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췌장염에 의한 가성낭종내에 생긴 가성동맥류 : 1례 보고

        오연희,이채경,김승현,이성우,양창현,이정호,이영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만성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생긴 가성동맥류는 드문질환으로, 반복적으로 다량의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사망율이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38세 남자 환자에서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생긴 가성낭종내에서 발생한 가성동맥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성 동맥류의 색혈류도플러상 낭종내에 양방향 흐름의 와류를 볼 수 있었다. Pancreatic Pseudoaneurysm within Pseudocyst from Pancreatitis: 1 Cas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nd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DongGuk University Yeon Hee OH M.D., Chae Kyeong Lee M.D., Seoung Hyeon Kim M.D., Sung Woo Lee M.D., Chang Heon Yang M.D., Jung Ho Lee M.D., Young Hyun Lee M.D. Pseudoaneurysm from pancreatitis is uncommon, but it can cause recurrent and massive hemorrhage. Because of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the pseudoaneurysm is needed. We report a case of pseudoaneurysm within pseudocyst from pancreatitis. Color-flow Doppler sonography shows bidirectional flow and turbulent arterial flow, within anechoic mass.

      •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에 대한 Thioctic acid의 유효성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박철영,김영설,오승준,우정택,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 대한당뇨병학회 2001 임상당뇨병 Vol.2 No.1

        연구배경: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나타나는 합병증으로서 임상 증상은 가볍거나 없을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에 통증, 작열감, 이감각증이나 무감각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지만, 이에 대한 명확한 기전이나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었다. 최근에 신경세포내 산화성 스트레스의 증가로 신경세포의 손상이 발생된다는 기전이 주목을 받으면서,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에게 항산화제인 thiotic acid를 사용하여 좋은 효과를 관찰한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의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 환자에서 thiotic acid를 경구 투여 후에 신경병증에 의한 효과 및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모든 대상 환자에게 Thioctic acid 600㎎ 을 1일 1회 아침 식전 30분에 8주간 투여하여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증에 대한 TSS의 개선여부에 대한 임상적 유효성 및 이상반응, 내약성, 실험실적 지표의 변화를 통한 안정성을 관찰하였다. 결과: 치료시작 전에 관찰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은 통증이 가장 많았으며 무감각, 작열감, 이상감각 순의 빈도를 보였다. 통증, 작열감, 이감각증, 무감각증의 평균 TSS는 1차 방문시 5.8± 1.8, 2차방문시는 4.4±1.7, 3차 방문시는 3.1±1.1로 사용기판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또한 TSS의 개선 뿐만 아니라 통증, 작열감, 이감각증 및 무감각증 각각의 증상도 치료전과 치료 4주 후 및 치료 8주 후를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상의 호전이 있었다. TSS가 1차 방문 시와 비교했을 때 3차 방문시에 30% 이상 개선되었을 때(1차 방문시에 TSS 4인 환자는 2점 이상 개선되었을때)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반응으로 간주하고 계산한 반응률은 71.3%였다. 결론: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병중 환자에 대해 항 산화제인 thioctic acid 600㎎ 경구 투여요법은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증상완화에 유용하며, 안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study was pe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oral treatment with the antioxidant α-lipoic acid (Thioctcid??) in diabetic patients with peripheral polyneuropathy. Methods: Thioctacid?? 600㎎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a day for 8 weeks in 61 diabetic patients with peripheral polyneuropathy. Neuropathic symptom(pain, burning, paresthesia, and numbness) were scored before, and of 4 and 8 weeks after treatment. In addition, neuropathy by the physician and patients at the end of treatment.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response role after 8 weeks treatment, defined as an improvement in the total symptom score of at least more than 30%. Results: Efficacy was evaluated among forty-four patients who had completely the study according to the protocol and safety was evaluated among all of 61 patients who had taken the study medication. The response rate after 8 weeks was 77.3%. The total symptom sco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f 4-week, and further decreased of 8-week. All the individual scores for neuropathic symptom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of 4-week and further decreased at 8-week. Conclusion: These finding indicate that oral treatment with thioctacid?? at a dose of 600㎎/day for 8 weeks will improve peripheral polyneuropathy in diabetic patients, without causing any serious adverse event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동종골수이식 후 혈당 및 혈중 지질농도의 변화양상 및 관련인자

        이원영,강무일,오은숙,오기원,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신완식,민우성,김춘주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골수이식은 비교적 젊은 연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면역억제제의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으므로, 주로 고령의 만성 질환 환자에서 시행되는 고형장기이식에서와는 달리 당대사 및 지단백 대사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저자들은 전향적 연구를 통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로 혈당 및 혈중지단백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임상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8년 10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43명을 대상으로 이식 전 및 이식 후 1, 2, 3, 4주와 3개월, 6개월에 공복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을 측정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 변화를 관찰하고 여러 임상인자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1. 공복혈당은 골수이식 수 첫4주 동안 상승하였고 이후 감소하였으나 이식 6개월 시점의 평균 공복혈당은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이식 후 1주에 최고치를 형성하였고 이후 기저수준으로 회복되었다가 이식 수 3,6개월에 다시 증가하여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중성지방은 이식 후 1개월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후 감소하여, 3,6개월에는 기저치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고밀도지단백은 이식 후 2,3주에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후 이식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혈중 저밀도지단백은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와 매우 유사하였다. 2. 골수이식 후 6개월 시점에서 공복 혈당이 126㎎/dL이상인 환자는 7명(16%)이었다. 이들 환자들과 공복혈당 126㎎/dL 미만의 환자 36명을 비교한 결과, 공복혈당이 126㎎/dL 이상인 환자군에서 스테로이드 평균 투여량이 많았고 고밀도지단백이 유의하게 낮았다. 3.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이 더 낮았고, 3개월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다. 혈연골수이식 환자군은 비혈연골수이식 환자에 비해 투여된 스테로이드 용량이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 높았다.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군(하루 평균 7.5㎎기준)은 저용량군보다 이식 후 3개월 시점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으나 나머지 시점의 혈당, 혈중 지질농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골수이식 후 초기시기에 주로 당 대사 및 지질대사이상이 관찰되며 이는 면역억제제 투여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억제제가 고용량 투여되는 합병증 발생 시 이들 대사이상에 관심을 기울여 대처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recipients are usually younger and immunosuppressants are open used in shorter period than in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herefore,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between BMT and solid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the serial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following BMT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rial changes of blood glucose, lipids and the putative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these changes after BMT. Methods: We have prospectively investigated 43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Fasting plasma glucose(FPG),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HDL) were measured before BMT, and at 1, 2, 3, 4, 12 weeks and 6 months after BMT. The serial changes of these metabolic parameters according to clinical factors including type of BMT, mean daily steroid dosage, and occurrence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were examined. Results: 1. Mean FPG level increased during 4 weeks after BMT and remained above basal value at post-transplant 6 months. Total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and was above basal value at post-BMT of 3 and 6 months. Triglyceride level was progressively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2. Patients with FPG above 126 mg/dL and the other patients, the former received larger amounts of daily steroid and had lower HDL-cholesterol level. 3. The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BMT, steroid dose, and occurrence of GVHD.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increase of FPG, TC, TG and decrease of HDL-C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these metabolic changes recovered slowly thereafter. Immunosuppressants ar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these changes. Further observation will be needed for the long-term effect of BMT on metabolic changes(J Kor Diabetes Asso 24:689~698, 2000).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

        남기덕,김영설,박철영,오승준,김덕윤,우정택,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인슐린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의 주요한 위험 인자로 성호르몬과 상호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성과는 달리 남성에서는 연령과 인슐린저항성에 따른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저자등은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산인과 비교해서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를 측정하고 연령에 따른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대상 환자 모두에서 연령과 체질량지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과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유리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을 이용해서 측정하였고, 혈중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은 면역방사계측측정법(immunoradiometric assay)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Diagnostic System Laoratories, Wbster, TX, USA). 결과:1)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 남성에 비해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은 104.1±35.0 vs 25.7±3.5 mole×10??로 의미 있게 높았으나(p<0.001),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13.7±9.5 vs 13.6±6.5 ng/dL로 차이가 없었다. 2)연령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사이의 상관 계수는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0.40로 중등고의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p<0.001),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 0.11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과 유리 테스토스테론 사이의 상관 계수는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0.08,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0.17로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연령과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에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와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 혈중 인슐린 농도,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남성에 비해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차이가 없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이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남성에 비해 증가 폭이 의미있게 컸으며,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변화가 없었다. Background: Insulin resistance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indicating that insulin lowers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and there is inverse correlation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in women. However, in men, a limited number of studies are available to explain the effect of sex hormone on age and insuli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ree testosterone, hormone-binding globulin and age in type 2 diabetic men and control subjects. Method: Age, body mass index,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blood sugar, an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on 89 type 2 diabetic men and 47 control subjects. The free testosterone level was measur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antibody system (Radioimmunoassay). The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 was also measur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antibody system(Immunoradiometric assay). Results: 1)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free testosterone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2) Sex hormone-binding globuli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r=0.4, p <0.001)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nd free testosterone were not correlated with age in control sujects. 3) Fre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erum insulin concentration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s: We observed increase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 in diabetes man, and was a positively related to ag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 insulin resistanc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s(J Kor Diabetes Asso 24:699~707,2000).

      • 실험적 진폐증에서 투여약제에 따른 면역학적 병리학적 조직변화

        윤임중,임현우,노영만,오상용,정장영,임영,김경아 가톨릭 대학 산업의학 쎈타 산업의학연구소 1993 韓國의 産業醫學 Vol.32 No.2

        To access the effects of some drugs such as piperazine phosphare, azathioprine and allopurinol in the experimental pneumoconiosis, 263 rats weighted 240-320 gm was divided into the control and eight experimental groups. To each group, the turbid solution mixed free silica, talc and natural coal dust of 50 mg in 0.8 ml saline were instilled intratracheally. At the begining and 5th week of experiment, piperazine phosphate(8mg/week orally), aspirin(1.5mg/day intramuscularly), azathioprine(25mg/day orally) and allopurinol(1.5mg/day orally) were administered simultaneously, while the dust turbid solution was only given to the control group. For each group the change of body weight. dry right lung weight, cellularity including total cell, macrophage, lymphocyte and neurtrophil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superoxide ion, hydroxyproline, leukotriene B₄, tumor necrotsis factor, prostaglandin E₂were examined, and observed the pathological chages in lung tissue.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The larger amount of their instilled dust and the longer observation period, the severer pathological findings were found in the lung tissue of each experimental group. 2. The body and dry right lung wigh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 The number of total cell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as markedly l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one,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ercent alveolar macrophages and lymphocytes in both groups. However, the percent of neutrophiles was usually lower than in the control group. 4. The amount of superoxide ion was frequently l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one. 5. The amount of hydroxyprolin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6. The amount of leukotriene B₄was usually less in the drug administered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7. The amount of tumor necrotic factor was also frequently lower in each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8. The amount of prostaglandin E₂was usually higher in each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one.

      • 노화가 인체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백기현,태현정,오기원,이원영,조정기,권순용,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골다공증과 연관된 위험인자로는 연령, 폐경, 약물, 불충분한 칼슘섭취, 만성질환 및 운동부족 등이 있는데, 특히 노화가 진행할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골소실은 조골세포 및 전구조골세포의 기능적 결핍에 의한 골형성의 감소가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동안 연령이 조골모 세포의 양과 조골모 세포로부터 성숙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부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일치된 견해는 없는 형편이다. 방법: 다양한 연령의 사람으로부터 골수를 채취, 중간엽 줄기세포가 포함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조골세포로 분화하기 좋은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대상군은다시 젊은군과 노령군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차배양에서는 CFU-F를 계수하여 골수내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를 추산하였고, 칼슘측정을 통하여 기질의 무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계대배양후 이차배양에서는 시기별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를 측정하고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젊은군과 노령군 사이의 증식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차배양 시기별로 MTT 측정을 하여 양군간에 증식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1. 일차배양 15일째에 평균 CFU-F의 수는 젊은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젊은군 148.3±28.9, 노령군 54.3±9.1, p=0.02). CFU-F의 평균면적은 젊은군에서 넓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일차배양 17일 경과 후 양군간에 기질 칼슘 침착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젊은군 103.6±50.6, 노령군: 114.0±56.5, p=NS). 3. 이차배양 10일째에 젊은군에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가 고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젊은군: 935.5±115.0 U/mg, 노령군: 578.4±115.7U/mg,p.0.05). 고령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미약했으며 전반적으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활성도가 젊은군에 비해 낮았다. 4. 이차배양도중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은 배양시기별로 젊은군에 비해 고령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차배양 10일과 15일에 젊은군에서 노령군보다세포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10앓 젊은군 0.73±0.05, 노령군 0.58±0.04, p=0.05, 15일; 젊은군 0.80±0.05, 노령군 0.70±0.03, p=0.05).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노령군에서 젊은군보다 골수 내 중간엽줄기세포의 수가 적고, 노령군에서 유래한 전구조골세포의 성숙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가 젊은군 보다 감소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Osteoblasts originate from osteoprogenitor cells in bone marrow stroma, term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r bone marrow stromal cells. Each MSC forms colonies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L-Fs]) when cultured ex vivo.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the age-related changes of the number and osteogenic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but any relationship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n humans. In this study, we counted MSCs using CFU-Fs count and examined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Finally, we analyzed how these parameters varied with donor age. Methods: Bone marrow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of young (n=6, 27.2±8.6 years old) and old (n= 10, 57.4k6.7 years old) healthy donors. Mononuclear cells, including M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osteogenic medium. In primary culture, we compared the colony-forming efficiency of MS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termined the matrix calcification. When primary culture showed near confluence, the cells were subcultur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steocalcin expression by RT-PCR and proliferative potential by MTT assay were examined by the time course of secondary culture. Results: At the 15th day of primary culture, the mean number of CFU-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donors (young: 148.3±28.9, old: 54.3±9.1, p=0.02) and the mean size of CFL-Fs was also larger in the younger donors than the older donors. However, matrix calcific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young: 103.6±50.6, old: 114.0±56.5, p=NS). In secondary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lder donors. The younger donors showed peak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day 10, while the older donors didn't showed a remarkable peak (young: 935.5±115.OU/mg, old: 578.4±115.7U/mg, p<0.05). Total cell number as a proliferative index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secondary culture and a significantly greater cell number was noted in the younger donors. Osteocalcin expression was generally upregulated in the younger donor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osteoprogenitor cells is decreased during aging and that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seem to be reduced during aging (J Kor SOC Endocrinol 18:296-305, 2003).

      • 인스트루먼트 패널용 수용성 질감 도료의 물리적 성질

        김억(Ok Kim),오우정(Woo-Jeong Oh),전용(Yong Chun),김영태(Young-Tae Kim),안재범(Jae-Beom Ahn),조영호(Youngho Cho) 한국자동차공학회 2005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5 No.11_3

        Physical properties of waterborne soft feel coatings for instrument panel were investigated. Soft feel coatings give warm and velvet touch for cold and hard plastic materials. Waterborne soft feel coating is composed with two parts. Part A contains polyester polyurethane dispersion (PE-PUD), OH-functional water dispersible polyurethane resin (PC-PUD) and OH-functional water dispersible alkyd resin (OH-PA). Part B contains hydrophilic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r (HHDI). Soft feeling of coated panel was related with the amounts of PC-PUD and OH-PA.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ated panel could be controlled by the NCO/OH ratio from Part A and Part B. Soft feeling was enhanced with relevant to PE-PUD content but the content of PE-PUD was limited because of weakening of coated film strength. For excellent touch and good property, the optimum composition of soft feel coat was PC-PUD(30%) and PE-PUD(20%). The results from all reliability tests satisfied soft feeling, scratch, chemical resistance and fogging.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4)

        김재홍,안진균,정성재,김영태,김중환,김시영,이석종,이홍렬,서호석,김경훈,권혁진,정우권,고우석,이용석,안필수,오준규,오용섭 대한화학요법학회 1996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4 No.1

        Background : In recent years gonorrhoea has been pane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Objective & Method :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Iv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D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an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Results : In 1994, 168 strains of N. go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109 (64,9% ) were PPNG. Conclustion : Our results suggests that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is still increa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