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용가능한 자료 활용을 위한 제도적 과제

        안덕 한국국제통상학회 2018 국제통상연구 Vol.23 No.4

        Despite established rules in the WTO, the United States (US) enacted the Trade Preferences Extension Act of 2015 which provides greater discretion to Commerce Department to select “adverse facts available (AFA)” for respondents. This decision sparked serious concern among its trading partners – including Korea – regarding orientation of its trade policy. In particular, the amendments threatened domestic steel exports in the US and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request WTO consultation over the use of such statute. The rules on facts available induce respon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investigating procedure without significant changes in existing trade remedy system. The US Commerce Department’s use of AFA in anti-dumping investigation questions compatibility with WTO rules so it is not advisable to follow such norm nor practice. However, in cases when respondent who exports into domestic market considers unimportant to cooperate in trade remedy investigation, facts available rules should be utilize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elevant provisions to allow broad selection of respondents and to provide detailed procedure of applying facts available. The rules should clearly alert that if interested party does not cooperate, it could lead to a result which is less favorable to party than if the party did cooperate. In the same manner, unreasonably requested anti-dumping investigation should be dismissed based on reasoned explanation if party properly cooperate in investigation. 반덤핑협정 부속서 Ⅱ에서는 “Best Information Avaliable in Terms of Paragraph 8 of Article 6”에 대한 7개 항으로 구성된 세부적인 기준과 규율을 제시함으로써 조사당국의 재량을 보다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WTO체제에서의 규범에도 불구하고 미국 상무부는 2015년 발효된 무역특혜확장법에 근거하여 소위 “불리한 이용가능 사실(adverse facts available, 이하 ‘AFA’)” 기준을 최근 과도하게 사용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교역상대국의 비난을 초래해왔다. 이러한 미국 상무부의 AFA 관련 정책 변화는 특히 우리 철강 수출에 큰 타격을 초래했는데 우리 정부는 2018년 2월 이 문제를 WTO에 공식적으로 제소하게 되었다. 이용가능자료 활용 절차는 대대적인 현행 제도의 개선없이도 국내 무역구제절차에 대한 피신청인들의 참여를 보다 전향적으로 유도하는데 유용한 조치이다. 현재 미국 상무부가 시행하는 AFA제도는 명백하게 WTO 반덤핑협정의 취지에 반하고 있어 이를 답습하거나 그러한 방식으로 제도를 남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국내시장에 수출을 해왔고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피신청인 입장에서 국내 무역구제절차에 참여 자체를 저울질하는 상황은 해소할 필요가 있다. 보다 광범위하게 피신청인을 지정하고 이용가능자료 절차를 강화하여 합리적인 조사대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시장진입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어야 한다. 대신 절차적 규정에 충실하게 조사대응이 이루어지는 경우 논리적인 증거에 근거하여 무리한 반덤핑조치 부과 요청은 기각되어야 한다.

      • KCI등재

        우리나라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패총 출토 패류

        안덕 한국패류학회 1994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10 No.2

        Molluscs from the Neolithic shell middens (Sugari, Pudjeong, Tongsamdong, Sangnodaedo, Sandeung, Yondaedo, Songdo and Kupyongri) in the southern coast, Korea, consisted of marine, fresh-water and land molluscs. Among these, intertidal species were exploited most abundantly as food resources, indicating a high dependence of intertidal shellfish collection activities. Especially oysters were the most abundant in these sites except Tongsamdong where mussels were predominant, indicating oysters were the most important food resources. Land snails from the sites consisted of woodland and open land species. Woodland species were more abundant than openland species, suggesting that there was a woodland environmint around the sites. Marine and land mollusc species from the sites are common in these rigions today, indicating no large-scale emvironmental changes have occurred since these middens formation period.

      • KCI등재

        미량원소분석을 이용한 고남리 및 대죽리유적의 식생활 복원 연구

        안덕임(An, Deog-im)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3 No.-

        본 연구에서는 신석기시대 안면도 고남리패총에서 출토된 인골(HK-1)과 사슴(D-1)및 서산 대죽리패총에서 출토된 인골(HK-2)에 대한 미량원소 분석을 통하여 신석기시대의 고식생활 및 사슴의 먹이유형에 대한 복원을 시도하였다. 인골시료 HK-1은 비교적 높은 Srshd도를 보인 반면 Ba 및 Zn은 낮은 값을 나타내어 해산물, 식물, 육류가 혼합된 식생활 가능성을 말해준다. 그런데 Ba/Sr 농도비가 낮아 해산물 섭취가 어느 정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한편 Zn 농도가 특히 낮은 것으로 미루어 육류 섭취는 적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Ba과 Zn이 모두 낮기 때문에 영양이 결핍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HK-2는 Ba/Ca, Sr의 함량이 비교적 높고 Zn 성분의 섭취가 낮은 것으로 보아 채식을 기본으로 한 식생활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사슴 시로 D-1은 Ba, Sr의 비가 높고 Zn 함량이 낮아 식물성 먹이를 바탕으로 하는 초식동물의 식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미량원소분석은 고식생활 복원 나아가 생업경제 복원과 관련된 고고학적 문제의 해결에 유용한 해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s dietary reconstruction on bone samples of a human(HK-1) and a deer(D-1) from the neolithic Konam-ri shell midden, and of a human(HK-2) from the neolithic Daejuk-ri shell midden by trace element analysis. HK-1 shows a relatively high Sr value and low Ba and Zn vlues, indicating a mixed consumption of marine, meat and the diet, while a low Ba/Sr ratio may represent a relevant consumption of marine resources in the diet. There is also a possibility of nutrition deficiency, because the spcimen has significantly low Zn and Ba values. HK-2 shows high Sr and Br values and indicates that vegeration foods may be the main component of the diet. D-1 exhibits high Sr and Br values and a low Zn value, suggesting a plant-based diet and thus reflecting a diet of herbivores. Therefore,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trace element analysis can provide a valuable means for palaeodietary and subsistence studies.

      • KCI등재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및 특성연구

        안덕교(Kyo Duck Ahn),윤민중(Min Joong Yoon) 한국고분자학회 2014 폴리머 Vol.38 No.6

        종래의 역상 현탁중합 방법을 개선하여 서방성 재료로 적합한 비드형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하고 그것의 물리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단량체로 아크릴산과 아크릴 아마이드를, 가교제로는 N,N-메틸렌 비스아크릴아마이드를 사용하였다. 단량체 수용액의 점도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로 조절하였고 분산안정제로 에틸셀룰로오스와 폴리부타디엔계를 조합하여 사용하였고, 분산상으로는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단량체 수용액과 비중을 유사하게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제조된 비드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결과, 입자의 표면에수십 nm 직경의 기공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비드 입자의 크기는 단량체 수용액의 점성을 조절함에 따라500~3000 μm 범위의 크기 분포를 보였다. 비드의 흡수량 및 흡수속도는 입자크기에 반비례하였으며 1 g 수지가 5시간 동안에 흡수하는 최대 수분량은 평균 170~200 g이었다. 한편, 이러한 흡수량은 수용액의 pH 변화에의존하였으며 pH 5~11 범위에서 최대의 흡수량을 보였으며, NaCl과 MgCl2 염이나 에탄올과 프로필렌글리콜의 농도 증가에 따라서는 흡수량이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흡수 후 방출 거동을 관찰한 결과 상온에서 700시간으로 서방성 재료로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Bead type super-absorbent resins to be used for release-control were prepared by modification of theinverse suspension polymerization, and their physic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Acrylic acid and acrylamidewere used as monomers, and N,N-methylenebisacrylamide was used as crosslinker, controlling the viscosity ofmonomer solution by adding hydroxyethylcellulose (HEC). SEM studies of the synthesized beads verified that thebead surfaces had many pores with their diameters of several tens nm. The bead sizes were in the range of500~3000 μm,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monomer solution. Both absorbent amount and absorbent rate ofthe bead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bead size, and the maximum water absorbent amount of 1 g beads wasdetermined to be ca. 170~200 g for 5 hrs. The absorbent rate was also dependent on pH change of the aqueous solution,exhibiting the maximum rate in pH ranging from 5 to 11. The absorbent rate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of salt (NaCl and MgCl2) or ethanol and ethylene glycol increased. Release time of the water absorbed into the beadresins was 700 hrs, confirming the usefulness of the resin for the good release-control materials.

      • KCI등재

        단파장 자외선 조사를 통한 열화견 제작과 적용성 평가 - 잿물 처리에 의한 유용 여부를 중심으로 -

        안덕,이상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21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8 No.-

        열화견은 화견을 인공적으로 열화한 것으로 노화한 견본 문화재 보존을 위한 기 초적인재료이다. 새 화견으로 오래된 작품을 보강할 시 기존 바탕재와 강도 차이가 발생하며 결국 유물에 또 다른 손상을 입힌다. 또한 새 화견은 질기고 억세기 때문에 결실부 형태에 맞춘 성형이 어렵다. 적절한 물성을 갖는 열화견 제작과 이를 위한 기술연구는 회화문화재 보존에서 오랜 과제이다. 본 연구는 화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의 열화견 제작 방법을 확장하려는 시도이다. 화견에 단파장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을 통해서 열화견을 제작하였다. 동시에 자외선 조사 이전에 짧은 시간 상온의 잿물에 화견을 침적하여 비교대상을 두었다. 잿물이 띤 알칼리성이 생견의 세리신을 파괴하면서 자외선 인공 열화에 필요한 시간을 줄여주는데 유용할 것으로 추측했다. 잿물처리하여 단파장 자외선을 조사한 열화견과 처리하지 않은 열화견의 물성을 비교하고, 제작한 열화견이 보존처리 재료로써 적합한 지 평가하였다. 결과를 분석한 바, 잿물 처리한 뒤 단파장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작한 열화견은 미처리 열화견보다 동일한 조사시간에서 강도 약화 효과를 더 빠르게 얻을수 있었다잿물 처리한 화견은 미처리 화견과 자외선 조사 시 유사한 황변 수치를 보여 색상 측면에서 불이익을 주지 않았다. 열화견의 성형과 채색 용이성을 판단해본 결과 제작한 열화견은 보존처리 작업에서 사용하기 적합할 것으로 평가하였다. Deteriorated silk, which results from an artificial deterioration of silk, is used as a ba- sic material for preserving the cultural properties of aging silk paintings. When reinforc- ing old paintings on the silk with a newly woven silk, the strength of the new material differs from that of the existing base material, eventually resulting in the damage of the relics. In addition, new silk is tougher and stronger, and therefore trimming it to the shape of the lost painting part is difficult. Thus, the production of deteriorated silk with appropriate properties is essential for preserving the cultural properties of painting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tend the method of producing deteriorated silk by using an irradiation treatment with ultraviolet rays. Deteriorated silk is produced by irradiating silk with ultraviolet-C. Moreover, before irradiation, the silk is immersed in lye at room temperature for a short time to be compared with irradiated silk. The as- sumption is that the lye alkalinity would be useful in reducing the irradiation time re- quired for the artificial deterioration of silk by the destruction of sericin in it through ul- traviolet ray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rradiated deteriorated silk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untreated deteriorated silk. Moreover, the suitability of the manufac- tured deteriorated silk for use as a preservation material for paintings was evaluated.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for a given irradiation time, deter- iorated silk produced via the irradiation of ultraviolet-C rays after an immersion treat- ment can yield a faster strength weakening effect than the untreated deteriorated silk. The yellowness index of the irradiated lysed silk was similar to that of the untreated silk, suggesting that irradiation had little effect on the color of the material. An evaluation considering the ease of trimming and coloring of the obtained deteriorated silk in- dicated that this material would be suitable for use in preservation treatment work.

      • KCI등재

        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식생활 복원 연구

        안덕임(An Deog-im) 한국상고사학회 2006 한국상고사학보 Vol.54 No.-

        본 연구에서는 안면도 고남리의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패총에서 출토된 인골, 멧돼지 개 뼈에 대한 탄소, 질소동위원소 분석을 통하여 당시 식생활, 동물의 가축화 및 사육방법에 대한 복원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멧돼지의 δ¹³C 및 δN값이 신석기시대 시료는 각각 -19.77, 4.28% 및 -21.27, 2.97%을 나타내고 청동기시대 시료는 각각 -18.29, 5.59% 및 -18.55, 4.07%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비교적 낮은 탄소, 질소동위원소비는 두 시기의 멧돼지가 야생의 C₃식물 먹이를 기본으로 섭취하였음을 보여준다. 신석기시대 개는 동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멧돼지와 비슷한 동위원소비를 보이고 있어 자연 상태의 C₃식물 위주의 먹이를 섭취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청동기시대의 개는 동시대 인골과 유사하여 기본적으로 사람들의 음식물로 사육되었음을 말해준다. 신석기시대 인골의 δ¹³C 및 δN값은 각각 -17.83, 9.12%로 C₃식물 채집을 생업의 기본으로 하고 동물성단백질을 보충적으로 섭취하였음을 보여준다. 청동기시대의 경우 -12.2, 10.1%로 탄소동위원소비가 뚜렷하게 높아진 특징을 보인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C₄식물에 의존한 식생활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reconstruct human diet and domestication patterns in the neolithic and bronze Konam-ri shell middens, Korea, using stable isotopic analysis of collagen in human, wild boar and dog bones. Wild boars from the neolithic and bronze age middens appear to have relatively low carbon and nitrogen isotope values(δ¹³C=18.29~-21.27% and δN=2.97~4.28%) and to be different from human, indicating that they have mainly consumed C₃ plants in a natural ecosystems. A dog from the neolithic site demonstrates similar isotope values to wild boars from the sites, indicating that it consumed mainly natural C₃ plants. However, a dog from the bronze site represents similar isotope values to human, suggesting it was fed by leftovers of C₄ plant-based human diet. A human bone from the neolithic site exhibits relatively high isotope values(δ¹³C=-17.83% and δN=9.12%), indicating consumption of C₃ plant-based foods and some consumption of animal foods. Finally, human bone from the bronze age shows a high δ¹³C value, reflecting that C₄ plants were the predominant component of the di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