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韓中 寓言의 比較 硏究 ―動物寓言을 중심으로

        윤승준 중국어문학연구회 2006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39

        〉I make a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the animal allegories of Korea and China in this paper. I specifically examined several allegories, such as Liu Zong-yuan(柳宗元, 773~819)'s A deer of Yimgang(臨江之) and Gi-Joon(奇遵, 1492~1521)'s Breeding a deer(畜獐說), Song-gi(宋祁, 998~1061)'s A wild goose guard(雁奴) and Choi-Yeon(崔演, 1503~1549)'s A story of a wild goose guard(雁奴說), and A hedgehog and A tiger(刺與橡斗) in Gye-an-rok(啓顔錄) and A tiger that bows to a chestnut tree(밤나무에 절하는 호랑이) in Korean oral tradition, etc.. They have similarities in the background of creation, the superficial figuration, or the hidden meaning each other. But there is no evidence that proves the influence of Chinese allegories on Korean allegories. Besides the allegories that I introduced above, there are many works that have similarities in figuration between the allegories of Korea and China. I pose a problem how to explai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allegories of Korea and China without the theory of influence.China and Korea participate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medieval civilization as a member of same cultural area, together. Literary men of Korea were accustomed to Chinese poetry and prose, and created literary works by adapting them. Because the prose and poetry prior to China(先秦時代), or those of Tang(唐) and Sung(宋) were the common property of the Chinese cultural area, it is meaningless to dispute the nationality of literary works in this area. It is the way to participate cultural creation of civilization for Koreans to receive and remake the allegories of China. So, I think, it does not important whether the evidence, that proves the Chinese allegory's influence on Korean allegory, exist or not.

      • KCI등재
      • KCI등재

        筆寫本 『秋雲茶集』의 資料的 價値

        윤승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0 東洋學 Vol.47 No.-

        A manuscript Choo-Woon-Da-Jip (秋雲茶集) is an anthology of poetry. Soha Lee Jaejeong(蘇下 李在貞, 1846~1896), a scholar who lived in Icheon(利川) Gyeonggido, excerpted and wrote the poems of Nakhasaeng Lee Hakgyu(洛下生 李學逵, 1770~1835), Dasan Jeong Yakyong(茶山 丁若鏞, 1762~1836), and Sanwoon Lee Yangyun(山雲 李亮淵, 1771~1853). Genealogy, school and territorial society of the editor might be a primary factor that could completed this anthology of poetry. The manuscript Choo-Woon-Da-Jip recorded 184 pieces of poems, and some of them are first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through this manuscript. Also it has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oems, such as the dialect, folklore, notes, etc.. Thus I set a high value on this manuscript, even it has some clerical errors. 「秋雲茶集」은 京畿道 利川에 대대로 거주해 온 安城李氏 집안에서 전해온 문헌으로, 洛下生 李學逵와茶山 丁若鏞, 山雲 李亮淵의 詩를 초록한 詩選集이다. 편자는 南人學者인 蘇下 李在貞(1846~1896)으로 추정된다. 洛下生과 茶山의 시를 함께 전하는 문헌은 간혹 발견되지만, 黨色과 집안이 다른 山雲의 시까지한 데 초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秋雲茶集」은 주목되는 문헌이라고 할 수 있다. 「秋雲茶集」에 洛下生과茶山, 山雲의 시가 함께 초록될 수 있었던 것은 編者로 추정되는 蘇下 李在貞의 家系와 學脈, 地緣에서비롯된 결과로 보인다. 「秋雲茶集」에는 洛下生 李學逵와 茶山 丁若鏞, 山雲 李亮淵의 詩가 총 184題 357首 실려 있는데, 특히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洛下生의 시 7題 9首와 茶山의 시 4題 9首가 초록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秋雲茶集」은 작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부가정보를 풍부하게 담고 있다는 점에서도 자료적 가치가 높은 문헌이라 하겠다. 물론 기존에 알려진 작품의 원문과는 다른 글자로 기록되어 있는 곳들이 있고 표기상 誤字가 분명한 곳들도 있지만, 이것이 「秋雲茶集」의 자료적 가치를 훼손한다고 할 수는 없다. 이 글에서는 「秋雲茶集」에 새롭게 보이는 낙하생 이학규의 시와 다산 정약용의 시를 소개하고, 작품 이해를 돕는 부가 정보들을 중심으로 「秋雲茶集」이 지닌 자료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 KCI우수등재
      • 한국 우언의 인물 설정 방식과 우의 : 권계우언과 풍자우언을 중심으로

        尹勝俊 檀國大學校 國語國文學科 2013 國文學論集 Vol.22 No.-

        본고에서는 권계우언과 풍자우언을 중심으로 한국 우언의 인물 설정 방식과 우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의 권계우언은 (1) 부단한 노력을 통해 나름의 성취를 이룩한 미천한 인물을 제시하고, 그보다 고귀한 존재로 자부하는 독자 들로 하여금 스스로 어떻게 행동할지를 깨닫게 하는 방식, (2) 본능에 따른 무 모한 행동으로 말미암아 불행한 결과에 이르는 인물(동물)을 제시하고, 이를 거울삼아 그러한 잘못을 되풀이하도록 하지 않게 하는 방식, (3) 동물보다 우 위에 있다고 여겨온 인간이 실상은 동물과 다를 바 없는 비속한 존재라는 사실 을 보여주는 인물을 제시하고, 그를 통해 인간의 허울을 폭로하고 스스로 반성 하게 하는 방식 등 세 가지 방식을 주요 인물 설정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풍자우언은 선악이나 시비, 강약, 노소 등 서로 상반되는 가치를 상징하 는 대립적 인물을 설정하고, 善이나 是의 편에 선 인물이 惡이나 非의 편에 선 인물에게 승리할 것이라는 일반적 기대와는 달리 그와 상반되는 결말을 제시함으 로써 왜곡되고 뒤틀린 현실을 비판하게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한 국 우언의 우의 범주는 (1) 정치 현실에 대한 비판과 풍자, (2) 사회 병폐에 대 한 비판과 풍자, (3) 인간의 존엄성 회복과 문명 비판 셋으로 대별할 수 있다. (1)에 해당하는 우언으로는 홍성민의 촉견폐일설 , 이서우의 우언 2 , 박명 부의 영우설 , 홍우원의 노마설 등이 있고, (2)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성 현의 흑우설 , 유의건의 오학상송설 , 이광정의 망양록, 앵구목송와갈선 생전 등이 있으며, (3)에 해당하는 예로는 이규보의 용풍 , 강유선의 주봉 설 , 이광정의 호랑이의 눈흘김[虎睨] , 유몽인의 호정문 , 박지원의 호질 등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근대계몽기 단형서사문학과 우언

        윤승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5 東洋學 Vol.38 No.-

        I tried to take a new look at the nature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the short narrative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short narratives in this period were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story and argument, And argument was the primary factor of this writings. Up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rt narratives such as the way of story telling, allegorical description, the effect of persuasion, and the existence of the editorial named 'allegory',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se writings had intended to allegory. The narrative methods of question and answer, debate, fable, or dreaming were a means delivering the editor's opinion. The editor's opinion was expressed by the speech of characters. The situation of human society was exposed through the prism of animal. Also dream made it possible to express editor's recognition of the real and his wishes. The allegories of enlightenment period intended a mass-education drive for civilization and independence of motherland. They inherited various traditions of writings, and received new factors. Especially, the acceptance of Aesop's fable at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allegorical writings. And the link with mass media, newspapers and magazines, had changed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llegory, and promoted writing of short narratives. It took full advantage of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allegory and made the didactic nature of allegory certain. 본고는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의 성격과 문학사적 위상을 우언과 관련하여 재검토해보고자 한 글이다.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은 서사와 논설이 결합된 글쓰기로서 서사보다는 논설에 의의를 둔다는 점에서 우언 글쓰기와 다르지 않다. 더욱이 ‘서사적 요소를 통한 교훈의 제시’라는 글의 구성법, ‘曲筆法’이라는 논설의 기술방법, ‘설득의 효과’에 대한 고려, ‘寓言’을 제목으로 한 논설의 존재 등은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이 우언 글쓰기를 지향하였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問答과 討論, 寓話, 夢遊 등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에서 즐겨 사용한 서사방식은 작자의 寓意를 가탁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문답과 토론에서는 등장인물의 발언을 통하여 작자의 목소리를 전달하였고, 우화에서는 인간 이외의 동물이나 신, 또는 사물의 세계를 통하여 인간의 정황을 우의하였으며, 꿈이라는 가상의 세계를 통해서는 작자의 현실인식과 욕망을 표출할 수 있었던 것이다. 문답과 토론, 우화, 몽유의 서사방식은 개별적으로 활용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한 작품 안에서 둘 이상의 서사방식이 결합하여 함께 사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이들 서사방식이 지니는 형상화에서의 생경함이나 도식성, 또는 단편성 등의 문제는, 서사문학으로서는 불완전한 한계로 지적될 수 있으나, 근대계몽기 단형 서사문학이 서사보다는 논설을 지향한 우언 글쓰기였음을 고려할 경우, 오히려 그러한 성향이 강하게 드러날수록 글쓰기의 본래 목적은 온전히 달성될 수 있었다. 근대계몽기 우언은 문명개화를 통한 자주독립국가 건설이라는 시대정신 아래 계몽적 성격을 강하게 띠었다. 뿐만 아니라 근대계몽기 우언은 이전 시대의 우언에서 이룩한 다양한 창작 방식을 계승하는 한편, 시대 변화에 따른 새로운 요소들을 흡수하면서 다채로운 꽃을 피웠다. 문답과 토론, 우화, 몽유의 서사방식은 전대 우언에서 이미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 서사방식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들어서면서 이솝우화가 수용되고, 몽중세계로 서구의 문명국이 등장하는 점 등은 새롭게 평가해야 할 사실이다. 이솝우화의 수용은 우언 창작의 전범을 다변화함으로써 우언 창작은 새로운 변화를 적극 실험할 수 있게 하였다.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사실은 근대계몽기 신문 잡지와 우언의 결합이다. 이전까지의 민간우언과 창작우언은 구전 또는 문집의 간행(혹은 필사)과 유통이라는 소통방식에 의존하였기에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근대계몽기 신문 잡지가 출현하면서 우언의 소통은 동시다발적으로 광범위한 소통이 가능해졌다. 이는 우언의 영향력이 그만큼 증대했음을 뜻하는 것이다. 또한 신문 잡지와의 결합은 단형우언의 창작을 더욱 촉진하였으며, 우언이 지닌 서사적 성향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교술로서의 우언의 본질을 확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설화의 지역적 특성 연구와 설화문학지도: ‘234-1 모르면서 점장이로 성공’ 유형의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윤승준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e the applicability and utility of the map of folktales. To achieve this purpose, I analysed the variations of the tale 234-1 contained in the Complete Works of Korean Oral Literature in this paper, and marked the variations the tale 234-1 on the map. The tale 234-1 is a success story of a person who is not a fortune teller, but he succeed in as a fortune teller. This tale composed of three states ; the state of acquiring fame as a fortune teller, the state of receiving a difficult task, and the stage of solving the task and succeeding in as a fortune teller. I analysed the variations of the tale 234-1 focused on these three states, and marked the variations on the map.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ale 234-1 appeared according to the regional tale zone A, B, C, D. Not to mention the importance of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al tale zone, it is more important that the map of folktales can provide a panoptic view. Especially the map of folktales can sho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 tale. Regional studies of a tale need to be accomplished according to the regional tale zone. I confirmed a applicability and utility of the map of folktales, as a method of a research method in this paper. 본고에서는 『한국구비문학대계』 1차분에 수록된 설화 유형 ‘234-1 모르면서 점장이로 성공(잃어버린 옥새 찾기 포함)’에 해당하는 63편의 각편을 대상으로 그 변이 양상을 분석하고 기호화하여 분포 양상을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설화의 지역적 특성을 연구하는 데 설화문학지도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설화 유형 ‘234-1’은 점쟁이가 아닌 인물이 점쟁이로 성공한 이야기라는 점에서 ① 주인공이 점쟁이로서의 명성을 획득하게 되는 과정, ② 점쟁이가 되어 그가 해결하는 과제의 성격, ③ 과제의 해결과정이 서사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세 국면을 중심으로 유형 ‘234-1’의 변이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그 변이 양상을 지도상에 표시해 본 결과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된 설화 유형 ‘234-1’은 A, B, C, D 네 개의 권역에 따라 지역적 특성이 달리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권역 A]는 대국 천자 옥새 찾기가 널리 채록된 경기도와 강원도를 아우르는 권역이며, [권역 B]는 도둑 잡기가 상대적으로 많이 채록된 충청남도 서해안을 중심으로 하면서 전라북도와 충청북도 일부를 아우르는 권역이다. [권역 C]는 나라님 옥새 찾기만 채록된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하되 전라북도 일부를 아우르는 권역이며, [권역 D]는 위의 세 가지 이야기가 모두 활발하게 전승되는 대구․안동․군위 등 영남 내륙을 중심으로 한 권역이다. 설화권역 A, B, C, D의 특징적 변이 양상도 중요하지만, 이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개개의 화소가 지역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면서 전승되고 있는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서사 단락과 단락의 결합 양상이 지역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는데 설화문학지도가 매우 유용하다는 사실이다. 또한 설화의 변이나 지역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특정 지역 설화에 대한 미시적 연구보다 설화권역이라고 하는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깨닫게 해 주었다. 본고에서 가설적으로 제시한 설화 유형 ‘234-1’의 설화권역 설정 및 구분은 자료의 폭을 넓히고 채록 시기에 따른 변이까지도 반영하여 그 정확성을 높이고 시대별 변화의 추이까지도 보여줄 수 있는 설화문학지도로 완성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연구의 출발점에 서 있을 뿐 아니라 설화의 지역적 특성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설화문학지도가 가지는 의의와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