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 동기와 행동에 대한 연구: PR의 사회이양모델의 공공부문 적용

        강귀영,윤영민 한국PR학회 2021 PR연구 Vol.25 No.3

        Objectives Socially distributed model of public relations describes the phenomenon in which individuals with social stake in an organization voluntarily perform via social media interactivity the communication activities that the organization is supposed to carry out. This study applies the model to the public sector, exploring social media users’ motivation and behavior for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and investigat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and behavior.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275 users who have performed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on social medi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motivation factors and behavior types, follow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social media users’ motivation for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consists of four factors— motivation for mutual exchange, motivation for public interest, motivation for impression management, and motivation for self-satisfaction. It also discovered social media users’ behavior for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is made up of two factors—voluntary promotion behavior and voluntary connection behavior. Additionally, it observed that both motivation for mutual exchange and motivation for public interest affect both voluntary promotion behavior and voluntary connection behavior. However, motivation for impression management affects voluntary promotion behavior only, whereas motivation for self-satisfaction influences voluntary connection behavior only. The results show that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behavior—promotion and connection—require different personal-level motivations respectively in addition to public-level motivation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is study has identified social media users' motivations and behaviors for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and examined their relationship. Through this, it has attempted to enhance understanding a new theoretical model in the field—socially distributed model of public relations. This study also offers public sector practitioners a practical roadmap that can trigger empathy, interest and engagement from the social media users, thereby possibly eliciting their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activities 배경 및 목적PR의 사회이양모델은 조직과 그 조직에 소셜 스테이크(social stake)를 가지고 있는 공중이 소셜 미디어상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이 본래 해야 할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이러한 PR의 사회이양모델의 공공부문 적용에 주목했다. 이에 소셜 미디어 이용자가 수행하는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의 동기와 행동을 탐색하고, 그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방법소셜 미디어상에서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이용자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했다. 동기 요인과 행동 유형 파악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동기와 행동 간 인과관계를 살펴보기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했다. 결과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의 동기 요인은 상호교류 동기, 공익성 추구 동기, 인상관리동기, 자기만족 동기의 네 가지 동기로 정리되었다.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의 행동 유형은 자발적 홍보행동과 자발적 연결 행동의 두 가지 행동으로 구분되었다. 동기-행동 간 관계에 있어서 공익성 추구 동기와상호교류 동기 외에, 자발적 홍보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인상관리 추구 동기가, 자발적 연결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자기만족 동기가 필요했다. 결과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통한 공중의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행동의 차이를 결정짓는 중요한 동기는 개인적 차원의 두 동기인 인상관리 동기와 자기만족 동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의 동기와 행동을 파악하고 동기-행동 프로세스를검증했다. 이를 통해 PR의 사회이양모델이라는 새로운 PR의 사회적 모델의 등장을 이해하고 현상을 입체적·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공중에 대한 효과적인 접근 방안과 커뮤니케이션 전략 개발을 고민하는 공공부문PR 실무자들에게 소셜 미디어 공중의 공감대와 관심,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 및 자발적공공PR 행위와 관련한 실용적인 조언을 함께 제공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론적·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Antihypertensive Drugs on Bone Mineral Density in Ovariectomized Mice

        강귀영,강윤구,김미리내,김영균,이효주,김주륜,정혜린,박성환,김호윤,주지현,홍연식 대한의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8 No.8

        The effects of several antihypertensive drugs 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microarchitectural changes in ovariectomized (OVX) mice were investigated. Eight-week-old female C57/BL6 mice were used for this study. Three days after ovariectomy, mice were treated intraperitoneally with nifedipine (15 mg/kg), telmisartan (5 mg/kg), enalapril (20mg/kg), propranolol (1 mg/kg) or hydrochlorothiazide (12.5 mg/kg) for 35 consecutive days. Uterine atrophy of all mice was confirmed to evaluate estrogen deficiency state. BMD and micro-architectural analyses were performed on tibial proximal ends by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When OVX mice with uterine atrophy were compared with mice without atrophy, BMD decreased (P < 0.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MD loss between different antihypertensive drugs (P = 0.005). Enalapril and propranolol increased BMD loss in mice with atrophied uteri compared with control mice. By contrast,thiazide increased BMD in mice with uterine atrophy compared with vehicle-treated mice (P = 0.048). Thiazide (P = 0.032) and telmisartan (P = 0.051) reduced bone loss and bone fraction in mice with uterine atrophy compared with the control. Thiazide affects BMD in OVX mice positively. The reduction in bone loss by thiazide and telmisartan suggest that these drugs may benefit menopausal women with hypertension and osteoporosis.

      • KCI등재

        소셜 미디어를 통한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 동기-행동 모델의 타당성 검증 및 영향 요인 연구 : 탈원전 이슈에 대한 신념의 강도와 관여도의 조절효과

        강귀영,윤영민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보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구체적인 공공 이슈를 적용했을 때 PR의 사회이양모델에 기반한 소셜 미디어 상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의 동기와 행동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 고, 동기-행동 간 관계에서 개인적 차원의 심리적 변인인 공공 이슈에 대한 신념의 강 도와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총 627명 의 소셜 미디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국민적 합의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갈등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 탈원전 이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동기와 행동 모델의 타 당성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신념의 강도와 이슈 관여도의 조절효과 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소셜 미디어를 통한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 동기-행동 모델은 4개 동기 요인과 2개 행동 유형의 6개 요인구조로 구 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신뢰도와 타당도는 통계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또 한, 자발적 연결 행동 의도에 대해서 공익성 추구 동기와 신념의 강도, 자기만족 동기와 신념의 강도, 공익성 추구 동기와 이슈 관여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 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자발적 공공PR 커뮤니케이션 동기-행동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개인적 특성들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공공PR 분야의 새로운 사회적 현상에 대한 진전된 이해와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데 기여했다. 아울러, 소셜 미디어 환 경에서 구체적인 공공 이슈에 대한 공중의 자발적인 정보 공유 및 전파, 확산 등과 관련된 행동적 특성과 심리적 동기 요인에 바탕을 둔 접근으로 공중에 대한 설득 이상의 주체적인 참여 유도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 구축과 공공PR 관리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 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tivationbehavior model of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on social media based on the socially distributed model of PR, an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ngth of belief and involvement in public issues, which are psychological variables at the individual level. In this study, a total of 627 social media users were surveyed by selecting nuclear power plant closure issue that seemed to have a high level of conflict because public consensus was not easily reached due to specific public issu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motivation-behavior model,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ngth of belief and issue involvemen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motivation-behavior model through social media consisted of six factor structures of four motivational factors and two behavioral types,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statistically satisfactory. In addition, for the intention of voluntary connection behavio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motivation for public interest and the strength of belief, the motivation for self-satisfaction and the strength of belief, and the motivation for public interest and the issue involvement was significant.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providing an advanced understanding and theoretical framework for new social phenomena in the public communication field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social media users' voluntary public communication motivation-behavior model and considering personal characteristics together. Furthermore,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posed building effective strategies to induce independent participation beyond persuasion and new measures for public communication management with an approach based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motivation factors related to public voluntary sharing, dissemination, and diffusion of information on specific public issues in a social media environment.

      • KCI등재

        IoT 플랫폼을 위한 SDN 기반 MQTT 클러스터에서 서브스크라이버 배정 방안

        강귀영,석승준 한국통신학회 2019 KNOM Review Vol.22 No.1

        MQTT protocol is one of open Publish / Subscribe systems for IoT information transmission. In this paper, we are proposing an algorithm to assign a subscriber, which dynamically participate in MQTT clustering system, to an appropriate broker. In MQTT systems with a centralized broker, there are losses of connectivity and messages between subscribers and brokers. In this paper, we addressed this issue for developing scalable open IoT systems and consider clustering MQTT brokers on the SDN infrastructure.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 of allocating subscribers to brokers in accordance with sharing brokers’ topics to reduce brokers’ load and communication cost in SDN based MQTT clust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will reduce the load and the cost as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MQTT 프로토콜은 IoT 정보 전송을 위한 오픈 Publish / Subscribe 시스템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MQTT 클러스터링 시스템에 동적으로 참여하는 가입자를 적절한 브로커에 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중앙 집중식 브로커가 있는 MQTT 시스템에서는 가입자와 중개자 간의 연결 및 메시지 손실이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확장 가능한 개방형 IoT 시스템을 개발하고 SDN 인프라에서 MQTT 브로커 클러스터링을 고려하여 이 문제를 해결한다. 특히 이 논문은 SDN 기반 MQTT 클러스터에서 브로커의 부하 및 통신비용을 줄이기 위해 브로커의 주제 공유에 따라 브로커에 가입자를 할당하는 문제에 중점을 둔다. 실험 결과는 제안 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부하 및 비용을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책 관련 내러티브가 공중의 SNS 상 정보확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정책효능성을 중심으로

        강귀영(Kuiyoung Kang),윤영민(Youngmin Yo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1

        본 연구는 최근 우리 사회를 둘러싼 위험요소를 예방하는 데 있어 내러티브를 사용한 정책 PR 메시지가 공중의 지각된 정책효능성을 중심으로 SNS 메시지 공유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구체적으로, 정책 관련 내러티브가 몰입, 지각된 유사성의 수용자 관여를 거쳐 정책효능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정책효능성이 정책지지를 통해 공중의 SNS 상 정보확산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 이용자 총 313명을 대상으로 내러티브와 비(非) 내러티브 메시지의 집단 간 요인 설계로 실험을 실시하고, 소셜 미디어 상에서 정책 관련 내러티브 메시지의 효과 과정을 검증했다. 분석결과, 비(非) 내러티브 메시지보다 내러티브 메시지에 대하여 지각된 정책효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고, 수용자 관여가 지각된 정책효능성에 대한 내러티브 메시지의 영향을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나아가 SNS 상 정보확산 행동 의도에 대하여 지각된 정책효능성의 직접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해당 정책에 대한 지지 태도를 통한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정책PR을 위한 내러티브 메시지의 활용이 유효함을 밝히는 동시에, 지각된 정책효능성을 중심으로 정책에 대한 공중의 긍정적인 커뮤니케이션 행동을 제고하는 선행변인들의 통합적인 효과 과정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policy PR messages, specially using narratives concentrated on public"s perceived policy efficacy on communication behavior such as SNS message sharing in preventing risk factors surrounding our society.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ed two main things as follows. First, policy-related narrative can affect perception of policy efficacy through audience involvement of transportation and perceived similarity. Second, the perceived policy efficacy can affect the intention of information distribution behavior on SNS through policy support. To do this, a total number of 313 Facebook users were experimented by Between-Group Factorial Design divided into narrative and non-narrative groups. Also, the effect process of policy-related narrative message on social media was verified. Three main outcomes were founded. First, the perceived policy efficacy exposed to the narrative messag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narrative message. Second, audience involvement mediates the influence of the narrative message on the perceived policy efficacy. Last, there was no direct effect of perceived policy efficacy on the intention of information distribution behavior on SNS, except for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attitude of support for the policy. As seen from the result, this study revealed the use of narrative messages for policy PR in a social media environment is effective. In addition, it revealed that the integrated effect process of the preceding variables enhancing public"s positive communication behavior on policy mainly focusing on perceived policy efficacy.

      • KCI등재

        기업 윤리성, CSR 일관성, CSR 적합성이 CSR 진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귀영(Kang, Kuiyoung),윤영민(Yoon, Youngm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3

        본 연구는 기업 윤리성, CSR 일관성, CSR 적합성이 CSR 활동의 진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반기업 정서가 세 선행 요인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연구결과, 높은 기업 윤리성, 높은 CSR 일관성, 높은 CSR 적합성은 CSR 진정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피험자들은 기업의 윤리성이 높을 때, 기업이 오랜 시간 동안 CSR 활동을 지속해 온 경우에, 기업의 CSR 활동이 기업 특성 및 제품과 관련성이 높은 경우에,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더 높은 CSR 진정성 인식을 보였다. 나아가 기업 윤리성과 CSR 적합성 간, 반기업 정서와 CSR 적합성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특히 반기업 정서가 높은 경우 적합성이 낮은 CSR 활동을 수행했을 때보다 적합성이 높은 CSR 활동을 수행했을 때 CSR 진정성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나, CSR 적합성과 CSR 진정성 인식 간 관계에서 반기업 정서의 조절 효과를 확인했다. This study examined how corporate ethicality, CSR consistency, and CSR fit effect on the perceived authenticity of CSR activities, and tried to verify how anti-corporate sentiment interacts with three leading factors through experiment. The result indicates that high corporate ethicality, high CSR consistency, and high CSR fi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SR authenticity. In other words, the subjects perceived more positively on the authenticity of CSR activities, when the corporate has a higher ethicality and the longer period of CSR activities. Similarly, the higher perception of CSR authenticity has been found when CSR activities are highly related to the corporate characteristics and products.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nti-corporate sentiment and CSR fit as well as corporate ethicality and CSR fit were significant. To be more specific, when the level of anti-corporate sentiment was high, the high CSR fit positively affected to the perception of CSR authenticity. In conclu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anti-corporate sentiment has been found between CSR fit and perception of CSR authenticity.

      • KCI등재

        SNS를 통한 공중의 위험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위험 감정의 역할

        강귀영(Kang, Kuiyoung),윤영민(Youngmin Yo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9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1 No.1

        본 연구는 환경 위험과 같은 부정적 상황에서 야기된 불안과 분노의 위험 감정이 문제에 대한 상황 인식 변인들과 상호작용하여 SNS 이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SNS를 통한 위험 커뮤니케이션에서 위험 감정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317명을 대상으로 싱크홀 현상과 관련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위험 감정 중 불안감은 공중의 SNS 정보 선택, 정보 전달, 정보취득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감은 정보 선택을 제외한 정보 전달과 정보 취득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나아가 SNS 정보 선택 의도에 대하여 문제 인식과 불안감, 관여 인식과 분노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SNS 정보 전달 의도에 대해서는 문제인식과 불안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위험과 관련한 문제 상황 인식과 SNS 커뮤니케이션 행동 의도 간에 위험 감정, 즉 불안감과 분노감의 조절 효과가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risk emotions in risk communication through SNS by examining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anxiety and anger with situational cognition variables on the SNS Users’communication behavior intent surrounding the negative situation like environmental risk.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17 adults users of Facebook on the sinkhole phenomena. According to this study, some interesting results were shown. First, information selec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intent of Facebook users’ were directly affected by feeling of anxiety out of risk emotions. Second, only two variables, which ar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intent of Facebook users’ were meaningfully affected by the feeling of anger. Last but not least, the moderating effects of anxiety and anger were partially confirmed between problem situational recognition and SNS communication behavior intent. Be more specific,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problem recognition and feeling of anxiety,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involvement recognition and feeling of ang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information selection intent. In addition,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problem recognition and feeling of anxiety in term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int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