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론테의 『빌레뜨』: 루시의 히스테리와 글쓰기

        김진옥 ( Jin Ok Kim ) 한국영미문화학회 2008 영미문화 Vol.8 No.3

        This paper examines how Lucy Snowe achieves independence and freedom through the act of writing. Lucy is an autobiographical writer who is narrating her own life from her childhood. She values the form of the written word, in this case, the letters, and prefers writing to speaking. The implied meaning of Lucy`s writing will be scanned through Helene Cixous`s theory on feminine writing. Cixous insists that women free themselves of repression in patriarchal setting through the act of writing, writing from their bodies. In "The Laugh of the Medusa", she asserts that "woman must write herself: must write about women and bring women to writing…". This feminine writing, for her, which can be found in either male or female writing, expresses a sense of exile or marginalization. This writing, she believes, will give power to women to transform the symbolic, to "bring about a mutation in human relations, in thought, in all praxis." Women`s writing, for Cixous, is hysterical, but she is celebratory about the "validity" of hysteria as a response to social pressure, seeing the hysterical body as a liberating self-expression. Lucy suffers from the symptoms of hysteria and neurosis. She explicitly links these symptoms to her role as an author of autobiographical writing. In other words, her autobiographical writing serves as projections of her hysteria. The hysterical Lucy attempts to free herself from the constraints of patriarchal structure by writing about herself. Applying Cixous`s theory of feminine writing, Lucy`s hysteria and hysterical writing lead her to perceive herself as a free and creative woman. Lucy feels herself liberated through the hysterical outburst of the oppressed feelings experienced in patriarchal settings. In this way, Villette presents Lucy`s hysteria and her hysterical narrative as the vehicle by which she can liberate herself from the confinement of the social pressure and religious morality. Cixous insists that women should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ir writings, and this female bonding gives rise to feminine writing. When Lucy shares hysterical pain with Madame Beck and Vashti, she feels herself liberated through their emotional bond. This novel seems to assert that women can achieve their own identities and freedoms by writing about their own hysterical bodies together.

      • KCI등재

        노라 옥자 켈러의 『종군 위안부』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

        신혜정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2019 영어영문학연구 Vol.61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eminine writing in Nora Okja Keller’s Comfort Woman focusing on Hélène Cixous’ feminine writing. According to Hélène Cixous, feminine writing is a subversive method against the phallogocentric and logocentric system. In the logocentric system, women have been considered as being inferior symbolizing passivity/nature/body etc. to men considered as being of activity/ culture/mind etc. This binary concept can be deconstructed through feminine writing that takes place in the ‘between’ site of the dichotomic concepts. Women can challenge the logocentric system accepting others and destabilizing language system. Comfort Woman by Nora Okja Keller has some features of feminine writing. First, using shamanism, the multiple meanings of feminine writing are specifically personified. Akiko as a shaman is identified with other characters accepting others in her body. Second, Korean folk tales represent the ambivalence of stories, and the ability of transition and deception that are essential for women to survive. Third, the river and the song symbolize women’s nonstop resistance through the image of fluidity and movement. With these characteristics, feminine writing in Comfort Woman helps women to move one step further to the women’s solidarity.

      • KCI등재

        욕망의 주체되기: 『뜨겁고 고동치는』에 나타난 여성적 글쓰기

        신지숙 ( Ji Sook Shin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16 현대영어영문학 Vol.60 No.1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feminine writing serves as a strategy for representing a subject of desire in Paula Vogel’s Hot ’N’ Throbbing. Vogel demonstrates how patriarchal discourses have oppressed and exploited femininity and makes the audience confront masculine violence on the stage, thus providing the audience with a chance to examine an alternative way of perceiving the discourses. She also dramatizes how a woman can resist patriarchal discourses and disturb the discursive order through mimetic writing, which, according to Luce Irigaray, is a means of entering and occupying the discursive field. In writing erotica for women, Charlene pursues subjective sexuality in which women have control over speaking and writing. In Helene Cixous’s sense, Charlene’s writing can be a mechanism through which women reclaim their sexuality that has been oppressed and distorted by masculine discourses. By letting her daughter go on to complete Charlene’s script, Vogel shows feminine writing will continue in a more hopeful way and open up the possibility of lasting “feminine becoming.” In Vogel’s play, feminine writing provides a generative potential that empowers women to be true subjects of desire, enabling women’s own becoming with the power of open, fluid, and dynamic femininity. (Yeungnam University)

      • L’Écriture Féminine and Margaret Cavendish’s Blazing World

        Soomin Kim Ewha Institute of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2017 Journal of English and American studies Vol.15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mmon vectors of l’écriture feminine, or feminine writing, by three women writers who each sought to reshape masculine language and mold a female form of writing. For Cixous, who coined the term, l’écriture feminine dispenses with the reductive and binary logic of phallologocentrism which identifies one according to what the other lacks. She claims women writers must resist the destructive thought inherent in masculine language and practice l’écriture feminine, which allows the hitherto repressed female body to inscribe itself in writing. Such writing, she asserts, follows a logic of plenitude and even bisexuality which is defined by “nonexclusion either of the difference or of one sex.” Her notion of an inclusive and heterogeneous bisexuality resonates with what Woolf has also memorably termed the “androgynous mind” as a “marriage of opposites,” which enables creative endeavor. The paper turns to how twentieth-century experimentations of l’écriture feminine or a female mode of writing finds an earlier example in the case of Margaret Cavendish’s “hermaphrodite” text Blazing World (1666) which showcases the protagonist Empress’s penchant for absolute rule, extravagant spectacles of the self, and incorporeal motions. The paper considers Blazing World as an early modern example of l’écriture feminine that owes its puzzling, “higgledy-piggledy” shape to elements of the historical and personal which factored into Cavendish’s creation of her fantastically gendered world.

      • KCI등재

        길먼의 「누런 벽지」(“The Yellow Wallpaper”): 쓰기 치료와 여성간의 유대

        김진옥 ( Jin Ok Kim ) 근대 영미소설 학회 2007 근대 영미소설 Vol.14 No.1

        This paper examines how a nameless narrator in Gilman`s “The Yellow Wallpaper” has been repressed by the reign of phallocentric culture and attempts to pursue her own independence and freedom by writing about herself. This paper will employ Helene Cixous`s theory on feminine writing, in order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feminine writing in this novel. Cixous insists that women free themselves of the repression in patriarchal setting through the act of writing, writing from their bodies. Women`s writing, for Cixous, is hysterical, but she is celebratory about the “validity” of hysteria as a response to social pressure, seeing the hysterical body as a liberating self-expression. Writing as a subversive act, threatening the system of control constructed to contain women, is the subject of “The Yellow Wallpaper.” In this novel, the hysterical nameless narrator, like Gilman herself, attempts to free herself from the constraints of her husband`s patriarchal structure by writing her diary. The narrator suggests that women should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in their writings: She tears the wallpaper to free the woman trapped behind the pattern. This novel asserts that women, as shown in Cixous`s paradigm, can achieve their own identities and freedoms by writing their own bodies.

      • KCI등재

        모윤숙의 ‘여성적 글쓰기’ : 시 텍스트의 문체적 특징과 의미 작용에 의한 페미니즘적 전유

        임은경(Lim Eun-kyung)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9 No.-

        이 논문은 모윤숙의 시 작품에 나타나는 여성화자와 남성화자의 문체적 특징을 페미니즘 관점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모윤숙의 시 작품을 페미니즘 관점으로 분석하는 배경에는 당대 남근중심주의 언어체계를 능가하는 조국과 민족에 대한 담론이 여성의식의 한 흐름으로 다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살피기 위해 유교적 가부장제와 식민사회에서 평가된 기존 문학의 비평을 재조명해야할 필요성과 여성 체험의 다양성을 내포한 ‘여성적 글쓰기(시)’ 양식을 살펴봄으로써, 당대 여성시인의 무의식과 의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근대는 과거와 구별되는 사회로 현대를 지향한 과도기적 질서를 갖는다. 여러 가지 모순과 혼돈 속에서도 질서를 찾아가는 시기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모윤숙은 35년여의 식민사회와 전통적인 가부장제의 이중적 지배구조 속에서 동시대의 순종적인 여성들과 달리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남다른 관심을 가졌다. 여성시인으로서 남성들의 전유라고 할 수 있는 조국과 민족에 대한 담론을 침묵으로 일관하지 않고 여성담론으로 대응함으로써, 여성해방의식과 여성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등 공동체의 공리적 가치를 촉진하고 강화한 측면이 있다고 보았다. 모윤숙의 이러한 민족의식의 담론 양상은 단순히 시대적인 맥락에서 남성작가들의 민족의식을 모방한 데에서 기인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지만, 중요한 것은 그녀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체험과 경험에 의해 주체적인 여성해방의식과 여성의 사회참여의식의 연장선상에서 여성의 담론으로 확장되고 강화한 측면이라고 보여 진다. 이에 ‘남성화자’로 대변되는 일련의 시적 언술은 여성작가의 민족에 대한 주체적인 면모가 전복적인 ‘여성적 글쓰기’로 표출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모윤숙은 당대 사회 현실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여성적 어조로는 저항할 수 없음을 인식하고, 가부장적 성 차이를 해소하려는 차원에서 남근 중심주의 언어 체계로 ‘여성적 글쓰기’를 시도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한국전쟁시기에 남성화자를 시에 적용함으로써, 탈식민주의적 민족의식과 가부장제를 넘어설 수 있는 일종의 전복적인 ‘여성적 글쓰기’를 시도했던 것으로 한국 페미니즘 의식의 긍정적인 발단으로 보인다. 그러나 자의든, 타의든 일제 말기 황민화 정책에 의해 친일에 부응했던 시인으로 일정한 시기에 민족의식이 상충되어 드러난 점은 여전히 한계로 남는다.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female and male speakers in Mo Yoon-sook’s poetry work in a feminist perspective. Mo Yoon-sook s poetry works are analyzed from a feminist point of view because discourse on a country and people, which surpass the contemporary Phallic dominated language, is dealt with a flow of female consciousness. In this context,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of female poets of the time by examining the conventional literature criticism evaluated by Confucian patriarchy and colonial society and looking into the styles of female writing which connote the diversity of female experiences. Modernity is a society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the past and has a transitional order oriented toward modern times. It was a time to seek order amid various contradictions and chaos. In particular, Mo Yoon-sook had an extraordinary interest in the social role of women, unlike other obedient women of that time, in the dual governance structure of 35 years of colonial society and traditional patriarchy. As a female poet, she had responded with discourses for the nation and its people, not staying in silence but with her feminine discourse. It reveals that she had promoted and strengthened the utilitarian values of the community, including establishing female liberation consciousness and independent female identity. The aspects of her discourse on national consciousness cannot exclude a possibility that she might have imitated that of male writers simply in the context of the times, but the significant aspect is that it is extended and strengthened by the social experience during her growth. Thus, a series of poetic words which male speakers represented expressed subjective features of a female writer’s writing toward her nation through feminine writing. Mo Yoon-sook had recognized that she could not resist the social reality of her time in a traditional feminine tone and tried to write in a feminine stylistic way with a male-dominated linguistic system to resolve patriarchal gender differences. In particular, she had applied male speakers to poetry during the Korean War to try a kind of subversive feminine writing that could transcend postcolonial national consciousness and patriarchy. However, whether voluntarily or intentionally, as a pro-Japanese poet who responded to imperial citizen forming policy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onflict over national consciousness at a certain period remains an issue.

      • KCI등재후보

        <신여성>지의 '독자투고'문을 통해서 본 '여성적 글쓰기'의 형성과정 ― 만들어지는 글쓰기, 배제된 글쓰기의 욕망 ―

        박지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2 No.-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motives and realization method of feminin writing, through looking into the readers'column in New Woman(新女性)of the women magazine in the 1920s. New Woman opened the readers'column and continued to encourage readers writing since the first publication. Women readers of New Woman began to express the inner of themselves in writing. However, enlightening editorial police of New Woman was reflected with not change in the reader's column, whose editors were, for the most part, male. The editors infused the idea of feminin writing as the sentimental into their readers and tamed feminin writing as that way, and also misesteemed feminin writing at the same standard. Women readers wrote according for taste of the magazine under editors' guidance. However, several writers of New Women refuted logically this prejudiced idea of male editors, which was proved through reasonal and critic essays of the real of women readers. The readers'column in New Woman shows that feminin writing in the 1920~30s formed in the adaptation and resistance of the male centric discourse. 이 글은 식민지시대 대표적인 여성잡지 신여성의 독자투고란 분석을 통해 1920년대 여성들의 글쓰기가 어떠한 식으로 시작되고 실현되는지를 살피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는 1920년대 (글쓰기)‘문학’이 여성에게 어떠한 의미였는지를 분석하는 길이 될 것이다. 잡지 신여성은 창간 당시부터 독자투고란을 개설하여 여성들의 글쓰기를 장려하였다. 그 결과 당대 여성들은 자신들의 내면을 글로 표현하게 되었다. 그러나 남성 중심의 편집진으로 구성된 신여성의 계몽적 편집 방침은 독자 투고란에도 그대로 투영된다.신여성의 편집진들은 여성들의 글쓰기를 유도하고 계몽하는 과정에서 ‘여성의 글쓰기= 센티멘탈한 글쓰기’라는 도식을 만들어 여성들의 글쓰기를 길들인다. 이와 동시에, 같은 기준으로 여성들의 글쓰기가 저급한 것이라고 하여 배제하였다. 여성들은 이러한 계도 속에서 잡지의 구미에 맞는 센티멘탈한 글을 쓰게 되기도 한다. 그러나 한편 이러한 논리에 대한 여성 필자들의 논리적인 반박이 존재하였으며, 독자들의 글 중 센티멘탈하지 않고 논리적이고 현실비판적인 글쓰기가 존재하여 남성필자들의 판단이 선입견이었음을 증명하기도 한다. 이러한 남성중심의 논리에 대한 순응과 저항의 논리 속에 1920~30년대 여성의 글쓰기 양식은 형성된다.

      • KCI등재

        1950년대 여성시의 지형과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 1)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를 중심으로

        이경수 한국여성문학학회 2009 여성문학연구 Vol.21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of women's poetry in the literary community of the 1950s, examine how those poems tried to overcome the wounds of the Korean War, and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feminine writing attempted in those poems based on the works by Kim Nam-jo and Hong Yun-suk in the 1950s. In literary works whose main theme is war, female figures often represent victims. Such an image of female figures continued in the poetry in the 1980s under the structure of "absent father vs. oppressed mother and sister" or "father as an authoritative figure vs. woman as a victim." In the gender topography of Korea's literary history, the poems by Kim Nam-jo and Hong Yun-suk in the 1950s have significant topographical meanings. Their poems succeeded in depicting female figures as the representation of salvation and tried to heal and overcome the wounds after the Korean War by uncovering positive values such as "the breath of life" and "life." The late modernism poets were overwhelmed by an idea that the Korean society after the war should be regarded as ruins, that everything must be destroyed, and that there should be a new start on a clean slate. Contrary to that tendency, women's poetry in the 1950s led by Kim and Hong demonstrated a will to treat and overcome the wounds of the war with maternal force and a tree's life force. Common to Kim's and Hong's poems, universal imagination also deserves attention. Involving such heavenly bodies as the sun, the earth, the moon, and stars, universal imagination made often appearances in the two poets' works in the 1950s and differed from natural-universal imagination common to traditional lyric poems. In their works, universal imagination makes the current suffering seem like a trivial earthly matter and further helps to cope with the dismal situations after the war dominated by the dark shadow of death by forming relations with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life. Thus universal imagination in the poets' works contains meanings not recognized in the poetic history of the 1950s and deserves reevaluation. While Kim employs a tone of confession and praying, which later settled down as part of the characteristics of feminine writing, in her poems, Hong often uses a tone of determination and order that's rather exceptional. Their feminine writing in the 1950s provides clues to feminine writing later through their tones. Feminine writing in general is deconstructive writing to rebel against "male-father- language," and its buds are found in Kim's and Hong's poems in the 1950s. The tone of confession in their poems requires more detaile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ne writing. In particular, Hong's attitude of ruminating upon the war's meanings through memory deserves definite attention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poetic history of the 1950s in that it adopts an ethical point of view to open a door to the treatment and conquest of the wounds of the war, which was waged in the name of father, and that it allows for intellectual reflections of the meanings of war. 이 논문의 목적은 김남조와 홍윤숙의 1950년대 시를 대상으로 1950년대 문단에서 여성시가 어떤 지형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시가 전쟁의 상흔 을 어떻게 극복하고자 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시에서 시도된 여성적 글쓰기의 가능성에 대해 논해 보려는 것이다. 전쟁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에서 여성 형상은 희생양의 표상으로 등장하곤 했다. 이러한 여성 형상의 이미지는 이후 ‘부재하는 아버지와 핍박받는 어머니-누나-여동생’, 또는 ‘권력의 표상 으로서의 아버지와 희생양으로서의 여성’의 구도로 1980년대의 시에까지 계 승된다. 이런 한국문학사의 젠더적 지형 속에서 1950년대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가 갖는 지형적 의미는 적지 않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는 구원의 표상으로서의 여성 형상을 그려내는 데 성 공했으며, ‘목숨’과 ‘생명’이라는 긍정적인 가치를 발견함으로써 전후의 상처 를 치유하고 극복하고자 한다. 전후의 한국 사회를 폐허로 인식하고 모든 것 을 파괴하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의식이 후반기 모더니즘 시인들 에 의해 팽배해 있었다면, 김남조․홍윤숙을 필두로 한 1950년대의 여성시는 모성의 힘과 나무의 생명력을 토대로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극복하고자 하 는 지향을 보여준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우주적 상상력 또한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태양, 지구, 달, 별과 같은 천체가 등장하는 우주적 상상력이 1950년대의 두 시인의 시에서 자주 펼쳐지곤 했는데, 이는 전통 서정시에 일 반적으로 나타나는 자연-우주적 상상력과는 차이가 있다. 우주적 상상력은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서 일차적으로는 고난의 현재를 하찮은 지구상의 일 로 보게 하는 기능을 하고, 더 나아가서는 생명이라는 주제의식과 관련을 맺 으면서 죽음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진 전후 상황을 극복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 나타나는 우주적 상상력의 의미는 1950년대의 시사 속에서 주목되어오지 않은 특징으로 재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남조의 시에서는 이후 여성적 글쓰기의 특징으로 정착되는 고백과 기구 (祈求)의 어조가 주로 나타나고, 홍윤숙의 시에서는 여성시로서는 다소 예외 적으로 의지와 명령의 어조가 자주 발견된다. 어조를 통해 드러나는, 1950년 대 김남조와 홍윤숙의 여성적 글쓰기는, 여성적 글쓰기의 단초로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여성적 글쓰기는 일반적으로 ‘남성-아버지-언어’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는 해체적 글쓰기이지만, 1950년대의 김남조와 홍윤숙의 시에서도 그 단초가 발견된다. 이들의 시가 지니는 고백적 어투에 대해서는 여성적 글쓰기라는 관점에서 좀더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 다. 특히 홍윤숙의 시에서 기억을 통해 전쟁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하는 태도 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자행된 전쟁이 남긴 상처를 치유하고 극복할 가능성을 열어 주는 윤리적 시선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전쟁의 의미에 대한 지적 성찰 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1950년대 시사 전체의 구도 속에서도 눈여겨보아 야 할 지점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강경애의 작품 속에 나타난 계급의식과 여성성의 길항관계

        이덕화 한국문학연구학회 200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37

        Even though Kang is a woman who has acute observation and delicate sensibility, she can not get out of idealism and schema when she stick to class 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desperate reality of poverty that she experienced in her childhood or in Kando is something different from ideological concept she acquired through study. Feminity could not also be shown in full when her writings were based on ideology of class which let to reality of bias. However, when they were based on her feminine experiences, her observation and sensibility are well revealed. Eagerness towards humane life through her writings from experience shows how consciousness of others as a woman worked properly in the relationship of antagonism with class consciousness in her times. In her early pieces like [Pagum] and [Vegitable garden], it brings sudden endings of story due to trials to set her ideas into the reality not to show enough course of event through her experience or sense. There also exists discrepancy between her description of circumstance and class consciousness which proves her sensibility of feminity could not be fully displayed under her idea of class. After some criticism on her early writings for ideality and schema at the time, she wrote [Salt] which she described extreme poverty through her own experience and acquired considerable positive comments. And this led to her writings more based on experience covering class consciousness. [Human problem] also covers class consciousness telling a woman’s alienation due to violence of patriarch and sexual suppression. Her endings become more realistic, not in schema or idealistic, when her characters newly realize her own reality. [The woman] and [200 Won, as a fee of an article] show characters going though introspection of human initiated by class consciousness and Kang showed reflection of her own experiences. In [Salt], Kang described a woman’s consciousness fell into contradiction between economic poverty and her position of the time. The character has to fight for her reality of poverty but also for typical recognition of woman in feudalism. She showed desperate poverty through a man who became regardless of other people due to his circumstances in [Underground town]. In Korean literature, Kang was the most successful to show class consciousness together with woman’s experience. She was very insightful in her low class life but again, specific in experience as a woman. Identical life style of every women in the time Kang lived, which consists of man’s violence, alienation, maternity to overcome those defects of their lives, is fully revealed in Kang’s writings. 초기 작품에서 강경애는 작품성보다는 계급의식에 대한 열망이 더 강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난의 체험들을 빨리 계급의식을 매개로 작품을 형상화하고 싶었을 것이다. 이것은 강경애의 하층민 의식이 장하일과의 만남을 통해서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조급성을 보여준다. 강경애의 이런 조급성으로 인해 초기의 작품에서 계급문학을 향한 집념은 계급의식이 현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소통되지 못하고 자신의 관념 속에서만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강경애가 자신의 주위 체험을 매개했을 때 강경애의 예리한 관찰력과 섬세한 감각이 올바르게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형적인 여성적 글쓰기를 보여주는 체험적 글쓰기에서 여성으로서의 강경애의 감각과 관찰력이 훨씬 돋보인다. 체험적 현실을 통해서 드러내는 인간적인 삶에 대한 열망에는 강경애의 여성으로서 가지는 타자의식이 당대의 현실적 모순 속에서 계급의식과의 길항 관계 속에서 올바르게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파금][채전] 등의 초기 작품에서 보여주는 급작스런 결말은 강경애의 여성적 경험들이나 여성적 감각들이 현실의 충분한 매개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관념에 현실을 조급하게 적용시킨 결과이다. 또 환경의 세부적 묘사가 계급의식과 일체감을 가질 수 없는 정서적 불일치를 보여줌은 계급의식의 당위성에 의해서 강경애의 여성으로서의 감각과 섬세한 관찰력이 발휘를 제대로 할 수 없는 경우이다. 초기 작품에서 관념성과 도식성 등을 당대 비평가들로부터 지적받은 강경애가 자신의 주위 체험을 바탕으로 처절할 정도의 가난을 묘사한 『소금』을 발표해 상당한 평가를 받은 이후, 이런 체험을 바탕으로 강경애는 계급의식에 집착하는 것보다 자신의 체험에 입각, 계급의식을 매개하는 작품을 쓰기 시작한다.『인간문제』의 서술 과정 역시 여성적 체험, 즉 남성의 가부장적 횡포와 성적 억압을 중심으로 한 여성적 소외를 바탕으로 계급의식이 매개된다. 그리고 인물이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그 이전 작품처럼, 도식적이나 관념적인 결론이 아니라, 현실적 체험 속에서 얻은 ‘법’에 대한 천착을 통해서 현실을 자각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그 여자][원고료 이백원]에서는 여성의 특징인 과거로의 회귀, 자전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심리적 갈등의 서술은 그 앞의 몇몇 소설에서 보여준 관념성과 도식성을 벗어나고 있다. 이것은 계급의식으로부터 시작된 인간에 대한 성찰을 확대, 여성의 자전적 체험을 매개로 현실에 대한 통렬한 반성을 통하여 그 이 전의 작품에서 보여주었던 관념성과 도식성을 벗어나고 있다. 『소금』에서는 경제적 모순과 시대적 질곡이라는 이중 모순에 빠진 여성의 삶을 철저히 파헤치고 있다. 남성에 대해서 타자이고 신여성에 대한 타자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구여성, 철저하게 타자화 된 봉건 여성을 통해서 당대의 현실의 모순을 극대화, 봉건 여성의 리비도적 경험을 매개로 한 질곡의 삶을 핍진하게 그리고 있다. [지하촌]에서는 칠성이의 환경적인 요인과 생래적 특징에 의해서 철저히 타자화된 인간을 통하여 처절할 정도의 가난이 드러난다. [소금]이나 [지하촌]에서 철저히 타자화된 인물들은 강경애의 여성적 감각과 여성만이 가지는 소외의식에 의해서 만들어진 인물이다. 또 이 작품 속에 매개된 강경애의 하층민에 대한 계급적 관심은 인물 ...

      • KCI등재

        여성성, 여성적인 것과 근대소설의 형성

        김양선 ( Yang Sun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민족문학사연구 Vol.52 No.-

        본고는 1910년대 후반부터 1920년대 초반 경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정에서 여성성, 여성적 글쓰기로 여겨져 배제되었던 요소들을 재독해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여성들의 글쓰기가 어떻게 근대소설의 기원 및 형성과 호환가능한지 살펴보고, 근대성과 여성성의 상관관계에 주목하여 근대 초기 소설의 형성에 소위 ‘여성성’, ‘여성적인 것’이 어떻게 개입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김명순의 소설과 이광수의 초기 단편소설을 참조하여 ‘감정’, ‘감상적’ 요소들이 어떻게 ‘여성성’, ‘여성적인 것’과 연동하는지, 고백체라는 소설 양식과 감정이 소설 양식의 젠더화된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2장 ‘감정과 고백의 젠더적 전유’에서는 김명순의 소설이 자유와 연애에 대한 갈망과 좌절, 근대 여성들의 지식-교양에 대한 열망, 문학적 글쓰기에 대한 열망을 소설화했다는 점에서 성별화된 근대의 요소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젠더화된 감성과 고백을 통한 내면의 표출, 자신을 분석하는 지성을 겸비한 문학하는 여성의 표상은 근대소설 장에서 쓰기와 말하기 양식을 전유하기 시작한 여성들의 고투의 결과다. 3장 ‘소년/ 청년의 비애, 그리고 여성적인 것’에서는 청년-남성 서사 이면에 감성, 선정성이라는 여성화된 속성들이 내재해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광수의 초기 단편소설들은 민족적, 계몽적 이념으로 무장된 개인이 아닌 미에 대한 동경과 사랑이라는 감정으로 무장된 ‘여성화된 남성(성)’의 자질을 구현하였다. 결국 여성성, 여성적인 것은 근대소설의 발생과 형성 전반에 걸쳐 끊임없이 생산과 재생산, 소위 억압된 것의 귀환을 시도했던 핵심적인 문화적, 정신사적 자질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thesis intends to re-read the excluded elements like the femininity, female writing in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novel in late 1910s` and 1920s`. Specifically, how the women`s writings can be related with the origin and formation of modern novels would be what I try to examine closely. In the body, focusing on the novels of Kim Myungsoon and Lee Kwangsu, the relation between the sentimental elements and the femininity or the feminine, and between the confession as a novel mode and the emotion would be made clear with the gendered characteristics in the novel. In chapter2, ``gendered appropriation of emotion and confession``, the eager for freedom and romantic love and its frustration, the desire for knowledge of modern woman, and their desire for literary writing were dealt in Kim Myungsoon`s novels. The figure of woman- writer who expressed her mind through the gendered emotion and confession, and analysis of herself intellectually was the result of modern women`s efforts. In chapter3, ``the sorrow of boy / youth, and the feminine``,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feminized elements like the sensibility or sensationalism in the youth-male novels. For example, Lee Kwangsu`s early short stories embodied the ``feminized masculinity`` such as yearning for beauty, romantic love as an individual emotion instead of the national ideology or enlightenment. In conclusion, the femininity, the feminine which tried to return of the oppressed can be evaluated as an important cultual and mental element throughout the birth and formation of modern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