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Художественный мир А. П. Чехова через призму гендерных отношений

        Кан Мён Су(강명수)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2

        자아와 타자, 개인과 사회. 지배와 피지배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고리’ 역할을 하는 젠더가 지니는 의미나 가치는 중요하다. 이 연구는 ‘젠더 관계 프리즘’을 통해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회를 통찰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탈출구를 찾고자 하는 (여성)주체의 문제를 직시하게끔 해 줄 것이다. 〈철없는 아내〉(1895), 〈아리아드네〉(1895), 〈목 위의 안나 훈장〉(1895)에서 여주인공들은 남성 욕망을 부추기는 섹슈얼한 여성으로 타자화된다. 여주인공들은 로맨틱 러브에서 추구했던 순정만으로는 의식주라는 현실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을 깨닫는다. 따라서 그들은 부족한 돈을 마련하기 위해서 섹슈얼리티를 사용하고, 자유로움(방종)을 위해서 불륜과 배신을 거듭한다. 이러한 여주인공들의 육체는 개인의 체험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라는 의미를 넘어서, 모순적 현실이 은유적으로 재현된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일상을 사는 여성들의 섹슈얼리티가 갖는 의미는 ‘그들의 육체가 남성들의 성적 욕망에 의해 어떻게 자본화 되고 있는가?’ 와도 긴밀하게 연결된다. 체호프의 후기 작품들에서 일상을 사는 여성은 항상 변신을 꿈꾼다. ‘지금 이곳’의 현실이 부정적이고 억압적일 때 변화와 탈출의 욕망은 더 커진다. 그래서 현재의 육체를 버리고 다른 육체를 취함으로써 삶의 변화를 모색한다. 자신의 현실이 덫이기에 거기서 벗어나는 길은 지금의 육체를 가꾸고 치장해서 새로운 형태의 육체를 만든 다음, 그것을 닻으로 삼는 길 밖에는 해결책이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일상을 사는 여성이 무력감을 극복하면서 지금과는 다르게 살고 싶다는 욕망이 정체성의 변화를 낳는다고 말할 수 있다. 체호프의 후기작품세계에서는 수동적 여성보다 모순이나 균열을 드러내는 ‘능동적 여성의 형상화’가 나타난다. 능동적 여성 주체의 모습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 하는 것은 다양한 차원에서 탐구되어야 할 또 다른 문제이다. 체호프는 자신의 예술세계에서 여성보다 인간 전체를 우선 고려했다. 하지만 이것이 체호프에게 여성 문제가 덜 중요했다거나 중요하지 않았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체호프의 예술세계에서 중요한 것은 여성이 단지 속악한 현실을 대변하는 세태의 부분으로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체호프의 예술세계를 작동시키는 근원적 동력의 하나가 된다는 점이다. 우리가 다룬 체호프의 후기 작품들의 특징은 서사를 추동하는 동력으로서의 여성이 남성 인물과의 관계에서 수동적인 타자로만 머물지 않고, 지배서사의 주변부로부터 중심부로 이동한다는 점이다. 체호프는 자신의 후기 작품들에서, 톨스토이와는 달리 가족과 가족 이데올로기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편이었다. 또한 그는 여성을 향해 도덕적-윤리적 잣대를 가혹하게 들이대지는 않았다. 아울러 기존의 작가들이 보여준 여주인공보다도 젠더 관계 차원에서 ‘적극적인 삶을 사는 여성-능동적 주체’를 형상화했다고 말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