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립과 조화 : 한국 불교와 그리스도교 관계의 역사 A History of Relation between Korean Buddhism and Christianity

        李贊洙 韓國宗敎敎育學會 2004 宗敎敎育學硏究 Vol.19 No.-

        이 글에서는 불교와 그리스도교가 그동안 어떤 관계를 가져왔었는지 그 관계의 역사를 한국적 맥락에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주지하다시피, 그 동안은 주로 그리스도인의 불교에 대한 일방통행식, 아전인수식 선언이 주류를 이루어왔다. 샤를르 달레 같은 선교사는 물론 정약종, 정하상 등 초기 사대부 가문의 천주교 신자들까지 불교를 위시한 한국의 전통 종교에 대해 대단히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양상은 언더우드, 비숍 같은 개신교 선교사들에게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들에게 불교는 무신론 내지는 미신이었다. 그러다가 20세기 초반 최병헌 목사에게서 그리스도교 중심적 타종교 수용의 단초가 보이다가, 1960년대 이후 가톨릭은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기점으로 타종교 포용적 시각으로 선회하기 시작했고, 개신교 신학자들 사이에서는 토착화신학이 움텄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불교를 적극적으로 신학화한 변선환이 등장한다. 그는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불가결의 보충"(야스퍼스) 차원에서 보았고, 두 종교인들의 공동 수행을 제안하기도 했다. 길희성은 불교와 그리스도교간 관계를 정교하게 서술하며 창조적 일치의 차원에서 이들 간의 대화, 비교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으며, 90년대 들어서는 김승철, 이찬수 등이 불교와의 대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하는 중에 있다. 이와 함께 유영모, 함석헌, 이현주 등 그리스도교권 수행적 사상가들에게서는 이들 종교가 하나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물론 편견없는 연구 내지는 포용적 자세들은 극히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전반적으로 불교에 대한 일반 그리스도인의 입장은 여전히 부정적이며, 일부극단적 근본주의자들은 폐불 사건까지 일으킬 정도로 불교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시각은 때로 극단적으로 치닫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을 우려하며 불자들 사이에서는 일부 개신교도들의 공격적 선교에 대한 내부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도 한다. 방어적 대응 차원에 머물지 말고 그리스도교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한다. 하지만 20세기 전반에 《백교회통》과 《기독교급외교사》를 썼던 이능화와 20세기 후반에 불교와 그리스도교를 상호 일치적 차원에서 잠시 논하기도 했던 이기영을 제외한다면, 그리스도교에 대한 불교권의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애정을 가지고 그리스도교의 신학을 제대로 다룬 불자들의 연구가 요청되는 때이다. 이러한 상황을 의식하고 적극적으로 소화할 때 21세기 한국 불교학에 전환이 일어날 것이다. This paper outlines the history of conflict and dialogue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Korean context. As is generally known, almost Christian view to Buddhism has been arguing from a self-centered angle. Not only foreign missionary like Claude-Charles Dallet but Korean Catholic believers like Jeong Yak-Jong and Jeong Ha-Sang was very critical to the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The view of Protestant missionaries like H.G.Underwood and I.L.Bishop to Buddhism assumed an almost same aspect of that. For them, Buddhism was a sort of atheism or superstition. Early in the 20th century, Choi Byung-Heon, a Protestant clergyman, began to show an aspect of embracing Buddhism. After the 1960's, Catholic began to treat in a friendly way to other culture or religions starting from the Second Vatical Council, meaningful indigenous theologies sprouted by some Protestant theologians. On the basis of this situation, Pyun Sun-Hwan adopts Buddhism as a matter of theology. He explained the relations between Buddhism and Christianity in the dimension of "Unerlassliche Erganzung"(Karl Jaspers), suggested the common spiritual practice between two religions. Keel Hee-Sung describes very eleborately the relation between two religions in the dimension of creative unity, raises the dialogical and comparative level. In the 1990's, Kim Sung-Chul, Yi, Chan-Su attempt the dialogue between these religions positively. And some spiritual thinkers like Yu Young-Mo, Ham Seok-Hun, Yi, Hyun-Ju practice was/is the spiritual leaders who was/is beyond and broke/break down the barriers between religions. Christians who assume a clear attitude free from general bias are certainly in the minority. The view of general Christians to Buddhism is negativeon the whole. Some radical fundamentalists run to an extreme as much as that break a statue of Buddha. For fear of that attactive acts of radical fundamentalists some Buddhists seek to discuss how to respond such a destructive acts. It is also said to be demanded a positive research into the Christianity. The full-scale researches into the Christianity by Buddhists have not produced yet, nevertheless, apart from Yi Neung-Hwa who published the books about the Christianity at early 1920's and Yi Ki-Young who argued the unity of these religions through his short article in the 1980's. It is time that the affectionately proper researches into Korean Christianity by Buddhists are demanded. Only after being conscious and embracing this situation,

      • KCI등재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 한국적이기 위하여

        이찬수 韓國宗敎敎育學會 2001 宗敎敎育學硏究 Vol.13 No.-

        다른 문화권 안에 새로운 종교가 소개되기 위해서는 그 종교 문화적 전통 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 안에서 새롭게 이해되고, 이해 대상이 이해 주체 안에 그 전과는 다르게 받아들여져야 한다. 그리스도교도 마찬가지이다. 한국적으로 이해된 그리스도교와 서양인들이 이해하고 있는 그리스도교는 다르다. 두 문화적 맥락 사이에는 상당한 격차가 놓여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100년간 진행되었던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는 이러한 이해 과정, 특별히 한국의 종교문화적 상황을 충분히 의식하지 못한 채 이루어졌다.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자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한국이라는 지평을 떠나 있었고, 연구의 시각도 한국을 단순히 대상적으로 파악하는 수준을 넘어서지 못했다. 그들은 대부분 서양의 오리엔탈리즘적 시각을 그대로 받아서, 한국을 그리스도교화해야 할 평면적이고 지리적인 공간 차원에서 파악했다. 그러나 한국 그리스도교는 서구 그리스도교라는 보편성에 의해 대상적으로 조명됨으로써 정당성이 확보되어야 할 주변물이 아니다. 한국 없는 한국 그리스도교, 한국 그리스도교 없는 그리스도교 일반이란 애당초 불가능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전통 없이 한국에서 그리스도교는 아무런 내용도 획득하지 못한다. 서양 그리스도교의 특수성과 한국 그리스도교의 특수성이 공존하면서 그리스도교라는 실재가 성립되는 것이다. 모두를 중심으로 세울 수 있는 연구자세가 필요하다. 그것이 한국과 서양의 대립 구도를 넘어서는 탈옥시덴탈리즘적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 자세인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의 제목도 "한국 그리스도교 연구, 한국적이기 위하여'라고 붙였다. A Religion is introduced to another culture only when it is understood anew by the people who live in that cultural tradition, is assimilated into the subject of understanding in a tangible way, through their languages. Christianity is similarly circumstanced. Such assimilated Christianity by the Korean people are not the same as Christianity by the Westerners. Because there are sharp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ltural contexts. But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cess, especially of the Korean religious situation, has been not fully reflected in the one hundred years of the study of Korean Christianity. the researchers of Korean Christianity in almost fields of study have been beyond the horizon of Korea, regarded Korea as a geographical space to be Christianized with the view of Western orientalism. Korean Christianity is, however, not a peripheral thing which is justified by the lightening of the universality of Western Christianity. No Korean Christianity without Korea. No Christianity itself without Korean Christianity. Christianity obtains no more contents without Korean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 The reality of Christianity come into existence only in coexistence of Korean particularity and Western particularity. The attitude of study considering all particularities as the centers and cores is requested. It is the de-occidentalismic study of Korean Christianity which goes beyond antagonism between Korean and Western. So this paper is given a title "For the Study of Korean Christianity in Korean viewpoint".

      • KCI등재

        PH 4.3에서 재광화 용액의 포화도에 따른 인공 탈회된 법랑질의 동력학적 변화

        이지숙,노병덕,신수정,이윤,공형규,이찬영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1

        법랑질의 재광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PH, 불소 농도, 포화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산 완충 탈회용액을 이용하여 법랑질 시편을 인공 탈회시킨 후, pH 4.3에서 포화도를 0.22, 0.30, 0.35로 달리한 세가지 재광화 용액에 10일간 처리하여 나타나는 변화를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전체 탈회 깊이와 건전 표층 폭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Image program (Scion Image analyzer)을 이용하여 병소 부위의 평균 mineral density를 측정하여 탈회와 재광화 후 무기질 변화량을 통해 인공 탈회된 법랑질의 동력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1 재광화 후 모든 군에서 건선 표층의 폭이 증가하였는데, 포화도가 증가할수록 건전 표층 폭이 증가하였다 (P< .05) 2 재광화 후 mineral density 변화를 관찰한 결과 포화도가 낮은 군에서는 이온의 침착이 병소 전반적으로 일어났으나, 포화도가 높은 군에서는 건전 표층 부위와 표층하 병소의 하층부에서 이온의 침착으로 mineral density 가 증가하였고 표층하 병소의 상층부에서는 탈회가 진행되어 mineral density가 감소하였다. 3 재광화 후 모든 군에서 무기질량이 증가하였고 전체 탈회 깊이도 증가하였으나 각 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본 실험에서 인공 탈회된 시편을 pH 4.3인 재광화 용액에 처리시 포화도가 높을수록 건전 표층에서 더 많은 재광화 현상이 일어났고 표층하 병소에서는 재광화 현상이 적게 일어났으며 재광화 후 모든 군에서 전체 탈회 깊이는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compare the dynamic change of artificially demineralized enamel by remineralization solutions of different degrees of saturation at pH 4.3 In this study, 30 enamel specimens were demineralized artificially by lactic acid buffered solution. Each of 10 specimens was immersed in pH 4.3 remineralization solution of three different degrees of saturation (0.22, 0.30, 0.35) for 10 days. After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images were taken by a polarizing microscope (× 100). The density of lesion were determined from images taken after demineralization and remineralization. During remineralization process, mineral deposition and mineral loss occurred at the same time. After remineralization total mineral amount and width of surfacc lesion increased in all groups. The higher degree of saturation was, the more mineral deposition occurred in surface lesion and the amount of mineral deposition was not much in subsurfacc lesion. Total demineralized depth increased in all groups.

      • 분자마커를 이용한 작물의 품종 개량과 품질관리

        이이,엄유리,정찬문,석영선,이학수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9 煙草硏究 Vol.22 No.-

        분자마커는 현대 농업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도구로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단백질과 DNA에 기초한 다양한 분자마커가 개발되었다. RFLP, RAPD, SSR, AFLP, CAPS, SNP, STS, DNA sequencing 등 다양한 분자마커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용도에 맞게 분자마커를 선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분자마커의 선별에서는 사용가능한 DNA의 양, DNA의 품질, 공우성 마커 여부, 비용 등을 고려해서 해야 한다. 담배에서는 주로 병저항성과 품종을 감별하기 위한 분자마커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담배의 DNA 다형성이 다른 작물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 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되면 resequencing을 이용하여 마커를 개발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보인다. Molecular marker is very important tool for modern agriculture. Various molecular markers were developed for detecting protein and DNA polymorphism.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Simple Sequence Repeat (SSR),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FLP),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Sequence Tagged Site (STS) and DNA sequencing are typical molecular markers commonly used. Each molecular marker has its own specific characters. Researchers have to choose a molecular marker for their own demands with considering the DNA quantity required, DNA quality required, codominance, and cost for developing and analysis. In tobacco, disease resistance and cultivar identification are the main focus of marker development. DNA polymorphism of tobacco is much less than that of other crops. Completion of genome project followed by resequencing could be a good opportunity for molecular marker development of tobacco.

      • 바이오안전성에 대한 세계적인 동향 : 유전자변형 생물체(LMO)를 중심으로

        이이,정찬문,이학수,신주식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6 煙草硏究 Vol.20 No.-

        현대 분자생물학의 발달에 따른 유전자변형 생물체의 개발은 시간과 경제적으로 전통적인 육종의 한계를 많이 극복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개발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유전자의 변형에 따른 환경의 파괴, 인체에 대한 위해 가능성 때문에 바이오안전성의정서가 채택되는 등 세계적으로 바이오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안전성은 유전자특성분석, 환경위해성평가, 인체위해성평가 등 3단계의 평가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최종적으로 인체와 환경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를 규제하기 위해서 이루어진다. 우리나라도 최근에 바이오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바이오안전성 평가체계가 확립중이다.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biology enabled us to overcome the restrictions of conventional breeding system and the number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re dramaticall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the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risk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caused concerns on the biosafety. Biosafety test contains gene characteristics analysis, health safety test, and environmental risk test. The final aim of these tests is to prevent the commercial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which have possible risk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Biosafety evaluation system is being built in Korea.

      • KCI등재

        Disaster: The Otherization of Nature, the Reification of Human Beings, and the Sinking of the MV Sewol

        ( Chan Su Yi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Vol.4 No.1

        Disaster is a phenomenon in which civilization, the product of human accomplishments, is violated by nature. A careful examination of their disruptive characteristics shows that disasters can be man made as well as natural. This article discusses how natural disasters become human disasters, a configurative process which is ironically a product of human civilization and social structures. The sinking of the MV Sewol on April 16, 2014, which was one of the most devastating maritime accidents in Korean history, demonstrates that nature can destroy civilization.or “otherized nature.” Political power otherizes human beings and exceptional, inhuman occurences become routine.

      • KCI등재

        ‘베트남공화국’의 몰락: 지엠 정권의 ‘식민지적 민족주의’, ‘서구적 종교편향’, ‘하향적 반공주의’를 중심으로

        이찬수 ( Yi Chan Su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8 담론 201 Vol.21 No.1

        이 논문에서는 민주주의적 공화제를 지향하던 남베트남(베트남공화국, 1955-1975)이 공산체제를 지향하는 북베트남에게 무너지게 되는 원인과 과정을 남베트남 ‘지엠 정권’의 실정(失政)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실패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① 지엠은 민족주의자였지만, 친미적 입장에서 비서양적 베트남의 전통을 열등시하는 ‘식민지적 민족주의’로 기울었다. 그것이 인민의 민족의식과 괴리되었다. ② 가톨릭 신자였던 지엠 및 그 일가가 남쪽으로 이주한 가톨릭 신자들을 정치적 기반으로 하면서 ‘종교 편향 정책’을 펼쳤다. 그 과정에 베트남의 대표적 종교인 불교를 차별하고 민간신앙 등 토착적 정서를 소외시키면서 민중적 지지로부터 멀어졌다. ③ 북베트남의 공산주의에 맞서는 ‘하향적 반공주의 정책’이 정치적 이념과 무관하게 살던 민중적 정서와 연결되지 못하면서 국정의 동력으로 작동하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식민지적 민족주의’, ‘서구적 종교편향’, ‘하향적 반공주의’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리하면서 지엠과 군부세력으로 이어진 베트남공화국의 몰락의 원인을 분석했다. 이와 함께 ‘남’베트남을 몰락시킨 또 다른 ‘남’의 의미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핵심은 다음과 같다. 남부의 베트남공화국에 대한 저항세력도 사실상 남베트남이다. 무너진 남베트남과 무너뜨린 남베트남을 각각 ‘표층남부’와 ‘심층남부’로 구분한다면, 지엠과 군부로 이어진 남베트남의 정권은 베트남의 표층에 머문 데 비해,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을 중심으로 하는 저항세력은 베트남의 심층을 반영했다. 그렇기에 미국과의 전쟁(베트남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심층남부가 베트남의 자존감을 회복하려던 남부지역의 반정부, 반미 저항세력에 더 잘 반영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심층남부의 정신이 오늘날 통일 베트남의 ‘도이 머이(Doi Moi)’을 작동시키는 주요 동력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focuses on maladministration of Diem’s regime, in order to study the causes as well as the process of North Vietnam’s destruction of South Vietnam(the Republic of Vietnam, 1955∼1975) where the North was adopting Communism System whereas the South was moving toward Democratic Republicanism. The determinants of the failure are as follows. Diem was a nationalist, but his beliefs eventually diverged to ‘colonial nationalism,’ disregarding Vietnamese traditions for not being in accordance with Diem’s western, pro-American perspective. As a result, it was alienated from people’s national spirit. Diem who was a Catholic utilized the migrating Catholics, who had come to South, as his political foundation hence he conducted ‘policies with religious bias.’ Meanwhile, he discriminated against Vietnam’s representative religion, Buddhism, and disengaged the nation’s local customs such as Vietnamese folk beliefs, thus he lost the people’s support. ‘Top-down anticommunism’ of Diem’s regime contradicted the North’s Communism, however; it did not have political strength because it was detached from the minds of the politically inattentive people. This paper categorizes the contents into three key ideas; ‘Colonial Nationalism,’ ‘Religious Bias,’ and ‘Top-down Anticommunism’ while examining what caused the collapse of the Republic of Vietnam, a country which had been maintained by Diem and military force. Moreover, this paper observes the meaning of a different “South” that made South Vietnam fall. The key points are explained as follows. The resistance from the southern part against The Republic of Vietnam was, in reality, South Vietnam. The fallen South is addressed as ‘Surface South,’ while the South who caused the fall is called “Deep South.” Diem and the military force of the South Vietnam stayed in Surface South whereas the resisting force, with ‘Vietnamese National Liberation Front’ as a center, reflected Deep South. Accordingly, the South was able to win the war against America(The Vietnam War,) and the willpower of Deep South has become a motive for stimulating ‘Doi Moi’(Renovation) of the united Vietnam today.

      • KCI등재
      • KCI등재

        모방 욕망, 소수자 재생산과 그 극복의 동력 르네 지라르의 폭력 이론을 중심으로

        이찬수 ( Yi Chan Su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6 통일과 평화 Vol.8 No.2

        르네 지라르에 의하면, 인간은 `모방하는 인간(Homo Mimeticus)`이다. 모방의 근간은 타인과 같아지거나 그 이상이 되려는 욕망이다. 이 욕망은 멋진 식당에서 식사를 하는 어떤 `모델`(매개자)을 보면서, 과히 배고프지 않은데도 그 식당에 가고 싶다는 느낌이 들게 하거나, 실제로 가게 만드는 동력과 같다. 자본주의 사회도 자본 자체에 대한 욕망이 아닌, 자본의 소유자를 욕망의 대상으로 삼으면서 형성되고 증폭된다. 지라르에 의하면, 욕망의 주체와 대상 사이에는 매개자가 있다. 그래서 욕망은 늘 매개적 욕망이다. 이 논문에서는 지라르가 말하는 매개적 욕망 이론으로, 우리 사회에서 소수자가 여전히 존재할 뿐더러, 더 강력하게 재생산되고 있는 그 기초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수자는 매개적 욕망이 중첩되어 형성되는 사회적 흐름에서 밀려났거나 주변부에 있는 부류다. 역으로 매개적 욕망의 시스템에 적응해온 주류는 그 시스템을 유지하고 강화시켜서, 그 시스템 속으로 들어오지 못할 소수자를 재생산시키는 데 일조한다. 이 논문에서는 인간의 매개적 욕망을 기반으로 하는 지라르의 사유체계의 핵심, 즉 `희생양 메카니즘`, `성스러운 폭력` 등의 개념을 정리하면서, 희생양 메커니즘이 자유 경쟁을 추동하는 신자유주의적 사회를 어떻게 고착화시키고, 폭력을 구조화시키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의 희생양 이론에서 종교적, 사회적 의미를 주로 찾던 기존의 연구 경향을 확장시켜, 오늘날 구조화된 폭력이 소수자를 낳고 배제시키는 논리의 근간을 먼저 살펴보고, 소수자를 사회적 희생물로서만이 아니라, 사회의 폭력적 구조 및 중심 권력의 실상을 드러내는 근간으로 읽도록 해줄 기초도 찾아볼 것이다. 이를 위해 아감벤, 스피박, 한병철 등의 입장을 보조적으로 살피면서, 복잡한 현대 사회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는 지라르 폭력 이론의 아쉬운 점도 비판적으로 계승하고자 한다. 아울러 다소 기독교 편향적으로 전개되는 지라르 사상의 현주소에 대해서도 짚어볼 것이다. 이상의 정리를 토대로, 구조화하고 내면화한 폭력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벤야민과 우치다 타츠루에게서 아이디어를 얻으면서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Rene Girard states that humans are Homo Mimeticus, which means humans imitate one another. The foundation of imitation stems from humans` desire to become equal to, or better than, one another. This desire is, for example, the same as someone`s impulse that could be strong enough to cause him/her to enter a restaurant when he/she witnesses `a model`(a mediation) eating inside the fine-dining, not necessarily because he/she is hungry. Capitalistic society is formed and grown not by the plain desire for capital, but by making whoever owns the capital as a target desire. Girard claims that a mediation exist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target of desire. Thus desire is always mimetic. With regard to Girard`s Theory of Mimetic Desire, this paper will not only look into how the minority in our society still exists, but also review the basics that reproduces the minority even more powerfully. The minorities are the ones staying on the edges and the ones left out from the mainstream of society of overlapping mimetic desires. Inversely, the majority who have adapted to the system of mimetic desires keep and strengthen the system to reproductively block the minority from entering into the system. This paper will review the core of Girard`s thoughts based upon humans` mimetic desires, such as `the scapegoat mechanism` and `the sacred violence`, to examine how scapegoat mechanism solidifies neo-liberal society that stimulates free competition and structuralizes violence. Rather than viewing the minority as social victims, this paper will determine the logic which the structuralized violence could produce and exclude the minority, and come up with the basics that could be used to visualize society`s violent structures and the reality of the power-focused system. To do so, this paper will supportively incorporate Giorgio Agamben, Gayatri Chakravorty Spivak, and Han Byung-Chul`s ideas while critically adopting Girard`s theory of violence, which may be skewed toward the idea of Christianity to a certain extent. The paper will conclude by seeking possibility to overcome structuralized and internalized violence by getting some ideas from Walter Benjamin and Uchida Tatsuru.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