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학묵이라는 에이전시-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신설을 둘러싼 미국 발 원조의 회로-

        공임순 ( Kong Im-so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0 No.47

        이 글은 김학묵을 매개로 한 서울대학교 사회사업학과 신설을 미국 발 원조의 회로에 기대어 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이 다루고자 하는 대상은 스탠퍼드대 후버아카이브에 소장된 아시아재단 컬렉션의 일부인 이른바 ‘김학묵’ 파일이다. 2010년에 이르러서야 일반에게 공개되기 시작한 아시아재단 컬렉션은 한국전쟁을 거치며 본격화된 미국 발 원조의 회로를 이해하고 규명할 단서를 제공한다. 박동찬의 논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군사적 목적에 입각한 비대칭적인 원조 체계는 대한민국의 탈(脫)식민 국가 기획과 맞물린 여타 분야의 소외와 지체를 낳았고, 이것은 적어도 한국전쟁 전까지 해소되지 않았다. 특히 탈(脫)식민 국가 기획의 장기적인 비전과 직결된 교육과 문화 부문에 대한 상대적인 인식 부재와 외면은 많은 문화·지식인들의 북한행 엑서더스로 귀결됨으로써 이러한 비대칭성을 더욱 두드러지게 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한국전쟁은 이러한 비대칭적 원조 체계를 전적으로 해소시키지는 못했다고 할지라도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교육과 문화 부문의 원조 체계를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는데, 이 일련의 흐름 속에 이른바 ‘김학묵’ 파일도 자리하고 있다 할 것이다. 이른바 ‘김학묵’ 파일은 스탠퍼드대 후버아카이브의 아시아재단 컬렉션 중 Korea Individuals, Kim Hak Mook(Social Work), Box P-59로 철해진 서류(문서)철을 가리킨다. 이 파일의 존재는 필자가 서울대학교 현 사회복지학과(이전 사회사업학과) 홈페이지와 학과사무실 문의 및 창과 50주년을 맞아 편한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50년사』를 두루 살펴본 결과 존 키드나이(John C. Kidneigh) 보고서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언급을 찾지 못했다는 점에서, 조심스럽긴 하지만 한국에서 처음 소개되는 자료가 아닐까 싶다. 이른바 ‘김학묵’ 파일은 1954년 미국의 공적 원조에 힘입어 추진된 서울대학교의 ‘미네소타 프로젝트’와 별개의 원조 회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카바(KAVA:외국민간원조단체연합회)의 민간원조는 당면한 필요에 치중된 응용학문 중심의 공적 원조를 보완하고 대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서울대학교의 사회사업학과 신설은 바로 이 카바 소속의 유니테리언봉사회의 주도 아래 한미재단의 재정 지원이 결합되어 유럽을 비롯해 여타 아시아 신생국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소위 최고학부의 공식 학과로 자리잡게 되는 지역적 냉전의 특수성을 드러내게 된다. 서울대학교의 사회사업학과가 신설되기까지 유니테리언봉사회(USC)-한미재단(AKF)-미네소타대학-아시아재단의 제반 민간원조기구들과 존 키드나이-헬렌 포그-커티스 히치콕-이선근-박술음-최규남-데이비드 스타인버그-김학묵-하상락-백근칠은 미국 발 원조의 에이전시들로 기능하며, 한국사회가 피(被)원조사회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했다. 여기에 서울대학교의 사회사업학과 창립 주역이기도 한 김학묵이라는 특정 개인의 행적은 식민지시기부터 미군정 및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로 이어진 한국사회의 관료 시스템을 또한 예시하고 있으며, 한국사회의 학제와 행정 및 전문기술관료(테크노크라트)와 사회사업(복지)이 맞물린 냉전문화와 지식의 순환과 유통의 양상을 재성찰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is paper uses Kim Hak Mook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cial Work Department in relation to the circuit of US-originated aid. For this reason, this paper’s object of study is the Stanford Hoover Archive’s Kim Hak Mook File. The Asian Foundation collection which has been open to the general public since 2010 provides a clue to understanding and identifying the circuit of US-originated aid through the Korean War. As Charles Armstrong has noted, an asymmetrical support structure based on military aims bred alienation and delays in other areas interlinked with the de-colonization project of South Korea that remained unresolved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Armstrong points out that because the dismissal and considerabl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sectors of education and culture directly related to the long-term vision of the national de-colonization project concluded with the mass exodus of literati and intellectuals for North Korea. Although the Korean War did not completely eliminate this asymmetric aid system, it strengthened the aid system of the education and cultural sector which was relatively alienated, the so-called ‘Kim Hak-mook’ file is said to have been located in this series of flows. The so-called ‘Kim Hak-mook’ file refers to the documents and papers compiled in “Korea Individuals, Kim Hak-Mook(SocialWork), Box P-59” included in the Asia Foundation collection of the Stanford Hoover Archives. After closely surveying the question and answer section of the current SNU Social Welfare Department and office website and 『The Fifty-year History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Social Welfare Department』, I would like to tentatively suggest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e so-called ‘Kim Hak-mook’ file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other than the John C. Kidneigh Report. The establishment of the SNU Social Work Department that runs throughout the so-called ‘Kim Hak Mook’ File was set in motion by a different circuit of support, Kava’s civilian assistance has complemented and replaced public aid centering on applied studies for immediate needs. The series of proceedings leading up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NU Social Work Department compels us to retrace this specific circuit of support, in other words, the various contacts and exchanges that took place between institutions including a Christian organization by the name of Unitarian Service Committee(USC), the American-Korean Foundation(AK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nd the Asia Foundation as well as between individuals like John C. Kidneigh, Helen Fogg, Curtice Hitchcock, Lee Sun Keun, Park Solemn, Choi Kyu Nam, David I. Steinberg, and Kim Hak Mook, Ha Sang-nak, Paik Kŭn-chil. This kind of support circuit network exemplifies the “Cold War culture”, originating from the US, that impacted Korea’s education and culture. This paper reconstructs the complicated and varied circuits of support that surrounded the establishment of the SNU Social Work Department investigating the dynamic power relationships of these agencies.

      • 사례관리 매뉴얼 비교분석 -서울시복지재단, 지역아동센터, 경기복지재단 매뉴얼을 중심으로-

        조지혜 ( Ji Hye Jo ),이희진 ( Hee Jin Lee ),백종림 ( Jong Leem Back ),김예솔 ( Ye Sol Ki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사례관리에 대하여 서울시복지재단,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경기복지재단에서 발행한 매뉴얼을 가지고 비교분석을 수행하고, 그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특히 각각의 사례관리 과정(절차)과 내용, 양식에 대해 중점적 보았는데 사례관리 과정(절차)에서 서울복지재단이 가장 정형화된 과정을 제시하였으나, 내용과 양식은 각각의 기관 모두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향후 개발되어질 지침은 통일된 사례관리 개념의 이해와 양식의 통일성 등이 반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a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 management guidelines, the Seoul Welfare Foundation, the Community Child Center, the Gyeonggi Welfare Foundation i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it focuses on each case management process and the content, form, case management processes in the Seoul Welfare Foundation, presented the formal process, but it turned out that the content and form were differently from each agency. It signifies that further guidance for case management will be included it``s a unified understanding of the case management concept and the unity of form.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