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력범죄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예측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태경(Kim, Tae­Kyoung),윤성우(Yun, Sung­Woo),이영은(Lee, Young­Eun),이새롬(Lee, Saerom) 한국피해자학회 2018 被害者學硏究 Vol.26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f violent crime and predictors to the symptoms. For this, we analyzed data of 473 victims registered to the integrated supporting center for violent crime victim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90% of victims experience significant PTSD symptoms, 30% of them were in extreme mental confusion that required medication or hospitaliz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sequela according to gender, time since visiting to the center, pre-event adaptation level, and event type. Although the victim experienced more avoidance and hypervigilance symptoms than the family, the psychological distress experienced by the family was not less than that of the victim. Psychological sequela of the events were found to be more severe with more experiences of childhood trauma, lack of ego resilience, low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trong dissociation tendency, and avoiding coping styles. A result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voidant coping style explained 10.6% of the total varian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억제대 적용지침 개발을 통한 불필요한 억제대 적용율 감소활동

        곽경선,김성은,배은경,이은숙,이은혜,최윤정,이윤경 한국의료QA학회 2009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5 No.2

        문제: 억제대 적용에 대한구체적 적용지침 없이 의례적으로 억제대를사용함으로 인해 환자들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목적: 완전 진정상태 이거나 근력이 약하여 발관능력이 없는 환자에 대한 예방적 적용, 바빠서 환자를볼수 없 는경우, 간호사본인의 판단이 없이 타인의 요구에 따르는등의 불필요한 억제대 적용이 증가하는 원인을 파악하여 중환자실의 특수성에 맞는 억제대 적용및 제거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의료기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의과대학 소속병원의 집중치료실 개선효과: 억제대 적용에 대한중환자실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면 태도 정도 p=0.09(p<0.1), 올바른 수행 능력은 p= 0.005 (p <0.0히로통계적으로유의한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정도 p=0.172(p<0.05)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지만 모든항목이 개선 활동전 에 비해 2,3차 개선 활동후에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활동전에 8.1%였던 간호 기록, 0.7%였던 간호중재, 0%였던 의사처방율이 3차 개선 활동 후 3가지 모두 100% 달성되었다. 이는 억제대 적용율 갑소 및 부적절한 억제대 적용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교훈: 중환자실 간호사의 억제대 적용에 대한태도, 지식, 올바른 간호 수행 능력은 지속적으로 재평가 되어지고, 교육내용은좀더 나은 간호제공을 위하여 개발 되어져야 할 것이다. 억제대 적용 기준과 제거 기준을 Check List 하여 객관성의 유지를 위한 개선 활동은계속적으로 Feedback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편입학생의 실태와 교육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 Development of educational model & counseling program

        이숙임,이은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1998 교과교육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이화여대 편입학생의 효율적인 적응을 지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체계 모형개발을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편입학생에 대한 현황, 학력배경, 부모의 사치경제적 배경을 포함한 가정배경영역, 편입학과 관련되어 준비정도와 만족도 등을 알아보는 편입학 관련배경, 전공선택 배경 , 편입학 전후 학교 적응의 정도를 알아보는 적응영역, 편입학생 개인의 심리적 성향을 알아보는 심리적 특성영역, 그리고 편입학생 입학시험과 관련된 영역 등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는 실태조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들을 토대로 편입학생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교육모형과 지도프로그램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편입학생을 지도하기 위한 교육모형은 이들의 환경적 특성과 심리사회적 특성을 각 단계로 나누어 적응모형을 제시하였고 지도프로그램에서는 구체적인 정보제공과 심리적인 적응을 도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편입학생에 대한 자료가 파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편입학생의 기초적인 자료를 파악하여 편입학생들의 적응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에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편입학생의 적응과 관련된 요인들을 밝히기 위해서는 앞으로 편입학생 적응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편입학생들의 사회 적응 만족도 조사, 보다 심층적인 개별면접 등과 같은 후속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the adjustment enriching program for the enrolled-student of university and educational model. In order to research, we surveyed the information of 440 enrolled-students of Ewha Womans University. The enrolled-student questionnaire consists of personal Information, academic background, family background, transfer readiness and satisfaction, major choice, school and personal life adjustm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opinion of entrance examination for enrolled-stud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survey, educational model for effective guidance of enrolled-student and adjustment enriching programs are suggested. we divide two dimensions of adjustment of enrolled-student : environment-adjustment and psychosocial-adjustment. The counseling programs consists of giving major-specific and educational matters information, resolving conflicts in relationships, giving study skills and making positive self-concept and function as a healthy whole person in university. Despit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provides helpful data of enrolled-students in university. The extensive research such as the outcome of enrolled-student adjustment enriching program, social-adjustment satisfaction and intensive personal interview and counseling should allow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educational model for enrolled-student in university.

      • 제주도 민속복식에 대한 연구

        이은숙,조수경 효성여자대학교 가정대학 학도호국단 1987 家政大論集 Vol.6 No.-

        The clothes of JeJu-do have dual structure of ceremonial clothes and ordinary ones though boththe influence from the main1and and from the tadjacent nations and also have particular aspect ofwork clothes by natural phenomena such as climate, soil, etc. First of all, the birth clothes which are a kind of ceremonial clothe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and rough hemp is used the material of them in order that the skin may be strong at diesease andat the same time, people develope strength and patience to overcome troubles and trials. The weddingclothes, another kind of ceremonial clothes are divided into two parts, old style and mordern styleby the introduction of wester civilization. Long Hood, old-fashioned ceremonial clothes are holiday dress for unmarried women of aristocratizclass in land, but it used bath ceremonial clothes and shroud in this island. However Long Hoodhave not employed since 1940.Second, there are Galott and woman diver's garb as work clothes, ordinary clothes. It is Galottthat representative clothes of farmers. To make Galott, one must smash unripe persimmon and cottonin it. The advantage of Galott whose color is yellow earth is its durability and it seldom is dirty,too. Nowadays, clothes for woman diver which are also work clothes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old times. In old times, peoples wore clothes made of cotton and used old typed fools. On the contrary,reformat dress are worn nowdays.In conclusion, we can guess their excellency from the view points that cotton and hemp producedin JeJu-do are properly used to make woman diver clothes be comfortable and active at work.

      • 경조증 집단의 사회문제 해결의 특성과 사례연구 : 경조증에 충동적 특징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은경,권정혜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03 學生生活硏究 Vol.19 No.-

        본 연구에서는 경조증 대학생 집단인 경우에 긍정적인 여러 가지 특징에 비해 사회적 적응 수준이 낮고 정신건강의 취약함을 보이므로 부적응을 심화시키는 원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경조증 연구에서 드러나는 충동성과 충동성집단 연구에서 드러나는 경조증 등으로 살펴보았을 때 경조증의 특성과 충동성의 특성들이 혼재되어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 경우에 경조증의 특성만이 가진 심리적응 수준을 탐색하는데 제한점이 주어지므로, 비충동적 경조증 집단과 충동적 경조증 집단, 비경조증 충동성 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의 특성비교를 하였다. 연구 결과, 경조성 집단은 충동성집단이나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문제해결 기술에서 유의한 차이가 났다. 또한 가상적 상황의 능력 평가에서 경조성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주관적 장애물의 수, 대안의 수, 적절한 수단의 수, 객관적 효율성이 유의한 차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상적인 문제들에 있어서 경조성 성격특성상 일상의 문제들을 예민하게 지각, 긍정적, 목적 지향적으로 인식, 다양한 대안의 사용, 합리적 선택으로 의사결정을 내려서 문제를 해결하는 특징을 설명해주었다. 마지막으로 충동적인 경조증 내담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적 기법으로 상담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ocial problem solving styles of hypomanic personality, specially effects of impulsivity on hypomania. The study is For the purpose, a sample of 1203 undergraduate comple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Impulsivity scale, Hypomanic personality scale and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In experiment, using the MEPS test,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o hypothetical and personal situation were assessed in hypomanic and impulsive group, hypomanic and nonimpulsive group, nonhypomanic and impulsive group, and control group. Results show that social problem solving attitude, subjective efficiency, numbers of alternative and numbers of relative method in nonimpulsive hypomanic personality were significant. And low social problem solving skill in nonhypomanic impulsive personality were significant. But interaction effects of each personality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social problem solving deficits and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were observed in nonhypomanic and impulsive group. It suggest effects of impulsivity on hypomanic personality. The study 2 is a hypomania case counselling by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The significanc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rapeutic advisor,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topics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study were mentioned.

      • KCI등재

        척수 손상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 검증 연구

        이익섭,신은경,이민규,이범석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장애와 고용 Vol.17 No.2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한 것이다. 손상정도와 접근성, 그리고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장애정체감을 매개변수로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척수손상 장애인 총 397명을 응답대상으로 한 구조모형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손상정도와 접근성, 장애정체감과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모형의 적합도가 TLI .911, RMSEA .054(90% 신뢰구간 : .047-.062)로 나타나 연구의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증된 구조방정식의 관계구조를 보면, 손상정도와 삶의 만족은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고 검증되었고, 그 외에 손상정도가 장애정체감에 미치는 영향과 접근성이 장애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장애 정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접근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Arion 검증(Baron and Kenny, 1986) 결과, 장애정체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척수손상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심리적 개입전략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us, this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disability severity, accessibility and mediating effect of disability identity on the life satisfaction. Actually 397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model. Finding in this study are as follow : First, This model showed the reasonable fitness in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TLI.911, RMSEA .054). Second, the disability severity indirectly exer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But results show accessibility,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Third, Through Arion test, the result shows that the disability identity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disability severity, accessibility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social work practice must consider psycho-social intervention.

      • 인터넷 활용 영어동화 수업이 학습효과와 흥미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초등 2학년 재량활동 중심으로

        이은경 The English Linguistic Science Association of Kore 2002 English Linguistic Science Vol.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istening and interest by using English story through internet story homepage and storytelling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pecial English activ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venty six students of the 2nd grade classes in "S"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I divided them into 2 groups,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A and the controlled group B. Since they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pre-test and pre-surveys, I assume that each group member was in similar level. In the group A, I applied English story through internet story homepage for 20 minutes in every lesson. In the group B, storytelling was applied to them in every lesson. However, same story was applied in 2 groups and same activities were used for 10 minutes in every les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ents of group A who were taught by English story through internet story homepage we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listening ability and interest than the group B that applied storytelling only.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English story through internet story homepage contributes to the 2nd students’ development of listening ability and enhancing students’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f English learning. Therefore, first, the use of internet could be a great learning environment to stimulat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Second, the English teaching method based on English story through internet story homepage will enable the learners to use a more meaningful and exciting one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 통사처리과정에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의 뇌 활성화

        이승복,연은경,이다미,정관진 한국뇌학회 2002 한국뇌학회지 Vol.2 No.2

        영어 유창성이 높은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후기 습득자들이 관계절 문장의 문법성 판단검사로 통사처리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을 측정하였다. 10명의 영어유창성이 높은 참여자들이 두 언어로 제시되는 문법성 판단검사를 수행하였다. 두 언어의 통사처리수행에서 활성화되는 뇌 영역을 통제과제, 응시과제와의 감산으로 산출하고, 두 언어 조건에서의 활성화 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언어의 처리 영역은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한국어(Ll) 문장의 처리에 비해 영어(L2) 문장을 처리할 때 전두엽의 양쪽 반구에서 더 많은 활성화를 보였다. 전두엽의 양쪽 반구에서 더 많은 활성화를 보였다. 한국어 처리의 경우에는 오른쪽 전두엽의 활성화가 보이지 않는 반면, 측두엽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활성화 양상에 관해 이중언어와 통사처리의 특성이라는 면에서 논의하였다. To examine whether the bilinguals' two languages are represented in distinct or overlapping areas of the brain, we appli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Ten proficient Korean-English (K-E) bilingual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e conducted a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in which subjects were asked to judge grammaticality of various kinds of relative clause constru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locations of activation were similar for both languages, the intensity of activation in these areas were much greater in I.2 English than I.1 Korean.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greater activation in left frontal regions during I.2 English processing than during I.1 Korean processing. As for the right frontal regions, the activation was observed only in I.2 English processing. However, Middle temporal gyrus was found to be activated during I.1 processing, not I.2 processing. We discussed the results as to the bilingualism and syntactic proc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