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학자 홍기문 연구 3: 일제 말의 은둔 생활과 학문

        강영주 역사문제연구소 2011 역사비평 Vol.- No.101

        This paper investigates the life and studies of Hong Ki-Moon, during the late Japanese Occupation. Hong Ki-Moon, employed at the Chosun Ilbo newspaper, ceased all social activities after the newspaper discontinued publication and led a life of seclusion in Chang-dong. Artist Kim Yong-Jun’s writings reveal the inner life of Hong Ki-Moon. During this period, Hong Ki-Moon wrote Jeongeumbaldalsa (History of the Korean Script), an outstanding research on Hunminjeongeum. There is a rumor that Jeongeumbaldalsa was the result of joint research with Bang Jong-Hyun, and Hong Ki-Moon received recognition for the achievements alone. However, close inspection of the writing process clearly indicates that the book is solely the work of Hong Ki-Moon. Later, Hong Ki-Moon focused on research of historical records. He perused History of the Koryo Dynasty and Annals of the Chosŏn Dynasty for years until the Japanese Occupation ended in August 1945. Such commitment to studies during dismal times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became the decisive factor in Hong Ki-Moon’s decision to lead the life of a scholar rather than a journalist or politician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ended.

      • KCI등재

        先秦時期 蘭의 儒家 象徵 考察

        강영주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7 中國學論叢 Vol.58 No.-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and symbol of Orchids in the works of Pre-Qin period(先秦時期) confucian Confucius(孔子) and Quan(屈原). The ancient Orchids helped the human body with the drug that removes the poison, and the belief that the drug will remove the evil and give the auspiciousness increases, and the function is strengthened. And Orchids become a confucian symbol by Confucius and Quan as they affect human emotions and aesthetics. Traditionally, the orchid served as a theme for poetry and paintings practiced and appreciated by people of various social classes ranging from the king to the royal family, the gentry, the middle class, state-hired painters, Buddhist monks and gisaeng. The gentry, the major creators of orchids, aimed to be ‘Gentlemen (君子)’, the ideal personality of their Confucian philosophy. Above all, they tried to follow the example of Confucius and Qu Yuan, who were the eminent figures of Confucianism pursuing the Principle of Heaven(道) and the Virtue(德). The gentry personified and internalized orchids embodying the spirit of the plant that they tried to achieve and sought comfort in it. As Confucianism became the ruling ideology of nation, orchids acquired a Confucian meaning to signify moralit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Confucius’ Orchids standing for Gentleman, Qu Yuan’s Orchids for fidelity orchids materializing the image of loyalty(忠). Verses on orchids(猗蘭操) from the Analects rendered orchid-related symbol and metaphor like gentleman, ‘geumnanjigyo(金蘭之交)’, and ‘gonggokyuran(空谷幽蘭)’. Li Sao(離騷) and Nine Songs(九歌) by Qu Yuan from Verses of Chu(楚辭) gives a hint on the status of growing orchids and the symbol of loyalty and Chopae(紉佩).

      • KCI등재
      • KCI등재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나무검사의 반응특성 연구

        강영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나무검사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고,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를 위해 경기도 A시 소재 감정노동자 직업군에 속하는 8개 직장인 164명을 대상으로 나무검 사와 자아탄력성 척도검사(KQR-53)를 하였다. 이중 자아탄력성 척도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30%이상을 상위 집단, 하위 30%이하를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총 97명을 선별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점수의 상, 하위 집단을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형식적, 내용적 분석에 따른 나무검사의 반응특성의 차이를 위해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 나무검사의 형식적 반 응특성은 나무검사의 지면선, 음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크기, 위치에서는 유의미 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감정노동자의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상위 집단과 하위 집 단 간 나무검사의 내용적 반응특성은 나무검사의 줄기, 가지, 수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으나 뿌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나무검사는 감정노동자의 자 아탄력성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um Test according to the emotional employees’ self-resilience, and to explore the potential as an index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emotional employees’ self-resilience. To this end, Baum Test and Korean Quotient of Resilience-53 (KQR-53) were performed on 164 emotional employees belonging to the emotional employee occupation group located in A city, Gyeonggi province. Among them, a total of 97 people were selected by dividing the upper 30% or higher into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30% or less into the lower group based on the score on the self-resilience scale. For data analysis,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the scores were express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cross-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um Test according to formal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l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um Tes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resilience of the emotional employe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ound line and shade of the tree pictur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ze and location. Second, the content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Baum Tes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resilience of the emotional employe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em, branch and waterways of the tree pictur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oots. In conclusion,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e as a tool to identify tree drawings and the level of self-resilience of emotional employees.

      • KCI등재

        동북아시아 곰 설화에 나타난 여성의 위상(位相)

        강영주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This paper's purpose is to analyze the status of females in the bear tales in Northeast Asia. Among the Manchu-Tungusic bear tales, generally the woman characters leave the human society and cohabit with the bear. Such women's behavior shows symbolically females more closer to nature than males. The desire of murdering that the man characters experience about the bear and the woman characters presents males more closer to culture than females. Females in the bear tales in Northeast Asia take their position between the nature and the culture. Also generally the bears in the Manchu-Tungusic bear tales are the male bears. the male bears have confrontation with males. The male bears completely symbolize the nature and males completely symbolize the culture. Males symbolized the culture have the grab on the bears symbolized the nature by eliminating the male bears. Between males and the bears, originally females have their position in the culture. But increasingly they have their position in the nature by uniting the bears. The woman characters in Korean bear tales are completely identified with the bear from the first. The bear tales in Korea shows definite opposition between the nature and the culture much more than those in any other country in Northeast Asia. Though The woman characters in Korean bear tales thoroughly equal to the female bears, they are always long for the culture that mankind has built. It shows that females in Korean bear tales are completely subordinate to males symbolized the culture. 이 논문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곰 설화에서 여성의 위치와 역할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핀 것이다. 인류학자 레비스트로스의 개념을 빌려와, 동북 아시아 지역 곰 설화에서 곰이 거주하는 공간과 인간인 남성과 여성이 사는 공간을 각각 문화와 자연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는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전승되는 곰 설화에서 곰이 어떤 상징을 지니고 있으며, 곰 설화의 양상이 왜 서로 유사한지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다음으로 만주-퉁구스족에 전승되는 곰 설화 가운데 남매의 동거와 여성의 이탈이 드러나는 구조를 갖는곰 설화들을 통해 이 민족들이 바라보는 여성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곰과 결합하기를 선택하는 누이의 행동이나 곰과 노는 일에 익숙한 여동생의 성향은 남성보다 여성이 자연과 더 가까운 존재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곰과 여성에 대한 남성의 살해 욕망은 남성을 문화의 자리에 놓고 여성은 자연과 더 가까운 자리에 놓으면서, 자연을 벗어나 인간이 만든 문화의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을 나타냈다. 여성이 인간남성과의 동거를 깨고 자연으로 상징되는 곰과 결합하는 구도에서 곰의 성별이 수컷(남성)으로 기능한다는 사실에도 주목해 보았다. 수곰은 인간남성과 대척점에 서 있으면서 한 쪽은 완전한 자연을, 다른 한 쪽은 완전한 문화를 상징했다. 문화로 상징되는 인간 남성은 자연으로 상징되는 곰을 제거함으로써 문화의 승리와 우월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사이에서 여성은 원래 문화의 자리에 놓여 있다가 곰이 속한 자연의 자리로 옮겨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성은 완전히 자연의 범주에 속하지는 않았다. 여성 역시 자연을 초월하고자 하는 문화의 기획에 포함되어 있는 존재였다. 곧 동북아시아 곰 설화의 영역 속 여성은 자연과 문화의 중간적 위치에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시아 지역에 전승되는 곰 설화의 자장(磁場)에서 한국 곰 설화의 위치가 어느 지점에 있는지를 생각해 보았다. 한국의 곰 설화에서 여성은 인간이 아닌 곰의 모습에서 출발했다. ‘여성= 곰’이라는 이야기 구조는 자연과 여성을 완전히 동일한 위치에 놓은 인식세계를 반영했다. 동북아시아라는 큰 틀에서, 한국의 곰 설화는 더 단순하고 분명한 자연과 문화의 대립을 드러냈다. 한국 곰 설화에서 여성은 자연과 문화의 경계자로서 애매모호한 지위를 갖지 않았다. 여성은 완벽히 자연의 본성을 지닌 곰의 모습으로 형상화 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 내면의 욕망은 완벽히 문화를 향함으로써 여성은 남성으로 상징되는 문화로의 철저한 종속성을 보여주었으며, 본성과 욕망의 괴리 사이에서 비극적 결말을 맞이했다. 그럼에도 한국을 포함한 만주-퉁구스 족의 곰 설화에서 곰과 여성은 비슷한 위치에 놓여 있었으며, 자연과 문화의 대립 및 문화와 남성의 우월성을 구축시키는 양상을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Altérité, ironie et dialogue dans la poésie de Verlaine

        강영주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64 No.-

        본 논문의 연구 목표는 현대시에서 나타나는 서정적 주체의 위기의식과 불분명한 정체성에 관한 분석의 일환으로 베를렌 작품 속 서정적 주체의 독특한 대화 양식을 통해 표현되는 자아를 발견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특히 그에 준하는 다양한 양상 중 바흐친의 ‘대화론’ 혹은 ‘상호텍스트성’의 ‘이타성’ 현상에 집중하였다. 즉, 베를렌 고유의 작품 속 주체의 발화행위가 지니는 복합적 구조와 의미를 몇 편의 시 분석을 통해 보여주어 외관상 혼합적이고 불균일한 작품세계에 일관성을 부여하는 대화체계를 보여주는 것이다. 베를렌의 서정적 주체는 끊임없이 대화하고 있다. ‘나’의 말은 여러화자를 향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또 다른 ‘나’를 향해 있기도 하다. 이러한 발화행위의 장치 중 중요한 수단으로 우리는 ‘아이러니’를 발견한다. 어떤 의도를 지닌 자세로서의 ‘아이러니’를 말한다. 우리는 이타성 문제를 우선 주체의 분열성과 연관해서, 그 다음으로는대화 속 화자들간의 언쟁과 관련된 대화의 모호성 그리고 끝으로 분산된주체의 모습을 통하여 다루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