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늘어나는 비결핵마이코박테리아 폐질환

        중엽 대한의사협회 2024 대한의사협회지 Vol.67 No.1

        Background: Nontuberculous mycobacterial pulmonary disease (NTM-PD) is a chronic respiratory condition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Globally, the disease burden of NTM-PD is growing.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e of NTM-PD in Korea and worldwide, followed by a discussion of known risk factors. Current Concepts: In most countries, NTM-PD is not specified as a notifiable disease; thus, determining the actual incidence and prevalence has been challenging. When NTM-PD is defined using microbiological and diagnostic coding criteria, data consistently show a dramatic increase in the worldwid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NTM-PD. Although the cause of this increase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it is believed to result from a complex interplay of environmental and host-related factors that facilitates increased interactions between patients and the bacterium, as well as promoting mycobacterial survival within the host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global incidence, prevalence, and socioeconomic burden of NTM-PD is increasing, necessitat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As a first step, the establishment of a coordinated system for identifying and managing patients with NTM-PD is imperative.

      • 익산 삼담리 상북지유적 조사개요

        중엽,성욱,승재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4 馬韓, 百濟文化 Vol.24 No.-

        The present article deals with summing up of the excavation research for Sangbukji relics in Samdam-ri, Iksan-si located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for an access road to Iksan General Industrial Complex. The relics are placed around Samdam-ri, Nangsan-myeon and its surroundings, on one of many ridge lines branching off toward south and north from the top of the mountain that has long slopes in the east-west direction. Sangbukji village is located to the west of the mountain. So far, 5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18 pit remains, 13 pit remains of Joseon Kingdom, 2 ditch remains and 2 waste disposal site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Sangbukji relics. This study puts focus above all on the dwelling sites and pit remains of the Bronze Age in this area. A total of 5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investigated might typically be classified as Songguk-ri type in which oval pits are arranged in a circle on the plane. They are placed in a single line in the east-southwest direction along the summit of the hill ridge. Each dwelling site was constructed with short distance of about 3 meters with each other and most of dwelling sites have been flatted off as a whole. Pit remains have been excavated mostly near the dwelling sites along the summit of the hill in circular·oval form from the plane angle and flask form from horizontal section, similar to the pits of Songguk-ri-type settlements in terms of shape and characteristics. Besides,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there are firing traces together with large amount of charcoal inside the pits (pitfall remains) which have very narrow bottom with long rectangular·oval form on the plane. From the excavation research this time, it could be confirmed that Sangbukji relics are the remains of the settlements in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and, among others, the northern areas of Iksan-si (Mangseong-myeon and Nangsan-myeon) were the main basis of livelihood for the people of that age. 본고는 익산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공사 내 유적인 익산 삼담리 상북지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개요이다. 유적은 낭산면 삼담리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지형은 동-서 방향으로 길게 뻗어 내린 능선의 정상부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의 많은 가지능선 중 하나에 유적이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 상북지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상북지유적은 청동기시대 주거지 5기, 수혈유구 18기, 조선시대 수혈유구 13기, 구상유구 2기, 폐기장 2기 등이 조사되었다. 본고에서는 이중에서도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수혈유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동기시대 주거지는 총 5기로 평면형태 원형에 주거지 내 타원형 수혈이 배치되는 전형적인 송국리형 주거지이며, 구릉의 능선 정상부를 따라 북동-남서 방향으로 1열로 배치된 양상을 보인다. 각 주거지는 이격거리가 3m정도로 근거리에 축조되어 있으며, 주거지 대부분은 삭평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수혈유구는 대부분 구릉 정상부를 따라 주거지에 인접하여 분포하고, 평면형태가 원형 · 타원형이며, 단면형태는 복주머니형(플라스크형)으로 그 형태나 특징이 송국리유형 취락에서 확인되는 수혈들과 유사하다. 그밖에 평면형태 장방형·장타원형에 바닥면이 굉장히 좁은 형태의 수혈(함정유구)과 내부에서 다량의 목탄과 더불어 소성이 이루어진 흔적이 보이는 수혈 또한 확인되었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상북지유적이 청동기시대 중기의 취락유적이며, 무엇보다 익산시 북쪽(망성면, 낭산면) 일원이 청동기시대 당시 주된 생활의 터전이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원삼국시대 마형대구(馬形帶鉤)의 의미에 관한 고찰

        중엽(kim jung yeob)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1 馬韓, 百濟文化 Vol.37 No.-

        마형대구는 말의 형태를 띠는 허리띠 장식으로 원삼국시대 영남지역과 충청내륙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지역적인 특수성을 가진 유물이다. 주로 충청 일원에서 다량 확인되고 있다는 점을 들어 마한을 대표하는 유물로도 알려져 있으며, 청동이라는 재질과 말 형상의 장식성 등을 토대로 위세품의 성격으로 인식하는 경향성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마형대구의 출토양상을 면밀하게 검토해 보면 그 의미에 대해 재고해 볼 필 요성이 있다. 일단, 마형대구의 출토범위는 아산만을 따라 아산, 천안, 청주를 통해 영남지역으로 연결되는 교통로 부근에 집중적으로 출토되면서 이는 주구토광묘 및 토광묘 중심권역에서만 한정적인 분포범위를 보인다. 마형대구의 출토양상을 보면, 영남지역의 경우 위세품으로 볼 수 있는 경향성이 나타나지만, 일부 마형대구만 단독으로 부장되는 양상도 확인되며, 충청지역의 경우 다양한 출토양상이 확인된다. 묘광의 규모가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다양하고, 공반유물도 풍부한 것과 일반적 부장양상, 마형대구만 부장되는 양상 등 다양한 점은 단순히 위세품의 의미로 판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마형대구는 형식상 영천 어 은동과 경산 신대리 출토품이 가장 빠르고, 아직 이 단계의 마형대구는 충청지역에서 출토되지는 않고 있 지만, 이후 단계부터는 영남지역에 비해 마형대구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영남지역에서는 더는 마형대구가 사용되지 않는 특징이 나타난다. 이는 양쪽 지역 간의 교류를 통한 물품의 이동보다는 아산만 교통로를 통 한 주민의 충청일원에 정착 즉, 주민의 이동과 관련이 깊을 것으로 생각되며, 마형대구는 이러한 주민들의 계통성을 보여주는 상징적 물품으로서의 의미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급성 안내염에서 유리체절제술과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 치료 효과 비교

        중엽,이주은,박강윤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1

        Purpose: To compar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vitrectomy plus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vitrectomy group) with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alone (antibiotic group) for eyes with acute endophthalmitis developed after cataract surgery with visual acuity of hand motion or better.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chart review, we compared the visual acuities of 10 eyes of a vitrectomy group and 17 eyes of an antibiotic group. Results: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age, comorbidities (diabetes, hypertension), time of symptom onset, time of diagnosis, type of systemic antibiotic prescribed, or positive culture rate. Mean baselin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2.17 vs. 1.96 logMAR; p = 0.60). Both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ean BCVA after 2 months: from 2.17 to 0.81 logMAR in the vitrectomy group (p = 0.01) and from 1.96 to 0.76 logMAR in the antibiotic group (p = 0.002), but the final BCV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0.81 vs. 0.76 logMAR, p = 0.75). Conclusions: Both vitrectomy combined with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and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alone significantly improved visual acuity; the final BCVA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Intravitreal antibiotic injection alone may be an effective first-line treatment for endophthalmitis in patients with initial visual acuity of hand motion or better. 목적: 초진 시 시력이 안전수동(眼前手動, hand-motion) 이상인, 백내장수술 후 급성 안내염 환자를 대상으로 유리체절제술과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 병행치료와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 단독 치료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절제술과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를 동시에 시행한 경우(10안, 유리체절제술 군)와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만 시행한 경우(17안, 항생제 주사군)에 따른 최종시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유리체절제술군과 항생제 주사군 사이에 성별, 나이, 동반 질환(당뇨, 고혈압), 백내장수술 방법, 증상 발생 시기, 초진 시기, 전신 항생제, 균 배양 결과 등의 차이는 없었다. 초진 시 최대 교정시력(logMAR) (평균 2.17 vs. 1.96, p=0.60)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두 군 모두 2개월째 초진 시력에 비해 유의한 시력 개선 효과가 있었다(유리체절제술군; 평균 2.17 vs. 0.81, p=0.01) (항생제 주사군; 평균 1.96 vs. 0.76, p=0.002). 2개월 후 최종적인 최대 교정시력은 두 치료 방법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평균 0.81 vs. 0.76, p=0.75). 결론: 백내장수술 후 발생한 급성 안내염에서 초진 시력이 안전수동 이상일 때, 유리체절제술과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를 병행한 경우와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만 시행한 경우를 비교하였고, 수술 후 최종시력 예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한 치료법인 유리체내 항생제 주사를 1차 치료로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인천국제공항의 환적화물에 대한 연계성 분석 연구

        중엽,박용화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5

        After the deregulation of the aviation market in the United States in 1978, airlines took advantage of the possibilities of the liberalized market and reorganized their networks. Then, the hub-and-spoke networks became widely used in the aviation market. The framework of hub-and-spoke network made it feasible to amplify flight networks. Thus, a number of airlines were able to fly to more destinations than ever before through the networks. Amplification of networks can be implementing through the transfer of passengers, transshipment of cargo, or both most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passenger aspect at airports worldwide. Air cargo, however, has becom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reas at hub airports to keep their leading position in terms of the provision of services and handling volum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nectivity of airfreight networks as the temporal concentrations in current network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 order to evaluate airline flight schedule effects to stimulate hubbing at an airport, the indirect connectivity can be considered to be the number of direct frequencies, the minimum connecting times and the quality of the connection determine indirect connectivity. Therefore, the connectivity of freight transshipment depends on both the quality of the connection at the hub airport and the quality of the indirect flight compared to the direct flight. In addressing these issues, this paper analyzes the connectivity of flight schedules using a temporal wave-system structure and estimates the degree of connectivity and quality of connectivity applying the NETSCAN model. 1978년 미국 내 항공시장의 규제완화와 함께 항공은 허브-앤-스포크 시스템(hub-and-spoke system)의 형태로 재구성되었다. 항공의 확장성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때, 허브-앤-스포크의 활용은 여객의 환승이나 화물의 환적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또한 국가 차원으로 볼 때, 허브-앤-스포크를 통해 공항의 활성화 및 노선에 따른 밀도의 경제를 실현하도록 허브공항을 개발하는 정책적 지원의 동기가 될 수도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은 대다수 항공여객에 대한 연구들로 집중되어 왔으나 항공환적화물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을 대상으로 하여 항공화물의 환적연계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허브-앤-스포크 상에서 과연 허브공항으로서의 기능과 성과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측정코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범위는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환적 되는 항공화물을 대상으로 하며, 개설 가능한 환적노선인 직항연결 및 우회연결(Direct and Indirect Connection)로 한정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을 기반으로 한 항공화물의 환적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천국제공항과 연결된 공항들의 노선 수나 연결시간 등을 기준으로 하여 직항연결과 우회연결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취하였다. 이를 위해 공항의 웨이브-시스템 구조를 분석하여 활용하는 NETSCAN 모델을 적용하였다.

      • 익산 무형리 포변유적 조사개요

        중엽,형서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4 馬韓, 百濟文化 Vol.23 No.-

        This article deals with a summary of excavation research of Pobyeon relics in Muhyeong-ri, Iksan located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of an access road to Iksan General Industrial Complex. The relics are situated on the top and western slope of the two hills stretching shortly from east to west in the northern tip of Iksan city. To the east of the relics, Ganggyeong Stream flows and, to its west side, Eoryang Stream runs down, making both look like embracing the relics. Pobyeon village lies at the eastern lower edge of the hills. Pobyeon relics include several number of stone-coffin tombs, pit tombs and jar-coffin tombs of the Bronze Age. In detail, there are 21 stone-coffin tombs, 5 pit tombs and 8 jar-coffin tombs. Excavation was performed in two sections: 'A' and 'B' which are distanced by 200m from each other. Stone-coffin tombs were placed in the burial chambers which were constructed using thin stone plates and covered with lids on them. On the ground of the chamber, some crushed earthen vessels were graveled to form podiums or beds for the dead and, opposite to the beds, there were small pits excavated. Pit tombs were arranged in proportion with stone-coffin tombs, with the same ground fittings as those for stone-coffin tombs. In 'A' section, stone-coffin tombs·pit tombs were uniformly and densely installed in 2 or 3 lines in the direction of major axis from east to west while, in 'B' section, the direction of major axis was not uniform but 2 or 3 tombs were gathered in cluster. It is noteworthy that most jar-coffin tombs were discovered in 'B' section. The present excavation research produced various outcomes and showed the needs to conduct further researches particularly in the northern area of Iksan (Mangseong- and Nangsan-myeon) which turned out to be major settlements of the people in the Bronze Age. 본고는 익산 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공사 내 유적인 익산 무형리 포변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개요이다. 유적은 익산시의 북쪽 끝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형은 동-서 방향으로 짧게 뻗은 두 구릉의 정상부 및 서사면에 해당된다. 유적의 동쪽에는 강경천, 서쪽에는 어량천이 흘러 유적을 감싸는 지형이며, 구릉의 동쪽 하단부에는 포변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포변유적은 청동기시대 석관묘, 토광묘, 옹관묘가 다수 확인된 청동기시대 분묘군으로 청동기시대 석관묘 21기, 토광묘 5기, 옹관묘 8기가 확인되었다. 발굴조사는 ‘가’구역과 ‘나’구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두 구역 간에는 200m 이격거리가 있다. 석관묘는 얇은 판석을 이용하여 묘실을 축조하였으며, 묘실 바닥에는 일정부분 파쇄된 토기를 깔아 시상대를 마련하고 시상대 반대편에는 작은 구덩이를 시설하였다. 토광묘는 석관묘와 함께 어울려 배치되어 있으며, 바닥시설은 석관묘와 동일하다. ‘가’구역은 석관묘·토광묘의 장축방향이 동-서로 일정하며, 2~3열 등 규칙적이고 조밀한 배치이며, ‘나’구역은 장축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2기 또는 3기씩 군집양상을 보인다. 옹관묘는 ‘나’구역에 집중 분포하는 특징이 확인된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여러 조사 성과 및 추후 연구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으며, 무엇보다 익산시 북쪽(망성면, 낭산면) 일원이 청동기시대 당시 주된 생활의 터전이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당뇨망막병증 치료에 대한 경향 비교

        중엽(Jung Yup Kim),신재필(Jae Pil Shin),조영준(Young Joon Jo),박태관(Tae Kwann Park),유승영(Seung Young Yu),장우혁(Woo Hyok Chang),오재령(Jae Ryung Oh),이지은(Ji Eun Lee),이주은(Joo Eun L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8

        목적: 한국과 일본의 당뇨망막병증 치료 경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한국망막학회 회원 210명, 일본당뇨병안학회 회원 754명을 대상으로, 당뇨망막병증의 진단 및 치료에 관한 49개 항목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6월-7월간 실시되었다. 결과: 한국망막학회 회원 210명 중 91명(43%), 일본당뇨병안학회 회원 754명 중 120명(16%)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확산 당뇨황반부종의 치료에 관하여, 한국에서는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안구내 주사 후 국소 레이저 광응고술’이 가장 선호되었던 반면(48%), 일본에서는 ‘테논낭하 스테로이드 주사 후 국소 레이저 광응고술’이 33%로 가장 선호되었다. 두 번째로 많은 응답을 받은 항목이 일본에서 유리체절제술이었던 것에 비해(18%), 한국에는 아무도 유리체절제술을 선호하지 않았다. 그러나 난치성의 확산 당뇨황반부종에 대해서는 한국에서도 유리체절제술을 하겠다는 응답이 75%로 나타났다. 일본에서는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나 스테로이드 안구내 주사를 병행하지 않는 유리체절제술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양국 모두에서 증식 당뇨망막병증의 수술에 23 Gauge (G)나 25 G를 이용한 소절개창 유리체절제술을 선호하였다(일본 64%, 한국 90%). 결론: 당뇨망막병증의 진단 및 수술 환경은 한일 양국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당뇨황반부종의 치료 경향에서는 큰 차이를 보여, 한국에서는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일본에서는 테논낭하 스테로이드 주사와 유리체절제술을 선호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preferences and trends in the management of diabetic retinopathy in Korea and Japan. Methods: An Internet survey comprised of 49 questions was sent to the members of Korean Retina Society (KRS) and Japanese Society of Ophthalmic Diabetology (JSOD).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2012 and July 2012. Results: Ninety-one of 210 members of the KRS (43%) and 120 of 754 members of the JSOD (16%)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diffuse diabetic macular edema,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followed by focal laser treatment’ was the most preferred treatment in Korea (48%), while ‘sub-tenon steroid injection followed by focal laser treatment’ was the most common procedure in Japan (33%). Vitrectomy was the second most common procedure in Japan (18%). In contrast, none of the KRS members preferred vitrectomy in this situation. For refractory diabetic macular edema, however, vitrectomy with or without the use of anti-VEGF was chosen in 75% of the KRS members. In Japan, vitrectomy without the use of intravitreal injection of anti-VEGF or steroid was relatively more preferred. Small-gauge (G) vitrectomy using either a 23 G or 25 G needle was popular in both countries (90% in Korea, 64% in Japan). Conclusions: Although the trends in diagnostic and surgical environments were similar in Korea and Japan, the preferred treatment approaches for diabetic macular edema were different. Sub-tenon steroid injection and vitrectomy were preferred in Japan, while anti-VEGF injection was most commonly employe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