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Paradox of Circular Labor Migration : A Case Study of Keate’s Drift Town, South Africa

        Seol Byung-Soo(설병수) 한국아프리카학회 2010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32 No.-

        본 논문의 목적은 키츠 드리프트의 사례를 통해서 남아공의 노동 이주현상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이것이 가족생활과 지역 공동체에 어떤 영향을 미쳐 왔는지를 검토해보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첫째, 키츠 드리프트 타운과 조사 대상자를 개관했다. 둘째, 노동 이주의 사회 · 경제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셋째, 노동 이주가 가족생활과 지역 공동체에 미치고 있는 부정적 영향을 고찰했다. 생태적 압박이 심한 키츠 드리프트에서는 경제활동 인구의 상당수가 일거리를 찾기 위해 대도시나 보다 큰 타운으로 떠난다. 그들의 노동 이주는 개인의 ‘자발적 선택’이라기보다는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형성된 사회구조에 의해 ‘강요된 선택’이라는 측면이 강하다. 키츠 드리프트 주민들 중의 대다수는 가족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자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경제활동을 해 왔다. 그들에게 있어서 노동 이주는 통과의례, 아비투스, 생존 전략, 보험 등의 복합적 의미를 지닌다. 그들은 노동 이주를 통해서 가족 경제와 지역 공동체의 발전에 일정 부분 기여하기도 한다. 그러나 노동 이주의 또 다른 모습에는 부정적 측면이 도사리고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누대에 걸쳐 노동 이주를 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빈곤의 사슬을 끊어내는 것은 요원한 일로 보인다. 어쩌면 노동 이주는 그들의 삶을 옭아매는 ‘하나의 덫’일지도 모른다. 장기간의 노동 이주는 남편이나 부인의 부정을 부채질하고, 자녀 양육 과정에서 적잖은 문제를 야기하며, 부모와 자식 간의 정서적 유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공동체 수준에서 볼 때 송금에 대한 의존은 주민들을 타성에 젖도록 하고, 청 · 장년층의 이출은 지역 개발에 필요한 추동력의 상실을 초래한다. 그리고 노동 이주로 인해 개별 가족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민들 간의 불화로 종종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빈곤과 애정 결핍에 시달리는 아동들의 문제는 지역 공동체 수준에서의 논의와 각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와 같이 빈곤의 재생산, 부부간의 문제, 부모와 자식 간의 정서적 유대 약화, 공동체 수준의 문제 등은 노동 이주의 어두운 자화상이다. 게다가 순환적 노동 이주 체계에 따른 농촌 지역(주변부)의 피폐화는 도시 지역(중심부)의 ‘지배’와 ‘착취’라는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 그래서 전체적인 맥락에서 볼 때 남아공에서의 노동 이주는 하나의 ‘역설적 현상’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남아공의 사회 · 경제 · 정치적 문제가 어떤 식으로 해결되느냐에 따라서 그 빛깔을 달리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meanings of labor migration in South Africa and its influences on family life and local community through the case of Keate’s Drift, Province of KwaZulu-Natal. Because of ecological pressure, many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in Keate’s Drift depart for urban areas or bigger towns to get a job. Their labor migration strongly has the character as a life process enforced by the social structure which was formed through the colonial epoch. Most residents have been involved in various economic activities in other areas to improve the living standard of their families. For them, labor migration has complex meanings, including rite of passage, habitus, survival strategy and insurance. They partly serve both their household economy and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However, we are able to find negative aspects from another face of labor migration. It seems that it is still far off for them to cut the chain of poverty, although many people have determined and carried out labor migration over generations. Labor migration may be a trap which ties up their lives. Long labor migration stirs up husbands’ or wives’ infidelity, brings about diverse problems in the process of raising children, and has nega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bond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community level, the dependence on remittances hinders people in escaping from their inertia, and the outflux of both young and middle-aged people is resulted in the loss of the pivotal manpower necessary for local development. Furthermore, several problems, which come about in each family due to labor migration, are often linked to the disharmony between the dwellers. Especially, the problem of those children who are afflicted with poverty and lack of affection demands urgently the discussion and awakening in the local level. The reproduction of poverty, conjugal problems, the weakening of the emotional bond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problems in the community level are a dark self-portrait of labor migration. Moreover, the impoverishment of the rural area (the periphery), which results from the labor migration system, strongly has the character of domination and exploitation by the urban area (the center). Hence, in the whole context, labor migration in South Africa can be considered as a paradoxical phenomenon.

      • KCI등재

        The Historicity and Dynamics of Chieftaincy in Ghana

        Seol Byung-Soo(설병수) 한국아프리카학회 2011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34 No.-

        아프리카에서 추장제라는 사회문화적 현상은 지난 수 세기에 동안 엄청난 변화를 경험해 왔다. 추장제는 사회마다 상이한 특징과 속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아프리카 대륙 내의 지역적 차이가 매우 크고, 추장제가 발달해 온 식민지 및 탈식민지 역사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추장들은 사회 문화적 변동에 적응하고, 지역·국가·세계적 수준에서의 사회·경제·문화적 변화에서 결정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탁월한 탄력성을 지니고 있다. 가나의 추장제는 특별한 역사성 속에서 탄생했다. 식민지 이전 시기에는 추장들이 다양한 정도의 종교·정치·경제·군사적 지도력을 행사했던 전통적 정치체제의 우두머리였다. 식민지 시기 동안 추장제는 합작, 훼손, 상호선택 등 다양한 형태의 조작을 겪었다. 1950년대 후반, 즉 독립의 여명까지 민족주의자와 학자들은 근대화와 사회 변동으로 인해 추장제는 그 위상이 낮아지거나 망각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러나 독립 이래 변동적이고 불안정한 탈식민지 가나에서, 추장제는 정치 지형에서 깊이 각인 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가나인의 사회·정치적 과정의 분명하고 실제적인 표현으로 열렬히 환영을 받아 왔다. 오늘날 가나의 추장은 다소 전통적인 세계의 일부이기 때문에 국가와 그 자신의 공동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권력을 지니고 있다. 게다가 전통적 추장들과 달리 지금의 추장들은 현대화되고 있으며, 국제 개발계획 등의 새로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그래서 추장들은 상이한 세계들을 이어주는 매개자 혹은 중개인으로 기술될 수 있다. 그들의 속성은 모순, 애매함, 혼종성, 역동성으로 특징지어진다. 요약하자면 하나의 제도이자 식민지 통치자들의 창조물인 추장제는 역사성과 역동성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각각의 추장제는 나름의 역사적 궤적과 특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것의 본질은 역사에 의해 결정된다. 역동성은 추장들이 상이한 현상이나 세계들에 대한 적응력을 강화하는 데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역동성은 오늘날 가나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의 여타 국가들에서 발견되는 추장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속성임에 틀림없다. In Africa, the sociocultural phenomenon chieftaincy has undergone tremendous transformations over the last centuries. The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of the institution are not uniform as it differs with society. This is resulted from of the diversity in colonial and postcolonial histories in which chieftaincy has evolved as well as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regional differences within the continent are so great. Chiefs posses a remarkable elasticity enabling them to adapt to sociocultural change and to play a crucial role in future socio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transformations at the regional, national and global levels. Chieftaincy in Ghana was created from a particular historicity. In the precolonial epoch, chiefs were heads of traditional polities who exercised varying degrees of religious, political, economic and military leadership. During the colonial period, chieftaincy was subjected to diverse forms of manipulation including collaboration, undermining and co-option. By the daybreak of independence in the late 1950s, both nationalists and scholars had supposed that chieftaincy would be degraded or oblivious by the forces of modernization and social change. Since independence, however, in the shifting and unstable postcolonial state chieftaincy has not only been deeply inscribed in the political landscape but has even been welcomed as a more authentic and practical representation of its social and political processes. The present chief in Ghana holds of two bases of power from which he can operate towards the state and his community, because he is part of a more and less traditional world. Moreover, many of the present chief, unlike traditional one, are modernizing and participating in new activities such as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Hence, chiefs can be described as mediators or brokers between different worlds. Their attributes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words: ambivalence, ambiguity, hybridity and dynamics. In short, chieftaincy as both an institution and a creation of colonial rulers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historicity and dynamics. The nature of chieftaincy is determined by history, since each chieftaincy has its own historical trajectory and particularity. Clearly, dynamics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reinforcement of chiefs' adaptability to different phenomena or worlds, is a vital attribute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chieftaincy found in many other countries of Africa as well as in Ghan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The Complexity and Implications of Land Issues in South Africa

        Seol Byung-Soo(설병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11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29 No.-

        이 글의 목적은 17세기 중반 남아공에서 토착민과 백인이 접촉한 이래 뜨거운 쟁점이 되어 온 토지 문제의 복잡성과 함의를 역사적 맥락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남아공은 장기간의 식민지화, 인종적 지배, 토지 강탈의 역사를 경험했으며, 그 결과 소수의 백인이 대부분의 농지를 소유하게 되었다. 흑인들은 토지 강탈에 저항했으나 우세한 무기를 가진 백인에게 패배했다. 즉, 토지 문제와 관련된 남아공의 역사는 백인에 의한 지배 와 착취로 얼룩져 있다. 이것은 남아공에서 토지 문제의 중심에는 식민지 정복과 토지 강탈의 역사가 자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아파르트헤이트가 종식된 후 남아공은 아주 야심적이고 신중하며, 시장 지향적인 토지 개혁 프로그램들을 가동시켜 왔다. 일견 이들 프로그램의 목적들은 확실히 인상적인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이들은 총체적으로 왜곡된 토지 분배 체계의 부당함을 바로잡고, 빈곤을 감소시키고, 지속 가능한 토지 이용과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모든 사람을 위한 토지 보유 형태를 확립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에 등장한 여러 정부들은 남아공의 전통적 토지 체계의 유산을 장려하거나 보호하려는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왔다. 하나의 결과로서,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의 토지 개혁 정책들은 실패, 양면성, 모호함, 딜레마, 모순 등의 단어로 특징지어진다. 필자의 견해에 의하면, 이러한 현상은 남아꽁이 식민지 지배를 통해 형성된 사회질서를 청산하지 못했음을 명백히 보여준다. 남아공에서 토지 개혁의 주된 목적은 토지 권리의 공정하고 정당한 변형에 두어져야 한다. 이 목적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차원을 지닌다. 첫째, 토지 개혁은 토지 소유에서의 총체적 불평등의 문제를 제기해야 한다. 둘째, 토지 개혁은 역동적 농촌 경제의 발전에 기여 하는 방식으로, 지속 가능한 생계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과거와 현재의 차별을 극복하기 위해서 주변 집단, 특히 여성과 아동에게는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넷째, 농촌 사람들은 토지 개혁 정책의 입안과 실행 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article is to examine the complexity and implications of land issues in South Africa in terms of its historical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from pre-apartheid to post-apartheid. South Africa suffered a long history of colonization, racial domination and land dispossession which resulted in the bulk of the agricultural land being owned by a white minority. Black people resisted being dispossessed but were defeated by the superior arms of whites. That is to say, the South African history concerned with land issues has been stained with domination and exploitation by whites. This implies that there is the history of colonial conquest and land dispossession which lies at the heart of the land question in the state. Post-apartheid South Africa has embarked on market-driven programmes of land reform that can be described both as very ambitious, when measured against existing constraints, and as very modest, when measured against popular demand and need. Their goals appear to be certainly impressive: to redress the injustices of a grossly skewed land distribution system, to reduce poverty, to contribute to sustainable land use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to establish tenure security for all. However, the post-apartheid governments have faced with diverse difficulties in developing policies and programs to encourage or protect remnants of traditional land systems in South Africa. As a result, it is said that the land reform policies since the post-apartheid period have been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words: failure, ambivalence, vagueness, dilemma and discrepancy. In my opinion, such a phenomenon evidently shows that South Africa did not away with the social order which was established through colonial rule. The main objective of land reform in the country should be to bring a just and equitable transformation of land rights. This objective has the following four dimensions. First, land reform must address the gross inequality in land holding. Second, it must provide sustainable livelihoods in way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ynamic rural economies. Third, particular attention must be given to the needs of marginalized groups, especially women, so as to overcome past and present discrimination. Finally, rural people themselves must participate fully i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and reform policies.

      • KCI등재

        Language Situation, Attitude, and Practice in Kenya

        Seol Byung-Soo(설병수) 한국아프리카학회 200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29 No.-

        본고의 목적은 케냐의 언어 상황이 화자들의 언어 태도와 언어 실천에 어떻게 영향을 미쳐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첫째, 주 조사지인 우모자와 부루부루의 역사, 인구학적 특징, 사회·경제적 배경 등을 소개하였다. 둘째, 케냐의 언어 상황을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셋째, 상이한 사회적 정체성을 가진 화자들의 언어 태도와 언어 실천을 고찰하였다. 1970년대 초반 경부터 나이로비는 현저한 인구 증가로 인해 급속도로 팽창하기 시작했다. 부루부루와 우모자가 건설된 것은 이러한 팽창의 결과였다. 우모자는 주로 중하층의 사람들이 사는 주거 지역이기 때문에 기반시설의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다. 이에 비해, 부루부루는 주로 중산층의 사람들이 사는 주거 지역이기 때문에 현대식 쇼핑센터를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반시설의 상태도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케냐의 언어 상황의 복잡성은 이 국가의 사회사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현재 스와힐리어와 영어는 공식적 인정을 받고 있지만, 토착어들은 결코 정당한 관심을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영어와 더불어 스와힐리어는 종족 간의 의사소통, 교육, 정치 회합, 대중매체, 공공 서비스, 상업 활동 등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영어는 학교 교육 전반에서 수업 매체로 사용되고 있는 반면, 스와힐리어는 단지 하나의 과목으로만 가르쳐지고 있다. 영어는 스와힐리어와 함께 공식어이긴 하나, 가장 위신있는 언어로 간주된다. 스와힐리어는 1974년에 국가어로 지정되긴 했으나, 그간 이 언어는 국가 수준에서 일관성 있게 검토되지 못했다. 오늘날 케냐의 언어 상황은 '복잡성'과 '정신분열증'이라는 단어들로 특징 지어진다. 이러한 상황은 화자들의 언어 태도와 언어 실천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왔다. 대다수의 케냐인들은 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는 하나, 사회·경제적 이점을 지니고 있는 영어나 스와힐리어를 선호한다. 즉, 그들은 영어, 스와힐리어 및 모어에 대해 모순된 태도를 취하고 있다. 그 결과, 소수 종족 집단의 언어들은 사멸의 위기에 직면해 왔다. 또한, 상이한 사회적 정체성을 가진 화자들 간의 언어 실천 과정에서는 힘의 논리가 작용하고 있다. 그들 간의 갈등을 초래하는 이러한 현상은 종족 집단간 및 세대 간의 언어 실천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언어적 위계질서는 사회적 위계질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케냐 사회의 문화적 규범으로 인해, 양성(兩性) 간의 언어 사용에서도 차이가 발견된다. 이 사실은 언어 실천 과정에서 남성은 남성답게 되는 것을, 그리고 여성은 여성답게 되는 것을 배운다는 것을 보여준다. 요약하자면, 그들의 모순된 감정과 그들 간의 갈등이 종종 드러나는 화자들의 언어 태도와 언어 실천은 복잡하고 정신분열적인 케냐의 언어 상황을 반영한다.

      • KCI등재

        The Dynamics of Ethnic Relations in Ethiopia

        Seol, Byung-Soo(설병수) 한국아프리카학회 2014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2 No.-

        메네릭 2세가 영토를 확장하기 시작한 19세기 말부터, 에티오피아는 오늘날의 국경과 종족 구성을 가지게 되었다. 에티오피아 사회에서 다양한 갈등이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주된 이유는 배타적인 정치 관행이 만연해 있고, 상이한 사람들을 지배하기 위해 무력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은 황제 시대와 더그 정권 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991년에 집권한 에티오피아 인민혁명전선은 부당한 종족 관계를 바로잡기위해 노력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에서 비롯되는 종족 갈등은 여전히 에티오피아 전역에 만연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키 타운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를 통해 에티오피아의 종족 관계의 역동성을 상호 작용과 갈등의 맥락에서 검토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타운에서 발견되는 종족 갈등은 하일레 셀라시에 시대의 강요된 개종 및 더그 정권시대의 토지 개혁과 오로모족의 잔학 행위에 그 뿌리를 두고 있었다. 둘째, 이 타운의 지배 종족인 오로모족은 장기간의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여전히 암하라족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셋째, 오로모족과 여타 종족 간에는 개인적?집단적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종족 차별이 존재하고 있었다. 넷째, 비(非)오로모 종족 집단들의 상당수 구성원은 그 공동체에서 생존하기 위해 이미 오로모화되었다. 다섯째, 그 공동체의 상이한 종족 집단은 다양한 형태로 경제적 상호 작용을 하고 있으며, 구라게족의 상권 장악은 종족 집단 간 잠재적 갈등을 유발해 왔다. 메키 사람들 간의 종족적 상호 작용과 갈등은 수 세대에 걸친 그들의 사회문화적?경제적?정치적 존재 조건을 반영하는 역사적 경험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그 공동체의 종족 관계는 본질적으로 유동적이고 역동적이며, 그 관계는 상이한 집단의 내?외적 존재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도 강조될 필요가 있다. It was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Ethiopia appeared with its current borders and ethnic formation owing to the territorial expansion launched by Emperor Menelik Ⅱ. The everlasting nature of conflicts in the state can be primarily explained by its exclusive political practices and the use of cruel force to control different people. It is clear that such a tendency was more remarkable during the periods of the Ethiopian Emperors and the Derg government. The Ethiopian People’s Revolutionary Democratic Front, which was established in 1991, has endeavored to redress unreasonable ethnic relations. Ethnic conflicts deriving from diverse interests are, nonetheless, still rampant in the different corners of the stat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dynamics of ethnic relations in Meki Town in the context of interaction and conflicts, based on my fieldwork, which was executed in the commun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thnic conflicts in the Meki community have resulted from three significant events: ⅰ) the forced religious conversion during the Haile Sellassie period; ⅱ) the land reform during the Derg government; and ⅲ) the Oromo’s atrocities against other ethnic groups during the Derg epoch. Second, the Oromo were being still dominated psychologically by the Amhara because of their long historical experiences. Third, there have been diverse forms of ethnic discrimination between the Oromo and other ethnic groups at the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s. Fourth, many members of non-Oromo ethnic groups have been Oromonized for their survival in the community. Finally, there has been economic interaction among different ethnic groups, and latent conflicts have taken place among them due to the Gurage’s domination of the commercial hegemony of the community. The ethnic interaction and conflicts among Meki peopl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which reflect their socio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onditions of existence over generations.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ethnic relations in the community are essentially fluid and dynamic, depending upon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existence of different groups.

      • KCI등재
      • KCI등재

        보츠와나 추장제(chieftaincy)의 쇠퇴와 재구조화

        설병수 ( Seol Byung-so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比較文化硏究 Vol.54 No.-

        본 연구의 목적은 보츠와나의 추장제가 역사적 과정에서 어떤 식으로 쇠퇴하고 재구조화되어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츠와나 전통 사회에서 추장들은 상징적 존재이자 실제적 존재로서 막강한 권위와 권력을 행사했다. 하지만 영국식민지 시대 동안 전통적 지도자들은 계속해서 권력을 상실하면서, 식민지 정부의 대리인 또는 앞잡이로 전락했다. ‘근대성’을 강조한 식민지 당국은 전통적 통치자들과 거리를 두면서 신흥 엘리트 집단을 지지했다. 그 결과 신흥 엘리트는 독립 이후의 국가에서 핵심 세력이 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독립 이후 정치 제도의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추장의 세습적 통치는 정당성을 점점 상실하고 있다. 정부는 각종 법령을 제정하여 추장들의 권력과 권한을 계속 약화했다. 추장들에 대한 근대 엘리트의 부정적 인식도 사라지지 않았다. 이런 일련의 상황으로 인해 추장들의 입지는 더욱더 좁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추장들은 농업, 교육, 보건 관련 각종 지역 개발 사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추장들은 지역 정치뿐만 아니라 중앙 정치의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된다. 추장제는 사회ㆍ정치적 변화 속에서 존속하기 위해 재구조화가 필요하며, 실제로 재구조화되고 있다. 지역민의 광범한 지지 및 추장제의 탄력성과 적응성은 이 제도가 재구조화되는 데 원동력이다. This study is initiated to examine how the chieftaincy institution in Botswana has been declined and restructured in the historical process throughout the past years. In the traditional Tswana society, the highly respected and revered chiefs wielded mighty authority and power as symbolic and real beings to the people they governed. During the British colonial period, however, traditional leaders continuously lost their power and were downgraded to becoming or acting as the degraded agents or tools of the colonial government. The colonial authorities, which emphasized modernity, supported the emerging elite group, standing apart from traditional rulers and encouraged the people to lose respect for the power of the chiefs as well. As a result, the new elites could anchor to become key forces in post-independence Botswana. With the democratization of political systems since independence, the hereditary rule of chiefs has increasingly lost its legitimacy among the people of that region. The Botswana government has continually weakened their power and authority through diverse laws aimed at negating the rule of the chiefs. There is also no doubt that the negative recognition of the modern elites on the chiefs did not appear. In regard to a series of these types of situations, the stance of chiefs is becoming more narrowed today. Notwithstanding, the chiefs are playing a pivotal role in varied local development projects related to agriculture, education and health, bolstering the faith in the chiefs to help the plight of the people today. Besides, the chiefs are being utilized as an important source in both local and central politics. Chieftaincy is needed to be reconstructed in order to survive in socioeconomic change, and is actually being reconstructed in modern times. It is clearly verified that both the broad support of the local people, and its resilience and adaptability have been a prime mover in the process of its restructuring.

      • KCI등재

        남아프리카의 일부다처제에 관한 소고: 전통의 실체와 변화

        설병수 ( Seol Byung-so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남아프리카의 일부다처제가 역사적 궤적과 노동 이주의 맥락에서 어떤 식으로 존재해 왔는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사회ㆍ경제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문화적 관성’과 ‘실제적 필요성’ 때문에 일부다처제가 쉽게 소멸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을 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프리카 전통 사회에서 일부다처제가 만연했다는 일반적 인식은 ‘신화’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남아프리카의 일부다처제와 성적 관행은 개별 집단의 존재 조건과 행위 주체의 사회ㆍ경제적 배경에 따라 그 실천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대규모 노동 이주는 전통적 가족과 공동체 구조의 균열을 초래했다. 넷째,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남아공의 경기 침체는 일부다처제의 존속을 더욱더 위태롭게 하고 있다. 다섯째, 이런 상황에서도 남아공 사람 중 상당수는 일부다처제가 존속되길 원한다. 여섯째, 남성과 여성이 일부다처혼을 통해 획득하는 상징성은 각기 다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polygyny in southern Africa has existe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trajectory and labor migration. Through it all, the study tried to argue that, despite socioeconomic changes, polygyny will not easily disappear, because of cultural inertia and practical necessity. The points discussed in the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perception that polygyny prevailed in traditional southern African societies is close to a myth. Second, polygyny and sexual practices in the area manifest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each group’s existential conditions and the agent’s socioeconomic background. Third, large-scale labor migration start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resulted in the fissure of the traditional family and community structures. Fourth, the economic recession in South Africa that began in the 1970s has endangered the survival of polygyny more and more. Fifth, despite such a situation, most South African people want the institution to survive. Finally, men and women obtain different symbolic meanings from polygynous marriage.

      • KCI등재

        에티오피아 오로모족의 가다(Gadaa) 체계, 그 존속 가능성은?

        설병수(Seol, Byung-Soo) 한국아프리카학회 2013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0 No.-

        The current study aims to predict the future of the Gadaa system, by examining its significance, the main factors of its decline, and local people’s recognition of it. The primary data used for this study was were collected from fieldwork, which I carried out between 29 July and 19 August of 2013 in Dera Town, Doddota District, Oromia Reg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principles of the Gadaa system are democracy, equality, and checks and balances. Second, both age-sets and generation-sets are crucial in understanding the system. Third, the functions of the Gadaa system are very complex: political, judicial, social, economic, cultural and religious. Fourth, its decline has been chiefly resulted from both the dominance of the Amhara-Tigray on the Oromo and modernization. Fifth, many of my informants have a positive response to the system itself and its survival or revival. Finally, different recognition of it is also found among generations, sexes and religious groups. Just like many members of any other Oromo societies, the majority of my informants also consider the Gadaa system as their tradition and cultural heritage, which express their identity, values and norms. Hence, it is natural that they hope the survival of the system. However, it seems that, the possibility, which their hope will come true, is low. This is because of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the Oromo have almost lost their cultural identity and uniqueness due to the Amhara-Tigray dominance on them over several centuries. Second, the Gadaa system based on tradition has been weakened owing to modernization. Finally, even though nationalists have made efforts to reconstruct and revive Oromo culture since the 1960s, it is never easy that their endeavor gains a substantial achievement, considering the recent social and political terrain of Ethiopian society. In short, the Gadaa system will continuously atrophy because of the internal differentiation in Oromo society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it. Hence, it can be assumed that, eventually, the system will remain as not a real type of institution but an ideal type of institution, which characterizes Oromo society. Nonetheless, many members of Oromo society may want that they hold the system in their memories fore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