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주국의 조선인 학교 실태와 조선인의 민족적 위상

        윤휘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8

        There is very little Korean schools in Manchukuo. Therefore, Koreans in Manchuria were hard to enter school. Because this school taught in Japanese, Korean students had difficulty in learning process. Japanese students attended public schools that have a good learning environment. But most Korean students attended vocational school or a private school that have a bad learning environment. Social reputable medical students were mostly Japanese. Among the teachers Japanese occupied a large proportion. In addition, the Japanese had monopolized the principal of school. Japanese principal of school was monitor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of other nations. Because education of Koreans were low, they had difficulty in finding employment. Manchukuo colonial authorities had always argued the ethnic equality, but they were discriminating against Koreans in Manchuria. As a result, in educational aspect of Manchukuo the national sequence was set. Finally, Manchukuo insisted ethnic equality and ethnic reconciliation, it was an ideological fiction that Manchukuo colonial authorities only had. 만주국 시기 조선인 학교는 부족했기 때문에 조선인은 취학난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학교에서는 일본어로 가르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인 학생들은 수업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본인 학생은 대부분 사회적 평판과 학교 시설이 좋은 공립학교에 다니고 있었지만, 조선인 학생 다수는 교육 시설이 열악한 직업학교나 사립학교에 다니고 있었다. 또한 의과대학 학생의 절대 다수는 일본인이었다. 교원들 중에는 일본인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일본인이 교장직을 독점한 채 다른 민족 출신의 교원들과 학생들을 감시하고 있었다. 당시 학교 부족으로 학교를 다니지 못해 학력이 낮았던 조선인들은 취직난에도 시달렸다. 만주국 식민당국에서는 표면적으로는 ‘民族協和’, ‘內鮮一體’, ‘日滿一德一心’을 부르짖으면서 민족 평등을 강조하고 있었지만, 교육 방면에서 조선인의 열악한 교육 환경을 개선시켜 주려는 노력은 기울이지 않은 채 오히려 민족 차별 정책을 고착화하고 있었다. 만주국의 모든 방면에서도 그러했지만, 교육 방면에서도 다양한 離散 민족들이 확연한 민족적 위상과 차별 속에 階序的으로 민족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교육 방면에서의 민족 구성이나 민족 차별을 고려해본다면, 만주국의 ‘민족협화’, ‘내선일체’, ‘일만일덕일심’ 논리는 일본 식민주의자들만의 ‘植民地的 想像’ 속에 존재했던 허구적인 식민 통치 이데올로기에 불과했다 윤휘탁, 『滿洲國: 植民地的 想像이 孕胎한 ‘複合民族國家’』(서울: 혜안, 2013), 486쪽. 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근대성’과‘식민성’의중첩적표상 —만주국 무순탄광의 노무체계와 민족관계

        윤휘탁 만주학회 2022 만주연구 Vol.- No.33

        Russia and Japan’s occupation of Fushun (撫順) and their control over the Fushun Coal Mine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mine and the surrounding areas. In particular, the transfer of the mine’s operational control to the Southern Manchuria Railway Co., Ltd. (滿鐵) introduced modern mining facilities and electricity, which led to greater efficiency. Such developments also helped to drive Fushun City modernization. However, the Fushun Coal Mine’s rank and ethnicity-based discriminatory labor practices hampered its productivity. While the Japanese monopolized high-ranking positions, the Chinese were limited to precarious, low-wage, and high-risk positions. As a result, Chinese workers were often single and impoverished. In essence, colonial control of the mine succumbed to a normal consequence of colonial sequestering. Namely, the ethnic and systemic discrimination tied to colonial oppression invariably distorts the façade of ‘modernity’ and eventually displaces it with the dehumanizing face of ‘coloniality.’ 무순탄광은 러시아와 일본에 의해 점령된 후,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특히 남만주철도주식회사가 탄광 운영권을 양도받은 후, 근대적인 채굴설비와 전기를 도입하고 효율적인 편제를 갖추면서 석탄 생산량이 급증했고, 무순탄광도 급속하게 발전했다. 이것은 무순시의 발전을 촉진했으며무순시를 근대도시로 변모하게 만든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그런데 무순탄광의 노무 체계는 낙후되어 있었고 직급별 민족별로 차별이 심했다. 가령직업이 안정되고 급여가 높은 고위직은 일본인이 독차지한 채 탄광 지도부를 형성하고 있었다. 반면에 중국인 대다수는 직업이 불안정한 임시직이나 임금이 낮고 위험한 채탄 노동자로 일했다. 동일한 직급이라고 해도중국인의 임금은 일본인보다 훨씬 적었다. 게다가 각종 수당이나 처우에서도 일본인과 중국인 사이에 차별이 존재했다. 중국인의 상당수는 중국북부지방에서 건너온 계절적 성격의 노동자였다. 이들은 소득이 적었기때문에 대다수가 독신 생활을 했으며 끊임없이 유동하고 있었다. 그 결과중국인 탄광 노동자들은 차별을 받으면서 궁핍한 생활을 하고 있었다. 게다가 한때 도입되었던 근대적인 노무관리체계마저 중일전쟁을 계기로 무자비하고 비인간적인 노동력 확보와 착취로 변형되면서 전형적인 식민지적 착취양상이 노골화되었다. 결국 무순탄광은 러시아와 일본의 점령을계기로 급속하게 발전했지만 제국주의 세력이 무순탄광과 무순시를 식민지처럼 관할하면서 민족차별과 노동력 수탈을 초래했기 때문에, 무순시는근대도시로서의 빛이 퇴색되었다. 한마디로 무순탄광을 토대로 성장한 무순시는 ‘근대성’과 ‘식민성’이 중첩된, ‘일그러진 근대도시의 표상’이었다.

      • KCI등재

        복합민족국가(複合民族國家)의 파탄 : 만주국의 붕괴와 만주국인(滿洲國人)의 충돌,수난

        윤휘탁 중국사학회 2012 中國史硏究 Vol.78 No.-

        被標榜爲``複合民主國家``的滿洲國隨著日本的敗北開始崩潰, 滿洲國內各民族間的矛盾開始爆發. 雖然在``滿洲國``內一直都在高喊``民主協和``, 但是在``滿洲國人``裏去조不到``民主協和``的半點痕跡. 조回主人意識的中國人的不滿, 憤怒, 憎惡的箭頭都指向了日本人和日本人的幇手朝鮮人. 日本人和朝鮮人在中國人的報複下, 束手無策受盡苦難. 在蘇聯軍的進攻面前, 關東軍的防禦線開始向南撤退, 흔多日本人(包括軍人)被蘇聯軍逮捕倂押送到蘇聯開始囚禁生活. 特別是日本人開拓團因中國人和蘇聯軍受到了極大的損失. 蘇聯軍在對蘇, 滿邊境地區的日本人開拓村進行鎭壓的過程中, 對日本人施行了强奸, 殺害, 財産掠奪等野蠻的行徑. 雪上加霜, 已經조回滿洲土地主人意識的中國人對日本開拓村進行攻擊的情況也越來越多. 日本人開拓者中흔多人因爲堅持抵抗到底而死亡, 整個村子集體自殺的情況也흔多. 흔多生存下來的日本人則被蘇聯軍送到收容所開始了收容生活. 在這些災難面前一些日本女性絶望之餘選擇了和中國人結婚而留在了中國. 也有흔多失去父母的日本孤兒被中國家庭收養. 령一方面滿洲社會陷入了無政府狀態, 各地的土匪、國民黨系列的各種武裝部隊、一些中國人對朝鮮人壓抑已久的各種不滿憤怒和憎惡也開始爆發. 一些朝鮮人的村子因中國人的襲擊而全部毁滅. 一些朝鮮人冒著生死危險開始返回故鄕, 但是在朝鮮家鄕的土地上已經沒有任何根系, 沒有人會歡迎身無分文的他們. 這些人中흔多人因爲强烈的挫折感, 又重新選擇了返回已經成爲第二故鄕的滿洲土地. 흔多人加入了沒有差別政策, 實行土地分配的共産黨軍隊和國民黨軍隊展開了鬪爭. 他們依고分配到的土地, 開始了在滿洲的安居生活. 隨著日本的敗北, 滿洲社會瞬間成爲了民族對立沖突的舞台, 意味著日本殖民主義者空想的``複合民族國家``等同於滿洲國的妄想的破滅. 這也意味著日本殖民主義者妄想的``滿洲國人``在滿洲國裏實際上也是不存在的. 滿洲國不是獨立國家, 也不是``複合民族國家``. 東亞各民族爲了生存而流亡到滿洲, 受到日本殖民主義權利壓迫形成了各種民族矛盾, 這些矛盾隨著殖民權力的崩潰而爆發, 滿洲國就是在爆發中消失的一種海市蜃樓般的``假象共同體``.

      • KCI등재

        ‘뿌리 뽑힌 자들의 放浪地!’ : 조선인에게 비쳐진 滿洲國 社會像

        윤휘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6

        In modern Korean history, Manchukuo really occupied any position and role in the colonial Manchukuo? The domestic academic has estimated that Manchukuo mitigated economic contradictions of the Chosun by the immigration policy in the 1930s. Therefore, the Manchurian immigration of Koreans has been evaluated positively. But the vast majority of Koreans did not settle in the Manchukuo. They were suffering from poverty, disease, discrimination. They were living as like the wanderers. Although Manchukuo has absorbed Korea’s surplus population, but she did not solve their lives. Manchukuo also did not relieve the contradiction of the colonial Chosun. However, after the fall of the Manchukuo, the Chinese Communist Party dominated Manchuria and carried out land reform. In the wake of it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could be a stable living. Rather, Manchukuo intensified the ethnic conflict of Domestic as well as of between Manchukuo and Chosun. As a result, immigrant Koreans suffered the confusion of identity as well as poverty. Their painful immigrant experience in Manchukuo had a major impact in the class conflict and division of the peninsula. Manchukuo was not the rich hinterland for the colonial Chosun. 과연 만주국은 한국 근대사에서 어떠한 위상을 차지해왔는가? 만주국이 식민지 조선에서 한 역할은 무엇이었는가? 이와 관련해서 국내학계에서는 만주국이 식민지 조선의 모순, 특히 경제적 모순을 완화시켜준 배후지로 평가해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1930년대 일본 식민당국이 추진한 조선인의 만주이민정책(집단이민, 집합이민, 분산이민 등)은 식민지 조선 및 일본 본국의 경제적 모순을 완화시켜준 대표적인 사례로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만주국으로 이민한 조선인들은 벼농사 재배를 중심으로 만주국에서 생활터전을 잡았다고 하여, 조선인의 만주이민을 긍정적으로 평가해왔던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대다수 조선인들은 만주국에 안착하지 못하고 가난과 추위, 질병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들은 대부분 밥벌이를 찾아 농촌과 광산, 도시 등을 떠돌면서 일정한 직업 없이 소작농ㆍ머슴ㆍ날품팔이ㆍ노동자ㆍ잡일 등을 하면서 유랑자 같은 생활을 하고 있었다. 비록 만주국이 조선의 과잉인구를 흡수하고 있었지만, 그들의 생활난을 해결해주거나 안정적인 삶을 마련해주지도 못했다. 만주국은 조선의 모순을 완화시켜준 ‘풍요로운 배후지’가 결코 아니었다. 조선인 이민자들을 안착시키고 삶의 안정을 가져다 준 결정적인 계기는 해방 후 중국 공산당의 만주 지배와 그에 수반된 토지개혁이었다. 만주국은 조선의 사회경제적 모순을 해소시켜준 돌파구였다기보다는, 오히려 만주국 구성원 상호간의 민족모순뿐만 아니라 조선과 만주 사이의 지정학적 모순들도 중첩시키고 증폭시켜 결과적으로 조선인 이민자들의 입지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정체성의 혼란을 가중시킨 ‘荊棘의 땅’이었다. 만주국에서의 조선인 이민자들이 겪은 아픈 기억과 고통스러운 이민체험은 만주와 한반도에서 사회적 정서로 자리 잡으면서 한반도에서의 계급대립과 분단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대다수 조선인 이민자들에게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던 만주국은, 식민지 조선의 모순을 떠안은 ‘은혜로운 땅’은 아니었다. 오히려 만주국은 한반도의 ‘계급대립과 민족분단을 가속화시킨 촉매제의 源泉’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 「만주국」 노동계의 민족 구성과 민족간 위상

        윤휘탁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3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1 No.

        본고는 만주국 노동계의 민족구성과 그 속에서 형성된 한?중?일의 민족간 위상을 주로 통계에 의거해서 분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주국의 민족간 위상을 보면, 재만 조선인은 지배 민족인 일본인과 피지배 민족인 중국인 사이에 끼여 있는 ’중간자’ 혹은 중국인보다 우월한 ’ 2등 국민’이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이러한 논거로는 만주국 시기 노동계에서의 민족간 임금 격차 및 노동 조건의 차이, 그리고 식량 배급상의 민족간 우선 순위 등이 제기되었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기존 정설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민족간 임금 격차 및 노동조건의 실상을 파악한 것이다. 분석에 따르면 만주국 노동계, 주로 공장?광산?운수?하역?통신노동 분야혜서의 민족간 1인 평균 임금 액수는 일본인〉조선인〉중국인 순이었다. 중국인의 1인당 평균 임금 액수가 적은 이유는 관내로부터 매년 수십 만의 쿨리들이 흘러 들어와서 중국인의 노동조건을 악화시켰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1인당 평균 임금은 조선인이 중국인보다 많았지만 높은 임금을 받는 사람들의 비중을 살펴보면 중국인이 조선인보다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조선인 중에 고임금 수령자는 극소수였다. 노동조건 역시 조선인이 중국인보다 열악했다. 더욱이 만주국 노동계는 사실상 일본인과 중국인이 양분하고 있었고 조선인의 비중은 미미했다. 그 결과 만주국의 노동정책 역시 일본인과 중국인을 염두에 두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인은 노동정책에서 빗겨나 주변적인 존재로 머물러 있었다. 따라서 만주국 노동계의 민족구성과 민족간 위상을 살펴볼 때, 조선인은 일본인과 중국인의 중간자 혹은 중국인보다 우월한 2등 국민의 위상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 정설은 재고되어야 한다. This treatise is an analysis on national constitution and national phase of [Manchukoku] labor world. [Manchukoku] labor world was constituted by Chinese, Japanese, Korean, Russian, and so on. According to an existing theory, Because Japanese was better than Korean, Korean was superior to Chinese, in the pay and treatment between various nations of [Manchukoku], a Korean have been named as "a second class citizen of [Manchukoku]". But the results of an analysis shows that a Korean were not up to Chinese in working conditions and treatment of [Manchukoku] labor world. Therefore a Korean in [Manchukokul had not secured the phase of "a second class citizen".

      • KCI등재

        중국의 檔案자료 소장현황과 수집의 문제점 -한국독립운동사 자료를 중심으로-

        윤휘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0

        Though the both institutions, Central Archives of China and the First Historical Archives of China have been proud of their the most comprehensive collections of historical manuscripts and resources, these materials have not been allowed for public reading so far. However, institutions, such as the Second Historical Archives of China, Peking Archives, Jiangsu Province Archives, Nanjing Archives and Sichuan Province Archives permit the access to the materials because these institutions agree on the public reading to some extent. Researchers around the world can search and retrieve the materials of Sichuan Province, such as history of Chosun Independence Movement and other materials related to Korean people and their history over the internet. Due to its significance, a systematic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suggested for the newspapers and periodicals of the republic of China located at Nanjing University Library, historical resources of Manchukuo located at Jilin Province Archives. A systematic policies regarding the acquisition and its collection development for the materials of Chinese archives above should be based on the survey of its holding information at the institutions in Korea, in order to select appropriate target materials to prevent having duplicates. It will be a wasting of time and money if not collected and managed by a cooperative alliance of those institutions in Korea, because this alliance can only allocate the appropriate materials and budget for the collection. In addition, it is also sugges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and openness of the holding chinese archives, so that the alliance can focus on collecting the materials with less difficulties. 중국에서 檔案이 가장 많이 소장되어 있는 곳은 중앙당안관, 중국제1역사당안관 등이다. 그런데 이들 檔案館에서는 현실적으로 당안을 열람하는 것은 곤란하다. 다행히도 중국 제2역사 당안관과 北京市 당안관, 江蘇省 당안관, 南京市 당안관에서는 당안 열람에 대해 비교적 개방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특히 四川省 당안관의 당안 목록은 인터넷을 통해 검색할 수 있다. 사천성 당안관 목록 중에서 조선인 관련 당안 목록을 클릭하면 상당수의 문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천성 당안관 등 이들 당안관에서는 독립운동사나 조선인 관련 당안 자료들의 목록도 인터넷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따라서 이곳들에 대한 당안 자료 수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남경대학도서관이 소장한 중화민국시기 신문ㆍ잡지에 대한 수집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만주지역의 경우, 吉林省 당안관을 제외한 기타 당안관에서는 당안의 열람을 불허하고 있다. 길림성 당안관에 소장된 만주국 시기 당안 수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국내 각 기관의 관련 자료 소장현황을 파악한 뒤, 국내에 없는 자료들에 대한 수집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그런데 최근 국내에서는 일부 관련 기관들이 경쟁적이고 무계획적으로 해외 자료를 조사ㆍ수집하고 있다. 그 결과 자료수집 비용을 낭비하거나 중복 수집하는 결과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자료수집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련 기관이나 전문가 사이의 협의체를 구성해서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소장 자료의 성격, 소장 기관의 개방정도에 따른 자료수집의 난이도를 면밀하게 검토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쉬운 것부터 수집해야 한다.

      • KCI등재

        중국의 ‘백두산의 중국화’ 전략

        윤휘탁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8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advancing various policies to place Baekdu Mountain under its jurisdiction. First, the Chinese government changed the name “Baekdu Mountain Lake” (白頭山 天池) to “Changbai Mountain Lake” (長白山 天池) on a map published in 1998 to unify and fix Baekdu Mountain’s name as Changbai Mountain. Moreover, the Chinese government has tried to add Changbai Mountain to the nam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the Baekdu Mountain area to reinforce students’ consciousness of jurisdiction over Baekdu Mountain. Since 2000, the academic world in China has argued “the theory of Changbai Mountain culture” (長白山文化論), demonstrating that Changbai Mountain belongs to the Chinese historical and cultural area as Changbai Mountain had been within the jurisdiction of Chinese dynasties for many generations. A policy department of the Chinese Communist actively propagandizes by establishing the “Changbai Mountain Cultural Research Society” (長白山文化硏究會) in every region and by guiding the mass production of dissertations that argue for the Chinese authority to name Changbai Mountain. In 2005, the Chinese government reformed the Baekdu Mountain region as the “Special Areas for Prot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hangbai Mountain” (長白山保護開發區) and established a local government called the “Management Board of Changbai Mountain” (長白山管理委員會) so to unify the conservation, development,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Baekdu Mountain. Also, China has put considerable effort into registering for the World Natural Heritage designation by UNESCO. Furthermore, the Chinese government manages a professional website to demonstrate the theory that “Baekdu Mountain = the cradle of the Manchu people” (滿洲族). China again has imprinted Baekdu Mountain’s value as a birthplace of the Manchu people’s culture. Lastly, by establishing the “Baekdu Mountain Shrine” the Chinese government boasts of China’s ethnic and cultural connection to Baekdu Mountain by reproducing ancestral rites performed by emperors of the Qing Dynasty. In conclusion, China’s actions for strengthening the claim to Baekdu Mountain are to deny Korea’s worship toward the mountain and to reinforce historical, cultural, and ethnic claims to Baekdu Mountain by disconnecting the connection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Baekdu Mountain. 중국에서는 백두산을 ‘중국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있다. 우선 백두산의 명칭을 ‘장백산’으로 통일시키기 위해 1998년 출판된 지도책부터 ‘백두산 천지’를 ‘장백산 천지’로 바꾸었다. 또한 백두산 지역에 소재한학교들의 명칭에 장백산 명칭을 붙여 학생들로 하여금 장백산에 대한 귀속의식을 강화시키려고 한다. 2000년 이후 중국학계에서는 “중국의 역대 왕조가장백산을 관할해왔으므로 장백산은 중국의 역사문화권에 속한다”는 ‘장백산문화론(長白山文化論)’을 주창하기 시작했다. 중국공산당 선전부에서는 각 지역에 ‘장백산문화연구회’라는 학회를 조직하고, 백두산의 중국 귀속권을 주장하는 논문들을 양산하도록 유도한 뒤 ‘장백산문화론’을 적극 선전하고 있다. 2005년에는 백두산 지역을 ‘장백산보호개발지구’로 개편하고 ‘장백산보호개발구관리위원회’라는 지방정부를 신설해 백두산의 보호·개발·관리·이용을 일원화했다. 이와 아울러 중국정부에서는 백두산을 중국의 세계자연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게다가 “백두산 =만주족의 발상지”라는 논리를 주창하고 그것을 확산시키기 위해 전문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만주족의 조상을 모신 사당(청조사)을 세워 국내외 관광객에게 백두산이 만주족의 뿌리임을 각인시키고 있다. 그리고 백두산사당(장백산신사)을 세워 청대 황제들의 백두산 제사행위를 재현해 백두산에 대한 중국의 민족적·문화적 연고권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고 있다. 결국 ‘백두산의 중국화’를 위한 중국의 전략적 조치들은, 남북한의 백두산 성산인식을 부정하고, 백두산과 한반도의 역사적·문화적 연관성을 단절시켜, 백두산에 대한 중국의역사적·문화적·민족적 귀속권을 강화시키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