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상담자의 진로탐색

        김은실 한국카운슬러협회 2014 학교상담전문가 자격연수 Vol.- No.2

        사회, 문화 그리고 개인적 요인들에 의해 현재 학교현장은 학생들의 부적응 행동 및 정 서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학교폭력, 자살, 왕따와 같은 학생들의 문제는 학생 이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자아실현과 성장을 이루는데 커다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학교상담전문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학교상담전문가는 현재 학교 및 그 외 장면에서 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행복감, 그리고 자아실현과 성장을 위하여 다양한 역할들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학교 장면에서 전문상담교사, 전문상담사, 학교 상담 자원봉사의 역할을 수행 하고 있으며 교육청 산하의 위센터, 위클레스 등에 근무하며, 복지부 산하의 청소년복지원, 복지관에 근무하며 소수는 개인상담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학교에 다니는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개인 상담 및 집단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상담전 문가가 근무하는 이들 기관들은 현재 다양한 상담자격증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근무하고 있으며 거의 포화상태로 학교상담전문가는 다양한 장면과 영역에서 학생의 심리적 행복감 과 학생의 자아실현과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역할을 담당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수 퍼바이저 및 1급 학교상담전문가는 학생의 다양한 문제에 맞는 독자적인 상담시스템을 개 발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할 의미가 있다. 이 강의에서는 학교상담전문가의 다양한 진로탐색을 위한 역량강화, 진로탐색 등에 관한 정보들을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가정교과의 녹색식생활 교육과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과의 관계 연구

        김은실,김윤화,조현주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3

        인성과 환경을 강조한 녹색식생활 교육이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녹색식생활 실천에 미치는 영향과 현재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녹색식생활 단원 교육 효과를 살펴보고, 효과적인 녹색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실시되었다. 대구시 소재 중학교 2학년 242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과 6월에 각각 실시되었다. 녹색식생활 실천과 효능감은 성별과 학년, 가정의 경제적 수준, 한 달 용돈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5). 자아존중감의 가족관계, 또래관계, 자기역량 요인(p<0.05)과 행복감의 긍정적, 부정적 요인이 녹색식생활 실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고(p<0.001), 녹색식생활 실천 효능감은 자아존중감의 가족관계, 또래관계, 자기역량 요인(p<0.05), 행복감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 부정적 인관관계에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다(p<0.001). 녹색식생활 교육 후 녹색식생활에 대한 흥미와 실천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p<0.05)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요인들(가족관계, 불만족, 또래관계, 자기역량)과 행복감 요인들(긍정적, 부정적 정서, 부정적 인간관계)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중학생의 녹색식생활 교육이 성별, 학교성적, 경제적 수준, 한 달 용돈 등을 고려하는 동시에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세워 실시된다면 인성과 녹색식생활 교육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Green dietary education emphasized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humanity being conducted in middle schools. To develop effective green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ir green dietary practices has been identifi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sychological factors that drive green dietary practices and effect of dietary education that targets middle school students. Data was collected twice from 242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March and June, 201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chievement, economic level and allowance a month (p<0.05) in the green dietary practices and efficacy of students. Three areas (environment, health and traditional, and appreciation & consideration) which were subgroups of green dietary practices were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family relations, peer relationships, self-competence of self-esteem (p<0.05), and positive and negative feelings of happiness (p<0.001). Green dietary practices efficacy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family relations, peer relationships, self-competence of self-esteem (p<0.05), and positive feeling, negative feeling, and negative relationships of happiness (p<0.001). After green dietary education, interests in green dietary, green dietary practices score, the score of health and environment factors of green dietary practices efficacy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education (p<0.05), but all the factors of self-esteem and happines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changes. This study suggests that green dietary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could account for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happiness according to gender, school records, economic level and allowance a month to be effective.

      • 구치부 복합레진의 중합 깊이에 따른 미세 경도에 관한 비교 연구

        김은실,유용욱 원광대학교 치의학연구소 2003 圓光齒醫學 Vol.12 No.1

        The introduction of many new posterior composite resins suggest that these products are rapidly gaining popularity. Curing efficacy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 of the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ulate the microhardness and depth of cure and to determine if significant enhancements i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have been achieved for these materials compares with one popular conventional composite resins. For the three posterior and one conventional composites tested (SureFil, ALERT, Prodigy and Z100), the value for microhardness was determined. The depth of cure was evaluated by the measurements of microhardness. KHN (Knoop Hardness Number) values were then obtained at 0, 2, 3, 4, and 5 mm using a 100 g load and 10 s dwell time. Adequate depth of cure was determined as the bottom hardness being at least 80% of the top.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Conventional composite resin, Z100 showed harder surface than that of posterior composite resin. Upper surface was harder than lower surface. 2. The depth of cure of composite resin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ickness of resin. 3. No composite had adequate depth of cure when tested in increments greater than 2mm thick.

      • 자격과정과 자격증 유지조건 안내

        김은실 한국카운슬러협회 2016 학교상담전문가 자격연수 Vol.- No.4

        사회, 문화 그리고 개인적 요인들에 의해 현재 학교현장은 학생들의 부적응 행동 및 정 서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학교폭력, 자살, 집단따돌림, 학업중단 등과 같은 학 생들의 문제는 학생이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자아실현과 성장을 이루는 데 커다란 걸림돌이 될 뿐 아니라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써도 자신의 역할을 다하는데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학교상담전문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 고 있다.

      • KCI등재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와 그 문제점에 관한 소고 -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은실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아주법학 Vol.9 No.3

        The right of publicity in Korean law presents a peculiar form of jurisprudence. While Korea is traditionally a civil law country with no comprehensive code for the right of publicity in existence, Korean courts continue to recognize such rights. In light of these unusual and controversial circumstances, comprehending the effects and consequences of this right is crucial for enacting future right-of-publicity legislation and discussing possible new directions.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right of publicity from the right holder’s perspective, focusing on to whom the right extends and the consequences/implications of recognizing the right of publicity for all individuals. In order to assess the implications of the right of publicity and the identity of its holders, exploring the legal elements of the right are indispensable. For these purposes, to begin the discussion, it is helpful to examine the U.S. right of publicity. The primary reason for this is because the American right of publicity has a long history of development through years of case decisions and is accompanied by ample legal literature from a wide range of perspectives. Therefore, discussion on the right of publicity and its elements will revolve around the established state rights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atic issues of a right holder’s descendants, highlighting the protection of criminals as right holders as well as the descendants of celebrities and criminals infringing upon the right of publicity. By focusing on persons entitled to the right, the discussion will enable future enactment of Korean legislation and a robust development of the right of publicity. 퍼블리시티권은 1953년에 미국연방항소법원에서 새로운 권리로 인정한 것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퍼블리시티권을 하급심에서 인정하여왔고, 입법은 현존하지 않지만,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활발한 논의와 입법화 주장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퍼블리시티권의 법리에 관한 가장 중요한 논의 중 하나는 권리의 향유자 즉, 주체일 것이다. 미국의 경우, 퍼블리시티권을 처음으로 인정하기 시작한 때에는 그 주체를 유명인과 비유명인으로 구분하여, 그 향유자를 처음에는 유명인으로 제한하였다. 그런 후 점차 보호대상을 확대하여 현재 모든 개인을 퍼블리시티권의 주체로 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에 논의의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퍼블리시티권의 주체를 모든 사람으로 인정하므로 야기되는 여러 문제점들을 제기하고, 퍼블리시티권의 전반적인 체계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퍼블리시티권의 침해 주장을 유명인의 후손이나 범죄인의 후손인 경우 야기하는 여러 문제점과 퍼블리시티권의 주체가 악인 등 특정인일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을 중심으로 논의하였고, 그 주된 이유는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법리가 잘 발달되어 있고,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사례도 상당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퍼블리시티권의 주체를 둘러싸고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과 가능한 해결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