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정 개발연구: 포커스그룹 및 델파이조사를 중심으로

        배은경,고정애,김용진,박병선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6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pplement and improve the current continu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 with the new continuing education standard that will be enforced in 2018.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 from experts in the social work field and academia, we conducted delphi surveys to collect experts' opinions on continuing education implement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participants for focus group included 5 experts in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 field and academia, and 36 field experts for Delphi survey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the subjects of the educations should be expanded to broadly include changes in the mental health policies and systems, the specific theories and techniques applicable directly to the field, the identity issues and prevention of burnout, and the subjects that can improve approaches to and perception of the clients. Second, the small group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and the participations should be included in the selec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management of the system. Lastly, the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divided more based on the career rather than the licensure grad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e contents and proces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본 연구는 2018년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보수교육 의무화로 인한 기존의 보수교육 시스템에 대한 보완과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보수교육과 관련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현장 및 학계전문가 5명이 참여하였고, 델파이조사에는 현장의 전문가 36명이 참여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수교육의 내용으로 정신보건 정책과 제도의 변화, 현장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구체적인 이론과 기술,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소진예방,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식과 접근의 변화를 도모하는 주제 등이 포함되도록 다양하게 확대 및 변화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보수교육의 운영 방식에 있어서는 소규모 교육의확대 및 교육수요자들이 직접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커리큘럼의 구성, 교육참여 관리시스템의 구축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보수교육 내용은 자격 급수를 기준으로 구분도 필요하지만 경력에 따른 구분이 더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마련되어야 할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보수교육 과정에대해 트랙제 보수교육 커리큘럼인 커리그리드의 운영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일상생활 특성이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은경,배태웅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5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0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For this study, the data of 2,216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from the raw data of the 4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2011)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of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test of the main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by Aiken and West, which is based o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test of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health condition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better, when thei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is higher, when they can live more independently without the other's assistance, when they have a religion, a spouse, earned income an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when they are male, their life satisfaction tended to be higher. Second, as their life satisfaction tended to be higher when the degree of disability acceptance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s higher, the main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has been verified. Third, as for the moderating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whil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group with the high degree of disability acceptance tended to gradually decrease when they need more assistance, that of the group with the low degree of disability acceptance tended to increase when they need more assistance and such increase was relatively greater than the decrease of life satisfaction of the group with the high degree of disability acceptance. It, therefore,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disability acceptance was moderating the effect of the degree of the necessity of other's assistance in daily lif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suggestion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made in the aspects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e. 본 연구는 장애수용이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에 어떤 조절효과를 가지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4차년도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대상에 해당하는 지체장애인 2,216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독립변수의 주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에 기초한 Aiken과 West의 조절효과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은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경우, 타인의 도움이 필요 없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유배우자, 근로소득이 있고,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남성인 경우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수용 요인의 주효과가 입증되었다. 셋째, 장애수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장애수용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이 높아질 때 생활만족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장애수용 수준이 낮은 집단은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이 높아질 때 생활만족의 차이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즉,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정도가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장애수용이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의 생활만족 향상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 주거환경 변화에 의한 스마트 홈에 관한 연구

        배은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2

        유비쿼터스 테크놀로지가 미래 공간에 제공됨에 따라 인간은 그들의 삶에 더 많은 편리함과 번영을 이루어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환경변화에 따른 스마트 홈을 다룬다.1장에서는 연구 주제의 배경과 목적 등을 서술한다. 2장에서는 주거공간의 변화와 그 제반요소들을 분석한다. 3장에서는 변화하는 주거환경을 예측하는 저서들과 디지털기술을 중심으로 스마트 홈을 연구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예측된 요소들로 현대 연구 개발된 스마트 홈을 사례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변화하는 주거환경의 관점에서 컴퓨터, 사물, 인간, 공간간의 관계를 연구하고, 주거환경변화를 예측하여 현재 연구 개발된 스마트 홈의 사례분석 연구하여, 개발방향을 제안한다. As ubiquitous technology(uT) is offered in the future space, human will find their life more convenient and prosperous, and the space efficiency will be improved with virtual displays within a limited space. In an living space with ubiquitous environments, all information of family members will be an essential source creating advanced future spaces both for users and for those maintaining the space.In recent studies of uT environment, have been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systems.It is unsatisfactory,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study of how these studies can be developed convergently human, objects and each places where we are living.In this paper, we study about the matrix of smart home created through space analysis to suggest ways to predic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devices/services and the building elements based on physical space with uT and to offer services smoothly to uT environment, intelligent devices and their user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정신건강 인식 연구: ADHD 관련 인식을 중심으로

        배은경,최인숙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child guidance and their perception of ADHD and education for supporting children’s mental health,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and without education for supporting children’s mental health. Data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ce cluster sampling method from 157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from Gwangju.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workers thought the attention deficit behavior and the lack of emotional control as problem behaviors in need of help. Second, around half of them considered ADHD as illness. They also felt not enough knowledge about ADHD or treatments for it. Third, although half of workers had experience in education for supporting children’s mental health, most education programs they participated in were the lecture type without role-play on the contrary to their demand. Forth, the group of workers with training education perceived drug treatment for ADHD more positively and teaching children with ADHD more competently than those without education. Implications for training education for supporting children’s mental health have been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지도, ADHD, 아동정신건강지원교육 등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 아동정신건강지원교육 경험여부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에 있다. 이를 기반으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욕구에 기반한 아동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157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참여자들이 도움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아동문제행동은 주의산만, 감정조절, 이해할 수 없는 행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참여자의 절반 가량이 주의가 산만하고 활동량이 과다하게 많은 증상을 병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대부분은 이러한 아동을 위한 특별한 개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정신건강지원교육 참여경험은 대부분 실연 없는 강의로 진행되어 ‘직접적인 교사역할 훈련’을 지속적으로 받기를 선호하는 연구참여자의 욕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정신건강교육 참여경험이 있는 연구참여자는 교육경험이 없는 연구참여자에 비해 ADHD 약물치료와 ADHD 성향 아동 지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ADHD 지식 중 증상 및 진단 지식에 있어 정답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욕구에 기반하여 아동정신건강지원교육을 개발하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