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환자실 간호사의 강인성,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박보은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3866879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강인성, 의도적 반추가 외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설계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환자에게 직접 간호를 제공하며, 근무 경력이 6개월 이상인 간호사 196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경상남도 C시에 위치한 S상급종합병원 및 3개 종합병원의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졌으며 2023년 8월 1일부터 2023년 8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강인성, 의도적 반추, 외상 성장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중환자실 간호사 191명 중 152명이 6개월 내 외상 사건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경험하는 외상 사건은 소리지름⋅난동⋅섬망과 같은 비정상적 행동을 보이는 환자의 간호였으며, 한 달에 외상사건을 1~3회 경험한다는 응답이 57명이었다. 이로 인한 고통의 정도는 평균 3.45±2.51 점이었다. 애착을 가진 환자의 외상 사건은 88명이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한 고통의 정도는 평균 2.14±2.64점이었다. 2. 중환자실 간호사의 강인성은 70점 만점에 평균 49.71±8.43점이었으며 의도적 반추는 30점 만점에 평균 17.27±4.71이었고 외상 성장은 72점 만점에 평균 43.50±12.76점이었다. 3. 중환자실 간호사외상 성장은 최종학력(t=-2.17, p=.031), 외상정도(F=3.15, p=04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6점이(46.34±12.93) 7점 이상(40.39±13.00)보다 외상 성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외상 성장은 의도적 반추(r=.52, p<.001), 강인성(r=.5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외상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도적 반추(B=1.01, p<.001), 강인성(B=0.52, p<.001)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외상외상 스트레스가 아닌 외상 성장으로 이끌기 위한 심리적 자원인 강인성과 의도적 반추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교육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외상에 관심을 기울이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함께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프로그램 및 교육 개발과 속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도적 반추, 자기 노출,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민새미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3866879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외상성 사건의 경험, 의도적 반추, 자기 노출, 사회적 지지와 외상 성장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며, 외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S시에 소재한 A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중환자실 근무경력이 6개월 이상이고, 중환자실에서 환자에게 직접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9월 13일부터 9월 24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157부가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외상성 사건의 경험은 조금진(2014)의 외상성 사건의 경험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의도적 반추는 Cann 등(2011)이 개발한 사건 관련 반추 척도를 안현의 등(2013)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사건 관련 반추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 노출은 박준호(2007)의 자기 노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척도를, 그리고 외상 성장은 Tedeschi와 Calhoun(1996)이 개발한 외상 성장 척도를 송승훈 등(2009)이 번역·재구성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외상 성장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외상성 사건의 경험은 55점 만점에 평균 31.71±6.74점이었다. 중환자실 간호사가 업무 중 가장 많이 경험하는 외상성 사건은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이는 환자의 간호였으며,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한 외상성 사건 중 가장 괴로움을 주는 사건 역시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이는 환자의 간호였다. 2.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도적 반추의 평균 점수는 30점 만점에 17.17±4.68점이었으며, 자기 노출의 평균 점수는 70점 만점에 46.61±12.01점, 사회적 지지의 평균 점수는 125점 만점에 91.54±16.05점이었고, 외상 성장의 평균 점수는 80점 만점에 44.17±14.18점이었다. 3. 중환자실 간호사외상 성장중환자실 경력(t=2.09, p=.03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년 미만인 간호사(46.21±14.36)가 5년 이상인 간호사(41.50±13.58)보다 외상 성장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외상 성장은 의도적 반추(r=0.356, p<.001), 자기 노출(r=0.392, p<.001), 사회적 지지(r=0.536,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외상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β=0.40, p<.001), 자기 노출(β=0.25, p<.001), 의도적 반추(β=0.24, p<.00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환자실 간호사외상 성장 증진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중증 환자에게 직접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외상성 사건을 극복하고 외상 성장을 도모하여 환자를 위한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여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aims to identify ICU nurse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deliberate rumination,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PTG), and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160 nurses who have provided direct care for patients for six months or more in ICU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3 to September 24, 2021, and, in total, 15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was measured using the instrument developed by Geumjin Cho(2014). Deliberate rumination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event-related rumination inventory, which was originally developed by Cann et al.(2011) and validated by Ahn et al.(2013). Self-disclosure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using the scale developed by Joon Ho Park(2007) and Jee Won Park(1985), respectively. PTG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PTG inventory, which was developed by Tedeschi and Calhoun (1996) and validated by Song et al.(2009).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the ICU nurses’ traumatic event experience was 31.71±6.74 out of 55. The traumatic event that the ICU nurses experienced most was abnormal behaviors of patients. The most stressful event of all traumatic ones that the ICU nurses experienced was also caring for patients acting abnormally. 2. The mean scores of the ICU nurses’ deliberate rumination,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PTG were 17.17±4.68 out of 30, 46.61±12.01 out of 70, 91.54±16.05 out of 125, and 44.17±14.18 out of 80, respectively. 3. The ICU nurs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TG level by their length of ICU career(t=2.09, p=.039). Those with experience less than five years(46.21±14.36) demonstrated significantly greater PTG than those with five years and more(41.50±13.58). 4. PTG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liberate rumination(r=0.356, p<.001), self-disclosure (r=0.392, p<.001), and social support(r=0.536, p<.001). 5. Factors that affect PTG significantly were found in the order of social support(β=0.40, p<.001), self-disclosure(β=0.25, p<.001), and deliberate rumination(β=0.24, p<.001). The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PTG for the ICU nurses.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those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ould also help the ICU nurses directly caring for critically ill patients overcome traumatic events, promote PTG, and ultimately provide high quality care.

      •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

        백연주 건양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3866863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tigate the traumatic event, psychological trauma, sense of coher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intensive care nurses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can overcome psychological trauma and achieve post-traumatic growth, and to prepare interventions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A convenience sample was collected from intensive care unit nurses working at three general hospitals with over 300 beds in D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questionnaire for 183 volunteers who explain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and asked for their cooper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4, 2019 to October 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f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tse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traumatic experience of the subjects was 30.45±8.33 points on a total of 60 points,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trauma were 23.71±17.44 points on a total of 88 points, 54.61±9.65 points on a total of 91 points, and total post-traumatic growth scores. It was measured as 41.39±12.82 points out of 80 points. 2.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urrent working department(F=28.93, p<.001), ward working type(t=2.08, p=.039) and psychological trauma was observed in the ward working type(t=2.91, p=.004). There was no general characteristic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e of coherence. Post-traumatic growth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t=-2.93, p=.004), marital status(t=-3.87, p<.001), final education(F= 6.97, p<.001), intensive care unit experience(F=3.28, p=.013) and ward working type(t=3.05,p=.003).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raumatic events, psychological trauma, sense of coher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of the subjects, Post-traumatic growth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nse of coherence(r=.45, p<.001). Psychological traum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umatic event experience(r=.32, p<.001), and sense of coherence was associated with traumatic event experience(r=-.18, p=.013) and psychological trauma(r=-.32, p<.001) were all negatively correlated. 4.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ost-traumatic growth of intensive care nurses were marital status(β=-.19 p=.006), ward working type(β=-.15 p=.030), and sense of coherence(β=.44 p<.001). The explanatory power for these variables was 27.3%.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rital status, ward working type, and sense of coherence influenc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ICU nurses, and that sense of coheren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trauma of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 and achieve post-traumatic grow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ocial support system, identify the factors of psychological trauma experienced at work, educate the countermeasures for each situation, and have an intervention plan to enhance sense of coherence for post-traumatic growth.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외상사건 경험, 심리적 외상, 통합성 및 외상 성장에 대해 파악하고 외상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을 극복하고 외상 성장을 이룰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하여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D 지역에 소재한 300병상 이상의 총 3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 표본 추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여 자발적 동의한 183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9월 4일부터 10월 3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se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외상사건 경험은 총점 60점 만점에 평균 30.45±8.33점이었으며, 심리적 외상 증상은 총점 88점 만점에 평균 23.71±17.44점, 통합성은 총점 91점 만점에 54.61±9.65점, 외상 성장은 총점 80점 만점에 41.39±12.82점으로 측정되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사건 경험은 현재 근무부서(F=28.93, p=<.001), 병동 근무형태(t=2.08, p=.039), 심리적 외상은 병동 근무형태(t=2.91, p=.00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통합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없었다. 외상 성장에는 연령(t=-2.93, p=.004), 결혼상태(t=-3.87, p=<.001), 최종학력(F=6.969, p=.001), 중환자실 경력(F=3.28, p=.013), 병동 근무형태(t=3.05, p=.0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외상사건 경험, 심리적 외상, 통합성 및 외상 성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상 성장은 통합성(r=.4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심리적 외상외상사건 경험(r=.32,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통합성은 외상사건 경험(r=-.18, p=.013)과 심리적 외상(r=-.32, p<.001)에 모두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중환자실 간호사외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혼상태(β=-.19 p=.006), 병동 근무형태(β=-.15 p=.030), 통합성(β=.44 p<.001)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변수에 대한 설명력은 27.3%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외상 성장에 결혼상태, 병동 근무형태, 통합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통합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을 극복하고 외상 성장을 이루기 위해 사회적인 지지체계를 강화시키고 업무 중 경험하는 심리적 외상에 대한 요인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며, 통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관련 요인

        윤혜진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3866863

        Background ICU nurses are exposed to foreseen or unexpected deaths of severe patients, violence or verbal abuse of patients in unclear conscious conditions, infectious diseases and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y have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experiencing a direct or indirect trauma. ICU nurses cannot avoid trauma experience during work, but not all ICU nurses experiencing trauma experience mental health problems, includ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refore, not only strategies to protect them from post-traumatic stress, but also strategies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a positive change through traumatic experiences, are needed. Purpose This study was attempted with the aim of analyzing and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of ICU nurses, ultimately to prepar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for post-traumatic growth of ICU nurses. Methods A total of 156 nurses from ICU above Seoul and metropolitan general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cross-section survey.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stress, deliberate rumination, wisdom and self-compassion were measured using validated self-report scales.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1.0. Findings Correlations showed that positive self-compassion, negative self-compass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wisdom are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is positive self-compassion. Also, wisdom, deliberate rumination and age are predicted post-traumatic growth. Conclusion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for post-traumatic growt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rbitration programs on positive self-compassion, wisdom and deliberate rumination are necessary. Therefore, a paradigm shift to improve post-traumatic growth is requir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and mental health programs for ICU nurses rather than focus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revention and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theoretical guidance to seek more effective and integrated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성 사건 경험,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및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김영숙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370295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s of traumatic eventexperience, self-disclosure,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of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their relationships. Also it was to providebasic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intensive care unit nurses.By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142 nurseswho had worked for more than 3 months in six general hospitals, J provincefrom August to September, 2020.Traumatic event experience was measured with an instrument developed byJo (2014). The DDI, translated by Song & Lee (2013) was to measureself-disclosure. The PRQ-Ⅱ, edited by Kim(2000) was used to measureindividual support. The Organizational support scale, modified by Kim & Kim(2011) was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PTGI, validated by Song et al.(2009) was used to measure post-traumatic growth.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program SPSS version 22.0 inwhic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sum score of traumatic event experience of the subjects was 28.20.The sum score of self-disclosure was 43.85. The sum score of individualsupport (82.85) was higher than that of organizational support (45.38). Thesum score of post-traumatic growth was 47.08.2. The traumatic event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ype ofICU. The surgical ICU was higher level of traumatic event experience thanthe medical ICU. The individual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gender. The organizational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genderand the type of ICU. The medical ICU was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support than the surgical ICU. The post-traumatic growth was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3. The post-traumatic growth was found to correlate significantly withself-disclosure, individu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influencing the participants of the post-traumatic growth were individualsupport and organizational support. Theses factors explained 31.8% of thevariance of ICU nurses’ post-traumatic growth.Based on theses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1.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programs and investigate their effects sothat self-disclosure can progress to post-traumatic growth.2. Studies are needed to test the relationships with various variants usingadditional navigation for the variants that affect post-traumatic growth.3. In this study,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men usedproblem-centric coping to increase post-traumatic growth than women, somore specific gender-specific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 회복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연화영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1016047

        위 논문은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 회복탄력성이 외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스트레스대처방식, 회복탄력성이 외상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권역외상센터를 대상으로 한 전수조사였으며 그 중 연구에 동의한 병원 7곳에 근무하는 권역외상센터(소생실, 중환자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225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0월 1일부터10월 23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였고,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 사후분석 scheffe test,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외상사건경험빈도는 4점 만점에 2.05±0.34점, 사회적 지지추구대처방식은 3점 만점에 2.23±0.46점, 회복탄력성은 4점 만점에 2.45±0.49점, 외상 성장은 5점 만점에 2.79±0.68점이었다. 2.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추구대처방식의 차이는 성별(t=-3.03, p=.003)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는 결혼상태(t=3.31, p=.001), 종교(t=3.28, p=.001), 직위(t=-2.11, p=.035), 밤 근무횟수(t=2.26, p=.024), 연령(F=7.21, p=.001), 최종학력 (F=13.16, p=<.001), 총 임상경력(F=8.04,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성장의 차이는 종교(t=2.81, p=.005), 최종학력(F=13.16, p=<.001), 총 임상경력 (F=4.13, p=.017), 외상사건경험(F=3.08, p=.04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외상 성장과 상관관계를 본 결과 사회적 지지추구대처방식은 회복탄력성(r=.215, 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외상 성장(r=.263, p=<.001)과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외상 성장(r=.583, 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외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결과 회복탄력성(β=.48, t=8.42, p=<.001)이 가장 큰 영향 요인이었으며 다음으로 최종학력이 대학원졸업이상(β=.23, t=2.99, p=.003), 외상사건경험 23점 이상(β=.20, t=3.26, p=.001), 사회적 지지추구대처방식(β=.13, t=2.58,p=.010)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B=.68), 학력이 높을수록(B=.67), 외상사건 경험(B=.31)을 많이 할수록 외상 성장이 높아지며, 사회적 지지추구대처방식(B=.20)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력은 39.2%이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외상사건경험을 많이 하며 외상 성장을 높이기 위한 영향요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추구대처 방안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직장 내 동료와의 지지체계를 마련하고 동료지원, 경험이야기 등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코칭 프로그램, 심리상담, 명상 등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증진요법을 이용하여 외상사건경험이 심한 간호사를 관리하고 외상 긍정적인 변화인 외상 성장을 높이기 위한 중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권문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1016031

        본 연구는 간호사외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015년 11월 26일부터 2015년 12월 22일까지 2개 도시의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과 전문병원 총 3개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05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조금진(2014)이 제작한 중환자실 간호사 외상사건, Garnefski 등이 개발하고 김소희(2004)가 번안하고 타당화한 인지정서조절, Tedeschi와 Calhoun이 개발하고 송승훈 등(2009)이 번안 및 타당성을 검증한 한국판 외상 성장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는 총 105명으로 남자간호사 3명, 여자 간호사 102명으로, 연령은 평균 32.6세이다. 병동유형은 일반병동 45명, 특수파트 60명으로 나타났다. 임상경력은 평균 8.43년, 밤 근무 횟수는 평균 5.46회를 보여줬다. 2. 외상사건은 22.99점이고, 자주 경험하는 외상사건은 비정상적인 환자 행동의 간호 67.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인지정서조절은 114.46점으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성장은 40.13점으로 하위영역 자기 인식의 변화를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인구사회학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외상사건은 병동유형, 직위, 밤 근무 횟수, 주관적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직무 소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지정서조절은 결혼유무, 학위,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외상 성장은 연령, 결혼유무, 종교유무, 직위, 임상경력, 밤 근무 횟수, 연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외상사건빈도에 따라 인지정서조절의 하위영역인 적응적 인지정서조절과 외상 성장의 하위영역인 자기 인식의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인지정서조절 특성에 따라서는 외상 성장의 하위영역인 자기 인식의 변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7. 외상사건 빈도는 인지정서조절특징과 부적 상관관계, 인지정서조절 특징은 외상 성장의 하위요인인 자기 인식의 변화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인지정서조절은 외상 성장과 4개의 하위요인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8. 외상 성장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적응적 인지정서조절과 1년 미만의 경력, 책임간호사 이상의 직급으로 확인되었고, 외상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30.4%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사외상사건, 인지정서조절, 외상 성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적응적 인지정서조절과 직위, 경력이 외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사외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간호사외상 성장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COVID-19 전담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

        정현옥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1016031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Coronovirus disease-19, COVID-19)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정점에 이르는 시점에 국가보건정책에 따라 중증 COVID-19환자 전담 지정 병원에서 간호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외상후 스트레스와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코로나 환자 전담병원으로 지정을 받은 경기도 1개 지방 의료원과 2개의 대학병원의 COVID-19 중환자실에서 직접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 100명이었다. 2021년 12월 8일부터 2022년 3월 20일까지 대상자 특성, 외상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전략, 사회적 지지, 외상후 성장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외상후 스트레스는 고위험군(≥25점), 위험군(18~24점), 정상군(≤17점)으로 분류하였다. 외상후 스트레스 분류에 따른 대상자 특성, 스트레스 대처 전략, 사회적 지지, 외상후 성장의 차이는 χ²-test, Fisher's exact test, Kruskal-Wallis test 및 Bonferroni의 다중비교를 이용하였다. 외상후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 전략, 사회적 지지, 외상후 성장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외상후 스트레스 관련요인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정상군은 31.0%이었고 위험군은 12.0%이었으며 고위험군은 57.0%이었다. 2. 외상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은 배우자가 없고(χ2=5.98, p=.043), 종교가 없으며(χ2=8.45, p=.018), 이직의도가 있고(χ2=14.42, p=.001) 중증 호흡기 감염병 간호경험이 없는 간호사(χ2=8.38, p=.014), COVID-19 간호 기간이 긴 간호사(χ2=8.63, p=.013)이었다. 외상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은 지지 중심과 회피 중심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용이 높았고(χ2=12.53, p=.002; χ2=14.54, p=.001) 상사의 지지가 낮았다(χ2=7.03, p=.030). 3. 외상후 스트레스는 지지 중심과 회피 중심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364, p<.001; r=.479, p<.001), 상사의 사회적 지지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240, p=.016) 외상후 성장의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17, p=.030). 4.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외상후 스트레스 위험군과 관련된 요인은 종교가 없고(B=-2.04, p=.041, OR: 0.130, 95% 신뢰구간: 0.019-0.918), 지지중심의 대처전략(B=0.39, p=.006, OR: 1.472, 95% 신뢰구간: 1.115-1.943)과 상사의 사회적 지지이었다(B=-0.05, p=.030, OR: 0.951, 95% 신뢰구간: 0.909-0.995). 외상후 스트레스 고위험군과 관련된 요인은 COVID-19 간호기간(B=1.60, p=.016, OR: 1.182, 95% 신뢰구간: 1.032-1.354)과 상사의 사회적 지지이었다(B=-0.04, p=.013, OR: 0.959, 95% 신뢰구간: 0.928-0.991). 본 연구 결과, 중증 COVID-19 환자를 전담하는 중환자실 간호사외상후 스트레스 위험군은 12%이었고 고위험군은 57%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발생 빈도가 높았다. 외상후 스트레스 고위험군은 이직의도가 있고 중증 호흡기 감염병 간호경험이 없는 간호사이며 COVID-19 간호 기간이 관련되었다. 또한 지지 중심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 사용과 낮은 상사의 지지가 고위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관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개인 특성과 병원 조직 환경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대한 인식을 증가시키고 병원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구축하여 외상후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간호프로그램 개발과 조직적인 인사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determined the associated factors with post-traumatic stress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Method: In this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100 nurses working at 3 intensive care uni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the post-traumatic stress, the stress coping strategy, the social support,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A post-traumatic stress score was classified by normal(≤17), moderately risky(18∼24), and high risky (≥25). Data were analyzed with χ² test, Fisher's exact test, Kruskal-Wallis test with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Fifty-seven nurses (57.0%) had a high risk of post-traumatic stress and twelve nurses (12.0%) had a moderate risk. Higher post-traumatic stress was correlated with higher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r=.364, p<.001), avoidance coping(r=.479, p<.001), lower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r=-.240, p=.016), and greater new possibilities of post-traumatic growth (r=.217, p=.030). Moderate risk of post-traumatic stress was associated with support seeking coping (B=0.39, odds ratio [OR]: 1.472,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1.115-1.943) and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B=-0.05, OR: 0.951, 95% CI: 0.909-0.995). High risk of post-traumatic stress was associated with COVID-19 work period (B=1.60, OR: 1.182, 95% CI: 1.032-1.354) and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B=-0.04, OR: 0.959, 95% CI: 0.928-0.991). Conclusion: The associated factors with high post-traumatic stress are support seeking coping, COVID-19 work period and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 감염병전담병원 간호사의 COVID-19 외상성 사건 경험, 자기노출, 회복탄력성,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

        조주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1016030

        본 연구의 목적은 감염병전담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COVID-19 관련 외상성 사건 경험, 자기노출, 회복탄력성과 외상 성장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4개의 COVID-19 감염병전담병원에서 6개월 이상의 근무 경험이 있는 간호사로 선정하였고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3년 7월 17일부터 2023년 7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1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중환자실 간호사외상성 사건 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단비(2015)가 개발한 도구를 연구자가 COVID-19 상황에 맞게 번안, 수정한 COVID-19 외상성 사건 경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기노출 도구로는 Kahn & Hessling(2001)이 개발하고 송현, 이영순(2013)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박미미 & 박지원(2016)이 개발한 간호사 회복탄력성 측정도구, Tedeschi & Calhoun(1996)이 개발하고 송승훈 등(2009)이 번안, 수정한 한국판 외상 성장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31.9±6.62세이며, 성별은 여성이 179명(89.1%)을 차지하였다. 종교는 무교가 161명(72.6%), 결혼 상태는 미혼이 148명(73.6%), 최종학력은 학사가 150명(74.6%), 근무경력은 평균 8.2±5.86년, 근무지는 일반병동이 144명(66.2%), 근무형태는 3교대근무가 182명(90.5%)이었다. COVID-19 관련 업무 경험(간호 외)은 179명(89.1%), COVID-19 확진 경험은 180명(89.6%)이 있다고 답하였다. 대상자의 22명(10.9%)이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119명(59.2%)이 보통으로 응답하였고, COVID-19 유행 전 직무만족도는 106명(52.7%)이 보통, 현재 직무만족도는 100명(49.8%)이 보통으로 답하였다. 2. 대상자의 외상성 사건 경험은 2.82(±0.59)점/5점, 자기노출은 3.31(±0.68)점/5점, 회복탄력성은 3.62(±0.45)점/5점이었다. 외상 성장은 평균 2.59(±0.82)점/5점, 하부요인별 점수는 자기 지각의 변화가 2.79(±0.91)점으로 제일 높았고, 영적・종교적 관심의 증가가 1.55(±1.15)점으로 제일 낮았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성 사건 경험 수준은 성별(t=-2.224, p=.027), 연령(F=6.052, p=.005), 근무지(F=9.537, p<.001), 근무형태(t=-3.677, p<.001), 그리고 COVID-19 유행 전 직무만족도(F=5.902,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노출 수준은 성별(t=2.476, p=.014), COVID-19 유행 전 직무만족도(F=2.621, p<.03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회복탄력성 수준은 종교(t=2.085, p=.038), 근무지(F=3.265, p=.013), 주관적 건강상태(F=7.347, p<.001), COVID-19 유행 전 직무만족도(F=4.967, p=.001), 현재 직무만족도(F=8.877,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외상 성장 수준은 현재 직무만족도(F=2.876, p=.02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연구 대상자의 자기노출과 회복탄력성(r=.321, p<.001), 자기노출과 외상 성장(r=.253, p<.001), 회복탄력성과 외상 성장(r=.467,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외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COVID-19 외상성 사건 경험(B=.185, p=.036), 자기노출(B=.157, p=.049), 회복탄력성(B=.708, p<.001)이 외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염병전담병원 간호사들의 외상 성장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노출, 회복탄력성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단,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외상성 사건 경험과 외상 성장간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자기노출,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감염병전담병원 간호사외상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