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어 인토네이션ㆍ리듬 指導에 관한 硏究

        柳京子 상명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998 語文學硏究 Vol.8 No.-

        韓國では從來の日本語硏究と敎育は文字言語にかたより, とくに音聲の硏究と敎育はほかの外國語に比べて著しく遲れている. このような狀況を考えてみるときに日本語敎育のためには音聲言語敎育の體系的な硏究が求められる. また韓國人の日本語學習者が多い狀況にも關わらず, 韓國での日本語の音聲敎育の體系的な硏究はあまりなされていないのが現狀である. したがって韓國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學習者にとって專門的な知識がなくとも指導できる體系的な音聲敎材の開發が求められている. 從來の日本語敎育においては音聲指導と言えば分節要素(おもに母音, 子音)についての正確な調音や正しい發音の型の暗記に偏りがちであった. また超分節要素(プロソディ- : リズム, イントネ-ション, アクセント, ポ-ズ, プロミネンスなど)に關しても個??を獨立させて指導してきた感が强い. このような指導は機能別の理解を深めるという点ではよいのだが,一部に偏りがちになる. 實際の音聲指導において初級段階から體系的に自然な日本語を習得させるためには超分節要素全體を系統的に指導するためのわかりやすい方法が求められる. したがって本硏究では韓國人の日本語音聲敎育における初級段階からもっとも自然な日本語を習得させる一つの方法として音樂的刺戟(Mother Goose Rhyme : わらべうたリズム)による超分節要素の指導法を考察する. この音樂的刺戟(わらべうたリズム)による指導法のポイントはまずことばを「傳承わらべうた」や「創作わらべうた」にのせてまとまりのある語句として捉えることである. リズムがくずれたり正しく發音できなかった場合には, 拍打ちや各音の發音矯正にはいる. それから話しことばの學習へと進んでいく. 韓國人の日本語の發音は弛緩させる傾向がある.したがって文頭では緊張が高く文末に行くにしたがって除??に弛緩していく練習をする.「わらべうたリズム」は單にリズム, イントネ-ション, アクセント, 單音などを個別的にかつ分析的に習得させるための發音指導法ではなく, 話しことばを總合的に習得させるための-方法なのである.

      • KCI등재

        <박제상 설화>의 전승적 측면에 따른 성격과 의의

        경자 釜山大學校 韓國民族文化硏究所 2013 한국민족문화 Vol.46 No.-

        This study is about the various traditional aspect an characteristic of Park Jae-Sang’s tale through the oral tradition, folk literature, genealogy of family clan and history books such as Samguksagi and Samgukyusa. In history books, as Park Jae-Sang’s tale based on the Samguksagi and Samgukyusa spread out among the people who lives in that period. It's been mentioned in different constructions and these are presented unswerving loyalty as a symbol reflecting period ideology. Oral tradition has a strong characteristic from a region of legend. Above all things when they try to guaranty and to proof real existence of all the legendry facts, when there effort has made to collect lots of proof of evidence about this legendry facts. A consequence of this effort has made these legendry facts more affluently. These things are trying not to have a fixed idea only in ideology and the history, they are trying to expropriate lots of different ideas and facts, and showing flexibility of democratic alteration of the masses. Folk literature mentioned a region tale with historical evidence from the document and these are combined with the tale of oral tradition. Also by proving tale of region and relative historical vestiges in very certain, folk literature has been helpful to proof the real existence of tale of region. In genealogy of Younghae Bakssi has an achievement of the originator and by his relative stories that came from oral tradition, they harden the binding between the close relatives and to make higher expectation in family clan, and shows awareness of family clan very strongly. These facts are still continues as a family event by shape of sacrificial. Nowadays tale of Park jae sang has a influence in area’s culture, and being an item of development of an area’s culture exercise. Park’s tale has value in area’s personal characters and evidence, also legendry fact in the area. An locality organizations want to make area’s culture value commercial market. 이 글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비롯한 역사서와 구비전승물, 그리고 각 지역의 향토지 및 문중의 세보(世譜)를 통해 <박제상 설화>의 다양한 전승적 측면과 그 성격에 대해 살핀 것이다. 역사서들에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근간으로 한 박제상의 이야기가 세간에 회자되면서 여러 형태로 수록되어 전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시대적 이데올로기를 반영한 충렬(忠烈)의 표상으로 제시되고 있다. 구비전승물은 지역전설적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데, 무엇보다 전설의 실재성를 담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여러 증거물들을 끌어들인 결과 지역전설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이데올로기나 역사에만 고착되지 않고 주변의 여러 요소들을 수용하여 끊임없이 변이하는 민중적 유연성을 보여준다. 향토지들은 지역설화를 수록함에 있어 문헌을 통한 고증과 함께 구비설화까지도 놓치지 않고 아우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설화와 연관된 유적들까지도 소상히 밝혀 설화의 실재성을 드러내는데 일조함으로써 전승력을 강화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향토지들의 역할 수행과정 중에는 해당 인물과 지역 간의 친연성 확보를 위한 의도적 개입도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영해박씨의 세보에는 시조(始祖)의 행적과 그에 얽힌 이야기들의 전승을 통해 문중의 결속을 다지는 한편 가문의 위상을 드높이고자 하는 가문의식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이는 기록만으로 끝나지 않고 가문의 연중행사로 이어지는데 제례(祭禮)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박제상 설화>는 문헌의 신화적, 인물전설적 성격을 벗어나 구비전승하고 있는 각편들을 통해 설화의 시대적, 전승적 변이를 보여주는 좋은 예를 제시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 지역문화 창출의 아이템으로도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이는 지역의 인물이나 증거물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전설이 문학적 가치와 더불어 지역의 정신문화적 가치도 부여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구비설화 속 속신(俗信)의 형태와 구술담화적 기능

        경자(Ryu Kyung ja) 동남어문학회 2016 동남어문논집 Vol.1 No.42

        This study examines looks into superstitions in Dokkebi stories created by Korean people’s lives and imagination and discusses popular consciousness connoted in the superstitions and the functions of oral narratives. Concerning the implicit popular consciousness, we will discuss the following. Firstly, despite the fact that Dokkebi, as a depiction of a human figure, coexists with humans, people are warned that they might suffer misfortune and put their lives at risk if they become excessively close to Dokkebi. Additionally, the identity of Dokkebi is tied with blood, in particular, menstrual blood, which reveals raw vitality of blood and bad luck and fear for menstrual blood at the same time. Secondly, superstitions involving Dokkebi reflect human desire. Various types of superstitions have been born from the original superstition, ‘people become rich if they make friends with Dokkebi’, which reveals the human desire for wealth and honor that is difficult to achieve in reality. The superstitions in Dokkebi folktales provide a detailed look into how people make friends with Dokkebi, what kind of abilities Dokkebi have, and how humans stand up to Dokkebi. Thirdly, Dokkebi superstitions reflect a popular view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revealing the inherent popular idea of maintaining order and balance through the harmony of Yin and Yang. In particular, it clearly shows how common people try to fight off Dokkebi possessing the Yin energy, with the means of ‘a horse, a white color and the left side’that represents the Yang energy and holiness. Fourthly, given the popular ambivalence toward Dokkebi, people regard Dokkebi as a subject to make use of and be friends with as well as to fight off. Therefore, people construct the plot of superstitions in the forms of ‘taboo, handling and prevention’in an effort to find ways to make use of Dokkebi and fight them off at the right time. For the functions of oral narratives, superstitions are the subject matter of Dokkebi stories and determine the narrative structures. It is noticeable that oral narratives of Dokkebi stories are structured centering around a main superstition and give birth to their subtypes and different versions by introducing additional superstitions. It is characteristic of Dokkebi stories that superstitions are used as the medium for the stories to be born, circulated and spread around. Superstitions in Dokkebi folktales are an essential part of the oral narratives, contributing to the reproduction of Dokkebi stories. 이 연구는 한국인의 삶과 상상력이 만들어낸 도깨비이야기 속 속신들을 통해 그 속에 내포된 민간의 의식과 속신의 구술담화적 기능에 대해 살핀 것이다. 속신에 내포된 민간의 의식에 있어 첫째, 도깨비는 사람의 형상으로 묘사되어 인간과 공존하고 있지만, 인간이 지나치게 도깨비와 친밀하면 화를 당하고 목숨까지도 위태롭다고 경고한다. 그리고 도깨비의 정체는 피, 특히 월경혈(月經血)과 결부되어 피에 대한 원초적인 생명력과 함께 월경혈에 대한 부정과 공포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둘째, 도깨비속신에는 민간의 욕망이 투사되어 있는데, “도깨비와 사귀면 부자 된다.”라는 속신을 모태로 갖가지 속신을 생성시키면서,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부(富)와 명예에 대한 민간의 소망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들에는 도깨비와 사귀는 방법, 도깨비의 능력, 도깨비와 맞서는 인간의 대응 등이 속신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셋째, 도깨비속신에는 민간의 음양오행관(陰陽五行觀)이 반영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음양의 조화를 통해 질서와 균형을 유지하고자 하는 민간의 사고가 내재해 있다. 특히 ‘말[馬]・흰색・왼쪽’이라는 양(陽)의 기운과 신성함으로 음(陰)의 기운을 지닌 귀물(鬼物) 도깨비를 퇴치하려는 민간의 대응방식이 잘 드러나 있다. 넷째, 우리 민간에서는 도깨비에 대해 양가감정(兩價感情)을 가지고 있어 도깨비를 교제와 활용의 대상임과 동시에 퇴치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그래서 도깨비를 적절히 활용하고 적당한 때에 퇴치하기 위한 묘안으로 ‘금기・대처・예방’의 형태로 속신을 구성해 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도깨비속신의 구술담화적 기능에 있어 속신은 이야기의 소재 구실을 하면서 또한 서사구조를 결정짓는데, 특히 도깨비이야기는 핵심적인 속신을 기반으로 담화를 구성해 나가면서 거기에 부가적인 속신들을 투입시킴으로써 하위유형과 각편(version)을 만들어내고 있어 주목된다. 즉 속신을 매개체로 이야기가 생성되어 순환하며 확산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이는 도깨비이야기 속의 속신들이 담화를 구성하는 긴요한 장치가 되어 이야기를 재생산해내는 데에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경남 남해군의 전승민요 연구 ­<모심기소리>를 중심으로­

        경자 한국민요학회 2002 한국민요학 Vol.10 No.-

        This researcher sampled 17 villages from the whole region of Namhae consisting of one eup and nine myeon districts in accordance with livelihoods. Then the researcher collected total 420 folk songs from the villages. When they classified according to district-based distribution and singing frequency, the songs were largely occupied by one style, that is, <the song of rice-planting>. Thus this study focuses mainly on it. 1. Regarding styles of folk songs of Namhae, First, unlikely in other regions, existing methods of performing folk songs such as Sunhuchang, Kyohwanchang, solo and chorus are all often used for those songs of Namhae. Solo and chorus are frequently used while planting rice at narrow paddy fields between mountain valleys. Second, the researcher discussed how folk songs of Namhae changed in function, lengthened in description and differentiated in style. Third, onomatopoeic and imitative words, Idioms are repetitively used in folk songs of Namhae, tending to pursue aesthetic qualities. Metaphorical and metonymical expressions are used to describe biological properties of a woman. 2. Regarding their contents, first, folk songs of Namhae employ general themes of Korean peasants' songs, but add wishful descriptions to their later parts to express the resolution of separation or conflicts. Second, folk songs sung in Namhae imply living environments unique to the region, particularly semi-agricultural and semi-marine production. Third, there are several folk songs in Namhae reflecting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opening of 'Namhae Grand Bridg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 KCI등재

        남해군 설화의 가족정서 연구

        경자(Ryu Kyung ja)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8 No.-

        이 논문은 남해군에 구비전승되는 설화를 대상으로 가족관계망 속에 내재한 가족정서를 살핀 것이다. 방법은 가족관계망 속에서도 서사의 중심축을 형성하는 주요인물의 이야기에 중점을 두고, 가족 간의 갈등과 공조(共助)가 바탕이 되어 결말에 이르는 서사 진행의 전후 측면과 구연자의 인식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설화공동체 속에 내면화된 가족에 대한 집단의 정서를 도출해 보았다. 먼저 가족관계망의 기본이 되는 부부이야기에는 공동체의 안정을 위해 요구되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아내의 능동적 헌신이다. 남해군 설화의 부부이야기 대부분은 애초에 결핍을 안고 시작되는데, 이 결핍을 해소하고 가정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이 바로 아내의 무조건적인 공조를 바탕으로 한 능동적 헌신인 것이다. 이 요구가 순조롭게 받아들여지면 공동체 모두가 만족스럽고 안정을 유지하는 반면, 아내의 부정적 대응이 이어지면 공동체는 분노에 휩싸이며 파국을 맞는다. 두 번째로 아들이야기에는 혈연승계의 필연성과 이를 통한 상생(相生)의 지속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부모와 아들 간에는 상호보완적인 공조가 긴밀하게 이루어지는데, 유산상속과 효행을 통해 상생하고 있다. 때문에 이들 간에는 매우 긍정적인 정서가 유지되며, 특히 아들의 공조는 부모의 사후까지도 책임지는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세 번째로 딸이야기에는 출가외인 담론의 고수로 인한 애증의 교착상태가 감지된다. 이는 여성의 통과의례에 수반되는 사회적 통념에 기반한 것으로 양자 간의 인식 차이에서 비롯된다. 이로 인해 설화 속 부모와 딸 사이에는 갈등만 있을 뿐 공조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네 번째로 며느리이야기에는 가족중심적 배타성과 온전한 가족통합을 꿈꾸는 포용성이라는 양가감정(兩價感情)이 표출되고 있다. 배타성이 한국설화의 보편적인 양상이라면, 포용성은 고립된 도서민(島嶼民)이 주어진 여건 안에서 화합과 안정을 도모코자 모색한 삶의 한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family affection inherent in family network based on the transmission of oral epic tales in Namhae-gun. The methodology focused on the stories of main characters who constructed a central axis of narration in the relational net of family. Moreover, the thesis considers the whole process of the narrative from various aspects based on the stories that emerged from conflicts and the mutual assistance among family members. By doing so, a conclusion has been drawn relating to a collective affection inherent in family community. First of all, in the tales of married couples, a basic of the relational family net, there was a full of devotion the wife for a sustainable community. Most tales related to married couples in Namhae-gun started with a some kind of lack in somewhere in the couple's life, and such insufficiencies required a wife’s voluntary dedication and unconditional support to her family in order to alleviate scarcity. If the wife acted so, the community would be satisfied or even take it for granted and things would follow their normal course but if ever the wife was to act otherwise the community would fly into a violent anger that would likely end up by collapsing it. Secondly, in the tales of Sons, there needed to be a necessity of succession by blood relation and a continuity of coexistence through it. To do so, an intimate complementary cooperation dwelt between parents and son through succession to property and filial obedience. Therefore, strong positive affection used to seal the parents and son relation. Furthermore, a support to parents was construed as an imperative element for the son, who was also expect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post management of his parents. Thirdly, in the tales of Daughters, there seemed to be a deadlock created by a feeling of love and hatred due to a discourse of‘being excluded from family’. This was based on social convention including the rite of passage from young girl to women, which was caused by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two periods. There was nothing else but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daughter due to the abovementioned reasons, and no cooperative work was expected. Fourthly, in the tales of Daughter-in-laws, it existed emotional ambivalence that evolved around family-centered exclusiveness and a sense of tolerance for family integration. If such exclusiveness is a universal aspect of the Korean tale, a sense of magnanimity is a way of a life that sought for harmony and peace by isolated islander.

      • KCI등재
      • KCI등재

        남해군 설화의 지역성 연구

        경자(Ryu, Kyung-Ja),한태문(Han, Tai-Moon)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9 No.-

        이 글은 남해지역의 이성계 전설을 중심으로 그 전승 양상과 민중적 지향을 살핀 것이다. 남해지역 이성계 전설의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이태조기단(李太祖祈壇)과 연결된 금산(錦山) 전설의 활발한 전승을 들 수 있다. 이것은 삶의 터전에 대한 지역민들의 애착이 구비전승물을 통해 발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남해 금산이 전국의 명산(名山)들을 제치고 조선왕조의 기도처로 선택되어 전설로서 널리 전승하게 된 데는 신선사상의 상징인 삼신산(三神山)의 형상화로, 남해가 지닌 지정학적 조건이 그 배경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이성계 전설의 각편들이 여러 유형으로 중첩되어 전승한다는 점인데, 이는 금산 전설의 실재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석가세존과 연결되어 있던 기존의 ‘세존도 전설’이 금산 전설과 때를 같이하여 인물의 교체를 통해 변이함으로써 이성계 전설로 편입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전승적 특징은 영향력 있는 유명 인물을 지역전설 속에 끌어들임으로써 지역전설이 공간적 한계를 넘어 널리 전파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지역적 고립성을 극복함과 동시에 정체성을 확보하려는 일련의 노력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남해 금산을 배경으로 한 이성계 전설은 지역적 경계를 허물고 외부로 전승될 수 있었다. 그러나 외부로 전파되었던 금산 전설은 새로운 시대의 도래로 인해 인물에 대한 구심점을 잃게 되자 전승의 의미를 상실하였다. 하지만 남해지역에서는 장소에 대한 정서와 애착으로 오히려 더 활발한 전승을 보이며 대표적인 지역전설로 자리 잡을 수 있게 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s of transmission and the orientation of the people focusing on the legend of Lee Seong-gye.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 legend of Lee Seong-gye in Namhae district is the active transmission of the legend of Geumsan related to Itaejogidan, which is the mound Lee Seong-gye prayed.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attachment to their livelihood of the local people is expressed by oral heritages. The background of the reason why Geumsan was selected as the prayer site of the Joseon Dynasty rather than the famous mountains in the whole country and widely spreaded as a legend is partly because of geopolitical condition of Namhae as the projection of Samsinsan, the symbol of Sinseon -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 - thought. Another distinctive feature is that the versions of the legend of Lee Seong-gye are transmitted in various types, and that is the way to secure the substantiality of the legend of Geumsan. In particular, it is the point that the existing legend of Sejondo related to Seokgasejon is included in the legend of Lee Seong-gye with the legend of Geumsan, being modified by the replacement of characters. These features are the opportunity that local legend was to widely spread beyond its spatial boundary was obtained by relating a famous person to a local legend, and that was a series of effort to overcome local isolation and secure identity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e legend of Lee Seong-gye related to the legend of Geumsan broke down the boundary of an area in a time and spreaded widely. Yet, it seems to lose the significance of transmission as the pivot of character disappeared because of the collapse of the dynasty and the advent of the new era. However In Namhae district, it seems to be the reason of more active transmission and its status as the representative local legend by the emotion and attachment as to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