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新石器時代 日本列島의 통나무배로 본 韓半島 통나무배 硏究의 豫察

        이상(Lee Sang Kyun)(李相均) 한국신석기학회 2010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8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resent state, the fea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ugouts which were made in Jomon age. And I looked into the material on Korean dugouts and compared them with Japanese ones. There are 124 dugouts of Jomon age and they have been found in 67 places. They were spread in the middle period of Jomon age and many of them were made in the late period. Their plane figures are generally the shape of Kyounjeol (chopped tuna) and made of cryptomeria and torreya. There are 4 engravings of boats in the petroglyphs of Bangudae, two dugouts found in the shell mound of Bibongli and an earthen ware which had been made in the shape of a boat and was found in the shell mound of Dongsamdong. The dugouts of Bibongli could be the shape of chopped tuna, and like Japanese ones they were made by carving raw timbers into boats. 본고에서는 日本列島에서 출토된 繩文時代 각 지방의 통나무배 현황을 정리하고, 형태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韓半島에서의 통나무배 관련 자료를 파악 해 보고, 日本의 통나무배와 견주어 韓半島 통나무배 연구의 豫察을 해보았다. 繩文時代의 통나무배는 124기에 달하며, 출토된 유적의 수는 약 68개소에 이른다. 통나무배는 繩文 早期 말에 제작되어, 본격적으로 보급되는 中期를 거쳐, 後期, 晩期에 는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평면 형태에 있어서는 鰹節形이 가장 많고, 단면은 半圓形이 주류를 이룬다. 이른바 繩文時代 통나무배를 대표하는 2A 유형에 속한다. 繩文時代의 통나무배는 대개 원목을 파내어 가공하는 단순한 구조의 單材方式이다. 통나무배의 재료는 15종의 수종이 있으며, 삼목과 비자나무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韓半島에서 新石器時代의 배와 관련된 것은 東三洞貝塚의 배모양토기, 반구대 암각화의 4기의 배 그림, 西浦項遺蹟의 고래뼈로 만든 노, 飛鳳里貝塚의 통나무배 2기가 있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日本 통나무배의 시기보다 빠르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鰹節形일 가능성이 높으며, 日本 통나무배 형태분류의 2A 유형과 유사하다. 飛鳳里의 통나무배는 일본지역과 마찬가지로 원목을 파내어 만드는 單材方式을 이용하고 있다. 통나무배의 곳곳에 불에 그을린 흔적과 石斧의 가공흔적이 보이고 있으며, 재료는 소 나무를 사용하고 있다. 日本列島에서 발견된 통나무배의 연구상황을 근거로 하여, 앞으로 韓半島에서 출토 되는 통나무배의 기초 데이터를 충실히 만들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강릉 사마소의 운영과 관리주체의 변동

        이상(李相均)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강릉에는 강원도 내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사마소 유적이 있다. 강릉 사마소는 읍치인 옥천동玉川洞에 처음 설립되었다가 현 자리인 화부산花浮山 기슭으로 이설되고 흥폐를 거듭했다. 1810년 중수 후 당호를 ‘연행당讌杏堂’이라 했다. 1907년 후손들이 사마소 유지를 위해 중수하고 당호를 ‘계련당桂蓮堂’으로 변경했다. 사마소는 사마계에서 운영해 왔다. 과거제 폐지로 사마소 기능이 유명무실해진 이후에도 사마계원들은 사마소 재산의 기득권을 보장받고자 생전까지 계를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사마계 후손들이 사마소 관리에 참여하여 그 후예임을 인정받고, 선조가 증식해 놓은 사마소 재산 유지와 관리 등을 위해 1906년 모선계를 결성한다. 이때 사마계원들은 사마소 재산의 처분을 시도했고, 모선계원들이 저지함으로써 양측의 분규가 일었다. 분규는 사마계원들에 의해 대부분의 사마소 재산이 처분되는 1930년경에 종식되며, 사마계원도 대부분 사망하여 사마계는 유야무야 되었다. 모선계에서는 사마소의 유지를 위해 사마계원들이 처분한 재산을 다시 사들였다. 이로써 사마소 관리주체가 모선계로 완전히 변동되어 지금에 이른다. There were Gyeryeonldang(桂蓮堂) of Samaso remains in the Gangneung. It is only samaso in the Gangwon-do. The period of making it was unknown but it was about 16C(Jung Jong (中宗) period) as finding sama-exam pass present condition. Originally it was established in a town of Okchen-dong and relocated Mt. Hwabu foot and was renovated. In 1766 Samadang was repaired and the name was Yeonhaengdang(讌杏堂) in 1810. Although past system was reformed in 1894(Kabo reform) descendant had a purpose of maintaining it and the name was Gyeryeonldang in 1907. Moseongye which was organized by descendant extensively repaired the Gyeryeondang from 1933 to 1935. Samaso in Gangneung was managed by Samagy. There were no Samagy documents but main members were region gentry from successful candidate of sama-exam and many successful candidates in another region also participated in Samaso. Although the function of Samaso was nominal after Kabo reform(1894) members tried to guarantee vasted rights of property of samaso. In 1930 Samagy was noncommittal because Samaso in Gangneung was managed by Samagy. There were no Samagy documents but main members were region gentry from successful candidate of sama-exam and many successful candidates in another region also participated in Samaso. Although the function of Samaso was nominal after Kabo reform(1894) members tried to guarantee vasted rights of property of samaso. In 1930 Samagy was noncommittal because most members were dead and the dispute of property in Samaso was ended. In order to maintaining the property in Samaso and recognizing as descendant, descendant organized Moseongye and participating in managing Samaso(region gentry association) in 1906. However, they did not participate in Samagy. In this situation, Samagy tried to sell property of coming down from Samaso and Moseongye opposed it. It was dispute about Samaso property between Samagy and Moseongye. Duspute continues until 1930, they had not been able to reach an agreement. As a result, most properties were sold by Samagy the dispute was ended. However, Moseongye increased property in order to maintain Samaso and bought the site of Gyeryeonldang. This means management authority of Samaso is Moseongye and their efforts made maintain historic meaning and status of remains of Samaso until now. However, the dispute between Samagy and Moseongye shows the severance of historic correlation between Samagy and Samaso.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關東遊覽의 유행 배경

        이상(Lee, Snag-Ky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1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조선시대에 양산되는 수많은 유람 기록들을 통해서 알 수 있다. 壬辰倭亂과 丙子胡亂이 끝난 17세기 후반에 들어서면 유람 풍조가 급격하게 성행하기 시작해 18세기 주목되는 하나의 일반적인 유행이 되어버렸다. 교통의 발달과 선대의 山水遊記를 참고하는 등 유람 정보의 섭렵이 쉬워져 유람 계층은 일반인들에게 까지 널리 확대될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 속에서 가장 많은 유람객이 찾던 곳이 관동, 즉 지금의 강원지역 이었다. 특히 금강산과 關東八景이 대표적 유람 명소였다. 금강산은 수려한 景勝뿐만 아니라 산속에 담겨있는 풍부한 문화유산과 歷史事蹟 으로 인해 고려시대부터 유람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곳이다. 금강산이 신라와 고려를 거치면서 불교적 명성으로 유명해 졌지만, 경승 자체로도 국내에서 가장 수려한 지역이었다. 금강산의 웅장하고 기이한 형상으로 인해 사람들로 하여금 보고자 하는 흥미를 유발시켰고, 유람지로는 선망의 대상이었다. 금강산 유람을 평생의 소원으로 간직한 사람들도 있었다. 사람들은 금강산을 조선의 오랜 역사와 문화가 축척된 보고로 생각하고 생애에 꼭 한번 유람해야 할 곳으로 인식하였다. 유람객들은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내재해 있는 역사적 사실들을 考究하며, 경치를 즐기고 심신을 수련 하였다. 고려부터 조선 전시기에 걸쳐 禮佛과 유람을 위해 찾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국내에서 단연 으뜸가는 유람의 장소가 되었다. 한편 관동의 동해안에 자리 잡은 명승지인 관동팔경이 유람지로 각광받게 되었다. 관동팔경은 중국에서 유입된 팔경문화의 유행으로 정형화 되었다. 한국의 팔경문화가 정착됨에 따라 16~17세기 초 文人들의 인식 속에 관동팔경이 형성되고 정형화 되어 조선의 명승지로 널리 膾炙되었다. 개인 文集 등에 기록된 관동팔경을 살펴 본 결과 모두 강원도 동해안인 嶺東의 14개 장소가 나타난다. 제시하는 사람들마다 보고 인식하는 관점에 따라 팔경의 선택은 차이가 있지만 모두 영동의 경승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관동팔경의 경치를 극찬하며 가보고 싶은 유람의 명소로 꼽고 있다. 이 때문에 금강산과 관동팔경은 문인들의 문학작품 속에도 다채로이 표출되었고, 眞景時代의 화가인 謙齋 鄭敾을 필두로 당대 대표적 화가들 대부분이 유람하고 그림으로 남기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들 중 유람기와 조선후기 유행하였던 기행사경도의 주제가 주로 금강산과 관동팔경을 중심으로 한 강원지역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도 하는 것이다.

      • KCI등재

        明使 鄭同의 朝鮮使行과 別進獻 문제

        이상 서울역사편찬원 2016 서울과 역사 Vol.- No.92

        Joseon Dynasty continued the interchange of Ming from the first in Tributary System. Joseon Dynasty spent regular envoy every year and Ming also spent emperor’s envoy in a special occasion. Ming envoys who came to Joseon were mainly eunuch. Eunuch from Joseon Dynasty required a lot of private things such as personnel matters of relative, request. Specially Jeong-dong was the worst. He went to Ming as Xuande Emperor’s royal concubine, Ms Han’s attendance of eunuch. In Royal concubine, Ms han’s helping, he became a eunuch chief and took power and came to Joseon 5times as an envoy in order to assume full charge of diplomacy. The most nagative effect was the bride under the presence of emperor’s order. A catalog of goods were increased greatly from 1477 in every year and it was same of tribute of emperor’s a royal letter. Joseon Dynasty had a lot of trouble because Jeong-dong required odd things that were not produced in Joseon. There were no a catalog of goods and presentation to the King in the case of the Ming diplomacy of Joseon. Although Joseon knew the requirement was from Jeong-dong, Joseon cannot ignore his requirement because Jeong-dong took a siginificant role in diplomacy of Joseon. The problem of reduction had to be solved through Jeong-dong. When Han, myung-hoe or royal concubine Ms han of relative came to Joseon, Seong-jong complained about his activities but Jeong-dong denied. After Royal concubine Ms han’s death, Joseon spent Ms han’s relatives because Joseon afraid of Chenghua Emperor required reduction of gift eunuch chief from Joseon. But Jeong dong’s son, Jeong, kok-cheong, eunch chief in the Ming also played a role in Joseon diplomacy and required bride. As a result, after 10 years, 1487 Chenghua Emperor was dead, Joseon can achieve a reduction of gift eternally. Jeong, Kok-cheong did not want to it but he had a purpose because he afraid of punishment from new emperor. If new emperor know the situation of Jeong-dong and Jeong, kok-cheong, new emperor will give a harm damage to him. The requirement of in the period of Seong-jong was from the power of Jeong-dong and Joseon also knew about that. Although there were a lot of nagative effect, Joseon did not require Ming a reduction of gift and they require eunuch it. Joseon keep the lukewarm response. This situation shows eunuch chief had a lot of power when it comes to taking the diplomacy of Joseon and Joseon used them as using the diplomacy with the Ming. 조선은 국초부터 명과 朝貢・冊封 관계 속에서 우호를 맺으며 경제・문화교류를 이어나갔다. 명에 해마다 정기사절을 보냈고, 명은 사안이 발생할때 마다 황제의 奉命使臣을 조선에 보냈다. 조선에 사행 온 明使는 주로 조선 火者出身 太監이었다. 조선출신 태감들이 사신으로 오면 족친의 인사청탁, 물품요구 등의 사적요구가 많았다. 특히 鄭同이 일으킨 폐단이 가장 심했다. 정동은 宣德帝의 후궁으로 간택된 韓氏의 隨從火者가 되어 명에 갔다. 후궁한씨의 후광으로 태감에 올라 권력을 잡고, 조선에 5차례 사신으로오가며 대조선 외교를 전담했다. 정동이 조선에 일으킨 가장 큰 물의는 황제의 聖旨를 빙자하여 요구했던 別進獻이었다. 1477년부터 요구하기 시작한 별진헌 물목의 수량은 매년 늘었고, 황제의 칙서를 보내 常貢처럼 매년진헌토록 조치하였다. 그리고 조선에서 나지 않는 등 판비하기 어려운 물품을 포함시켜 조선에서는 매우 큰 어려움을 겪었다. 대명외교의 사례에 있어정동이 요구한 별진헌의 물목과 진헌 기간은 전무후무한 일이었다. 조선에서는 이 별진헌 요구가 정동의 조작이라는 정황을 알면서도 조선외교를 담당하고 있던 정동이 있는 한 쉽게 거부하지 못했다. 별진헌 免貢 문제는 정동을 통해 해결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정동의 측근인 한명회나 후궁한씨의 족친들을 보내 정동에게 면공을 요청하였고, 정동이 조선에왔을 때 성종이 직접 건의하기도 했으나 정동은 끝까지 들어주지 않았다. 별진헌의 발단을 일으킨 후궁한씨와 정동 사후에도 성화제를 인식하여 후궁한씨 족친을 성절사로 차견하였고, 조선출신 태감들에게 면공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정동의 양자 鄭谷淸이 대를 이어 태감의 자리에 올라 조선외교를 담당하며 계속 별진헌을 요구하였다. 결국 별진헌을 진상하기 시작한 지10년 후인 1487년 성화제가 죽자 영구히 면공받을 수 있었다. 선황제를 빙자하여 정동 때부터 오랫동안 별진헌을 받아왔던 것을 새 황제가 알면 화를입을 것을 염려한 정곡청이 바치지 말 것을 주문했기 때문이다. 성종연간 별진헌 요청은 정동의 권력에서 나온 것이었고, 조선에서도 인지하고 있었다. 별진헌 판비에 큰 폐단이 있었음에도 황제에게 직접 면공을청하지 못하고 환관을 통해 해결하려는 미온적 대처로 일관했다. 이는 당시대조선 외교권한을 조선출신 태감들이 절대적으로 행사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선에서도 이 태감들을 통해 대명외교를 운용해 나갔음을 단적으로 시사해 주는 실례라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