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주지역 경제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고봉현,강기춘,강연실 한국지역개발학회 2012 한국지역개발학회 세미나 논문집 Vol.20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Jeju-do Regional Economic Forecasting Model. We analyze the general equilibrium of the Jeju-do economy and examine the inter-sectoral relationships in the region. This model consists of seven blocks-production block, employment block, wage and price level block, financial block, public finance block, foreign sector block, and other block. This model also consists of seventeen behavioral equations, three identity equations so that the model is the simultaneous equation system of twenty structural equations. We consider Ordinary Least Squares(OLS) as the estimation method. We rely on the Root Mean Squared Percent Error (RMSE%) in the evaluation of the models. And this model show the satisfactory levels of RMSE%, excepting import. After identifying the best model structure in term of the RMSE%, we perform policy simulation to measure the effects of three exogenous shocks on the Jeju-do regional economy; exchange rate shock, foreigner tourist shock, real national income shock. The result of the policy simulation is consistent with what various macroeconomic theories predicts. There remain a few issues which we deal with in the future research. First of all, the most difficult and important problem for building up the model was the data problem. Second, we need to combine the demand-side and supply-side models developed in this research into one general-equilibrium type model.

      • KCI등재
      • KCI등재

        제주지역 감귤가격의 시계열적 특성 및 가격변동성에 관한 연구

        고봉현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olatility and properties of a time series for tangerine prices in Jeju using the GARCH model of Bollerslev(1986).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ime series for the rate of change in tangerine prices had a thicker tail rather than a normal distribution. At a significance level of 1%, the Jarque-Bera statistic led to a rejection of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time series for the rate of change in tangerine prices is normally distributed.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series was high based on the Ljung-Box Q statistic, which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rough the ARCH-LM test. Third, the results of the GARCH(1,1) model estim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t a significance level of 1%, except for the constant of the mean equation. The persistence parameter value of the variance equation was estimated to be close to 1, which means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 similar level of volatility will be present in the future.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optimize the government's tangerine supply and demand control policy. 본 연구의 목적은 Bollerslev(1986)의 GARCH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지역 감귤가격의 시계열적 특성과 가격변동성(price volatility)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감귤 가격변화율의 시계열이 정규분포가 아닌 꼬리가 두터운 분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Jarque-Bera 통계량이 1%의 유의수준에서 감귤 가격변화율의 시계열의 분포가 정규분포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함으로써 검증되었다. 둘째, Ljung-Box Q 통계량을 통해 감귤 가격변화율 시계열 간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ARCH-LM 검정을 통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GARCH(1,1) 모형 추정결과, 평균방정식의 상수항을 제외하고는 모든 계수의 추정 값이 1%의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분산방정식의 지속성 모수() 값이 1에 근접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현재와 유사한 변동성 수준이 장래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제주감귤 가격변화율 시계열에서도 기존의 선행연구에서처럼 ‘변동성 군집(volatility clustering)’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밝혀낸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정부의 감귤 수급조절정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제주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탐색을 위한 산업구조 분석

        고봉현(Bong-Hyun Ko),김화년(Hwa-Nyeon Kim),고성보(Seong-Bo Ko),김배성(Bae-Sung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8

        이 연구는 코로나19 등에 의해 경기 하강국면에 진입하게 된 제주경제의 경쟁력을 회복시키고, 지속적인 지역경제 성장 방향 탐색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지역산업구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발전과 산업구조 재편 전략수립을 위해 필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GRDP분석, 입지계수분석, 잠재성장률분석, 성장률 격차분석 등 다양한 지역경제 분석을 통해 지난 35년 동안의 제주경제를 진단·분석하였다. 제주경제의 주요 산업별 성장률은 농림어업의 경우 성장률이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나머지 산업들은 성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전산업의 실제 실질성장률이 잠재성장률에 미치지 못하여 지역산업 전반에 걸쳐 자원의 배분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산업별 경쟁요인 및 성장가능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를 통해 제주지역 산업구조 재편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of Jeju, a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 provide primary data to restore the competitiveness of its economy that has experienced an economic downturn due to COVID-19 and other negative factor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gional economic growth.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Jeju economy over the past 35 years using several regional economic analytic methods, viz., GRDP analysis, locational quotient analysis, potential growth rate analysis, and growth rate gap analysis. As for the growth rate of each major industry in the Jeju economy,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showed negative trends, whereas other industries exhibited positive trends. We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a resource for restructuring the industrial structure of Jeju after future detailed examinations of competitive factors and growth potentials by industry have been conducted.

      • 제주지역 경제예측모형의 개편에 관한 연구

        고봉현(Bong-Hyun Ko),고성보(Seong-Bo K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논문은 2011년 개발한 JDI-EFM 모형을 확대·개편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제주경제의 전망과 정책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견고한(robust) 모형을 유지·보완 또는 개선하고자 하였다. 새로이 확대·개편된 JDI-EFM 모형의 구조는 총 8개 부문(생산, 고용, 임금 및 물가, 금융, 재정, 대외, 소비, 투자), 27개 행태방정식, 6개 항등식으로 구성하였다. 기존 모형과의 차이점을 보면, 기존의 기타부문을 없애고 소비와 투자부문을 새로이 추가하여 공급중심의 기존모형을 수요측면까지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확대·개편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1차·2차·3차산업으로 구분하였던 생산부문의 산업구조를 보다 세분화시켰으며, 산업 세분화에 따라 일부 내·외생변수와 방정식 내 독립변수들을 추가· 변경하였다. 모형 전체의 동태적 안정성과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동태적 시뮬레이션을 시행한 결과, 대부분 변수들의 RMSE%가 10% 미만으로 나타나 개별 행태방정식은 물론 모형의 동태적 안정성과 적합도(fitness)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시간분해 접근법에 의한 분기별 GRDP 추정에 관한 연구

        고봉현(Bong-Hyun K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분해(temporal dis-aggregation) 접근법을 이용하여 연도별로 공표되고 있는 GRDP 통계를 분기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roietti(2006)의 ADL(1,1) 모형을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설정된 ADL 모형의 참고지표 변수로 지역별 산업생산지수가 상관관계 분석에 의해 선정되었다. 그리고 ADL 모형의 주요 추정계수(Ø, β₀, β₁) 값들은 대체적으로 10% 이내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모형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조정된 결정계수(Adj·R²) 값은 서울과 제주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90% 이상의 설명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기 GRDP의 추정치가 분기 GDP의 실제치를 통계적 유의수준 내에서 잘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GRDP의 순환변동치 시계열은 전반적으로 국내 경기추세 및 순환주기의 흐름과 유사하고, 경기 포착률의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활용 가능성 측면에서 볼 때 GRDP 통계의 시의성 및 속보성이 부족하다는 특성을 감안한다면, 경기지표로 활용하는데 있어 본 연구에서 추정된 분기 GRDP는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yearly GRDP statistics into quarterly GRDP using the temporal dis-aggregation approach. For this purpose, Proietti (2006)’s ADL (1,1) model was used in this study. First, the regional industrial production index was selected as the reference index variable of the ADL model using a correlation analysis. The main coefficient values(Ø, β₀, β₁) of the ADL model were generally estimated within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10%. In particular, the value of the adjusted R square(Adj·R²) was over 90% in all the regions except Seoul and Jeju.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quarterly GRDP estimate explains the actual quarterly GDP well withi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n addition, the GRDP cyclical component time series was found to be generally similar to the domestic economic trend and cycle. Moreover, the business matching rate was also good. Finally, in terms of the applicability of the quarterly GRDP estimated in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very useful as a business indicator given its timeliness and early news of GRDP statistics.

      • KCI등재

        제주지역 거시경제 전망모형을 이용한 정책효과 분석

        고봉현(Bong-Hyun K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지역 거시경제 전망모형을 이용하여 제주지역 사회의 중요한 정책에 대한 효과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Ko, et al.(2012) 모형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확대·개편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효과 분석을 위해, 2017년까지의 관련 통계자료와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점검하고, 새로운 대내외 정책변수들과 모듈(module)을 확대·추가함으로써 모형의 현실 설명력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제주경제의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모형에서 설정된 산업구조를 보다 세분화시켰으며, 특히 케인즈 이론의 수요측면까지 모형에서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모형의 구조를 확장시켰다. 둘째, 모형의 평가에서는 舊모형에 비해 본 연구의 모형에 대한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일부 내생변수에서 향후 지속적인 자료의 보완을 통해 보다 개선된 모형 개발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제2공항 건설에 따른 정책효과 분석결과, GRDP 1.25배, 고용 1.2배, 민간소비 1.48배, 투자 2.06배 증대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경제성장률은 제2공항을 건설할 경우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연평균 1.6%p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정책의사결정에 있어 직·간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olicy in Jeju, using a macro-economic forecasting model of Jeju. First, the model"s reality explanatory power improved by updating its statistics to 2017 and expanding new policy variables and modules. Also,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model was further subdivided and extended to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in the demand side of Keynesian theory. Seco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edictive power for the model of this study was better than that of the existing model. However, with some endogenous variable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implications that should be developed and considered when the model is improved with additional data in the future. Third, when the second airport construction was considered, it was observed that its effect was an increase of 1.25 times for GRDP, 1.2 times for employment, 1.48 times for private consumption, and 2.06 times for investment. Also, the economic growth rate was estimated to be 1.6% point higher than when the second airport was not constructed.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policy decision making of the Jeju Government.

      • KCI등재

        연구논문 : 제주지역 경제예측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고봉현 ( Bong Hyun Ko ),강기춘 ( Gi Choon Kang ),강연실 ( Yeon Sil Kang ) 한국지역개발학회 201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Jeju-do Regional Economic Forecasting Model. We analyze the Jeju-do economy and examine the inter-sectoral relationships in the region. This model consists of seven blocks-production block, employment block, wage and price level block, financial block, public finance block, foreign sector block, and other block. This model also consists of seventeen behavioral equations, three identity equations so that the model is the simultaneous equation system of twenty structural equations. We consider Ordinary Least Squares(OLS) as the estimation method. We rely on the Root Mean Squared Percent Error(RMSE%) in the evaluation of the models. And this model show the satisfactory levels of RMSE%, excepting import. After identifying the best model structure in term of the RMSE%, we perform policy simulation to measure the effects of three exogenous shocks on the Jeju-do regional economy; exchange rate shock, foreigner tourist shock, and real national income shock. The result of the policy simulation is consistent with what various macroeconomic theories predicts.

      • KCI등재

        제주지역 경기종합지수 개편에 관한 연구

        고봉현 ( Bonghyun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시계열 분석방법론을 이용하여 현재 월별로 작성·공표되고 있는 제주지역의 경기종합지수를 개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X-12-ARIMA에 의한 계절조정법, H-P 필터(Hodrick-Prescott filter) 분석법, 교차상관(cross correlation) 분석법, 전환점시차(turning point) 분석법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서상목(1981)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6가지 선정기준에 의해 경기종합지수 개편을 위한 후보지표 20개를 선정하였다. 둘째, 통계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기준을 준용하여 경기대응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동행성 지표 12개와 선행성 지표 8개를 선정하였다. 셋째, 제주지역 경기종합지수 개편 결과로서, 동행지수는 6개의 구성지표로 이루어져 있는 개편 1안이, 선행지수는 5개의 구성지표로 이루어져 있는 개편 2안이 최종 선정되었다. 끝으로 경기종합지수가 측정지표로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경제흐름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보완작업을 통해 경기예측력을 높이려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the economic composite index which is currently being published on a monthly in Jeju. For this purpose, it has been used seasonal adjustment method by X-12-ARIMA, H-P filter method, cross correlation analysis method, turning point analysis method, etc.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20 candidate indicato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six selection criteria suggested in the study of Seo Sang-mok (1981). Second, 12 coincident indicators and 8 leading indicators were selected by economic responsiveness analysis. Third, proposals 1 and 2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coincident index and leading index as a results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economic composite index in Jeju. Lastly, it is necessary to evaluated the economic composite index wheth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spond to the continuously changing economic flow. And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economic composite index, supplementary work should be continu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