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19대 국회 초선의원의 특징 분석

        가상준(Sangjoon Ka) 한국정당학회 2013 한국정당학회보 Vol.12 No.2

        본 연구는 제19대 국회 초선의원들은 과거 국회와 비교하여 어떠한 특징을 보이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제19대 국회 내 정당 간 갈등 및 운영은 어떠한 성향을 보일 것인지 살펴보았다. 초선의원들이 국회 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국회 연구에 있어 초선의원들이 가지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선의원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19대 국회 초선의원들의 특징을 통시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을 통해 제19대 국회 초선의원들 중 여성의원의 비율이 과거 국회와 비교하여 높아졌으며 여성의원들의 평균 연령은 매우 낮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남성 초선의원들의 평균 연령은 과거 국회에 비해 매우 높아졌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제19대 국회 초선의원들은 제17대 국회 초선의원보다 보수적이지만 제18대 초선의원에 비해 진보적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두 정당 초선의원들의 이념 분포는 소속 정당 이념 분포와 매우 흡사한 모습을 하고 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발견은 두 주요 정당 초선의원들 간 이념 격차가 과거 어느 때보다 크다는 점이며 이러한 경향은 두 정당 간 전체 평균이념을 비교하여도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는 국회 내 갈등 심화 그리고 이에 따른 국회 불신을 불러올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Freshmen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National Assemblies’. In studying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e Freshmen take significance because they always hold a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which means that they can play a decisive role in decision-making. When the Freshmen made into the National Assembly, they drew special attention from the press and the public; however, the study on the Freshmen doesn’t meet expectation. This is why this study focuses on the Freshmen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 analysis shows the percentage of female Freshmen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gets higher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National Assemblies. Likewise, the study finds that the Freshmen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tend to be liberal than the 18th National Assembly’s but they are more conservative than the 17th National Assembly’s. The ideology distribution of the two major parties’ Freshmen is very similar to their affiliated party’s. In addition, the ideological difference between two parties’ Freshmen is much greater than ever. It is expected that conflict between the two parties in the National Assembly be more intensified than before. Accordingly, public distrust on the National Assembly will be growing.

      • KCI등재

        정당 간 양극화가 투표율 상승을 견인하고 있는가?

        가상준(Sangjoon Ka) 한국정당학회 2020 한국정당학회보 Vol.19 No.2

        본 연구는 최근 나타나고 있는 투표율 상승의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세 번의 대통령선거에서 투표참여와 정당 간 양극화 현상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통계결과를 통해 유권자의 두 정당과 후보자에 대한 호감도는 투표참여에 매우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즉, 두 후보자 간 호감도에 차이가 클수록 유권자의 투표참여는 커졌으며 두 정당 간 호감도에 차이가 커질수록 유권자의 발길은 투표장으로 향하고 있었다. 반면, 두 정당 간 이념 차이에 대한 인식은 투표참여와 관련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정당 간 양극화에 대해 유권자들은 매우 잘 인식하고 있으며, 상응하여 정당 지지자 간 이념도 양극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엇보다 정당 간 양극화는 유권자들의 후보자와 정당에 대한 호감도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유권자들에 대한 미시적 분석 그리고 투표율이라는 거시적 분석이 함께 나타날 때 좀 더 설득력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앞으로 정당 간 양극화와 유권자의 양극화 관련성 그리고 이에 따른 투표참여 논의가 더 많은 선거를 경험하면서 이루어질 때 연구 결과들에 대한 논리성이 추가될 것이다. 그럼에도 본 연구의 결과들은 정당 간 양극화가 어떻게 유권자의 태도 변화와 투표참여로 이어지고 있는지 분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정당 간 양극화가 유권자의 투표참여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긍정적인 면이라 하겠다. 그러나 정당 간 양극화의 주요 문제점은 정당 간 양극화가 양극화의 심화를 가져온다는 점이며, 양극화는 일반 유권자가 중심이 되는 정당과 선거를 만들지 못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당 간 양극화에 의한 투표율 상승보다는 유권자 중심의 정책선거, 정책대결에 의한 투표율 상승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at examining what leads to the increase of voter turnout.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voting participation and partisan polarization in the three presidential elections.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voters’ preference on the two parties and candidates has an effect on voting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the two candidates, the likelihood the voter participation is larger,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the two parties, the more voters are heading to the polls. But, the perception of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rties is not related with voting participation. Likewise, several analyses show that the electorate are very aware of partisan polarization, and correspondingly the study finds that ideology among party supporters is polarized. Above all, it was found that partisan polarization has a critical influence on the voters’ preference for candidates and political par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tically show how the partisan polarization leads to changes in voter attitudes and participation in voting. It is a positive aspect that partisan polarization leads to the increase of voter participation. However, the main problem of partisan polarization is that it causes deepening of polarization, and does not create political parties and elections in which general voters become focused. Therefore, the voter-oriented policy election and the policy-based voter turnover rather than partisan polarization should lead to higher voter turnout.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 정치관용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가상준(Sangjoon Ka),윤종빈(Jongbin Yoon),유성진(Sung-jin Yoo)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0 OUGHTOPIA Vol.25 No.3

        정치관용은 안정된 민주주의의 유지와 건전한 사회 건설을 위해서 필요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게 취급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사회 정치관용에 대해 알아보고 정치관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치관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외국의 연구를 토대로 한국사회 정치관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어느 집단에 대해 혐오감 혹은 위협감을 느끼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이 집단의 기본적 권리 및 정치 활동에 대해 어느 정도 정치관용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무엇보다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사회 정치관용은 무엇에 영항을 받고 있는지 살펴보았는데 한국인의 정치관용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념과 연령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반면 외국의 연구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교육, 민주주의 원칙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정치지식은 정치관용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구성원들의 정치관용을 변화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결과는 한국의 성숙한 민주주의와 선진화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A study on political tolerance is important because political tolerance is required to maintain a stable democracy and to build a good society.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political tolerance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measure political tolerance, we conducted survey based on previous studies. Respon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ir feeling attitude toward a list of potentially unpopular groups. We measured political tolerance by asking them whether members of the most least-likely group should be allowed to have political rights and to participate in political activities. With survey results,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political tolerance. Statistical analyses showed that age and political ideology played important roles in political tolerance. However,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 understanding of democratic principles, and political knowledge played an insignificant role in political tolerance. Despite valuable findings of the study, the fact that it is hard to change the level of political tolerance implies that mature democratization and advanced development are an extremely hard task.

      • KCI등재

        2022년 대통령 선거 투표참여와 정서적 양극화: 부정적 투표(Negative Voting)를 중심으로

        가상준(Sangjoon Ka)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3 OUGHTOPIA Vol.37 No.3

        본 연구는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정당과 후보자에 대한 감정과 부정적 투표가 어느 정도였는지 통시적 관점에서 알아보며, 부정적 투표는 무엇에 의해 영향 받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2년 대통령 선거에 화두는 비호감 선거 그리고 정서적 양극화였다.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유권자의 부정적 투표 비율은 과거 어느 때보다 높았다. 부정적 투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살펴보면 연령, 정당일체감 정도와 이념 강도가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당 호감도 차이는 부정적 투표 가능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당파적 유권자만을 대상으로 부정적 투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분명하게 나타난 중요한 결과는 후보자 요인이 정당 요인보다 크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부정적 투표를 2022년 대통령 선거를 통해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기여도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지 정당에 대한 애착감은 크게 변화하지 않지만 상대 정당 및 후보자에 대한 혐오감이 커지면서 부정적 투표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ing the degree of negative votes and attitude toward political parties and candidates in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and to find out what negative voting is influenced by. The topics in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were an unlikeable election and affective polarization. In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the percentage of voters negatively voting was higher than ever before. The study found that age, degree of party unity, and ideological strength had an influence on negative voting. An important result made clear is that the candidate factor has the preponderance over the party factor. This study can find a meaningful contribution in that it considered negative voting, which has been rarely dealt with so far, through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It is expected that negative voting increase further. This is because as hate toward the opposing party and candidates grows although the attachment to the supporting party does not change much.

      • KCI등재후보

        지방선거에서 정당공천제 : 새로운 변화를 위한 올바른 선택

        가상준(Sangjoon Ka)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9 OUGHTOPIA Vol.24 No.1

        2010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기초단체 선거에 정당공천제를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폐지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정당공천제을 찬성하는 쪽은 풀뿌리 민주주의 그리고 정당정치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반면, 정당공천제를 반대하는 쪽은 정당발전의 미비와 공천제에 따른 부작용을 논하면서 정당공천제 반대를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정당공천제 반대 주장은 대의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 부족에 근원하고 있으며 지방선거에서 나타나는 비리 문제의 해결 방법이 아니라는 집에서 논리성이 떨어진다. 또한 정당공천제가 지방정부의 중앙정치의 예속화를 가져온다는 주장은 많은 면에서 현실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정당의 선거 참여는 당연한 것이며 무엇보다 책임정치 실현에 있어 필수적이다. 정당 공천제 지속 여부에 대한 논의보다는 이제는 정당공천제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이고 민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With the 2010 Local Election one year ahead, whether or not the party nomination system should be continuously allowed in the election is a controversial issue among scholars. Those who agree for the idea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grass-root democracy and responsible party politic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are against for the idea advocate that the party nomination system in the local election leads to corruption problems. Also they indicate that it is too early to exercise the party nomination system in the local election because political parties in Korea are not well systematically organized. However, the argument that the party nomination system shouldn't be allowed come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representative democracy. Likewise, the abolition of the party nomination system is not the solution to corruption problems related to the local election. Some scholars argue that the party nomination system has local governments been dependent on central politics; however, they are not successful in providing logical reasoning. Above all, the fact that political parties participate in the local election is rightful. In addition, responsible party politics can be successfully achieved when political parties playa role in the local election. From now on, scholars should use more their interest with finding the way to manage party nomination system efficiently and democratically.

      • KCI등재

        여성 비례대표 의원들의 임기 후 경력선택

        가상준 ( Sangjoon Ka ),박진수 ( Jinsoo Park ),이재묵 ( Jae-mook Lee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8 담론 201 Vol.21 No.1

        본 연구는 제17대 국회부터 제19대 국회까지 여성 비례대표 의원들의 임기 후 경력 선택 현황과 진출 경로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 비례대표 의원들의 임기 후 경력 선택과 경로는 크게 여섯 가지의 형태로 구분되는데, 이는 ① 재선 성공 ② 정부 각료나 기타 선출직 공무원 진출, ③ 공천 혹은 선거에서 실패하였으나 도전지속 ④ 공천 혹은 선거에서 실패한 후 은퇴 ⑤ 자발적 은퇴 ⑥ 비자발적 은퇴 이다. 비례대표 여성할당제는 단순히 여성의원의 국회 비율을 높이는 제도가 아니라 여성의원들의 지역구 의원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가교 역할을 하는 중요한 도구다. 그러나 제17대, 제18대, 제19대 국회를 분석해 보면 비례대표 여성의원들 중 지역구로 진출하는 의원이 줄고 있으며, 이는 현재의 여성할당제만으로 여성의 정치진출 확대를 꾀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areer paths of female PR Members of Korean National Assembly after their tenu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s that from the 17th to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e career choices and paths of those female representatives can be divided into six types: 1) those who were re-elected, 2) those who served as government appointees or other elected offices such as in local governments, 3) those who failed party nomination or elections, but continue to challenge, 4) those who chose to retire after failing nomination or elections,5) those who voluntarily chose to retire, 6) those who left public offices due to election fraud or corruption scandal. The PR female quota system is not merely to increase the parliamentary rate of female lawmakers, but to bridge the gap so that female lawmakers can enter the constituency. The comparison of the 17th, the 18th, and the 19th National Assembly shows that among the PR women, only a few members advanced to the district, and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limit to attempting to expand women's political advancement with the current quota system.

      • 2010년 중간선거 결과 분석 : 거시적 및 미시적 접근

        가상준(Sangjoon Ka) 명지대학교 미래정치연구소 2011 미래정치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2010년 미국의 중간선거 결과를 오바마 대통령 및 정부에 대한 평가의 시각에서 접근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의 중간선거를 두 가지 시각 즉, 중간선거를 전국적 사건(national event)으로 보는 거시적 시각과 지역 사건(local event)으로 보는 미시적 시각으로 조명해 보고 오바마 대통령에 대한 평가와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2010년 중간선거는 정치적 관점과 경제적 관점에서 오바마 대통령에 대한 평가에 근원한 선거결과라 말할 수 있다. 그리고 2010년 중간선거 결과를 미시적 관점으로 접근해 살펴보면 재선에 실패한 민주당의원들의 대부분은 2006년 이후 의회에 입성한 의원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2010년 선거결과가 예외적이긴 하지만 철저하게 오바마 정부에 대해 갖는 유권자들의 불만감이 현실적으로 여과 없이 드러난 결과라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2010 mid-term election in terms of evaluation of president Obama. In order to do that, the paper examined the 2010 mid-term election with two perspectives. A macro perspective, mainly focusing on presidential approval ratings and the result previous presidential election, views the mid-term election as a national event while a micro perspective, particularly focusing on an incumbent effect and decreasing competitive districts, considers it as a local event. Results of the 2010 mid-term election can be explained by the evaluation on economic conditions during the Obama government. Likewise, the study found that most Democratic members of legislators who failed to get reelected made it to the House after the 2006 election. The 2010 election results mirrored dissatisfaction of the electorate on the Obama government.

      • KCI등재

        혐오집단에 대한 한국인의 정치관용 및 태도

        가상준(Sangjoon Ka)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다양한 집단에 대한 선호도 측정을 통해 한국 사회 혐오집단에 대해 알아 보고, 이들에 대한 정치관용 및 혐오감을 통해 구성원들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한국인의 다수가 비선호하는 집단은 동성애 자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동성애자는 한국사회에서 성소수자라기보다는 비정상적인 집단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성애자 다음으로 이념성향을 띤집단들이 비선호 집단으로 구분되고 있었다. 민주노총, 반미세력, 반공세력, 뉴라이트, 전교조 등이 대표적 집단이다. 동성애자가 각 집단보다 수적인 면에서 앞서고 있지만 이념집단들을 합하게 된다면 동성애자를 크게 앞서게 된다. 특히, 상대방 이념집단에 갖는 혐오감은 매우 커다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요 집단에 대한 선호도 조사 그리고 이들에 대한 정치관용을 보았을 때 한국사회의 갈등과 대립에 있어 이념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한국사회의 갈등과 대립은 점점 많아지고 심화되고 있는데 여기에는 낮은 관용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념적 대립과는 무관한 갈등이 이념갈등으로 변질되는 것은 이념이 사안을 판단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심각하게 전개되고 있는 갈등과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관용수준을 현격히 높일 필요가 있는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 논의되고 있지 않아 기대하기는 힘들다. 관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전개될 때 관용수준을 높이는 방안들이 논의될 것이고 이는 깊은 갈등으로 상처 입은 한국사회를 변화의 길로 인도할 것이다. 갈등 해소와 대립의 완화를 위해 관용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disliked groups in a Korean society by measuring preference on diverse groups and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who have hostile feeling against a particular group. Both the 2012 and the 2014 survey results show that homosexuals are chosen to be the most disliked group by respondents. It indicates that homosexuals are recognized as an abnormal group rather than a sexual minority in Korea. Many respondents classify the groups related with ideological propensity such as labor group, anti-Americanist, the New-Right, Teachers& Educational Workers Union as disliked group. In particular, the study finds that hostile feeling of those who choose either left or right group as disliked group is enormous and their political tolerance on them is quite low. Preference measurement and political tolerance on diverse groups show that ideology is strongly related with conflict and confrontation of the Korean society. Likewise, the fact that a conflict irrelevant to ideological confrontation unexpectedly turns into ideological conflict show that ideology plays a role in evaluating and judging issues and groups. It is necessary to enhance political tolerance to resolve and prevent conflicts which are inevitably occurred due to political heterogeneity and pluralistic principles in a healthy democratic society; however, interest of scholars in political tolerance has not been encouraged.

      • KCI등재

        공공갈등에 대한 시민의식 분석: 연령대별 변화와 지속의 관점에서

        가상준 ( Ka Sangjoon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소 2016 분쟁해결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한국 사회 구성원들은 공공갈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이 8년 동안 어떠한 변화 혹은 지속성을 띠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무엇보다 과거 연구들이 공공갈등에 대한 인식을 일회성으로 조사하고 그치는데 비해 본 연구는 8년 동안 자료를 통합적으로 그리고 통시적으로 살피면서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공공갈등의 심각성, 유형별 공공갈등의 심각성, 정부의 역할, 공공갈등의 민주주의 기여도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지속되고 있는지 살피며, 연령대별로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 알아봄으로써 각 연령대는 어떠한 지속성과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공공갈등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있어 연령대별 차이가 크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동일 연령대의 변화와 지속에 대해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공공갈등에 대한 심각성에 대해 점차 연령대별 차이가 작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갈등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정적 평가가 동일하게 많아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령대 간 차이는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갈등 해결에 있어 정부 역할에 대한 평가에서 동일 연령대의 연도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지만 연령대별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갈등 해결에 있어 정부 역할에 대한 평가에 있어 동일 연령대의 지속되는 모습이라 하겠다. 국민들의 공공갈등의 심각성 평가, 갈등의 민주주의 기여도 의견, 갈등 해결에 있어 정부의 역할 평가는 한국 공공갈등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들이라 하겠다. 이들의 연관성이 크지는 않지만 전혀 없다고는 말할 수 없다. 국민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이러한 평가를 하고 있으며, 공공갈등의 해결, 관리 그리고 나아가 공공갈등의 순기능을 위해 무엇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지 조금 더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위에서 논의된 공공갈등 심각성, 갈등의 민주주의 발전 기여도, 갈등 해결에 있어 정부의 역할에 대한 조사 및 분석 결과들은 앞으로 공공갈등에 어떻게 접근하고, 정부가 공공갈등 해결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지에 대한 새로운 정보 제공을 통해 공공갈등 연구뿐 아니라 현장에서의 공공갈등 관리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how a Korean society understands public conflicts and how their understanding has changed or continued for 8 years. While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public conflict as a one time even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data for 8 years in a comprehensive and timely manner. In particular, the study analyzes how the perception on the severity of public conflict, the severity of public conflicts by type, the role of government, and the contribution of public conflict to democracy have been changed and continue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differently age groups understand public conflic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public conflict in each age group and find that there is the change and continuity of the same age group. The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public conflict is gradually getting smaller by age group and exhibit that the negativ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public conflict on democracy has increased in all age groups. Likewise, the study finds that the year-to-year difference in the same age group was not large in evaluating the role of government in public conflict resolution,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is large. The evaluation of the seriousness of public conflict, the contribution of democracy of public conflict, and the evaluation of the role of government in conflict resolu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Korean public conflicts. More studies on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on public conflict and the role of the government are necessary to manage and resolve public conflict efficiently.

      • KCI등재

        투표율 상승은 어떠한 정책변화를 가져오는가?

        가상준(Sangjoon Ka),박민규(Minkyu Park),김영진(YoungJin Kim) 경인행정학회 2020 한국정책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최근 벌어지고 있는 투표율 상승을 주도하는 유권자는 누구인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8년 사이 치러진 12개의 전국단위 선거의 투표율을 성별, 지역별, 연령대별로 구분해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정치에 변화를 이끌어낸 유권자는 누구인지 알아보며 투표율 변화가 지니는 정책적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분석을 통해 전반적으로 대부분 집단에서 투표율 상승이 일어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여성, 경합지역, 그리고 젊은 연령대의 투표율 상승이 눈에 띄었다. 여성의 투표율은 대부분의 선거에서 남성보다 높아진 상황으로 서구 국가에서 나타난 성별 투표율 역전 현상이 한국에서도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왜 투표율이 전반적으로 높아졌는지에 대해서 정치와 선거에 대한 관심이 커졌기 때문이며 여기에는 정당간 이념 양극화 현상이 주요원인이라는 점을 주장하였다. 좀 더 실증적인 분석이 요구되지만 다른 국가들에서도 투표율 상승을 설명하는데 있어 엘리트들의 양극화 현상은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는 정당간 양극화 현상이 불러오는 각 진영의 정책 및 사업에 있어 가시적인 차이가 더 많은 유권자를 투표장으로 불러왔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는 투표율 상승을 통해 한국사회의 많은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정당간 양극화, 청년과 여성의 적극적 투표참여, 그리고 한국사회의 진보화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한 정책변화를 이끌게 될 것이다. 앞으로 투표율 상승의 원인을 좀 더 체계적으로 찾고, 투표율 상승이 불러올 결과에 대해 통합적 고찰이 필요한 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lectorate leading to the recent increase in voter turnout. To that end, the study analyzed the turnout of 12 nationwide elections held between 2002 and 2018 by gender, region and age groups.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overall increase in voter turnout occurred in most groups. In particular, the study found that women, competitive areas, and young age group led to the increase of voter turnout. Women s voter turnout is higher than that of men in most elections, and the reversal of gender turnout which is shown in Western countries is also found in Korea. On the other hand, it is argued that the reason for the overall increase in voter turnout is due to the growing interest in politics and elections, and that partisan polarization plays a role in increasing voting turnout. Although more empirical analysis is required, elite polarization is regarded as a major factor in explaining the increase in voter turnout in other countries. This is because visible difference in the policy caused by partisan polarization have brought more voters to the polls. The study was able to find many changes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increase of voter turnout. Above all, it could examine partisan polarization, active participation of youth and women in voting, and the liberalization of Korean society. The changes will lead to various policy changes. It is expected to find out more systematically the causes of the increase in voter turn and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consequences of the increase in turn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