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화의 정도에 따른 소리내어 읽기의 효과

        선영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5

        Though many studies have highlighted on the effect of Reading aloud,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aloud.’ In order to look into some different field of these studies, this research explored the 'aloud,' in terms of checking whether the degree of the EFL learners' utterance and its' change affects the reading comprehens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re were two research questions. One is whether the pitch of utterance affects the reading comprehension. The other is whether the degree of utterance change affects the reading comprehension. A total of 78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goal of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asked to record reading aloud assignments once a week during the 3 weeks. The utterance was based on the average of the recording decibel which is measured by the decibel-measurement app. To examine all the data, independent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mployed and SPSS 23.0 was used to analyze them. As a result, all participants who have submitted 3 recording assignments outperformed the group of students who did not submit their assignment properly in the midterm test as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 utterance of recording group and the low utterance of recording group. All the data of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based on the degree of utterance chang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as we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ading aloud affect on the EFL learners regardless their utterance degree and pitch of it. 기존의 다수 연구들이 소리내어 읽기 교수법의 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에 비해 본 연구는 소리내어 읽기의 ‘소리내어’에 관심을 두고, 외국어 학습자들이 내는 소리의 차이에 따라 독해에 변화가 생기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첫째, 소리내어 읽기를 할 때, 발화의 크기에 따라 독해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소리내어 읽기를 할 때, 발화 크기 변화의 정도에 따라 독해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 총 78명의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은 3회의 소리내어 읽기 녹음 과제를 온라인으로 제출하였다. 학생들의 발화 크기는 소리 측정 앱을 통해 기록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하였다. 자료의 결과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 검정과 상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SPSS 23.0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소리내어 읽기 과제를 수행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독해 성적이 높았다. 이 집단을 발화 크기에 따라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비교하니,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이 제출한 과제들을 모두 비교해서 발화 크기의 변화 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발화 크기의 변화 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독해 성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발화 크기와 정도와 무관하게 소리내어 읽기 활동을 하는 것만으로도 독해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대학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 및 군집분석

        선영,장후은,이종호 한국지리정보학회 202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considere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f Korean universities and performed cluster analysis to identify the spatial range with high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onnectivity. By university establishment type,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apacity of the major national university was superior overall, especially in the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sector and the infrastructure sector, compared to private universities and general national universities. The spatial pattern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apacity showed relatively clear differences by city and province. In term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apacity by secto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ional gap was not large in the talent training sector and the infrastructure sector, but the regional gap was relatively large in the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sector and the start-up sector.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to identify a spatial range with high connectivity in terms of similarity and spatial proximity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atterns, it is divided into 15 clusters. It is found that most of major national universities are included in one of 15 clusters where all sector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re strong. Therefore, as a policy measure to achieve regional innovative growth through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hub & spoke network-type collaboration system in which a major national university acts as a hub and nearby local universities play a spoke role. 본 연구는 한국 대학들의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고, 산학협력 연계성이 높은 공간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대학 설립유형별로는 거점국립대학의 산학협력역량이 전반적으로 우세하며, 특히 기술이전·사업화 부문과 인프라 부문에서 사립대학이나 일반국립대학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은 시·도별 차이가 비교적 명확히 나타났다. 부문별 산학협력 역량에서, 인재양성 부문과 인프라 부문에 있어서는 지역간 격차가 크지 않으나, 기술이전·사업화 부문과 창업 부문에 있어서는 지역 간 격차가 비교적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학협력 패턴의 유사성과 공간적 근접성 측면에서 연계성이 높은 공간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군집분석을 한 결과 15개 군집으로 나누어졌으며, 산학협력 전 부문이 강하게 나타나는 군집에서 거점국립대학이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학협력의 효과성 제고를 통해 지역혁신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 거점국립대학이 허브(hub) 역할을 하고인근의 지역대학들이 스포크(spoke) 역할을 하는 허브 & 스포크(hub & spoke) 네트워크형 협업 체계의 구축을 제안한다.

      • KCI등재

        카카오 톡을 활용한 토익 스피킹 수업에 관한 연구

        선영,배상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s of Kakao Talk, which is used by a majority of learners today, on TOEIC Speaking, along with the feedback of the learners to the activities using the main functions of this popular SNS app. Nine university students, whose majors and grades vari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was implemented for the subject of TOEIC Speaking, and the class proceeded with 2 hours over the course of 15 weeks. The researcher provided a Kakao open chatting room, wherein the students could take part in all of the activities with their classmates. Three main Kakao Talk functions were used: taking photos, text messaging, and voice recordings. To reveal the effects of these activities, three phases of TOEIC Speaking were selected: Describing a Picture, Responding to Questions, and Expressing an Opinion. Two tests, and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onducted, and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learners’ feedback regarding the activities themselves, an open-answered survey and a class discussion were follow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all of the learners’ test scores increased, and all of their levels were upgraded, even though this did not equate with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the three activities, the learners selected the activity of taking photos and sending them as the most effective one. Nevertheless, all of the learners regarded all of the Kakao Talk activities as useful.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Kakao Talk has the potential to serve as a crucial tool in English education. 본 연구는 다수의 학습자가 사용하는 카카오 톡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을 토익 스피킹 수업에 활용하고그 효과와 학습자들의 평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주일에 2시간씩 총 15주 동안 진행되는토익 스피킹 강좌를 수강하는 총 9명의 학생이 참여하였다. 카카오 톡에 오픈 채팅방을 개설하여 토익스피킹의 사진 묘사하기, 설문 조사 응답하기, 의견 제시하기 활동을 수행하였다. 활동에 이용된 기능은사진 전송, 문자 채팅, 음성 녹음 기능이었다. 활동의 효과는 사전/사후시험을 시행하여 대응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의견을 들어보기 위해 설문조사과 자유 토론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습자들의 토익 스피킹 성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으나 전제학생 모두 성적이 향상되어 토익 스피킹 레벨이 상승하였다. 또한, 카카오 톡의 세 가지 기능을 사용한활동도 모두 성적이 향상되었다. 학습자들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사진/문자 전송 활동이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답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학습자들은 음성 녹음 기능이 가장 효과가 낮다고 대답하였으나 실제로음성 녹음을 활용한 활동의 성적이 가장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모든 학습자가카카오 톡을 수업에 활용한 부분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본 연구를 통해 카카오 톡이영어 교육에 잠재적으로 중요한 도구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국내 축산분야 ICT 융합 기술개발 동향 및 가축 육종에서의 활용

        선영,박종호,이준헌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 2021 한국동물유전육종학회지 Vol.5 No.4

        Livestock industry in South Korea is facing many difficulties due to the aging of the farm household popula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livestock industry market resulting from the termination of FTAs.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has made effort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livestock industry through various policies such as scale-up of breeding farms and modernization of facilities. However, it is urgent to introduce innovative measures due to an increase in the management burden on farmers and number of livestock and a decrease in the working population. The introduction of ICT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have achieved technological innovation. Accordingly, the smart farm, which combines ICT technologies with the agricultural sector, is widely spreading as one of the ways to solve rural and agricultural problems. The authority is promoting the ‘ICT Convergence project’ in the livestock sector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livestock farms an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livestock industry through optimal breeding management.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s present situation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farm to the domestic livestock industry and ICT R&D trends and then analyzes challenges of national ‘ICT Convergence project’. The remainder of the review discusses expectations when applied to livestock breeding sector. 본 연구는 국내 ICT 융복합 확산사업의 평가를 함으로써 그동안의 성과와 문제점을 밝혀내고, 추후 가축 육종을 위한 ICT 기기 이용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먼저 국내 축산 분야 ICT 기기 도입 현황 및 스마트팜 연구 개발 추진 현황에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축종별 스마트팜 기술 개발 연구 동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재 양돈, 한우, 가금 분야에서 1세대한국형 스마트 축사 모델 개발이 완료되었고, 축종별 ICT 필수 사양 장치 요소 기술의 개발 및 실용화 개선 방안 연구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팜 선도 국가들과 비교 시에 국내 ICT 기술 수준은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고, 표준화 및 연계장치 구축이 미흡하여 양질의 데이터가 생산이 되어도 수집된 자료가 정밀 데이터로서 활용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또한, 통합 데이터 플랫폼의 부재로 가축 생체 및 환경데이터를 수집해도 공유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 문제점을 개선 하여 축종별 정밀 데이터 수집 및 공유 체계가 구축된다면, 국내 가축들의 개량을 신속하고 과학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으 로기대된다.

      • KCI등재

        융복합 교양교과목 시행과 학습자의 견해 분석

        선영(Sun Young H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는 교양영어와 서양미술사를 융복합하는 시도를 통해 새로운 교양교과목을 개설, 시행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살펴봄으로써 융복합 교양교과목의 방향과 가능성을 알아보고자한다. 방법 본 강좌를 수강한 전공과 학년이 다른 총 40명의 대학생에게 융복합 교걍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와 과목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만족도 관련 문항은 객관식 문항으로 제시된 반면, 학습자들의 다양한 견해를 듣기 위하여 서술형 문항도 함께 제시되었다. 객관식 문항은 만족도와 융복합 과목 간의 균형, 편향을 알아보기 위해 이들의 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40명의 학습자의 본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2를 나타냈으며, 과목에 대한 장점으로는 동시에 두 가지 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는 점과 서양 미술사를 학습할 수 있다는 점, 과제로 제시된 박물관 감상 리포트를 들었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서양미술사에 치중하여 영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점과 미술사에 대한 배경지식의 부족을 들었다. 장점에 대한 견해가 단점에 대한 견해에 비해 보다 구체적이었으며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결론 서양미술사와 교양영어의 융복합적인 교양교육과정은 미술사를 통해 학습자의 타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영어를 통한 글로벌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미래의 융합교과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문화적 배경과 통합교과 간의 균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the convergent liberal arts curriculum of humanities and arts. For this end, this research attempted to combine liberal English and Western art history and examine the opinions of learn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0 college students with different majors and grades who took this course. A survey was employed with two types of questions: one for their satisfaction was presented as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the other for their various opinions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ubject.was presented as descriptive question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satisfaction of the subject was 4.2 out of 5, which was very similar to the opinion on the balance between English and Western art history. The advantage of the subject was that it was possible to take two courses at the same time, while the disadvantage was that it did not help English learning enough because it focused on Western art history. Conclusions The convergent liberal arts curriculum of West art history and liberal arts English has shown a possibility to foster learners'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through art history and improve their global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English as a great tool. The future convergent liberal arts curriculum, therefore, needs to provide students the cultural background and balance between integrated subjects.

      • KCI등재

        장애노인 자살생각 영향요인

        선영,김혜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4

        본 연구는 장애와 노화라는 이중 위험에 처해있는 장애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차적인 자살예방을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4년에 실시된 제9차 장애인 실태조사에 참여자 중 65세 이상 2,759명의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심리적·신체적 건강 관련 변수, 사회적지지 및 인구사회학적 변수, 그리고 장애 관련 변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노인 중 약 22%가 지난 1년 동안 자살생각을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살생각의 위험이 높은 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거노인인 경우, 장애를 갖게 된 기간이 5년 미만인 경우에 자살생각 위험이 높았고, 우울을 경험한 경우,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경우, 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해 좋지 않다고 생각할수록, 그리고 만성질환 수가 많은 경우에 자살생각을 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생각의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들에 대해 개입함으로써 장애노인들의 자살생각을 낮추고 자살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With a growing number of elderly with disabilities and the rapid increase in suicide rates among the elderly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was set out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suicidal ideation. The study used the Korean national survey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y 2014 (9th wave) for analyses. Data from a total of 2,759 individuals aged over 65 years were used to identify potential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 shows that an alarming figure of 22 percent of the elderly had thoughts about suicide in the past year, and those living alone, had disability for less than five years, experienced a high level of stress, depressed, and relatively unhealthy elderly with more chronic illness and lower self-rated health were more likely to think about suicide than their counterparts. These findings call for a need to develop various preventive measures in working with the elderly, particularly those who became disabled in recent years.

      • KCI등재후보

        기장 오리 신리 요지 편년연구

        선영 ( Sun Young Hur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8 文物硏究 Vol.- No.13

        부산광역시 동북쪽에 위치한 기장군에서 도예촌 조성과 관련하여 2007년 2월부터 7월까지 지표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조사에서 장안읍 일대를 중심으로 청자요지 2곳, 분청사기요지 1곳, 백자요지 1곳, 옹기요지 2곳과 정관면에서 백자요지 1곳 등 모두 7개 지점에서 도요지 관련유적이 확인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 중 기장군 장안읍에 위치한 오리 신리 요지에서는 한국 도자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인 14세기 대에 상감청자대접의 주요한 문양으로 등장하는 蓮唐草文을 비롯해 柳文·蘆文·雨點鶴文 등이 새겨진 도자편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기장 오리 신리 요지는 후대의 인위적인 훼손으로 인해 현재 가마 유구의 현상 파악은 어려우나 지표조사에서 수습된 다량의 도자편 분석을 통해 이들 유적에 대한 편년연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리 신리 요지의 제작시기를 추정해 볼 것이다. 먼저, 요지 도자편의 기종과 기형, 문양, 제작수법을 면밀하게 검토해 보았다. 확인된 기종은 대접과 접시가 중심을 이루고, 그 외 기타 도자편과 요도구 등도 확인되었다. 문양은 도자편의 크기가 대체로 작아 전체적인 문양구성을 살피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문양 구성과 위치에 근거하여 주문양과 종속문양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제작수법에서는 유태와 굽의 깎음새, 번조수법은 갑번인지 포개구이 번조인지에 대한 여부와 받침은 어떠한 것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요지의 조성시기는 절대연대를 가지는 유물과의 비교 즉, 간지명?관아명?능명?연호명 청자 편년유물의 기형(각접시, 돌기문접시) 혹은 문양(연당초문, 변형당초문, 유문, 노문, 우점학문)과의 비교를 통해 제작시기를 가늠하였다. 그 결과 오리 신리 요지는 1350?1370년대 사이에 요업이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기장지역 도요지와 도자에 대한 조사연구가 정식으로 학계에 보고된 적이 없는 상황에서 이 지역의 연구는 지역 도자사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A research of earth surface was conducted by me from February to July 2007 on the subject of ancient formation of ceramic art villages at Gijang county, Busan. The research, though it was just a survey of earth surface, is a significant work since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ill now concerning pottery at Gijang area and reported officially to the learned circles. From the pottery located at Sinri village of Ori was discovered ‘design of lotuses and arabesques,’ an important pattern frequently appeared at ‘Cheongja Sanggam Daejeop’ (celadon porcelain inlaid bowl) in the 14th century. Also found are such patterns as ‘design of willows,’ ‘design of reeds’ and ‘design of cliuds and cranes’. The mentioned pottery was marred by posterity, so observation of his remained structure has become difficult. However, I decided that with the recovered slices, chronological research of the three remains is worth trying, so I brought them up as the object of my study. To determin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potteries, I first reviewed the kinds and techniques of production, together with patterns and abnormalities of the slices. Bowls and dishes were focal points of my survey as they are kinds that have been recovered most so far. Other items such as ceramic slices and kiln tools were also investigated. I have divided the remains into daily tableware and religious utensils. However, I have encountered limitation in studying the whole composition of pattern since most of the excavated slices were small sized. Nonetheles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main pattern and subordinate pattern based on general composition of patterns and their locations as well as their appearing ratio. As for production skill, I observed cutting shape of ‘Yutae’(special oil painting) and bottom of the slices, their firing technique, whether they are ‘Gapbeon’ (high-grade product) or ‘Pogae Gui’ fired one, and what material was used as prop. As a result of my observing the ceramic slices from Gijang area, I came to know that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he three potteries lie in ‘design of lotuses and arabesques’ celadon porcelains from Sinri potteries, and the utensil production for religious service. Through the above analysis, along with study of documentary records and comparison with other remains that were recovered from stable stratum or bearing dates, I could surmise the specific production period of each pottery. In particular, I could estimate production period of ceramic kilns at Sinri villages of Ori by comparing them with the season, authorities, land and chronological era inscribed at celadon porcelain, as well as abnormalities and patterns of the remains. As the result of my research I conclude that the pottery at Sinri village of Ori began production of ceramics at a period between 1350-137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