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제 무령왕릉 출토 은제 탁잔에 대한 연구

        조원교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3 동원학술논문집 Vol.14 No.-

        필자는 일본 미술사학자 요시무라 레이의 연화화생(蓮華化生)에 관한 표현·도상(圖像) 연구를 타당하게 여기고 필자의 논문에 더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가지고 이를 주장하였다. 나아가 연화화생은 광범위한 화생표현·기운표현·신이적표현·생명표현 가운데 하나라고 보았다. 본고는 이와 같은 관념의 연장선상에서 무령왕릉 부장품 중 하나인 은제 탁잔을 살펴보았다. 은제 탁잔의 문양은 기형이나 표현 등에서 신이적(神異的)세계 가운데 하나인 신산(神山)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신산은 화염문·연화문 등을 통하여 볼 때 연화화생에 의하여 탄생된 것이며, 함께 표현된 연꽃·용·당초 문양 등도 모두 같은 화생 관계에 놓여 있다. 본고에서는 탁잔에 반영된 내용 등을 재확인 또는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탁잔에 반영된 표현과 관념이 탁잔에만 국한된 것이 아님을 증명하기 위하여 무령왕릉에서 함께 나온 부장품들도 함께 살펴보았다.

      • KCI등재

        益山 王宮里 五層石塔 발견 舍利莊嚴具에 대한 硏究

        조원교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9 百濟硏究 Vol.49 No.-

        본 연구에서는 1965년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이하 왕궁리탑)을 수리하는 도중 발견된 사리장엄구의 연대와 제작·발원의 주체(공양자)를 다루었다. 왕궁리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는 사리함, 사리병, 金剛經, 금강경을 담은 불경함, 불상, 유리 구슬, 방울, 향목 등인데 필자는 유리 구슬과 방울을 제외한 사리장엄구는 약 900년경에 제작되었다고 본다. 이 제작 연대는 사리함의 문양과 기형, 불상의 양식, 금강경의 서체 등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이 연대 추정은 그동안 학계에서 밝힌 왕궁리탑 건립 연대 및 그 안에서 발견된 불상의 제작 연대와도 일치된다. 왕궁리탑 사리장엄구는 900년경을 전후로 하는 다른 사리장엄구와도 관련되는 면이 있지만 특히 주목되는 바는 다른 사리장엄구와 달리 백제의 전통이 완연하게 담고 있다는 점이다. 이 백제의 전통은 통일신라시대에 금마(金馬 : 지금의 익산시 금마면 일대, 익산의 옛 지명)에 있었던 馬韓都督府와 報德國 특히 왕궁리탑 자리에 있었던 왕궁 혹은 사찰, 왕궁리탑 인근의 彌勒寺·帝釋寺 등이 중수·改塔되는 과정을 거치며 자연스럽게 계승·전파된 것으로 본다. 왕궁리탑 사리장엄구(특히 사리기 및 금강경)는 지금까지 발견된 900년경 사리장엄구 가운데 유례가 없을 만큼 높은 품격을 보여 준다. 많은 비용과 정성이 투입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제작·발원의 주체는 당시 국가 최고 세력임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필자는 이 주체를 당시 패망 직전에 놓여 있던 통일신라는 결코 아니라고 본다. 그리고 泰封이나 高麗의 경우도 멀리 떨어진 이곳에 구태여 많은 비용과 정성을 투입하는 불사를 단행할 여유, 필요도 없었고 상황도 아니었다고 본다. 필자는 왕궁리탑과 그 사리장엄구의 제작·발원의 주체(공양자)는 900년경 왕궁리탑이 속하였던 나라이자 가까운 곳 全州에 都邑을 두었던 後百濟 왕실, 특히 백제가 金馬山에서 건국되어 600년을 지냈다고까지 말하며 건국의 뿌리를 마한·백제의 도읍인 금마에서 찾았고 백제 마지막 왕 義慈王의 원통함을 풀어준다며 나라를 세운 후백제의 국왕 甄萱(진훤)으로 본다. 진훤은 백제에 대한 懷古·復興·悔恨의 의지가 가장 강하게 남았을 금마에서 자신의 야망 성취의 방편으로서도 이 불사를 단행하였다고 본다. 이 과정에서 당시 최고의 품격과 기술, 특히 금마에 전승되었던 백제의 전통도 자연스럽게 수용되었으리라고 본다. 'It is confirmed by history and a legend that Guemma(金馬), which was the ancient name of Iksan city but now called as a part of Iksan, in Jeonbuk province is an ancient central city of Mahan(馬韓) and Baekje(百濟). Wanggungri(王宮里 A town of the King's palace) remains (Korean historical relics No. 408), the representative ones of Guemma remains are known as the old palace site of Mahan and Baekje, and their location is about 2km south of Guemma-myeun(金馬面) now. There is a fifth stone pagoda(五層石塔 as National Treasure No. 289) in Wanggungri, and a bunch of treasure to perish Sarira reliquary(舍利莊嚴具 Sarijangeomgu) were founded inside of the pagoda in 1965. A kind of case for Sari, bottle for Sari, Buddist cannon box with Diamond-Sutra (in item), including some Buddhist statue, some marble, and some bell, etc. I think that the other Sarira reliquary materials except the marble and the bell were made in A.D. about 900 years. The reason for that fixation of the years come from the investigations of the pattern and shape on the case for Sari, the style of Buddhist statue, and the calligraphic style of Diamond-Sutra. This inference is agreed with the infered years of the five-story stone tower by the academic world and the inferred ones on the years to produce the Buddhist statue in it by researching the style of the statue. The Sarira reliquary in the fifth stone pagoda has some relation with the other Sarira reliquaries in A.D. about 900, but the special point is that it shows some traditional quality of Baekje exceptionally to the other Sarira cases. This traditional one of Baekje was shown in the buildings of Mahandodokbu(馬韓都督府, a administrative office governed by Tang dynasty for a time) and Bodeoguk(報德國, a small country founded by Shilla for the royal family of Goguryeo), etc. located in Guemma, in the period of the starting time of the united peninsular by Shilla, and it had transmitted through the peninsula when they reconstruct or remodel palaces or temples in Wanggungri remains including nearby temples - Mireugsa(彌勒寺) and Jeseoksa(帝釋寺), etc. According to the offerer of the case for Sari, Baekje was founded in the Mt. Guemma and continued for about 600 years, including their opinion that Jinwhon(堅萱), the King of later Baekje(後百濟: 890-936年), is the direct offspring of the continuation in spirit. In short, Jinwhon, the King of later Baekje, seemed to held a Buddhist service to mourn for the King, Euija(義慈王), at the area near Jeonju(全州) which was the capital of the later Kingdom. Jinwhon seemed to express his will to fulfill his ambition by holding that service in the area of Geumma which had remaining spirits - like the birth from the sacred lotus - to restore the Kingdom, Baekje. And it seemed that the tradition of Baekje, especially the best quality and skill of the day transmiied to Guemma, had some natural adaption through a bunch of service and procedure over the neglected time.

      • KCI등재후보

        고려·조선시대 도자기의 蓮華文 연구

        조원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 문화와예술연구 Vol.13 No.-

        A Study of the Lotus Flower Pattern in the Ceramics during the Goryeo and the Joseon Dynasties Jo, Won Gyo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lotus flower appears in various patterns and occupies an overwhelming proportion among the patterns on ceramics of the Goryeo and the Joseon Dynasties (before the Imjin War) as well as in other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 lacquerworks of the mother-of-pearl inlay, paintings, metal craftworks, tiles etc. Its shape is divided into the cases of closely resembling the appearance of a natural ecology and the other case of the active expression of gi(氣, aura, strength, ability, energy, and vitality) and hwasaeng(化生, purified energy, expression of life, and the progress of the process). In the current academic world, the latter is called the dangchomun(唐草文, arabesque pattern) or the indongmun(忍冬文, honeysuckle pattern, also known as Palmette in the West), not the lotus pattern. I think that the positve manifestation of gi and hwasaeng represents the various forms of lotus petals. At first, the petals are thin and short, but they grow long especially with rhythmic vines. And the vines are often repeated in succession. In current achademic researches, the small or large the lotus pattern with vines is regarded as a simple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patterns and vine patterns : lotus flower patterns and vine patterns. Or it is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at it is a rhythmic expression of the lotus flower In addition, although it is obviously a lotus flower pattern in the ceramics of this period, there are definitely misplaced patterns that are called as a peony pattern, a chrysanthemum pattern(菊花文), a bosanghwamun(寶相華文, floral medallion motif pattern), or a ruyi design(如意頭文). Among them, the lotus flower pattern which became the flower-tree form by separating the lotus petals and the lotus leaves is mistaken for the peony blossom pattern. Our ancestors thoroughly understood and expressed various kinds of the lotus patterns as well as their charateristics,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gi and hwasaeng and depicted location, and succeeded them. The various lotus flower pattern (including the originals) in the ceramics of this period is not related to the symbolic flower of Buddhism that was either imported from China or introduced with Buddhism. It is a unique expression that has already developed within Korean own borders from the Neolithic and the Bronze Ages and that has been spread widely to a very delicate and exquisite level with our universal and inherent belief and tradition. Keywords : gi(氣·氣運, aura, strength, ability, energy, and vitality), hwasaeng(化生, purified energy, expression of life, and the progress of the process), yeonhwahwasaeng(蓮華化生, a change of life progressing in lotus), lotus flower pattern(蓮華文), lotus pattern with vines 연화문(연꽃문양)은 다른 역사문화유산(나전칠기, 회화, 금속 공예, 기와 등)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려·조선시대(임진왜란 이전) 도자기 문양에서 압도적인 비중이고 모습도 다양하다. 그 모습은 자연 생태계의 모습과 가깝고 닮은 경우(原 연화문·蓮池 연화문), 氣·化生을 적극 나타낸 경우로 구분된다. 이 시기 도자기에는 분명 연화문임에도 불구하고 연화당초문·모란문·菊花文·寶相華文·如意頭文으로 잘못 불리는 문양들이 있다. 이 가운데 연화당초문은 연화문과 덩굴문이란 독립된 두 문양의 단순한 결합으로, 모란문은 연꽃잎과 연잎사귀 모습을 분리하여 꽃나무 모습이 되자 꽃봉오리가 비슷한 모란으로 착각하며, 국화문은 子房에 비하여 연꽃잎(연판)을 가늘고 길게 표현하자 비슷한 국화로 착각하며, 보상화문은 연꽃잎에 기·화생이 많이 표현되어 다소 복잡한 모습이 되자 다른 꽃으로 여기며, 여의두문은 연꽃잎이 如意의 머리처럼 보여 각각 부여된 이름이다. 연화문은 한 도자기 안에서도 한 모습보다 여러 모습인 경우가 더 많고, 原 연화문부터 연속 덩굴 연화문에 이르는 단계도 보여 준다. 또한 原 연화문·蓮池 연화문보다 기·화생을 더 나타낸 덩굴 연화문 쪽이 많다. 이 현상은 우리 先人들이 연화문의 다양한 모습은 물론 성격, 기·화생의 강약, 표현 위치 등을 철저하게 이해하며 표현하였음을 의미한다. 이 시기 도자기에 있는 기·화생을 담은 연화문들은 물론이고, 중앙에서 외곽으로 또는 위쪽으로 상승하는 표현들, 나무처럼 표현한 연꽃, 산을 화생하는 연꽃 표현 등은 중국에서 또는, 불교와 함께 전래된 불교를 상징하거나 관련되는 표현이 전혀 아니다. 우리 겨레의 역사문화강역 안에서 신석기·청동기시대부터 믿음과 전통을 담아 치밀하고 높은 수준으로 전개된 표현이다. 주제어: 氣(氣運, 힘, 능력, 에너지, 生動), 化生(생명을 향한 변화이다.), 蓮華化生(연꽃에서 진행하는 생명의 변화, 연꽃에서의 탄생), 蓮華文, 덩굴 연화문

      • KCI등재

        한국의 古代 ‘神山 世界’ 圖像 연구(下) – 三國時代까지, 氣 표현 중심으로 –

        조원교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is the term what I defined. It is detailed images of harmony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mountains. These images are usually expressed as imaginary, ideal, and the immortal world.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is an utopia where people want to live, as considered a shelter and a state of enlighte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nding and examining the examples of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It is also a study on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which is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motif in ancient Korea. For this reason, this study deals with relics which were made until the early 7th century, date of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referred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examples, ‘the world of sacred mountain’ images until the Three Kingdoms period are as follows. Some of these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First, the mountain is a main motif. Huge objects that people encountered commonly were mountains, and it gave people number of benefits. Furthermore, people regarded the mountain as an existence that interact with the celestial world and the place where god lives. Second, most people are taoist hermits and most animals are imaginary creatures (dragon, phoenix, etc.). Some animals exists in the real world, but they are, after all, members of the imaginary world, the ideal world,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and the immortal world. Third, it contains gi(氣) and giun patterns in whole or in part. These were expressed by jeommun(點文), jikseonmun(直線文), pasangmun(波狀文), guchimun (鋸齒文), samgakmun(三角文), wonmun(圓文), gwangmangmun (光芒文), yeonhwamun (蓮華文), hwayeommun(火焰文), pahyungmun(巴形文), dangchomun(唐草文), and etc. For example, the mountain was expressed by samgakmun(三角文), dangchomun(唐草文), jeommun(點文), jikseonmun(直線文), pasangmun(波狀文), and etc. Fourth, hwasaeng(化生) and yeonhwa-hwasaeng(蓮華化生) patterns, one of the gi patterns, are depicted together. These patterns are also represented by various patterns as mentioned above. Fifth, several patterns of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that appear in gi, hwasaeng and yeonhwa-hwasaeng form mutual apposition and compatible alternation with equality. It is an appearance that mountain expressed as yeonhwamun, samgakmun, dangchomun, jikseonmun, and etc. In case of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33 small mountains which are incarnated from the mountains were appeared as lotus motifs. The oldest expression of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in the Korea'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today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China, Inner Mongolia included) was found in the relics about 2,000 years ago. Furthermore, they even well contained the expression of gi (including hwasaeng) from the Neolithic period. The expression of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in Korea was handed down without major changes during 660 years, from the time around 1st century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is respect,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motif in ancient Korea was established long before the 1st century. This motif was distinctly developed within the realm of our history and culture. It also maintained a unique style and identity without influence from neighboring countries until the Three Kingdoms period ‘신산 세계’란 필자가 정한 용어이다. 산을 배경으로 인간과 동물들이 격이 없이 어울려 살아가는 物象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모습인데 대부분 상상의 세계・이상 세계・신의 세계・신선 세계로써 표현하였다. ‘신산 세계’는 사람들이 가고 싶고 살고 싶은 이상향, 고달픈 현실을 떠난 도피처였고, 사후 도달하기 바라는 일종의 피안의 세계였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고대 ‘신산 세계’의 예를 찾아 해석하고 그 계통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마련하였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신산 세계’ 도상인 백제금동대향로의 연구 일환이기도 하다. 따라서 백제금동대향로의 제작 연대인 7세기 前半을 전후로 한 시기 즉 삼국시대(下限 668년 즉 7세기 중엽)까지의 유물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 논문에서 소개한 예들을 통하여 볼 때 우리나라 삼국시대까지의 고대 ‘신산 세계’ 표현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이 가운데 일부는 다른 나라의 것들과도 일치된다. 첫째 물상에서 산이 가장 중심이다. 산을 중심으로 삼은 것은 산이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큰 존재이고 여러 혜택을 주며 또 신이 거주하고 하늘과 소통하는 존재로도 여겼기 때문이다. 둘째 물상들에서 인간은 대부분 신선이고, 동물은 대부분 상상의 동물(용・봉황 등)이다. 물론 현실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동물들도 있지만 이들도 결국은 상상의 세계・이상 세계・신의 세계・신선 세계의 구성원이다. 셋째 물상들의 부분 또는 전체에 기・기운을 표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점문(점선문 포함)・직선문・파상문(일종의 당초문)・거치문・삼각문・圓文(동심원문 포함)・光芒文・연화문・화염문・巴形文(巴文)・唐草文 등 문양이나 그 형태로써 나타냈다. 예를 들면 산을 삼각문・당초문・점문(점선문 포함)・직선문・파상문(일종의 당초문) 등으로 표현한 것이다. 넷째 기・기운 표현 가운데 하나인 화생・연화화생 표현도 함께 한 경우가 많다. 물론 이 경우도 앞에서 열거한 여러 문양이나 그 형태로 나타냈다. 다섯째 위 ‘신산 세계’에 등장되는 여러 문양이나 형태들은 기・기운 표현 또는 화생・연화화생 표현을 할 때 상호 동격・호환・交互됨을 보여 준다. 산을 연화문・삼각문・당초문・직선문 등으로 나타낸 현상이다. 백제금동대향로의 경우는 산에서 화생되는 ‘33개 작은 산’들을 연꽃(자세하게는 연판) 모양으로 나타냈다. 우리나라 역사문화영역(오늘날 한반도, 중국 내 東北三省・內몽고 포함)에서 가장 오래된 ‘신산 세계’ 표현은 지금으로부터 약 2천여 년 전인 기원전후 시기 유물들에서부터 보인다. 그런데 이들에서도 그 이전 우리나라 신석기시대부터 전개된 기의 표현(화생 포함)이 잘 담겨 있다. 우리나라 쪽 ‘구체적인 신산 세계' 표현은 기원전후 시기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약 660여 년에 걸친 동안에도 큰 변화 없이 전승되었다. 이러한 상황들을 통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신산 세계’ 표현은 기원전후 시기보다 훨씬 이전에 성립되었음이 분명하다. 나아가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이웃 나라의 영향을 그다지 크게 받지 않고 고유 영역을 형성하며 전승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고구려 기와 문양에 대한 연구 : 평양 출토 수막새를 중심으로

        조원교 국립중앙박물관 2013 고고학지 Vol.19 No.-

        필자는 1990년 8월 석사학위 논문 등 연구 논문을 통하여 연화화생(연꽃의 기운 또는 그 표현·연꽃에서 비롯되는 생명 탄생 또는 그 표현)에 등장하는 모든 문양과 표현은 상호 동격을 이루고 호환·교호하며 연계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일부 문양은 연꽃의 기운과 움직임을 생생하게 나타내려고 연꽃을 여러 가지로 변형시키거나 도안한 것으로 보았다. 고구려 기와에는 연화문·인동문(당초문 포함)·직선문(선문 포함)·원문(동심원문 포함)·소용돌이 모양 문양·거치문 등이 표현되어 있다. 그런데 이 모든 문양들은 단순히 배치, 나열에 그친 것이 아니다. 필자의 위 주장처럼 어김없이 연화화생을 표현하였고, 연계시켜 도안한 것이다. 특히 인동문과 당초문은 연화문의 변형임과 동시에 연화문의 기운과 움직임(동작)을 표현한 것이다. 필자의 이 해석 방법은 기존 고구려 기와 연구의 동향 즉 각 문양들을 독립된 문양으로 파악한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 고구려 기와의 연화화생 표현은 당시까지 동북아시아 기와 역사상 가장 다양하고 능숙하며 또 치밀하다. 이는 고구려에서 연화화생 표현이 매우 보편적으로 자리 잡고 있었고, 도안에 고도의 학식(기하학 포함)을 갖춘 조직이 참여하였음을 뜻한다. 고구려 기와에 있는 다양한 문양과 구성 특히 이들이 함께 어우러진 다양한 연화화생 표현은 같은 시기 여러 나라의 것과 매우 다르다. 이 독보적 문화유산의 원류는 우리나라 쪽의 구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라고 본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기와 문양에 대한 해석 방법, 특히 연화화생에 관한 것은 단지 고구려 기와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동시기의 중국·백제·신라 그리고 이후 많은 나라들의 기와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러나 이들은 고구려 기와에서 보는 위 다양한 문양이 등장한 연화화생이 없다. 대체로 연화문(연꽃잎 문양 포함)이 다양하게 표현된 연화화생이다. In my August 1990 master’s thesis and other research articles, I argued that all the patterns and expressions that appear in the yeonhwa-hwasaeng (C. 蓮华化生: purified energy & expression of life from the lotus; K. 蓮華·연꽃) form a mutual apposition and compatible alternation with equality. Some patterns in particular transformed the lotus flowers or designed them to vividly express the energy and movement of the purified lotus or yeonhwa. The Goguryeo roof tiles have expressions of yeonhwamun (蓮华文) or lotus patterns; indongmun (忍冬文) or palmette/honeysuckle patterns which include dangchomun (唐草文) or arabesque designs or foliage scrolls; jikseonmun (直線文) or straight line patterns which include line patterns (線紋); wonmun (圓文) or circle patterns which include dongsim wonmun (同心圓文) or concentric circle patterns; naseonmun (螺線文) or swirling patterns; and geochimun (鋸齒文) or saw-toothed patterns, etc. However, all these patterns are not simply displayed nor just listed. As I insisted previously, they are relatively expressed and copulatively designed in equality with each other. And together they are all from the yeonhwa-hwasaeng without exception. In particular, indongmun & dangchomun are transformed from the same yeonhwamun which is the purified form of lotus birth, yeonhwa-hwasaeng, as well as the expression of its vivid energy and movement swirling up and resulting in the purified birth of the physical lotus. This methodology of interpretat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pre-existing research which tries to understand each pattern separately when interpreting Goguryŏ roof tiles. Goguryeo roof tiles had the most sophisticated and diverse expression of the yeonhwa hwasaeng, the purified lotus birth, in Northeast Asia at the time. This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yeonhwa-hwasaeng in tiles was common in Goguryeo at that time and also shows the participation of a highly literate (including geometric) designers’ organization. Originating from the yeonhwa-hwasaeng, Goguryeo roof tiles of various patterns and their built-in combinations and configurations are expressed very differently from other countries at the time. I believe this originated from the Korean Paleolithic, Neolithic and Bronze Ages along a unique stream. Finally, this holistic methodology not only can be applied to only Goguryeo roof tiles but also to the ones of China, Baekje (百濟) and Silla (新羅) of the same period but also to many states afterwards as well. However, the roof tile pattens of those countries do not originate from the yeonhwa-hwasaeng of various patterns as the ones from Goguryeo but are usually based on the yeonhwamun or lotus leaf patter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도자기 그림에 대한 新解釋 -海中神山ㆍ三神山 그림-

        조원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8 문화와예술연구 Vol.12 No.-

        동북아시아에서 神山은 불로장생하는 신선이 용ㆍ봉황 등 상서로운 동물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곳, 별천지ㆍ낙원ㆍ이상향, 혼탁하고 각박한 현실을 벗어나 도달하고 싶은 곳으로 여겼다. 바다 멀리에도 신산이 있다고 여겼으며 이를 본고에서 편의상 ‘海中神山’이라고 命名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중신산은 세 개의 섬으로 구성되었다고 여긴 ‘三神山’이다. 옛 先人들은 이 해중신산ㆍ삼신산을 찾아보려 하였으며 노래나 문학 그리고 닮은 모습(造形 작업) 등으로 표현하였다. 해중신산(삼신산 포함) 圖像은 본 연구에 소개한 조선시대 후기인 18 세기에 만든 도자기의 그림에서처럼 다양하다. 그 중심은 섬(산)이고, 物象으로 동물(새ㆍ사슴ㆍ거북이ㆍ어류(물고기ㆍ게ㆍ새우 등), 식물(연꽃 ㆍ소나무ㆍ대나무ㆍ不老草), 태양(대개 산의 위쪽), 바다의 표현인 물결, 구름, 배(운송 수단), 집(누각 포함), 인물(신선) 등이 있다. 그 典型的인 모습은 부여 외리 출토 산수문전(도3)~(도5)ㆍ부여 능산리 출토 백제금동대향로(도1)와 符節처럼 연결되는 (도12)이다. 즉 바다 물결 위에 경사가 급한 바위 절벽이 둘러있는 산과 그 산을 배경으로 동물(날짐승ㆍ길짐승)ㆍ식물(소나무ㆍ불로초 등) 등의 물상을 표현하였다. 이외에도 산을 원경으로 배치하고 그곳으로 갈 배를 부르거나 도착한 모습, 산을 근경으로 배치하고 물상을 더 자세하게 나타낸 경우, 산은 생략한 채 뭍 또는 물 속의 물상 중심으로 나타낸 경우도 있다. 물상은 여러 종류인 경우가 많지만 때로는 몇 종류로 그친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 해중신산(삼신산 포함) 도상은 조선시대 도자기 이외의 역사 문화유산에도 다양하다. 이 도상의 원류는 우리나라 신석기ㆍ청동기시대로 소급된다. 그리고 삼국시대에 이르면 공주 무령왕릉 출토 은제 탁잔(도2)(도2-1)ㆍ부여 외리 출토 산수문전(도3)~(도5)ㆍ부여 능산리 출토 백제금동대향로(도1) 등에서 보듯 매우 精緻한 단계에 있었다. 이 도도한 흐름은 (도12)에서 보듯 조선시대 후기인 19세기까지도 큰 변동 없이 전개되었다. 조선시대 도자기 그림 가운데 해중신산 圖像이 있다는 본 연구의 결론은 우리나라 도자사ㆍ회화사 연구에서 첫 주장이다. 이 논문을 계기로 고려ㆍ조선시대 도자기의 그림을 고유의 믿음ㆍ사상ㆍ종교의 전통과 토대에서 탄생한 역사문화유산으로 바라보았으면 한다. 뚜렷한 근거도 없이 산수화(경기도 광주 司饔院 分院 일대의 漢江과 주변 풍경, 중국의 소상팔경을 그린 그림)ㆍ정물화로 보거나 또는 불교ㆍ중국 중심으로 해석하고 또는 그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하는 기존 학계의 잘못도 시정 되었으면 한다. In Northeast Asia, the God mountain(神山) was considered to be a place where perpetual immortals live with aspicious animals such as dragons and phoenixes, and another world, a paradise or an utopia, to want to reach beyond the turbulent and stark reality. It was believed that there was a God mountain in the distance from the sea. In this paper, it is named as ’Haejungsinsan(海中神山, the God mountain in the sea)’. In Korea, the representative God mountain in the sea was ’Samsinsan(三神山, the Three-God montain)’ which was composed of three islands. The ancient ancestors tried to find the God mountains and Three-God mountain in the sea, and expressed them by singing, literature, resemblant shape(molding work), etc. The icons of the God mountain in the sea including the Three-God mountain are as diverse as pictures of the porcelain in the 18th century of late Joseon which was introduced in this study. The center of it is the island (the mountain), and there are also things of nature[物象] like animals [bird, deer, turtle, fishes(fish, crab, shrimp)], plants (lotus flower, pine tree, bamboo), water waves, clouds, ships (vehicles), houses (including pavilions), figures (immortals) and so on. The typical appearance (Fig.12) is very connected to the Landscape Design of Earthenware Patterned Tiles from Oe-ri, Buyeo (Fig.3)~(Fig.5) and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from Neungsan-ri, Buyeo (Fig.1). In other words, the mountains are surrounded by the rocky cliffs with a sharp slope on the sea wave, and in the background of the mountains, animals (birds, wild animals), plants (pine trees, etc.) are represented. In addition, when mountains are placed in a far distance, the scenes of calling a boat for leaving or docking it there are drawn and when mountains in a near view,the things of nature are shown in more detail. And in some cases, the mountains are omitted and only objects from land or water are centered. There are many kinds of objects, but sometimes several kinds expressed. The icons of the God mountain in the seas including the Three-God mountain in Korea are also varied in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he ceramics of the Joseon Dynasty. The origin of this image is back to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era. By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Silver Cup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Gongju (Fig.2) (Fig.2-1),the Landscape Design of Earthenware Patterned Tiles from Oe-ri, Buyeo (Fig. 3)~(Fig.5) and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from Neungsan-ri, Buyeo(Fig.1) show very exquisite manners. As shown in the image (Fig.12), this fluent flow continued without any change until the nineteenth century,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at there are similar icons of the God mountain in the sea on the paintings of the Joseon porcelains is the first announcement. This result will lead to another angle to view the paintings of the Goryeo and Joseon porcelains as a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born from the tradition and foundation of the original belief, thought, and religion of Korea. I also expect that the misconceptions will be corrected in the existing academical researches, which are based on simple landscape paintings(the paintings of the Han River and surrounding scenery around the Gwangju temple in Gyeonggi province, Korea or the paintings of Eight Views of Xiaoxiang, the southern part of China) or still life without any clear ground, and which have been interpreted focusing on Buddhism or Chinese influence.

      • KCI등재

        신라 금관에 관한 연구

        조원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2 문화와예술연구 Vol.20 No.-

        This study argues that the Silla gold crown is an expression of energy ‘gi(氣, vitality, power)’, and growth[生長] through its shape and pattern. The iconography of the vitality and growth encompasses vividness, birth, growth, diffus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something spiritual and marvelous[神異] and hwasaeng(化生, purified energy and expression of life). The typical shape of the Silla gold crown, which represent the vitality and growth, is an outstretched ornament of a mountain. This is a pattern that combines the design of trees growing upward with the expression of the vitality and growth. Analyzing, first is the four-direction pattern  that expresses stems and branches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and second is the pattern growing upward rather than downward, which is why the left and right branches of the gold crown suddenly bend 90 degrees and soar upward. The third is a three-pronged pattern, which means the beginning appearance of the vitality and growth. It is the first shape to show the center, its left and right together,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balance, simplicity, and connotation, and is related to the Samjae(三才: Heaven, Earth and Man)  thought. The shapes and patterns on gold crowns and caps are the very special expressions accompanied by the vitality and growth and were universal to Korea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t that time, which did not exist in the neighboring ancient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In other words, the iconography of Silla’s gold crowns or gilt bronze crowns is a unique heritage of the world and its vitality and growth expressions were especially spread and influenced to ancient Japan. 신라 금관(특히 경주 출토 5점)은 신라 최고위층이 사용한 최고 품격의 모자이다. 이들은 원형 관테의 위로 세운 장식인 입식(立飾)과 아래로 드리운 장식인 수식(垂飾)이 중심이 되는 형태이고 그 표면에는 다수의 곡옥(曲玉)과 영락(瓔珞)을 매달고 점선문・점열문・원문・삼각문・덩굴문 등의 문양들을 점으로 표현하였다. 이 중에서 입식은 나무 모양을 도안한 세 산자 모양<山字形. 또는 출자 모양出字形>과 두 사슴뿔 모양이다. , 필자는 이 논문에서 신라 금관의 형태(나무・사슴뿔・연꽃・곡옥・영락・수식)과 문양(삼각문・덩굴문・원문) 모두가 기(氣・기운・기력)와 생장(生長) 표현이라는 주장을 거듭 주장, 강조하였다. 금관의 기와 생장 표현은 생동감・생명력・힘・성장・발전 나아가 신이와 화생(化生)까지도 아우른다. 신라 금관의 기와 생장 표현을 분석하면 첫째 입식(나무와 사슴뿔) 등의 형태를 기와 생장의 대표 주자인 연꽃 모양으로 변형한 것, 둘째 금관 표면에 우리 겨레 역사문화강역 안 신석기・청동기시대부터 기와 생장을 대표하는 삼각문・덩굴문・원문을 표현한 것 셋째 기와 생장 표현 모두를 연꽃으로 인식하고 상호 동격・교호(交互)・호환 관계로 표현한 점이다. 신라 금관의 대표적인 모습은 ‘산(山’)자 모양 입식이다. 이는 위로 자라는 나무의 도안에 기와 생장 표현 등을 결합한 도안인데 이를 분석하면 첫째 기와 생장이 중앙에서 외곽으로 전개되는 모습 중 네 방향 표현(줄기와 가지이기에 네 방향이 됨), 둘째 중앙에서 외곽으로 확산되면서 동시에 아래보다 위쪽으로 향하는 생장하는 표현(금관의 좌우 가지가 갑자기 90도(度) 꺾여 위로 솟구친 이유) 셋째 기와 생장 표현의 초기 모습인 세 갈래 표현(중앙과 그 좌측과 우측을 함께 보여 주는 첫 모양. 좌우 균형과 안정, 간결・함축을 담고, 삼재三才 사상과도 관련된다. 금관의 형태와 문양 특히 기(기운)와 생장을 동반한 표현들은 금관 외에도 당시 우리 겨레의 역사문화유산에 보편적으로 존재하였다. 이웃한 원(原) 중국 역사문화강역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우리 겨레의 세계적・독보적・독창적 역사문화유산인 신라 금관・금동관의 형태와 문양 특히 기(기운)와 생장을 동반한 표현은 고대 일본에도 전파되고 영향을 끼쳤다.

      • KCI등재

        한국의 古代 ‘神山 世界’ 圖像 연구(上) – 三國時代까지, 氣 표현 중심으로 –

        조원교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is the term what I defined. It is detailed images of harmony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mountains. These images are usually expressed as imaginary, ideal, and the immortal world.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is an utopia where people want to live, as considered a shelter and a state of enlighte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nding and examining the examples of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It is also a study on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which is a representative work of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motif in ancient Korea. For this reason, this study deals with relics which were made until the early 7th century, date of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referred as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examples, ‘the world of sacred mountain’ images until the Three Kingdoms period are as follows. Some of these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First, the mountain is a main motif. Huge objects that people encountered commonly were mountains, and it gave people number of benefits. Furthermore, people regarded the mountain as an existence that interact with the celestial world and the place where god lives. Second, most people are taoist hermits and most animals are imaginary creatures (dragon, phoenix, etc.). Some animals exists in the real world, but they are, after all, members of the imaginary world, the ideal world,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and the immortal world. Third, it contains gi(氣) and giun patterns in whole or in part. These were expressed by jeommun(點文), jikseonmun(直線文), pasangmun(波狀文), guchimun (鋸齒文), samgakmun(三角文), wonmun(圓文), gwangmangmun (光芒文), yeonhwamun (蓮華文), hwayeommun(火焰文), pahyungmun(巴形文), dangchomun(唐草文), and etc. For example, the mountain was expressed by samgakmun(三角文), dangchomun(唐草文), jeommun(點文), jikseonmun(直線文), pasangmun(波狀文), and etc. Fourth, hwasaeng(化生) and yeonhwa-hwasaeng(蓮華化生) patterns, one of the gi patterns, are depicted together. These patterns are also represented by various patterns as mentioned above. Fifth, several patterns of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that appear in gi, hwasaeng and yeonhwa-hwasaeng form mutual apposition and compatible alternation with equality. It is an appearance that mountain expressed as yeonhwamun, samgakmun, dangchomun, jikseonmun, and etc. In case of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33 small mountains which are incarnated from the mountains were appeared as lotus motifs. The oldest expression of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in the Korea's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today the Korean Peninsula, Northeast China, Inner Mongolia included) was found in the relics about 2,000 years ago. Furthermore, they even well contained the expression of gi (including hwasaeng) from the Neolithic period. The expression of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in Korea was handed down without major changes during 660 years, from the time around 1st century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is respect, ‘the world of sacred mountains’ motif in ancient Korea was established long before the 1st century. This motif was distinctly developed within the realm of our history and culture. It also maintained a unique style and identity without influence from neighboring countries until the Three Kingdoms period. ‘신산 세계’란 필자가 정한 용어이다. 산을 배경으로 인간과 동물들이 격이 없이 어울려 살아가는 物象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모습인데 대부분 상상의 세계・이상 세계・신의 세계・神仙 世界로써 표현하였다. ‘신산 세계’는 사람들이 가고 싶고 살고 싶은 이상향, 고달픈 현실을 떠난 도피처였고, 사후 도달하기 바라는 일종의 피안의 세계였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고대 ‘신산 세계’의 예를 찾아 해석하고 그 계통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마련하였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신산 세계’ 도상인 백제금동대향로의 연구 일환이기도 하다. 따라서 백제금동대향로의 제작 연대인 7세기 前半을 전후로 한 시기 즉 삼국시대(하한 668년 즉 7세기 중엽)까지 유물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 논문에서 소개한 예들을 통하여 볼 때 우리나라 삼국시대까지의 고대 ‘신산 세계’ 표현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이 가운데 일부는 다른 나라의 것들과도 일치된다. 첫째 물상에서 산이 가장 중심이다. 산을 중심으로 삼은 것은 산이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큰 존재이고 여러 혜택을 주며 또 신이 거주하고 하늘과 소통하는 존재로도 여겼기 때문이다. 둘째 물상들에서 인간은 대부분 신선이고, 동물은 대부분 상상의 동물(용・봉황 등)이다. 물론 현실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동물들도 있지만 이들도 결국은 상상의 세계・이상 세계・신의 세계・신선 세계의 구성원이다. 셋째 물상들의 부분 또는 전체에 기・기운을 표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점문(점선문 포함)・직선문・파상문(일종의 당초문)・거치문・삼각문・圓文(동심원문 포함)・光芒文・연화문・화염문・巴形文(巴文)・唐草文 등 문양이나 그 형태로써 나타냈다. 예를 들면 산을 삼각문・당초문・점문(점선문 포함)・직선문・파상문(일종의 당초문) 등으로 표현한 것이다. 넷째 기・기운 표현 가운데 하나인 화생・연화화생 표현도 함께 한 경우가 많다. 물론 이 경우도 위에서 열거한 여러 문양이나 그 형태로 나타냈다. 다섯째 위 ‘신산 세계’에 등장되는 여러 문양이나 형태들은 기・기운 표현 또는 화생・연화화생 표현을 할 때 상호 동격・호환・交互됨을 보여 준다. 산을 연화문・삼각문・당초문・직선문 등으로 나타낸 현상이다. 백제금동대향로의 경우는 산에서 화생되는 ‘33개 작은 산’들을 연꽃(자세하게는 연판) 모양으로 나타냈다. 우리나라 역사문화영역(오늘날 한반도, 중국 내 東北三省・內몽고 포함)에서 가장 오래된 ‘신산 세계’ 표현은 지금으로부터 약 2천여 년 전인 기원전후 시기 유물들에서부터 보인다. 그런데 이들에서도 그 이전 우리나라 신석기시대부터 전개된 기의 표현(화생 포함)이 잘 담겨 있다. 우리나라 쪽 ‘구체적인 신산 세계‘ 표현은 기원전후 시기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약 660여 년에 걸친 동안에도 큰 변화 없이 전승되었다. 이러한 상황들을 통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신산 세계’ 표현은 기원전후 시기보다 훨씬 이전에 성립되었음이 분명하다. 나아가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이웃 나라의 영향을 그다지 크게 받지 않고 고유 영역을 형성하며 전승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