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팀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학습 활동 추이 분석

        박수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발명영재 학생들이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라 팀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습 활동 추이를 비교 분석하여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 산하 G 초등학교 발명영재 학급에서 발명영재교육을 받고 잇는 5학년 학생 중 입학 성적을 기준으로 동질 집단 3팀을 구성하여 12명을 최종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팀 문제해결 과정을 독립 변인으로 하여 일주일에 2시간 씩 6주간 총 12시간 동안 실시하여 촬영한 동영상 18종에서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학습 활동 빈도를 통해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발명영재는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라 팀 문제해결 과정에서 전체적으로 팀 문제해결학습에서는 모형 제작과 해결 방안을 탐색하는 활동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박수진, 최유현(2014)의 연구 결과에서 세부화하여 학습 활동 추이를 분석한 결과 정보 수집 과정 중에서도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실행 과정 중에서 모형 제작 단계에서 차이를 보일 뿐만 아니라 문제를 이해하거나 구체적 설계와 결과 발표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문제의 구조화 정도가 구조화 될수록 같은 활동의 빈도가 집중되고, 비구조화 될수록 세분화 및 다양화되는 추이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발명영재교육에서 다양한 학습 활동 경험과 다양한 사고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문제의 구조화 정도를 비구조화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과정 학습 활동별 빈도에 따른 추이를 분석한 연구를 기반으로 학습 활동별 소요 시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alyze and to identify learning activity progress of elementary school prodigies of invention during team problem solving process depending on the structuralization level of problem(s). The target of the study are chosen among the fifth grade students who are receiving an education in prodigy of invention in G metropolitan city- affiliated G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grades at the time of entering the school, total of 12 students comprising 3 teams of identical groups were selected as the final target of the study. The experiment set team problem solving process depending on the structuralization level of problems as a single variable. The experiment ran for 2 hours per week for 6 weeks (total 12 hours) and filmed 18 video clips through which the progress through the frequency of learning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prodigies of invention was compared and analys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digies of invention tended to show higher activity frequency in building models and exploring solutions during the team problem solving process depending on the structuralization level of problems as well as in overall team problem solving learning experiences. Also, in the study results of Park Soojin and Choi Yoohyeon(2014), a subdivided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progres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was shown in the information searching stage during the information collecting process and in the model building stage from the carrying out stage. A similar difference was shown in stages of problem understanding, specific planning and presentation of results. It was found that as the problems became more structuralized, the frequency of the same activities became more concentrated and as the problems became more de-structuralized, (the activities) became more subdivided and diversified. As the results of the foregoing, it can be concluded that in order for the education of prodigies of invention to support various learning activities and ways of thinking, there is need for de-structuralization of the level of problem(s).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future researches focus on analyzing the time taken per learning activity based on study(ies) that analyzed the progres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learning activities of problem solving proces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팀 문제해결 학습에서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문제해결 과정 분석

        박수진,최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발명영재가 구조화된 문제, 중간 구조화된 문제, 비구조화된 문제 등 문제의 구조 화 정도에 따른 팀 문제해결 학습에서 문제해결 과정이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여 규명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 서는 초등학교 발명영재교육에서 학생들의 팀 내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수업 전략을 추출하고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팀 문제해결 학습 모형(박수진, 2013)을 초등 학교 발명영재학급 수업에 적용하여 발명영재 학생들이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 서부교육지원청 산하 G초등학교 발명영재 학급 5학년 학생 중 선발 과정에서의 팀 간에 입학 성적을 기준으로 동질한 3개 팀을 구성하여 12명을 최종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설계는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른 팀 문제해결 학습을 독립 변인으로 하여 일주일에 2시간 씩 6주간 총 12시간 동안 실시하여 촬영한 동영상 18개에서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초등학교 발명영재는 팀 문제해결 학습에서 문제의 구조화 정도에 따라 문제 확인, 정보 수 집, 해결방안 탐색, 해결방안 선정, 구체적 계획, 실행(모형 제작), 평가 및 정리 중에서 정보 수집 단계와 모형 제작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발명영재의 팀 문제해결 학습에서 구조화된 팀 문제 해결 학습(WS-TPSL)은 정보 수집 단계의 빈도는 낮은 편이나 특히 모형 제작단계에서는 그 빈도가 비구조화 된 팀 문제해결 학습(IS-TPSL)에 비해 높았다. 이는 발명영재학생들이 구조화된 팀 문제해결 학습(WS-TPSL) 는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사고 활동을 하기 보다는 순서에 따라 모형을 제작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고 차원 사고를 하기 보다는 제시된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만드는 데 주된 활동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aged inventive gifted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in regards to three levels of problem structuralization(well-structured team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rately-structured team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and poorly -structured team 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To implement this study, three models of TPSL(team-based problem solving learning) based on the level of problem structuralization were used to encourage creative thinking and interaction between team members. This research analyzed how the problem solving process was different among the levels of problem structuralization; WS-TPSL, MS-TPSL and PS-TPSF. 12 fifth grade students in three same-leveled teams according to their test scor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s program based on different levels of problem structuralization was implemented during a science camp for inventive gifted students at G elementary school for two hours a week over the course of six weeks(A total of 12 hours). After video recording the classes, the problem solving process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two qualified resear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how students solve problems differently based on the structure level of team problems(WS-TPSL, MS-TPSL and PS-TPSF). The process of TPSL is as follows; defining a problem, collecting data, brainstorm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Choosing a strategy, Creating a specific plan, Implementing the plan, evaluating the results and reflecting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form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implementation (making model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 KCI등재

        Sphingosine 1-Phosphate Receptor Modulators and Drug Discovery

        박수진,임동순 한국응용약물학회 2017 Biomolecules & Therapeutics(구 응용약물학회지) Vol.25 No.1

        Initial discovery on sphingosine 1-phosphate (S1P) as an intracellular second messenger was faced unexpectedly with roles of S1P as a first messenger, which subsequently resulted in cloning of its G protein-coupled receptors, S1P1-5.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of S1P receptors opened up a new avenue for pathophysiological research on this lipid mediator. Cellular and molecular in vitro studies and in vivo studies on gene deficient mice have elucidated cellular signaling pathways and the pathophysiological meanings of S1P receptors. Another unexpected finding that fingolimod (FTY720) modulates S1P receptors accelerated drug discovery in this field. Fingolimod was approved as a first-in-class, orally active drug for relapsing multiple sclerosis in 2010, and its applications in other disease conditions are currently under clinical trials. In addition, more selective S1P receptor modulators with better pharmacokinetic profiles and fewer side effects are under development. Some of them are being clinically tested in the contexts of multiple sclerosis and other autoimmune and inflammatory disorders, such as, psoriasis, Crohn’s disease, ulcerative colitis, polymyositis, dermatomyositis, liver failure, renal failure, acute stroke, and transplant rejection. In this review, the authors discuss the state of the art regarding the status of drug discovery efforts targeting S1P receptors and place emphasis on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 세션 패턴을 이용한 네트워크기반의 비정상 탐지 모델

        박수진,최용락,Park Soo-Jin,Choi Yong-Ra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1 No.6

        Recently, since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is increasing rapidly and, by using the public hacking tools, general network users can intrude computer systems easily, the hacking problem is getting more serious. In order to prevent the intrusion, it is needed to detect the sign in advance of intrusion in a positive prevention by detecting the various foms of hackers' intrusion trials to know the vulnerability of systems. The existing network-based anomaly detection algorithms that cope with port- scanning and the network vulnerability scans have some weakness in intrusion detection. they can not detect slow scans and coordinated scans. therefore, the new concept of algorithm is needed to detect effectively the various forms of abnormal accesses for intrusion regardless of the intrusion methods. In this paper, SPAD(Session Pattern Anomaly Detector) is presented, which detects the abnormal service patterns by comparing them with the ordinary normal service patterns. 현재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초보수준의 일반 네트워크 사용자들도 인터넷상의 공개된 해킹 도구들을 사용하여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침임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해킹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해커들이 침입하기 위하여 취약점을 알아내려고 의도하는 다양한 형태의 침입시도들을 탐지하여 침입이 일어나는 것을 사전에 방어할 수 있는 침입시도탐지가 적극적인 예방 차원에서 더욱 필요하다. 기존의 포트 스캔이나 네트워크 취약점 검색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비정상 침입시도 탐지 알고리즘들은 침입시도탐지에 있어 몇 가지 한계점을 갖고 있다. 기존 알고리즘들의 취약성은 Slow Scan과 Coordinated Scan을 한 경우 탐지한 수 없다. 따라서, 침입시도 유형에 제한을 받지 않고 침입시도에 관한 다양한 형태의 비정상 접속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평상시 정상적인 서비스 패턴을 가지고 그 패턴과 다른 비정상 서비스 패턴이 보이면 이를 침입시도로 탐지하는 개념의 SPAD(Session Pattern Anomaly Detector) 기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