 주어 모두 함께 부처님의 진리를 깨달아 成佛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엄경』 「십회향품」에서 언급되고 있는 10가지 회향이란 보살이 닦은 善根을 중생과 보리와 진여의 3가지로 회향하는 것이다. 여기서 10가지 회향은 보살의 한량없는 실천수행이 무량한 여래의 성품과 공덕을 드러내는 일이 되며, 그것은 또한 비로자나부처님의 세계의 광경을 묘사하는 일이다. 이 10회향을 실천 수행하는 사람은 원망이나 반항심을 품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도 좋은 벗이 되어 주며, 분노·자만·파계 등의 어떠한 악에 의해서도 마음을 흐트러뜨리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표는 대승불교의 꽃이고 종교적 문학성이 풍부한 경전인 『華嚴經』 「十廻向品」에 含意된 화엄의 십회향사상을 다양한 현대문학적 기법과 방법들로써 분석해보고,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10가지 회향이 중생구제에 어떻게 활용하여 일조하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화엄경』 「십회향품」에 담긴 현대문학성 연구’에서 살펴볼 연구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질 연구내용은 크게 4가지 관점이다. 첫째, 『대방광불화엄경(이하 ‘화엄경’약칭)』 「십회향품」의 문학성을 도출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화엄경』 「십회향품」의 핵심사상 등을 분석해보고 둘째, 『화엄경』 「십회향품」의 플롯(plot)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단, 여기서는 이 품에 보이는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한정하여 살펴보고 셋째, 『화엄경』 「십회향품」의 문학적 표현방법은 이품에서 사용되고 있는 수사법에 관하여 살펴보고, 넷째, 「십회향품」의 핵심인 10가지 회향에 담긴 함의를 문학적 특성의 하나인 비유를 언어형태에 따라 산문·운문[게송·詩]·묘사를 중심으로 분석해보고, 이를 통해 「십회향품」에 담겨있는 문학적 비유가 어떻게 이품 속에 녹아있는지를 확인해 볼 것이다. 다섯째, 이 「십회향품」이 오늘날 우리사회에 제시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그 위상과 의의를 도출해볼 것이다. It can be state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Buddhism is Transference, which means to pass over one’s Guna(功德) so that everyone can be enlighten to the wisdom of Buddha to achieve buddhahood together. The Ten Transference mentioned in 「dasa-pariamana-varga(十廻向品)」 of 『Avatamsaka-Sutra』 are methods of how to transfer one’s wholesome root of virtuous merit(善根) in three kind: Bodhisattva, Bhodi, and Tathata (眞如). The Ten Transference is an activity through which a bodhisattva’s relentless practice-studies contributes to revealing Tathagata‘s unlimited mercy and Guna, as well as opening a window to the scenery of Vairocana-Buddha’s world. It is said that those who practices Ten Transference can provide good companionship even to those who has resentment or hostility plaguing their heart, and are never swayed by any forms of evil such as rage, hubris, or deviation from Buddhist law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essay lies in unveiling how Ten Transference contributes to the liberation of Bodhisattva, by analyzing the philosophy behind Ten Transference of Avatamsaka through many different literary techniques from contemporary literature. The contents in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literature within 「dasa-pariamana-varga(十廻向品)」 of 『Avatamsaka-Sutra』” focuses mainly on four objectives. First objectibe is to analyze 「Chapter of Ten Transference」‘s main idea as a precondition for deriving literary traits of 「dasa-pariamana-varga(十廻向品)」, and second will be Examination of the plot of the chapter. Note that the study will be focused only on the characters that appears in the pages. The third is to examine metaphors used in the chapter in order to identify the usage of literary devices within the chapter, and fourth, to analyze the usage of metaphors, one of the literary devices,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text (essay, poetry, description), and from this ultimately observe how the true meaning of Ten Transference is fused into the script as a form of literature. Fifth and fin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rive what 「Chapter of Ten Transference」 can provide to modern society, and what status and value does the chapter have toda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화엄경』 「화장세계품」의 문학적 표현론

        강기선(Kang, Gi-Seon)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4 No.2

        이 논문은 『화엄경』 「화장세계품」의 문학적 표현론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본 글로써, 이 글에서 살펴볼 「화장세계품」은 신역인 80권 본에만 敎說되어 있는 품이다. 여기서 부처님을 대신해 보현보살이 화엄정토인 연화장세계에 대하여 설하고 있다. 즉, 화장세계는 비로자나부처님께서 무량겁 동안 보살행을 행하여 깨달아 얻은 깨끗한 눈(淨眼)으로 본 세계이자, 오늘날 우리가 현재 살고 있는 세계의 본래 모습의 국토이다. 다만 우리는 갖가지 業報에 의해 淨眼의 세계를 바로 보지 못하고 혼돈의 세계로 보고, 그 삼독의 혼란 속에서 살고 있다는 것이 이품의 핵심내용이다. 따라서 이글은 이러한 내용을 전제로 ‘『화엄경』 「화장세계품」의 문학적 표현론’에 대한 논의를 통해 문학적 표현과 이품에 담긴 含意를 규명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Hwajangsegyepum」 of the 『Avatamsaka Sūtra』 is the chapter that is only preached in the “Siksananda’s Edition”, also known as “80-scrolls Edition.” The chapter of “The Land of Lotus” is delivered by Samantabhadra(普賢菩薩) on behalf of buddha. Therefore, Hwajangsegye is the world the Virocana Buddha has witnessed with one’s enlightened eye (淨眼, Jeongan) that is gained through immeasurable eons of Bodhisattva-practice, therefore the true form of the world we are residing as of now. We however, are not able to see the true world due to the Karmic result of our retribution(業報, Eopbo) clouding our eyes with chaos, thus we keep on living within the world so chaotic and defiled. Preserving this as the key concept, this text aims to uncover the true message behind Hwajangsegyepum by discussing metaphors and other literary expressions within this chapter.

      • KCI등재

        <특집논문1> 화엄사상과 현대예술의 만남 : 『화엄경』 「여래출현품」에 담긴 문학성 연구-「여래출현품」에 담긴 수사법과 현대문학성을 중심으로-

        강기선 ( Gi Seon K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이 글은 『화엄경』 「여래출현품」에 담긴 문학성 연구-여래출현품」에 담긴 수사법과 현대문학성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문학은 예술적인 언어의 구조를 지니며, 그 독특한 예술적 구조의 우수성은 현대문학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이품에서는 평등의 결과를 밝히고 있는 품으로, 연기(緣起)와 성기(性起)는 불교의 핵심사상이다. 연기가 삼라만상우주의 모든 원인과 결과를 말하는 것이라면, 성기란 ‘지혜를 낸다. 가장 뛰어나다.의지하는바’의 뜻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성기(性起)란 여래의 성품을 일으키는 것은 여래출현과 동일한 개념이다. 『화엄경』 「여래출현품」에 담긴 修辭와 心象은 ‘화엄의 여래성기사상’을 다양한 수사적 표현과 심상(心象 image)인 물상 등으로써 구체화시키는데, 이것은 품에 핵심적인 전언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작가는 문장을 짓는데 있어서 말을 효과적으로 적절하게 아름답게 쓰려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는데, 문장의 기교는 표현의 기교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품에서는 이러한 문장의 기교인 다양한 수사법을 사용하여 여래출현의 법을 명확히 하고 있다. 문학에서 심상(心象 image)은 언어에 의해 재현된 사물의 감각적 영상을 뜻하는데, 이 품에 나타난 심상은 마치 인드라망을 연상케 할 정도로 무수한 佛菩薩의 영상을 감각적으로 인식하게 해주고 있다. 『화엄경』 「여래출현품」에 담긴 현대문학성은 고대소설에서 현대소설로 올수록 소설에서는 영웅에서 하층민까지 주인공이 바뀐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작가들이 작품을 통하여 하층민들 (중생, 평범한 사람들)속에서 어떤 삶의 진리를 발견할려고 하는 것과 「여래출현품」에서 작가가 衆生心속에서 부처의 모습을 발견하려고 하는 그러한 모습과 비슷하다는 것을 규명할 수 있다. This study looks into rhetoric styles and contemporary literary value of 『Avatamsaka Sutra』 and 「Yeoraechulhyunpum」. Literature works are made of artistic lingual structures, and the excellence of such unique features is the best of contemporary literatures. This varga shows the result of equality. pratityasamutpada and Seonggi are the core idea of Buddhism. pratityasamutpada refers to all causes and effects of this universe, while seonggi means ‘prajna, the best.dependable’. Therefore, how seonggi causes buddhatva of Tathagata is the same consept as Yeoraechulhyunpum. 『Avatamsaka Sutra』 and 「Yeoraechulhyunpum」 has embodied ‘Avatamsaka`s Tathagata seonggi ideology’ using rhetorical expressions and images. those expressional factors work as fundamental conveyer of meanings. Especially, rhetorical styles the writer used have made lines more effective and beautiful. Because of this, the varga delivers dharma from appearance of Tathagata clearly. image in a literature refers to reconstructed sensational image of an object. The images shown in this varga conveys sensational images of myriad of buddha bodhisattva, which is reminiscent of Indramang. The contemporary literary value of 『Avatamsaka Sutra』 and 「Yeoraechulhyunpum」 can be viewed from the fact how the protagonists in literature history gradually changed from heroes to commoners over time. the reason of this change may be said that the writers were starting to find certain meaning of life within his work, through commoners(sattva)`s point of view. This shares similarity with 「Yeoraechulhyunpum」 for the writer of the varga tries to find the form of buddha within Jungsaengsim.

      • KCI등재

        논문 : 『유마경』의 정토사상과 서양(西洋)의 유토피아사상 고찰

        강기선 ( Gi Seon Ka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0 No.-

        이 논문은 불교의 대승경전 중의 하나인 『유마경』의 정토사상과 서양의 유토피아사상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사람들은 동 서양을 막론하고 현실에 고통이 있을지라도 淨土나 유토피아를 꿈꾸기보다는 현실에 순응하여 살아가려고 하고 있다. 불교의 목적은 개인이 완전하고 원만한 인격을 갖추고 그 완전하고 원만한 인격의 힘으로 무고안락한 복된 사회를 건설하는데 있기 때문에, 불교의 정토사상을 서양의 유토피아사상과 비교하면 의미 있는 분석이 가능하다고 본다. 유토피아는 현실에 존재하기 어려울 정도로 이상주의적인tender-minded 성격을 지닌 상상의 세계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유토피아라는 말은 토마스 모어의 저서 이름에서 유래한다. 토피아(topia)는 기존질서이고 유토피아(utopia)란 지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상상의 나라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정토(淨土)는 ``깨끗하게 정화된 땅``이라는 명사적 형태와 ``국토를 깨끗하게 정화한다``는 동사적 형태인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의 정토는 곧 불국토이며, 그곳이 중생(衆生)들이 사는 사바세계(娑婆穢土)라도 부처님이 머무는 곳, 부처님의 중생(衆生)구제의 대자비의 발원으로 장엄되는 땅인 것이다. 따라서 신학적 유토피아사상은 정토사상과 매우 흡사하며 기독교의 천국관은 정토왕생과 비교할 만하다. 성경의 에덴동산도 일종의 유토피아이며 요한계시록에 묘사된 천년왕국(The Millenium)도 유토피아이며 기독교 유토피아사상은 불교의 정토사상과 아울러 신화적, 추상적, 종교적 유토피아라고 할 수 있다. 즉 죽기 직전에 예수를 받아들이기만 하면 천당에 갈 수 있다는 기독교의 구원사상은 죽기 직전에만 칭명염불을 해도 극락정토에 왕생할 수 있다는 정토사상과 매우 유사하다. 오역죄를 지은 자라도 임종의 십념염불로써 반드시 왕생정토 할 수 있다는 주장은 죽기 직전에 기독교를 수용하면 천국에 갈 수 있다는 생각과 사실상 일치하는 것이다. 『유마경』의 정토관(淨土觀)의 특징은 정토(淨土)를 이상향이나 관념 속에서 찾으려고 하지 않고 바로 우리의 현실 속에서 건설하려 했으며 이상적인 사회 건설을 위한 다양한 실천 행을 해석해냄으로써 현실을 이상사회로 변혁시켜내고자 했던 것이다. 서양의 유토피아 사상과 정토사상(淨土思想)을 현대에 다시 재조명함으로써 21세기를 이제 막 시작한 인류에게 하나의 희망메시지를 제시하는 것은 불교(佛敎)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임무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것을 통하여 21세기와 정토사상의 의미에서 현실에의 순응과 유심논적 정토개념, 획일성으로부터 다양성으로, 모든 정토를 포용하는 상위정토(메타정토)라는 이러한 불교의 대승경전 중의 하나인 유마경의 정토사상과 서양의 유토피아 사상의 통로의 합일점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the article that one of the Mahyana Sutras, 『Vimalakirti-nirdesa-Sutra』`s Pureland, People of Eastern and Western, veryone would like to live with their lives although they have a pain or hardship with their life. Buddhism, makes individual perfect and peaceful character to make graceful society, is the reason. So I think comparing Buddhism`s pureland with the Occident`s Utopia will be good analysis. Utopia is involving a dream world that is a realistical tenderminded that can`t be realization. Utopia is the origin from the book written by Thomas moore. Topia means the main rule Utopia means imagination world that is nowhere exists now. On the otter hand, Pureland can explain as purificated earth form of noun. and Making pure form of verb, So Pureland is budda-country, This is the place where living things that is called Saba-world, where Buddha live, and place of the source of Sattva salvation and mah-karuna. So, theological Utopia thought is very similar as Pureland thought, the christian Utopia thoughts and Buddhism`s Pureland are mythical, abstract, and religious. It is same between Christian and Buddhism that just believe before you die, you might go to heaven or land of happiness. Only you just call sb`s name chanted a Buddhist prayer you can go land of Happiness and you can pray for rebirth in paradise. This insistance is same between Christian`s thought and Buddhism`s thought that someone may do five-commit a crime just chant a death of tenfold prayers Buddhist prayer in Buddhist same as that someone believe christianity can go heaven. 『Vimalakirti-nirdesa-Sutra』`s "The Pure Land" didn`t make a pointing to an ideal world of notion, but it tries to build in our real life, hey teach a various things to do what they wanted to build a realistic world. I think with the Occient Utopia thoughts and Pureland thoughts make our 21C more peaceful. So Buddhism has a important mission to do right now. because with these thoughts make our world concepts more unity and varity. Embrace all the pure world in life and mentalistic pureland makes the 『Vimalakirti-nirdesa-Sutra』`s pureland and the Occient`s Utopia can find a oneness viewpoing to make and study as a one.

      • KCI등재

        여래십호(如來十號)에 대한 고찰-한역불전을 중심으로

        강기선 ( Kang Gi-s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본 논문은 여래십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알고 부르고 있는 여래십호(如來十號)란, 석가모니의 공덕상(功德相)을 일컫는 열 가지 이름인 여래(如來)ㆍ응공(應供)ㆍ정변지(正遍知)ㆍ명행족(明行足)ㆍ선서(善逝)ㆍ세간해(世間解)ㆍ무상사(無上士)ㆍ조어장부(調御丈夫)ㆍ천인사(天人師)ㆍ불세존(佛世尊)을 말하는 것이다. 여래십호의 명칭은 불교경전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중요한 불교용어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본 논문의 제Ⅱ장에서는 초기경전과 『대지도론』에 나타난 여래십호를 3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여 살펴본다. 첫째는 십호교설(十號敎說)형태의 상이(相異)를 검토해보고, 둘째는 초기경전에 나타난 십호(十號)의 내용을, 셋째는 불교주석서인 『대지도론』에 나타난 십호설(十號說)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Ⅲ장은 여래십호의 각 명칭들에 대한 설명이 들어있는 『불설십호경』의 여래십호(如來十號)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불교최초의 경전인 『숫타니파타』에서 여래십호의 원형이 되는 개념들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은 주목할 일이다. 지금 회자되고 있는 이를테면, ‘위대하고 지혜로운 성인, 눈을 뜬 어른, 진리의 주인, 애착을 떠난 분, 인류의 최상인(最上人), 뛰어난 마부’ 등의 여래십호는 부처님 당시부터 사용된 용어들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여래십호의 기원은 다른 사람이 아닌 석가모니부처님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십호(十號)에 담긴 부처님의 호칭 하나하나의 개념은 불교의 이상적 인간상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여래는 부처의 중요한 속성을 표현해주는 것이며, 세간해, 조어장부·천인사 등은 중생교화의 활동을 뜻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결국 이 십호(十號)는 불교의 궁극적 본질인 지혜와 자비로 귀결된 것이다. Yeoraesipho (如來十號) that we know of and recite in ordinary life - Buddha (如來), Arhat (應供), Samyak-sambuddha (正遍知), Vidya-carana-sajpanna (明行足), Sugata (善逝), Loka-vid (世間解), Anuttara (無上士), Purusa-damya-sarathi (調御丈夫), sasta deva-manusyanam (天人師), and bhagavat (佛世尊), refers to 10 names that describe Shakyamuni Buddha’s merit aspects (功德相). The names of Yeoraesipho are one of the important Buddhist terms found throughout entire Buddhist scriptures. Based on these facts, in Chapter Ⅱ of this study, Yeoraesipho found in initial scriptures and 『Daejidoron』 would be approached and examined in three aspects. First, differences between the forms each sipho (十號) are lectured in will be examined. Second, contents of sipho (十號) found in initial scriptures will be observed. Third, siphoseol (十號說) found in 『Daejidoron』, a Buddhist commentary book, will be investigated. In Chapter Ⅲ, there will be anexamination on Yeoraesipho (如來十號) found in 『Bulseolsiphogyeong』, which contains explanations about each of the names of Yeoraesipho.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worth noting that 『Sutta Nipata』, the very first script of Buddhism, includes the concepts that are prototypes of Yeoraesipho. Yeoraesipho that are used nowadays are, in fact, the terms that have been used since the time of Buddha. Examples include ‘a great and wise saint, a saint whose eyes are open, the possessor of truth, a person freed from attachment, the greatest person of mankind, and a wonderful horseman’. Therefore, it would be safe to assume that the origin of Yeoraesipho is none other than Shakyamuni Buddha himself.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the concepts of each names in Yeoraesipho describes the image of buddhism’s ideal human. The name “Yeorae” represents the important aspect of Buddha, and the names like Loka-vid (世間解), Purusa-damya-sarathi (調御丈夫), sasta deva-manusyanam (天人師) symbolizes the act of edificating people. Eventually, meanings that Yeoraesipho contains boil down to wisdom and benevolence; the very essense of Buddhism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