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열장에 비친 역사: 볼레스와프 프루스의 『인형』과 브루노 슐츠의 단편에 나타난 상점의 이미지

        정보라 ( Bo Ra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연구소 2009 슬라브연구 Vol.25 No.2

        폴란드 작가 볼레스와프 프루스와 브루노 슐츠는 양쪽 모두 작품에서 상점을 중요한 공간적 배경으로 묘사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점이라는 공통된 공간을 통해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가치와 주제 의식은 매우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두 작가가 살았던 시기의 역사적, 사회적 상황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한다. 그리하여 두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같은 공간에 대한 상반된 묘사를 통하여, 프루스가 살았던 19세기 후반 분할점령 당시 실증주의를 신봉했던 폴란드 지식인의 사회의식 혹은 세계관과, 20세기 초 전간기의 독립국 폴란드를 살았던 폴란드인으로서 슐츠의 작가 의식이 두 작가의 작품 속에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었는지를 비교하며, 넓게는 실증주의와 모더니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Sklep to raczej miejsce praktyczne niz literackie. Lecz dwaj wielcy polscy autorzy, Boleslaw Prus(1847-1912) i Bruno Schulz(1892-1942), wybrali sklep jako glowna scene w ich dzielach wlasnie z tego powodu: ze sklep jest czescia codziennego zycia. U Prusa, w Lalce(1890), bohaterem jest Stanislaw Wokulski, kupiec warszawski; sklep Wokulskiego, naturalnie, jest najwazniejszym miejscem w powiesci. Podobnie, w opowiadaniach Schulza, bohaterem jest ojciec, najczesciej w Sklepach cynamonowych(1934) a tez w kilku opowiadaniach w Sanatorium pod klepsydra(1937). Wiec sklep ojca staje sie glownym miejscem akcji. Opisujac sklep w swoich dzielach, i Prus i Schulz skupiaja sie na podobne elementy: na opisanie towarow, budynku i okolicznosci sklepu oraz na opisanie wlascicieli i klientow. A w gruncie rzeczy ci autorzy sa bardzo rozni, i wartosci, ktore oni opieraja w swoich dzielach, tez sie rozniaja. Prus jest autorem i myslicielem Pozytywizmu w czasie Rozbioru, a Schulz jest modernista wolnej i niepodleglej Polski. Takie roznicy, historyczne, polityczne i spoleczne, odbijaja sie w ich dzielach i zwlaszcza w ich opisaniach sklepu. Prus, jako pozytywista, podkresla uzytecznosc. W sklepie Wokulskiego w Lalce sprzedaja sie towary potrzebne w zyciu codziennym, a sam wlasciciel, Stanislaw Wokulski, zawsze stara sie byc uzytecznym elementem dla swojego spoleczenstwa. A Schulz, na drugiej stronie, opisuje fantastyczne i magiczne towary, ktore sie sprzedaja w rownie fantastycznych "sklepach cynamonowych." Sklep Wokulskiego u Prusa ma konkretny adres, ktory do dzis mozna sprawdzic. A u Schulza, nawet bohater nie trafi znalezc upragnione “sklepy cynamonowe." Czy te sklepy wprawdzie istnieja? To do konca nie wiadomo. Wokulski u Prusa jest sfrustrowanym romantykiem i przede wszystkim biznesmenem; ojciec u Schulza jest marzycielem fantastycznym i bohaterem tragiczno-komicznym. Taki mocny kontrast w opisaniach podobnego tematu bardzo skutecznie pokazuje to, jaka jest istotna roznica miedzy Pozytywizmem a modernizmem. W wieku Prusa najwazniejsza rzecza byla odzyskanie niepodleglosci, a wiec spoleczenstwo bylo wazniejsze niz indywiduum. A w wieku Schulza, w wieku miedzywojennym i niepodleglym, jednostka odzyska wolnosc wraz ze spoleczenstwem; fokus przechodzi na jednostke, na jej prywatne marzenie i pragnienie. A w dodatku, porownanie tragedii Wokulskiego w Lalce z fantastyczna tragikomedia ojca u Schulza pokazuje, ze Romantyzm jeszcze laczy marzenie Prusa i fantazje Schulza. Sklep, u obydwuch autorow, jest glownym miejscem, gdzie odgrywa sie dramat ludzki.

      • KCI등재

        A. 비토프 작품에 나타난 삼각관계의 테마

        정보라(Chung Bo Ra)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6 슬라브학보 Vol.31 No.2

        In Andrei Bitov’s works, the theme of a love triangle is a very frequent but much neglected topic. A love triangle usually involves desire, jealousy, obsession and betrayal. These topics repeat themselves in Bitov’s works ranging from his early novella from the mid-1960’s to his most famous novel, The Pushkin House, and his most recent work, The Teacher of Symmetry. In these works, however, the protagonists’ love, jealousy and obsession often result in nothing. The protagonist may suddenly die, or feel a sudden aversion to his object of obsession, or in some stories, the object in question simply disappears. These endings render the plot meaningless, or reminds the reader of the meaninglessness of reality. At the same time, the theme of love, jealousy and betrayal is a powerful motivation for the characters to act and thus drive the plot. Therefore the theme of a love triangle, encompassing love, jealousy, obsession and betrayal, is important both from a Postmodern point of view which doubts the one and only meaning in life and reality,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a metatext which considers how to build a story and to lead the narrative.

      • KCI등재

        인간과 기술에 대한 문학적 고찰: 플라토노프 작품을 중심으로

        정보라 ( Bo Ra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5 슬라브연구 Vol.31 No.1

        현재 과학기술은 인간의 생활을 지배하며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발전한다. 인간과 기술이 일상생활 차원에서 점차 융합되면서 과학기술의 발전을 무조건 배척하거나 발전 속도를 인위적으로 늦추기는 불가능해졌다. 이런 현실에서 인간으로 살아남기 위해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재조명하고 인간성에 대해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안드레이 플라토노프는 기술자이자 공학자로서, 또 인간에 대해 성찰하는 문학자로서의 관점을 동시에 보여준다. 사물에 나타난 인간적 특성에 애정을 느끼고, 기계에서 그것을 제작한 인간의 모습을 재발견하는 것이 플라토노프식 인본주의다. 과학기술을 발달시키는 주체 역시 인간이며 그 목적은 궁극적으로 인간을 위한 것이라는 플라토노프의 통찰에서 인간성과 인간 자체의 생존을 위한 근본적인 대안의 실마리를 찾을수 있다. In the modern world,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develop exponentially while ruling our everyday lives. Technological advances seem to have penetrated into our very existence, making it impossible to control the speed at which modern technology develops or even keep an apparently safe distance from it. It is imperative for our very survival in this world to re-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technology and thereby re-consider what it means to exist as a human being. That is why we need to turn to Andrei Platonov and re-examine his viewpoints on machines and technological advances. Platonov himself had been an engineer by training and profession. His insight on machines, technology, and their relation with us humans comes from knowledge and first-hand experience. Platonov’s main point is that technology and machinery exist for human convenience and comfort. The ones who have created the technological advances in the first place are humans, so according to Platonov, one should not forget the man behind the machine. Also Platonov acknowledges anthropomorphism, the tendency to find human attributes in non-human beings or objects, as a human attribute in and of itself. Such characteristically Platonovian humanism will shed light on why our relation to technology and machinery is what it is now and how it should develop in the future

      • KCI등재

        타데우슈 보롭스키의 홀로코스트 소설과 정체성의 문제

        정보라 ( Bo Ra Ch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2 슬라브연구 Vol.28 No.1

        본 논문은 폴란드 작가이자 홀로코스트 생존자인 타데우슈 보롭스키(Tadeusz Borowski)의 전쟁 소설들을 중심으로 작품 속의 공간적 위치 변화와 이에 따른 화자의 정체성 변화를 추적한다. 작품 안에서 화자의 정체성은 극한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해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이 과정에서 전쟁이 작품 속 화자에게 홀로코스트 생존자라는 역사적 정체성만을 남기고 개인적 정체성을 모두 파괴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보롭스키는 허구적 영웅주의나 인본주의를 배제하고 이 과정을 건조하게 묘사하지만, 그의 작품 안에는 전쟁으로 파괴된 인간의 실존적인 절망이 솔직하고도 생생하게 드러난다. The concept of identity is mainly based on one`s relation to one`s surroundings and the perception of oneself. These are all important topics when reading Borowski`s stories. In his stories, the narrator is forced to change locations several times as a victim of war and a political prisoner. His physical surroundings as well as hi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the people and the environment around him are extremely important because his very survival depends on them. In Borowski`s stories one can see that the narrator`s identity evolves quite fluidly as he moves around from the streets of Warsaw to Pawiak prison, to Auschwitz and to different sub-camps of Auschwitz and to Dachau. When discussing personal identity and changing locations, one may say that Borowski`s wartime and Holocaust stories chronicle the destruction of a person in all aspects of existence: physical, psychological, moral and even spiritual. In Borowski`s stories, the narrator gradually changes from a young adult with hopes for a better future to a hardened concentration camp prisoner who does not hesitate to laugh at other people`s sufferings and death. The narrator`s survival after all the atrocities is itself a tragic one, because he survived not to be free but only to become a prisoner to the core of his heart and soul. And since these stories are also testimonies of one of the greatest tragedies of human history, one may also see it as a testimony of the inner devastation of a generation as well as that of an entire nation and its culture.

      • KCI등재

        풍자의 변용 : 고골의 〈코〉와 야셴스키의 〈코〉

        정보라(Chung Bo Ra)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4

        고골의 단편 〈코〉는 1835년 첫 출간 이후 환상 소설, 꿈과 같은 이야기, 혹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풍자적인 탐구 등 여러 측면에서 분석된 바 있다. 고골의 〈코〉 이후 백 년이 지나 러시아 소비에트 작가인 브루노 야셴스키 (1901-1938)가 같은 모티브를 차용하여 같은 제목으로 중편을 집필한다. 그러나 야셴스키의 작품은 나치 우생학자가 어느 날 전형적인 유대인의 코를 갖게 된다는 내용으로, 고골의 작품에 없었던 인종적이고 정치적인 색채를 분명하게 나타낸다. 고골의 〈코〉는 환상성과 인간에 대한 풍자 외에도 구조적으로 피카레스크 소설의 요소들을 차용한다. 꼬발료프 소령과 그의 코를 둘러싼 여러 가지 모험을 묘사하면서 작자는 일련의 부조리한 인물들을 소개한다. 주인공까지도 포함하여 이러한 인물들을 풍자하는 것이 작품의 주된 요점이며, 그 과정에서 작자는 현실과 비현실 혹은 초현실 사이의 경계를 능란하게 넘나든다. 야셴스키 또한 고골의 기법을 차용하여, 유대계의 매부리코로 인해 주인공이 여러 초현실적인 사건에 말려드는 이야기를 기본 줄거리로 삼는다. 고골의 꼬발료프 소령처럼 야셴스키의 주인공 칼렌브루크 박사도 베를린 시내를 헤매고 다니는데, 여기서 피카레스크의 요소들과 환상성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칼렌브루크 박사 또한 여러 의심스러운 인물들과 맞닥뜨리고, 고골이 그랬듯이 야셴스키 또한 주인공을 포함한 등장인물들을 신랄하게 풍자한다. 여기서 차이점은 고골이 해학과 익살 그리고 꿈결 같은 환상성을 강조하는 데 비해서 야셴스키의 작품을 지배하는 것은 공포와 정치적인 음모론이라는 점이다. 고골이 가능한 한 많은 인간 유형을 작품 안에 받아들여 해학적인 관점에서 묘사하는 반면, 야셴스키는 대체로 유대인과 나치의 대립을 둘러싼 인종 문제에 집중한다. 고골의 〈코〉에 나타난 소재와 주제 그리고 기법들이 백 년 후 완전히 달라진 사회문화적 정황에서도 차용되고 변용되어 또 다른 문학 작품을 낳을 수 있었다는 사실에서 고골 작품의 깊이와 다양성을 재발견할 수 있다. Gogol's short story, “The Nose”, since its publication in 1835, has been an enigma of sorts. Critics have interpreted it as a tale of the fantastic, a dream-like story, or a satirical study of the human nature. A hundred years later, a Russian-Soviet author by the name of Bruno Iasenskii (1901-1938) writes another story by the same title. This time, however, Iasenskii's novella has strong racial and political connotations, as the story centers around a Nazi eugenics professor who one day finds out that he suddenly has a conspicuously Semitic nose. Iasenskii's intentions seem clear enough. The author himself is of Jewish ancestry, and in mid- to late-1930's when the story was written, the Nazi threat against the Jewish people could be felt all around Europe. In addition, Iasenskii was originally born in Poland and, after spending some time in France, emigrated to the Soviet Union in 1929. Considering this personal background, and also the Russian literary culture which values respect for tradition, one could safely assume that Iasenskii wrote this story by the same title as Gogol's in an attempt to pay homage to Gogol and, at the same time, to assert his own place in the Russian literary tradition as a Russian-Soviet writer. The comparison of the two “Noses,” by Gogol and by Iasenskii, reveals that Gogol's original text is a rich and complex one involving not only fantasy and satire but elements of the picaresque in its structure. While describing the adventures surrounding Major Kovalyov and his nose, the author depicts an array of absurd characters. Satirizing these characters is the main point of the story, and the author also seems to merge reality with unreality in the process. Iasenskii, following Gogol's steps, presents a main character who is involved in a number of surreal incidents surrounding his suddenly Semitic nose. Elements of the fantastic are clearly visible, as well as the elements of the picaresque, as Iasenskii's main character also roams the streets of Berlin. Just like Gogol's Major Kovalyov, Iasenskii's Dr. Kalenbruk encounters a number of dubious characters, and the author satirizes these characters, as does Gogol. The difference, however, is that while Gogol uses humor and benign fantasy, a darker atmosphere of terror and political conspiracy is more dominant in Iasenskii's novella. If Gogol attempts to encompass as many human types as possible and depict them in a comical light without any political connotation, Iasenskii focuses mostly on the racial issue and the threat posed by the Nazis in Western and Central Europe. The comparison and contrast of the two “Noses” show the literary depth and breadth of Gogol's original text, as the same motif and the same techniques could nicely fit into a context that is so far removed both in terms of chronology, socio-political dynamics, and race or nationality.

      • KCI등재

        『안드로메다 성운』과 이반 예프레모프의 유토피아

        정보라(Bo ra Ch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72

        이반 예프레모프는 유토피아 소설 『안드로메다 성운』(1957)에서 미래 인류 역사의 발전 단계를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고 공산주의가 전 지구적으로 실현된 이상 사회를 인류 역사의 도착점으로 묘사한다. 예프레모프가 믿었던 미래 사회는 소비에트식 공산주의 사회가 아니라 생산 수단을 사회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잉여소득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유토피아였다. 예프레모프는 과학소설 작가이기 이전에 과학자이기도 했으므로, 이러한 공동생산, 공동소유와 평등의 원칙을 기반으로 과학과 기술이 극도로 발전하여 인간이 언제나 새로운 삶을 추구할 수 있는 이상 사회를 꿈꾸었다. 바로 이 때문에 예프레모프는 당대 독자와 비평가들에게 소련 정권에 아첨하는 작가로 여겨져 비난받았고 당대 공산당으로부터는 “테크노크라시를 지향한다”며 비판당하기도 했다. 본 논문에서는 예프레모프의 대표작 『안드로메다 성운』에 나타난 유토피아의 여러 측면을 분석하여 유토피아 작가로서 예프레모프를 재조명하며 나아가 현대 러시아 대중문학의 중요한 축을 이루는 소비에트 시기 과학소설의 한 흐름을 재발견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engagement with utopia in Andromeda Nebula by Ivan Yefremov and attempts to rediscover Yefremov as a classical utopian writer. In Andromeda Nebula, Yefremov depicts a humanitarian utopia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work, the protagonists are born and raised in a communist society where the entire planet Earth has become a single nation. The protagonists strive to gain new knowledge and new experience in order to broaden the horizon of perception for the entire human race. By focusing on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educational system in this utopian society, Yefremov successfully portrays one of the most unique utopias in Soviet-era literature.

      • KCI등재

        『청구야담』의 『연조귀감』 수용 양상 연구

        정보라미 ( Chung Bo-ra-mi )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6 No.-

        본고는 『연조귀감(掾曹龜鑑)』이 『청구야담』에 수록된 이야기 <양역리각진세벌>, <삼지인경과거향>, <상산리누세충절> 세 편의 원천자료임을 규명하고, 그 수용 과정에서 발생한 변개의 특징적 양상을 고찰하였다. 본고는 문면의 변개와 이야기의 구성 방식을 통해 『청구야담』의 『연조귀감』수용 양상을 검토했는데 <양역리각진세벌>과 <삼지인경과거향>의 경우 그 수용 방식이 전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그런 중에도 등장인물의 심리 묘사 및 대화가 다소나마 부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청구야담』의 편자가 해당 내용을 조금 더 흥미로운 이야기로 전달하는 것에 대해 약간이나마 의식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상산리누세충절>이 『연조귀감』권3의 <관감록>에 흩어져 있는 이경남 ㆍ 이지원 ㆍ이근생 ㆍ 이시발 ㆍ이삼억 다섯 인물의 일화를 엮고, 거기에 권1의 <감은시병서>에서 이경번의 일화를 뽑아 더함으로써 구성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청구야담』에 수록된 이야기의 복합적 형성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케 하는 특수한 사례로서 지금껏 잘 드러나지 않았던 『청구야담』의 또 다른 편찬 방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는 『청구야담』편자가 때로는 한편의 이야기를 만들기 위해 원천자료의 권책의 구분이나 글의 성격 차이를 넘나들며 여러 일화를 엮어낼 정도로 적극적인 편찬의식을 갖고 있기도 했음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연조귀감』의 내용이 <상산리누세충절>으로 수용되면서 비서사적 문면이 소거되는 경향과 다양한 정보에 대한 기술이나 주변부 서사가 축약 혹은 삭제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개를 거치며 <상산리누세충절>은 인상적 사건 자체에 보다 초점을 두며 주요 서사를 보다 선명히 부각하게 된바 이에 이 이야기가 원천자료에 비해 좀 더 흥미로운 이야기로서 독자에게 전달될 수 있었을 것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dentified that Yeonjo Guigam(掾曹龜鑑) is the source material of three stories <Yangyeokri-gakjinsebeol>, <Samjiin-gyeongkwageohyang> and <Sangsanri –nusechungjeol> contained in Cheonggu-yadam(靑邱野談), and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rocess of its acceptance. This paper reviewed the acceptance pattern of Yeonjo Guigam in Cheonggu Yadam through the change of literary style and the composition of the story. In the case of <Yangyeokri-gakjinsebeol> and <Samjiin-gyeongkwageohyang>, the acceptance method was usually reprinting, but in the mean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description and dialogue of the characters were added a little. Through this, it could be assumed that the editor of Cheonggu Yadam was slightly conscious of the narrative. Next, it was confirmed that <Sangsanri-nusechungjeol> compiled anecdotes of five characters scattered in <Gwangamrok> in Volume 3 of Yeonjo guigam, and added Lee Kyung-beon's anecdotes from <Gameunsi-Byeongseo> in Volume 1. This is a special example of the complex formation process of the story contained in Cheonggu Yadam, showing another editing method of Cheonggu Yadam. This is a good example of how the editor of Cheonggu Yadam sometimes had an active editing consciousness to the extent that he compiled various anecdotes across the distinction of Volume or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the text in the original data to create a story. On the other hand, as the contents of Yeonjo Guigam were accepted as <Sangsanri-nusechungjeol>, it was confirmed that non-narrative texts were eliminated, and various information or surrounding narratives were abbreviated or deleted. Through these changes, <Sangsanri-nusechungjeol> focused more on the impressive event itself, highlighting the main narrative more clearly. So the reader could have read this story as a more dramatic and interesting story compared to the source material.

      • KCI등재

        『마상루』계 피난서사 자료의 상호 관계 재고

        정보라미(Chung, Bo-ra-mi)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5

        본고는 『마상루』계 피난서사 자료 4종을 비교 검토하여 그 관계 양상을 따져보는 데 목적이 있다. 『마상루』계 피난서사 자료란 난리의 발발로 인해 부부가 피난을 가던 중 뜻하지 않은 이별을 하게 된 이후 부인이 몇 차례의 실절 위기를 극복하고 나서 부부가 해후하게 된다는 줄거리로 구성된 다양한 장르의 서사자료들을 가리킨다. 이 자료들은 당대 설화ㆍ야담ㆍ고전소설ㆍ신소설 간의 넘나듦을 종합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고는 기존의 『마상루』계 피난서사 자료 3종에 창작 시기가 분명한 동일 계열의 새 자료 〈김씨피난〉을 추가하여 4종 자료들을 면밀히 비교함으로써 자료들 간의 상호관계를 재구성하고, 〈서진사전〉과 〈김연광동방재회기처〉의 창작 시기도 좀 더 구체화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규명한 4종 자료들 간의 상호 관계는 다음과 같다. 〈김씨피난〉? 〈김연광동방재회기처〉 → 〈서진사전〉 → 『마상루』 이를 밝히는 과정에서 〈서진사전〉이 〈김연광동방재회기처〉라는 짧은 야담의 내용을 활용하면서 기존 고소설의 문법을 차용하여 사건을 추가하기도 하고 새로운 결말 방식을 창안하는 등 나름의 작가적 수법을 발휘하여 창작된 소설임이 밝혀졌다. 한편 ?마상루?는 〈김씨피난〉과 〈서진사전> 등 최소 2종 이상의 자료를 저본으로 삼아 주요 사건을 추가하고 속이기를 통한 대화합이라는 소설적인 수법만을 활용하여 결말을 맺는 등 기존의 관련 서사들을 흥미 본위로 집대성함으로써 창작된 작품이라는 사실도 드러나게 되었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co-relationship of flee-narratives type of Masangroo.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issue mentioned above, I examined 4 articles including one new articles from Flee-Narratives Type of Masangroo. The summary of Reconsidering four articles of Flee-Narratives Type of Masangroo is followed. Kimssipinan? KimYeonkwang → Seojinsajeon → Masangroo I figure out KimYeonkwang has served as a motif in Seojinsajeon, and Seojinsajeon has created as a novel by creative process. On the other hand, I find that Masangroo is compilation based on two more texts type of Masangroo including Kimssipinan and Seojinsaj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