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崔致遠의 玄妙之道와 儒·仙思想

        崔英成(Choi, Young-Sung)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1 한국고대사탐구 Vol.9 No.-

        최치원은 경문왕의 비로 추정되는 ?鸞郞碑序?에서 우리나라에 風流라는 고유사상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풍류’에 대해 많은 학자들의 해석이 있어 왔지만, 신비적이고 추상적인 해석들이 주를 이루며 아직 정론이 없다. 이 글에서는 ‘풍류’, ‘玄妙之道’같은 개념에 대한 문헌적 근거를 찾는 데 역점을 두었다. ‘풍류’란 명칭이 최치원에 의해 부여된 것이고, 그것이 ‘遺風餘流(선대부터 내려온 기풍과 흐름)’를 줄여서 쓴 말임을 밝혔다. 또 ‘현묘’란 말은 노자 王弼의 주석에서 “같은 데서 나왔으면서도 명칭을 달리한다(同出而異名)”고 한 것에 근거함을 고증하였다. 이와 함께 우리의 故國인 君子國과 靑丘國에 仁思想과 柔樸思想의 뿌리가 있어 유교사상과 도가사상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밝힘으로써 ‘包含三敎’의 의미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Chiwon Choi said that Epitaph of Nanrang, the epitaph of a tombstone assumed as the gravestone of King Gyeongmun, indicated that Korea had her own idea called Pungryu. Many scholars have translated Pungryu but there is not yet an argument fixed as a reasonable idea in such translations. In this study, therefore, I concentrated on finding out the literature base for such concepts as Pungryu and Tao of Hyeonmyo. Pungryu was named by Chiwon Choi. I have found out that it stands for Yupungyeoryu(遺風餘流: the spirit and stream coming from the former generation). I ascertained also that the word Hyeonmyo was based on Wang-pil’s annotation on Lao-tzu, “Their names are different although they have come from same source”. I, furthermore, found out that such old Korean countries as the Kingdom of Gunja and the Kingdom of Cheonggu had the roots of the Idea of Benevolence and the Idea of Yubak, which must have large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Idea of Confucianism and the Idea of Taoism. That was, I tried to circumstantiate the meaning of Pohamsamgyo(包含三敎: the Integrated Idea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 KCI등재

        최치원 말년의 역사적 발자취 : -가야산 은둔 이후를 중심으로-

        최영성 ( Choi Young-sung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3 No.-

        지금까지 고운 최치원의 말년 행적은 『삼국사기』에 실린 「최치원 열전」의 내용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료가 부족하여 충분히 밝혀지지 못했고, 사실과 다르게 인식되어 온 것도 있다. ‘속세를 떠나 신선이 되었다’는 것은 한갓 전설에 불과하다. 이 글에서는 최치원이 政界를 은퇴하고 가야산 해인사에 들어간 이후의 삶과 발자취에 대해 고찰하였다. 주요 자료로는 해인사에서 저술한 역대 화엄 고승들의 전기, 특히 『法藏和尙傳』을 꼽을 수 있다. 이들 자료에 따르면, 최치원은 가야산에 들어간 뒤 세속과의 소통의 길을 어느 정도 열어 놓은 상태에서 불교 관계 저술에 힘썼다. 賢俊·希朗등 고승들과도 활발하게 교유하였다. 해인사 시절 그는 華嚴思想에 심취하면서도 세상을 걱정하는 憂患意識을 끝까지 지켰다. 겉모습은 유학자이지만 내면적으로는 불교, 특히 화엄의 세계에 심취하였다. 그는 불교의 화엄사상과 유교의 忠君愛國사상으로 쓰러져 가는 신라를 붙들어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하고, 救國과 護國을 위해 저술에 매진하였다. 가장 심혈을 기울인 저술은 義湘의 전기인 『浮石尊者傳』, 賢首의 전기인 『법장화상전』이었다. 최치원의 말년 행적은 학술, 종교 활동의 연속이었다. 그는 수년 동안 병고에 시달리면서도 학자로서의 삶을 포기하지 않았다. ‘나약한 지식인’, ‘가야산 신선’으로 표현되는 최치원의 말년 이제 이미지는 바뀌어야 한다고 본다. Traces of Goun Choi Chiwon’s latter years have not been thoroughly examined due to lack of research materials. Choi Chiwon’s biography on Samguk Sagi is widely known. Cho Chiwon’s latter years have been recognized different from the truth so far, which is ‘he left the mundane world and became a hermit.’ However, it is only a legend. This research examines Choi Chiwon’s life and traces left after he retired from politics and went into Gayasan Haeinsa. Main research data referenced are biographies of great monks in Huayan School written at Haeinsa, particularly Beopjanghwasangjeon (法藏和尙傳). According to these data, Choi Chiwon was somewhat open to communication with the mundane world after his going into Gayasan and pursued writings on Buddhism. He actively interacted with great monks such as Hyeonjun (賢俊) and Huirang (希朗). While he was at Haeinsa, he was absorbed in Huayan thoughts but he also kept his worries about the world. He was a Confucian scholar outwardly but internally immersed in Buddhism, especially the world of Huayan. Judging that he could restore Silla where Buddhist Huayan thoughts and Confucian idea of loyalty and patriotism collapsed, he strived for writings. His most laborious writings were Buseokjonjajeon (浮石尊者傳), the biography of Uisang (義湘) and Beopjanghwasangjeon, that of Hyeonsu (賢首). Choi Chiwon spent his latter years entirely with scholarly and religious activities. Though he suffered from sickness for years, he did not give up on his life as a scholar. Images of his latter years wrongly symbolized with ‘weak intellect’ and ‘Gayasan hermit’ should be corrected.

      • KCI등재

        고운 최치원의 생애 재고찰 - 생애의 중요한 몇 장면들 -

        최영성 ( Choi Young-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1

        한국사상사, 철학사에서 거봉의 위치에 있는 최치원은 그 명성에 비해 생애와 사상이 제대로 조명되지 못하였다. 최치원 연구의 기본이 되는 생애 연구는 아직도 여러 단계를 넘어야 한다. 『삼국사기』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넘어서 괄목할 만큼 진보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 글에서는 최치원의 일생에서 중요한 몇 장면, 특히 당나라에 있을 때의 활동을 주로 고찰하였다. 문헌 자료는 최치원이 남긴 제1차 자료를 중심으로 하였다.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① 최치원이 태어난 해는 지금까지 알려진 857년이 아니라 855년이다. ② 12세에 조기 유학하여 14세 때 신라 조정의 추천으로 당나라 국자감에 입학하였다. ③ 조기 유학에는 최치원의 친형인 현준(賢俊)스님의 도움이 있었다. ④ 빈공진사(賓貢進士) 시험에 급제한 해는 874년, 최치원 20세 때의 일이다. ⑤ 880년에 고병의 휘하에 들어가 그의 서기(書記)가 되어 약 4년간 종사하였다. ⑥ 884년 8월에 당나라를 떠나 산동반도에서 요동반도를 잇는 해안선을 따라 귀국하였다. 약 7개월이 걸렸다. 이런 사실들은 최치원의 학문 역정을 재구성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귀국 후의 활동은 이후의 과제로 추진할 것이다. As an eminent figure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and philosophy, Choi Chi-won`s life or thought has not been properly studied in spite of his prominence. Research on his life, which serves as basic for study on Choi Chi-won, still requires a lot of work to be done. Study on his life has hardly progressed beyond information presented on Samguksaki. This article studies a few significant scenes in Choi Chi-won`s life, mainly his activities while being in Tang Dynasty. Primary data left from Choi Chi-won is adopted as references. Through detailed analysis on Gyewonpilgyeongjip (桂苑筆耕集),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obtained. ① The year when Choi Chi-won was born is 855, not the year of 857 which has been widely known until now. ② He went to Tang at the early age of 12 and entered Tang`s Kukjagam at 14 with Silla Court`s recommendation. ③ He was supported by his brother Buddhist priest Hyeonjun (賢俊) during his study in Tang. ④ It was the year of 874 when he passed the bingongjinshi (賓貢進士) examination at the age of 20. ⑤ In 880, he came under the supervision of Gobyeong (高騈) and became his scribe and served for 4 years. ⑥ Leaving Tang in August 884, he returned to home country along the shoreline between Shandung and Liaodung peninsula, which took approximately 7 months. These facts are expected to be greatly helpful to restructure his scholarly journey. Activities after his coming back are to be further studied afterwards.

      • KCI등재

        사상적 관점에서 본 백제칠지도

        최영성(Choi, Young Su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5 No.2

        본고는 종래 역사학자 중심의 연구를 지양하고 사상적 관점에서 백제칠지도를 조명한 것이다. 연구사상 초유의 시도다. 모든 정치적 선입견을 배제하고 한문(漢文)의 기초에 충실하게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 지금까지 나온 논점의 정리를 통해 필자의 견해를 분명하게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칠지도는 408년에 제작되었으며, 백제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추구하는 ‘태화의식(泰和意識)’을 담고 있다. 전지왕이 ‘태화’라는 연호를 세우고 주변국과의 동맹을 표방한 것은 당시 고구려 광개토태왕의 선례를 의식한 결과로 해석된다. 칠지도에는 기본적으로 주술(呪術)을 중시하는 도교적 색채가 깔려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유교의 정치사상이 강하게 드러나 있다. 주역사상(周易思想)은 전지왕의 정치의식에 지대한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 임금이 하사했는가, 아니면 헌상(獻上)했는가? 이런 물음은 그다지 중요한 문제가 아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Chiljido, the seven-branched sword of Baekje, from philosophical perspectives, refraining from previous researches by historians, which is the first academic approach of this kind. Excluding political prejudices of any sort, the study intends to thoroughly establish interpretations based on fundamentals of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by reviewing previous arguments, it clearly presents the writer"s opinion. According to research outcomes, Chiljido was produced in 408, representing the "Awareness of Taehwa", which pursued peace and harmony in Northeast Asia centered on Baekje. King Jeonji"s designation of his regime with the name "Taehwa (grand peace)" and pursuit of alliance with neighboring countries can be analyzed to mean that he was conscious of a precedent established by King Gwanggaeto the Great of Goguryeo. Basically, Chiljido retains Taoist tones with an emphasis on incantations, but it firmly encompasses political ideas of Confucianism as well. It is also assumed that King Jeonji"s political awareness was heavily affected by Juyeok (Driving Force of the Universe) Theory. Whether the sword was the gift of Baekje king or an offering is not an issue of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일본의 고문헌을 통해 본 독도 -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와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를 중심으로 -

        최영성 ( Choi Young S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4 No.-

        독도 관련 국내외 문헌은 매우 많다. 일본 측에서 한국 측 자료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상황에서는 지난날 일본에서 나온 문헌 자료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독도 관련 자료 가운데 일본 측 자료로는, 사이토 호센(齋藤豊仙)이 1667년에 엮은 『은주시청합기(隱州視聽合記)』가 가장 오래 된 기록이다. 이후 1779년에 나가쿠보 세키스이(長久保赤水)가 펴낸 「개정일본여지노정전도(改正日本輿地路程全圖)」는 객관성의 측면에서 거의 첫손에 꼽힌다. 이들 자료에 보이는 독도에 관한 기록과 표기는 그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 그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의 삼단 논법이 도출되었다. ① 일본이 말하는 다케시마(竹島: 울릉도)는 조선의 영토다. ②마츠시마(松島: 독도)는 다케시마의 부속 섬이다. ③ 따라서 다케시마와 마츠시마는 조선의 영토다. 위 두 자료에서 핵심이 되는 대목은 ‘見高麗, 猶雲州望隱州’ 아홉 글자다. 이 글에서는 아홉 글자를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고증하였다. 그 결과 17세기 이래 일본인들이 독도와 울릉도를 조선의 영토로 인식하였음을 밝혀낼 수 있었다. Plenty of documents on Dokdo were found in and out of Korea. In a situation that Japan would not acknowledge any document from Korea, literature materials from ancient Japan retains extremely high importance. Among Japanese materials on Dokdo the earliest one is 『Onshu Shicho Goki,(Records of Observation in Oki province』 which was compiled by Saito, Hosen in 1667. Kaisei Nihon yochi rotei zenzu(Revised Complete Map of Japanese Lands and Roads) which was produced by Nagakubo, Sekisui later in 1779 is regarded as virtually the most objective. Records and marks on Dokdo found in these materials can be guaranteed in their objectivity. Analysis result about these materials drew a syllogism as follows. ①Takeshima(Ulleungdo) mentioned in the Japanese materials is the territory of Joseon. ② Matsushima(Dokdo) is a dependency of Takeshima. ③ Therefore, Takeshima and Matsushima are the territories of Joseon. The essential part of the materials above is 9 Chinese characters, ‘見高麗, 猶雲州望隱州``. This paper ascertained the 9 characters based on historical facts and as a result, discovered the Japanese have appreciated that Dokdo and Ulleungdo were Joseon``s territory since 17th century.

      • KCI등재

        한국유학사에서의 김굉필의 위상

        최영성 ( Choi Young S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한국 철학논집 Vol.0 No.41

        한훤당 김굉필(1454∼1504)은 고려 말엽 정몽주가 단서를 열어놓은 도학을 하나의 학문 경향으로 승화시켰다. 김굉필은 ``조선도학의 시조``로 일컬어졌으며, 이후 4백여 년 동안 도학자의 전형으로 받들어졌다. 김굉필이 씨를 뿌린 도학은 학문과 정치의 기준이 되었다. 조선의 선비들은 김굉필을 본받아 『소학』을 통해 근기(根基)를 배양하였고, 그 기운은 선비의원기(元氣), 나아가 국가의 원기로 승화하여 국맥(國脈)을 유지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김굉필은 『소학』으로 학문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소학』에서 요구하는 강한 실천성을 바탕으로 도덕적 인간, 도덕적 이상사회를 추구하였다. 개인의 수양과 사회 개혁은 서로 다른 차원의 것이 아니다. 김굉필이몸으로 보인 ``자기 수양(律己)``의 정신은 조광조(趙光祖)의 단계에 이르러도학적 이상국가의 추구로 발전하였다. 김굉필은 ``경(敬)``을 통해 「소학」의 가르침을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 ``경``이라는 수양 방법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는 것은 조선 성리학의 요체다. 김굉필은 조선의 유학을 ``심학(心學)``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김굉필 이전에는 심학의 모습을 제대로 선보인 학자가 없었다. 명종·선조 시기 이후로 조선의 유학은 심학으로 정초되어 갔다. 17세기 중엽 이후에는 ``경``을 중심으로 한 심학 체계가 공고하게 구축되었다. 김굉필의 문인과 그들이 양성한 학인들은 16세기 중반 이후, 조선의 학계·정계를 이끌었다. 이들은 선조 즉위 이후 사림파(士林派) 집권의 주인공들이었다. 조선을 도덕적 이상국가로 승화시키고 ``사림의 나라``로 만든그 기초는 사실상 김굉필이 놓았다고 할 수 있다. Hanhweon-dang Kim Goeng-pil(1454∼1504) sublimated ethics whose lead was opened up by Jeong Mong-ju in late Goryeo as one scholarly tendency. Kim Goeng-pil was called ``the father of ethics in Joseon`` and has been respected as a model of ethicist for 400 years since then. Following Kim Goeng-pil,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cultivated perseverance through Xiaoxue and the perseverance was sublimated to Confucian scholars` energy and then that of state, which served as driving force to keep the national legacy. Kim Goeng-pil suggested how to study with Xiaoxue and sought moral human beings and ethically ideal societies based on strong practicability which is required in Xiaoxue. Individuals` cultivation and social reform are not at a different dimension. Spirit of ``self-cultivation`` that Kim Goeng-pil himself demonstrated advanced to pursuit of ethical, ideal state when reaching a level of Jo Kwang-jo. Kim Goeng-pil thought that teaching in Xiaoxue could be achieved through ``Gyeong (敬, respect).`` It is the ke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to control one`s mind through the cultivating method of ``Gyeong.`` Kim Goeng-pil settled Joseon`s Confucianism as ``practical ethics(心學).`` Before Kim Goeng-pil, no scholars had well presented the aspects of practical ethics. After King Myeongjong and Seonjo, Confucianism in Joseon worked as the cornerstone of practical ethics. Since mid-17th century, the system of practical ethics had been firmly established with focus on ``Gyeong. Literary men of Kim Goeng-pil and scholars they fostered led the academic and political world of Joseon after mid-16th century. They played the lead in Sarim faction`s(士林派) ruling after King Seonjo came to throne. The very foundation which sublimated Joseon to the ethically ideal state and made the Dynasty a ``state of Sarim`` was actually laid by Kim Goeng-pil.

      • KCI등재
      • KCI등재

        직당(直堂) 신현국(申鉉國)의 학문과 춘추대의(春秋大義)

        최영성 ( Choi Young Su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직당 신현국(1869∼1949)은 의당(毅堂) 박세화(朴世和: 1834∼1910)를 대표로 하는 ‘의당학파(毅堂學派)’의 정맥(正脈)을 이은 유학자다. 스승 박세화, 동문 회당(晦堂) 윤응선(尹膺善: 1854∼1924)과 함께 ‘삼당(三堂)’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그는 율곡학파 낙론계 성리학의 계통을 이은 정통 보수유림이었다. 자신이 살았던 시기를 난세로 보면서도, 유교의 이념과 정신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은 데서 그 원인을 찾았다. 유교 때문에 나라가 멸망했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가던 시기에 유교 비판에 대하여 치열하게 대응하였으며, 아울러 유교의 본질을 알리는 데 힘을 썼다. 다만 유교에 대한 자기 확신이 강했던 만큼 현실을 냉철하게 인식하는 점에서는 태생적 한계가 있었다. 신현국의 학문에서 성리학과 춘추대의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그는 성리학으로 학문의 근본을 다질 것과 시대정신을 제대로 읽고 행동할 것을 일생토록 강조하였다. 당시 현실과 관련하여 ‘리(理)’를 중시하는 관점을 지녔으며, 존화양이(尊華攘夷), 척사위정(斥邪衛正)을 골자로 하는 춘추대의를 시대정신으로 여겼다. 또 도를 지키고 세상을 구제하는 방법을 춘추대의와 성리학의 의리정신(義理精神)에서 찾았다. 춘추대의는 우리나라가 역사적으로 고난에 처했을 때 강력한 힘을 발휘하였다. 19∼20세기에도 유자들 사이에서 시대정신으로 크게 기능하였다. 하늘과 땅이 뒤집히는 대결국의 시기에 지성인 모두가 시대정신의 구현에 앞장서야 한다고 신현국은 주장하였다. 그가 생각하는 춘추대의는 무도한 서양과 왜국의 정치적, 문화적 침략을 막아내 인도(人道)를 확고하게 다시 세우려는 데 그 의의가 있었다. 실로 학파와 당색을 초월하는 절체절명의 대명제였다. 신현국의 일생은 ‘수사선도(守死善道)’로 일관되었다. 죽음으로써 유학을 지키려 한 데서 그의 지성정신(至誠精神)을 엿볼 수 있다. Jick-Dang Shin Hyeon-gook (1869∼1949) was a Confucian scholar who followed the right root of Eui-Dang school represented by Eui-Dang Park Se-hwa (1834∼1910). He was called one of Three Dangs together with his teacher Park Se Hwa and his alumnus Hoi-Dang Yun Eung-seon (1854∼1924). He was a genuine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 who followed the root of Neo-Confucianism studied by Nak-ron sector, Yulgok school. He saw his era as a troubled time while thinking that his nation was troubled because the idea and spirit of Confucianism were not properly realized. He was strongly against the Confucianism critics while many were getting prevailed by the perception that the nation was ruined by Confucianism. Furthermore, he endeavored to inform the people of the essence of Confucianism. However, he had so strong self-conviction on Confucianism that he was inherently too limited to realistically perceive the reality of the time. Neo-Confucianism and Chunchu-Dae-Eui account for big portion of Shn Hyeon-gook’s learning. He had emphasized through all his life that you should strengthen the basis of your learning by Neo-Confucianism and correctly read the spirit of the times to carry yourself. He valued ‘Ri (理)’ under the trouble of his times and regarded Chunchu-Dae-Eui as the spirit of the times based on Jon-Hwa-Yang-Yi(尊華攘夷: Following China while keeping off barbarian) and Cheok-Sa-Wi-Jeong(斥邪衛正: Building up the justice while keeping off the wicked). In addition, he looked for the way to keep the justice and save the world in Chunchu-Dae-Eui and the spirit of Eui-Ri(義理精神) of Neo-Confucianism. Chunchu-Dae-Eui played a great role when Korea was in trouble. It worked as the spirit of the times among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19th ~ 20th century. Shin Hyeon-gook advocated that all the intellectuals should lead the realization of the spirit of the times in such a big changing era like the earth up and heaven down. Chunchu-Dae-Eui of his has a signification in keeping off the unjust western and Japanese political and cultural invasion to rebuild the human justice firmly. It was a real great proposition that should be desperately kept by everybody no matter which school and party they were belonging into. Shin Hyeon-gook’s life is just to defend the justice to the death, which shows his sincere spirit for Confucianism.

      • KCI등재

        이병도(李丙燾), 『자료한국유학사초고 (資料韓國儒學史草藁)』 -한국유학사의 근대적 출발-

        최영성 ( Choi Young Sung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한국의 근대 역사학에서 큰 위치를 차지하는 국사학자 이병도(李丙燾: 1896∼1989)는 한국의 유학사(儒學史) 연구에서도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그 대표적 저작물이 『자료 한국유학사 초고』다. 1937년에 저술을 한 뒤 그로부터 22년이 지난 1959년에 등사본 형태로 발표를 하였다. ‘초고’라는 이름은 이 저작이 미완성임을 시사한 것이고, ‘자료’라는 말은 저술의 성격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뒷날 1987년에 번역과 수정 보완을 거쳐 ‘한국유학사’로 다시 태어났다. 본고는 유학사연구의 ‘근대적 출발’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이병도의 『자료 한국유학사 초고』는 1937년 당시의 유학사 연구 수준을 그대로 볼 수 있는 중요한 저술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근대성을 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출발’이라는 단어에 의미를 둘 때, 1949년에 정식 출판된 현상윤(玄相允)의 『조선유학사』와 비교하면서 살펴볼 대목이 적지 않다. 다만 이병도의 위 저작은 ‘충분조건’에다 ‘필요조건’까지 결부시키면 온전하게 평가 받기가 어려울 것이다. 1930년대 후반으로 돌아가 당시의 주어진 조건을 감안하여 근대성 여부를 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Korean historian Lee Byeong-do (李丙燾: 1896~1989) who holds a large position in modern Korean history has also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His representative work is Rough Copy of Data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資料韓國儒學史草藁). After writing it in 1937, he published it in 1959, 22 years later, in the form of mimeograph copy. The expression "rough copy" suggests that the work is incomplete and the word "data" reveals its nature. Later, the book was reborn in 1987 as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fter being translated and revised.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modern beginning"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儒學史). Lee Byeong-do's Rough Copy of Data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is an important writing that shows the level of the study o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1937. I think we can discuss modernity in many ways. In particular, when we focus on the word "beginning," I think there are many points to consider in relation to the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of Hyun Sang-yoon (玄相允), which was officially published in 1949. The above work of Lee Byeong-do will be difficult to evaluate thoroughly if the "necessary conditions" are combined to "sufficient conditions". It would be desirable to go back to the end of the 1930s to discuss whether modernity is possible taking into account the conditions given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