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百濟와 倭의 수막새­寺谷廢寺 出土 百濟系 古瓦에 대하여­

        坂野和信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2 百濟硏究 Vol.36 No.-

        이 논문은 일본의 飛鳥時代(6세기말)에 關東地域에 처음으로 건립된 寺谷廢寺 수막새와 고대 한국百濟 泗 時代의 도읍(538∼660)인 부여의 사찰에 사용된 수막새 사이의 관계를 비교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일본 飛鳥時代에는 近畿地域의 大和(奈良縣)에 왕권이 있었다. 이 시대에는 奈良縣에 처음으로 飛鳥寺, 豊浦寺 등 사찰이 조영되었다. 당시 倭國은 불교 도입에 관해서 폐쇄적이었다. 그러나 국책을 바꾸어 중국·한반도의 동아시아 문명사회에 참여하기 위해서 불교를 도입하여 고도 문명국의 권위와 사상의 상징으로서 사찰 조영을 적극적으로 채택한 것이다. 寺谷廢寺는 부여에 축조된 많은 대규모 사찰 뿐만 아니라, 소규모 사찰로서 扶蘇山 廢寺(西腹寺)址 등이 모델이 된 것으로 생각되며, 소규모 건물들이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양자 모두 조망이 좋은 독립 구릉에 입지하고 있다.關東地域의 자료만으로는 寺谷廢寺의 확실한 축조연대를 찾을 수는 없다. 그래서 우선 이 절 창건기 기와와 須惠器를 동시에 생산한 가마인 平谷窯에서 만들어진 須惠器의 계보에 대해 고찰하였다.다음으로 ≪日本書紀≫ 등 문헌사료에 기록된 奈良縣 飛鳥地域의 유적에서 출토된 須惠器의 실년대를 검토하였다. 飛鳥지역의 須惠器는 大阪府 陶邑窯에서 공급된 것이기 때문에 飛鳥에서 확인된 須惠器 실년대와 陶邑窯 須惠器를 비교 검토할 수 있다. 그리고 平谷窯 須惠器의 계보를 통해서 寺谷廢寺 창건연대에 대해 검증하였다.또 부여에 있는 사찰들과 관련되는 수막새의 형식분류와 암키와 제작기법의 비교 검토를 함으로써 寺谷廢寺 수막새와 암키와 제작기법의 계보와 제작연대에 대해 고찰하였다.關東地域에서 寺谷廢寺의 조영은 백제왕권과 大和王權 사이의 국제교류 관계에도 적지 않아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고대 일본의 외교와 일본 국내에서 동국세력의 역사적 재평가와 연결되는 것이다.본 논문은 종전의 大和王權이라는 한 측면만에서 본 일본 고대사상의 틀을 바꾸는 검토 소재로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原三國時代 前期의 度量衡 成立(Ⅰ) - 弁·辰韓의 鐵資源과 社會構成 -

        坂野和信 영남고고학회 2011 嶺南考古學 Vol.- No.57

        한반도 남부의 경북지역은 원삼국시대 전기의 초기제철기술단계(B.C.100년경)에 주조와 단조의 2계통의 철기생산기술이 동시에 성립된 것이 특징이고 이것은 이 지역 최대의 사회생산기반이다. 그리고 기원전 1세기 전엽의 경북지역에서 생산이 개시된 판상철부는 연(燕)의 직접적 계보가 아닌, 낙랑군 설치에 따라 중국 본토에서 직접 이입된 고도한 철기기술이다. 이에 근거해 진한의 철기생산기술혁신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한국고고학에서 도량형의 의한 수공업생산의 분석이라고 하는 새로운 연구영역을 형성하는것이 목적이다. 영남지역에 있어서 원삼국시대 전기에 철기의 주체를 이루는 철부류 및 동모·동검·동과 등의 청동기류에 일정한 통일된 생산규격이 존재하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러한 금속기의 생산규격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전한의 법량규격과 중량규격인 도(度)와 형(衡)의 기준이 사회제도로서 기능하고 있었다는 것을 논하였다. 한경에 대해서 전한의 도(尺度)와의 관계를 비교해 그 척도의 실태를분석했다. 그리고 낙랑군 성립단계인 기원전 1세기 초두에는 흑색 정제도(精製陶)인 호류 등의 기종구성이 성립하고 주조철부를 비롯한 철기류의 분묘 부장 개시를 계기로 변·진한이 형성되었다고 하는 첫 번째 중요한 사회적 획기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상기한 검증과 이론적 전제에 의해서 변·진한 사회는 철이 기본적인 자원이고, 이 철자원의 활용이사회기반형성과 강하게 연결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본론의 분석수법과 연구영역이 원삼국시대 전기사회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고고학적 방법으로서 유의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새로운 연구시점으로서 원삼국시대 전반의 분묘에는 주조철부를 의도적으로 파쇄하고 철부의기능 자체를 상실시켜“ 가기화(仮器化)”시키는 장송의례와 이를 매납하는 제사가 행해졌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주조철부 파쇄는 진한에서 판상철부 성립 이전의 주조철기의 생산기술혁신에 공반된 것이다. 원삼국시대 전기전반에서 후반에 걸친 중요한 변화는 적석목관묘의 종언과 새로운 회도계(灰陶系)단경호가 성립한다는 점 및 변·진한 독자의 판상철부의 분묘 부장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전기중반에는 원삼국 전기전반과 후반을 2분하는 계기가 형성되어 제2의 사회적 획기가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수 있다. 그리고 중기중반에는 대낙랑군과의 활발한 교류관계가 형성되는데, 그 영향의 하나로서 식자층이 변한에 형성되었다는 것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formation of a new research area about the handicraft ma nu fac t u r i n g wh ich b a s e d on met r olo g ic a l s t a n d a r d i n Ko r e a n a rch ae olo g y. T h e characteristic of Gyengbuk area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is existence both two systems of iron making technology: the casting and forging in the early iron production at the same time in the early period of Proto- three Kingdoms (around BC 100). The technology of iron implements production is the biggest production foundation in the society. The plate type iron axe is produced in Gyengbuk area in the 1st century BC. That advanced technology of iron instruments make production technology of Shinhan innovate. Due to the technology, iron implements are able to be produced in Shinhan(辰韓), however,it does not come from Yan(燕) directly but from mainland China through Nangnag Province. I clarify that there are certain unified standards both iron implements, mainly composed axe and bronze implements as halberd, sword, and socketed pike in Youngnam area in Proto- three Kingdom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andards for metal production, scale and weight measure standards of Western Han, namely, metrological standards work as a social system. And I also analyze the length of Han mirrors and compare it with the scale of Western Han. There is an important first social epoch at the time when Nangnag organized in the beginning of 1C BC. Taking an opportunity of beginning of burying the iron implements into tombs like cast iron axes and emergence of black fine ceramics pots as the configuration, Jinhan and Byunhan(弁韓) countries are founded. Due to those analyses and the theoretical proposition, I point out that the iron is a basic resource in the society of both Jinhan and Byunhan. It is clear that utilization of the resource has strong relationship to form social foundations. I show that it is useful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the society in Proto- three Kingdoms by using theses techniques of analyses and recognition of research area as archaeological methods. There is a new research perspective about funeral rites and rituals, which makes special goods for burials by crushing cast iron axes and losing the common function intentionally (仮器化) in the early period of Proto- three Kingdoms. I refer that crushing cast iron axes goes with the innovation of cast iron implements production before plate type iron axe emerges in Byunhan. There are some important changes from the first to second half of the early Proto- three Kingdoms: (1) when the wooden coffin burial with stone mounds expire, short neck bottles of huitao line pottery are produced at the same time (2) it can be pointed that the number of iron axes as mortuary goods is increasing in Jinhan and Benhan. Namely, I clarify that there is the second social epoch, which emerges to make Protothree Kingdoms divide into the early and latter half at the middle of the first half of Protothree Kingdoms. As one of the consequences, I mention that the active interaction with Big Nangnag Provincial government (大樂浪郡) makes to form literate class in Jinhan and Byunhan societies in the Middle of the early Proto- three Kingd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