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화선과 위빠사나는 공존할 수 없는가?

        인경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8 No.-

        The task given to the author is 'Can Ganhwa-seon and Vipassana exist togeter?' On this question I made two judgments; They should or can exist together. First, the tradition of Vipassana is very important in the study of modern Buddhism and the significance of it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Ganhwa-seon survived since the Joseon Period when the teaching system in Buddhism had fallen down; however now a time has come when Ganhwa-seon should look for a change. Ganhwa-seon and Vipassana have different area and method from each other; therefore Ganhwa-seon and Vipassana should advanc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keeping both of them, instead of criticizing each other. The area of Vipassana is the area of body and mind. On the other hand, the area of Ganhwa-seon is the area of spiritual Buddhadhatu(佛性). Since the area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is no reason to reject each other. The areas of them are to advance with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excluding or attacking each other. Second, a person should choose one asceticism method for meditati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Ganhwa-zen and Vipassana can be consolidated. There are cases that prove this possibility such as Monk Bojo-jinul (普照知訥), Monk Naong (懶翁和尙 惠勤) and Zen-master Hanam (漢巖禪師) in Korea. The cases of Monk Mengshan-deyi (夢山德異) and Monk Zhong-feng (中峰), who was a disciple of Monk Gao-feng (高峰), in China a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Mind-character Theory and Practice Theory. The conclusion was that Ganhwa-seon ascetics accommodate most of sati(念, mindfulness) in early Buddhism and they understand sati based on Buddhadhatu thinking in interpretation.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Mind-character Theory, Ganhwa-seon succeeded the Emptiness Theory of early Mahayana Buddhism based on non-permanence and absence of ego thinking in early Buddhism and it consequently found a relation that leads to Buddhadhatu and spirituality. Especially, it is definitely important that Mind-character Theory pointed out that the Emptiness Theory on being completely empty in Korean Ganhwa-zen tradition can fall into unanswerable question. Fourth,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 Theory, the historical cases on the issue of combining sati of early Buddhism and Ganhwa-seon’s hwadoo Investigation, asceticism method in Korean Buddhism which meditates on specific topic are given. Especially, a combining method of sati and hwadoo, meditation topic is created by taking the method suggested in the Buddhist prayer topic of Mengshan-deyi as a good model of consolida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atipattanasutta(念處經) can be an important scripture and teaching basis for Ganhwa-seon. The case of Zhong-feng in Yuan Period (元朝), who took sati asceticism as the basis of Ganhwa-seon meditation topic, was also reviewed. These historical cases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with methods, in which Vipassana and Ganhwa-zen can exist together. It is possible that the Vipassana ascetics may not welcome this view, because Ganhwa-zen absorbed Vipassana in these cases. However, it is unavoidable because Vipassana had been an earlier asceticism than Ganhwa-zen in the history. The areas of sati, clear knowing and wisdom in Vipassana are the spirituality area and they are connected to the Buddhadhatu thinking in Mahayana Buddhism. Therefore the enlightenment of Ganhwa-seon is circulative be cause it helps and can be applied on the asceticism theory of early Buddhism. In any case, what the author emphasized here is that Vipassana and Ganhwa-seon share historical cases together and they can be also shared in asceticism. 간화선과 위빠사나에 대한 갈등적 관점을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한다. 그동안의 연구 성과는 양자를 비교하는 평론적인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본고에는 실질적으로 양자가 어떻게 통합되는지를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초기불교 경전에 기반한 위빠사나 수행의 전래는 불교문화에 다양성을 제공한 점에서 의미가 있고, 조선시대 이후로 무너진 교학체계를 복원하는데 크게 기여한다고 본다. 개인적인 수행의 관점에서 보면 내적으로 양자가 어떻게 통합이 가능할까? 이런 통합의 역사적인 사례는 중국에서는 몽산덕이의 염불화두법이나 고봉의 제자인 중봉의 경우가 있고, 한국선의 전통에서는 보조지눌, 나옹화상, 한암 선사가 보여주는 공적영지(空寂靈知)에 기초한 화두참구의 과정이 좋은 사례를 제공한다. 공적영지의 심성론에 기초한 화두참구는 2단계로 구별된다. 화두참구를 통해서 제1단계는 공적을 체득하고 제2단계는 영지의 불성으로 나아간다. 한국 간화선의 전통에서 ‘텅 비어있음’에 대한 공사상은 ‘무기(無記)’에 떨어질 수 있음을 지적한 부분은 매우 중요하다. 위빠사나 수행이 강조하는 공이나 무아의 통찰은 영지의 불성체험에로 한걸음 더 나아가야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는 몽산덕이의 정토종과 임제종의 수행법을 통합한 ‘염불하는 이놈은 누구인가?’라고 염불화두법(念佛話頭法)을 원용하는 것이다. 위빠사나는 몸, 느낌, 마음, 현상을 관찰하는데, 이것을 ‘호흡(느낌, 마음, 현상)을 사띠하는 이놈은 누구인가?’라고 질문함으로써 「염처경」도 간화선의 중요한 하나의 경전, 교학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위빠사나 수행자의 입장에서 보면, 간화선이 중심이 되어서 위빠사나를 흡수한 사례라고 해서 별로 환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교학의 역사적 진행에서 볼 때 무아, 공사상에 대한 통찰을 중시하는 위빠사나가 먼저이고 영지, 불성에 기초한 간화선이 나중에 나타난 수행론이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다. 어쨌든지 본고에서 강조한 부분은 위빠사나와 간화선은 함께 공유된 역사적인 사례가 있고, 실제적으로 양자는 수행의 측면에서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

        간화선과 위빠사나는 공존할 수 없는가?

        인경스님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8 No.-

        간화선과 위빠사나에 대한 갈등적 관점을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한다. 그동안의 연구 성과는 양자를 비교하는 평론적인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지만, 본고에는 실질적으로 양자가 어떻게 통합되는지를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초기불교 경전에 기반한 위빠사나 수행의 전래는 불교문화에 다양성을 제공한 점에서 의미가 있고, 조선시대 이후로 무너진 교학체계를 복원하는데 크게 기여한다고 본다. 개인적인 수행의 관점에서 보면 내적으로 양자가 어떻게 통합이 가능할까? 이런 통합의 역사적인 사례는 중국에서는 몽산덕이의 염불화두법이나 고봉의 제자인 중봉의 경우가 있고, 한국선의 전통에서는 보조지눌, 나옹화상, 한암 선사가 보여주는 공적영지(空寂靈知)에 기초한 화두참구의 과정이 좋은 사례를 제공한다. 공적영지의 심성론에 기초한 화두참구는 2단계로 구별된다. 화두참구를 통해서 제1단계는 공적을 체득하고 제2단계는 영지의 불성으로 나아간다. 한국 간화선의 전통에서 ‘텅 비어있음’에 대한 공사상은 ‘무기(無記)’에 떨어질 수 있음을 지적한 부분은 매우 중요하다. 위빠사나 수행이 강조하는 공이나 무아의 통찰은 영지의 불성체험에로 한걸음 더 나아가야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는 몽산덕이의 정토종과 임제종의 수행법을 통합한 ‘염불하는 이놈은 누구인가?’라고 염불화두법(念佛話頭法)을 원용하는 것이다. 위빠사나는 몸, 느낌, 마음, 현상을 관찰하는데, 이것을 ‘호흡(느낌, 마음, 현상)을 사띠하는 이놈은 누구인가?’라고 질문함으로써 『염처경』도 간화선의 중요한 하나의 경전, 교학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위빠사나 수행자의 입장에서 보면, 간화선이 중심이 되어서 위빠사나를 흡수한 사례라고 해서 별로 환영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교학의 역사적 진행에서 볼 때 무아, 공사상에 대한 통찰을 중시하는 위빠사나가 먼저이고 영지, 불성에 기초한 간화선이 나중에 나타난 수행론이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다. 어쨌든지 본고에서 강조한 부분은 위빠사나와 간화선은 함께 공유된 역사적인 사례가 있고, 실제적으로 양자는 수행의 측면에서 함께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The task given to the author is 'Can Ganhwa-seon and Vipassana exist togeter?' On this question I made two judgments; They should or can exist together. First, the tradition of Vipassana is very important in the study of modern Buddhism and the significance of it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Ganhwa-seon survived since the Joseon Period when the teaching system in Buddhism had fallen down; however now a time has come when Ganhwa-seon should look for a change. Ganhwa-seon and Vipassana have different area and method from each other; therefore Ganhwa-seon and Vipassana should advanc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keeping both of them, instead of criticizing each other. The area of Vipassana is the area of body and mind. On the other hand, the area of Ganhwa-seon is the area of spiritual Buddhadhatu(佛性). Since the area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is no reason to reject each other. The areas of them are to advance with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excluding or attacking each other. Second, a person should choose one asceticism method for meditation;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Ganhwa-zen and Vipassana can be consolidated. There are cases that prove this possibility such as Monk Bojo-jinul (普照知訥), Monk Naong (懶翁和尙 惠勤) and Zen-master Hanam (漢巖禪師) in Korea. The cases of Monk Mengshan-deyi (夢山德異) and Monk Zhong-feng (中峰), who was a disciple of Monk Gao-feng (高峰), in China a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Mind-character Theory and Practice Theory. The conclusion was that Ganhwa-seon ascetics accommodate most of sati(念, mindfulness) in early Buddhism and they understand sati based on Buddhadhatu thinking in interpretation.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Mind-character Theory, Ganhwa-seon succeeded the Emptiness Theory of early Mahayana Buddhism based on non-permanence and absence of ego thinking in early Buddhism and it consequently found a relation that leads to Buddhadhatu and spirituality. Especially, it is definitely important that Mind-character Theory pointed out that the Emptiness Theory on being completely empty in Korean Ganhwa-zen tradition can fall into unanswerable question. Fourth,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e Theory, the historical cases on the issue of combining sati of early Buddhism and Ganhwa-seon’s hwadoo Investigation, asceticism method in Korean Buddhism which meditates on specific topic are given. Especially, a combining method of sati and hwadoo, meditation topic is created by taking the method suggested in the Buddhist prayer topic of Mengshan-deyi as a good model of consolida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atipattanasutta(念處經) can be an important scripture and teaching basis for Ganhwa-seon. The case of Zhong-feng in Yuan Period (元朝), who took sati asceticism as the basis of Ganhwa-seon meditation topic, was also reviewed. These historical cases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with methods, in which Vipassana and Ganhwa-zen can exist together. It is possible that the Vipassana ascetics may not welcome this view, because Ganhwa-zen absorbed Vipassana in these cases. However, it is unavoidable because Vipassana had been an earlier asceticism than Ganhwa-zen in the history. The areas of sati, clear knowing and wisdom in Vipassana are the spirituality area and they are connected to the Buddhadhatu thinking in Mahayana Buddhism. Therefore the enlightenment of Ganhwa-seon is circulative be cause it helps and can be applied on the asceticism theory of early Buddhism. In any case, what the author emphasized here is that Vipassana and Ganhwa-seon share historical cases together and they can be also shared in asceticism.

      • KCI등재

        보조 간화선의 성격과 그 현대적 의의

        김방룡 보조사상연구원 2011 보조사상 Vol.35 No.-

        본 논문은 보조의 선사상 중 간화선에 대한 부분을 조망한 것으로, 간화선의 성격과 현대적 의의에 대하여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보조의 간화선은 어떠한 배경에서 주창되었는가? 둘째, 보조선의 체제 내에서 간화선은 어떠한 위상을 지니는가? 셋째, 보조와 성철의 간화선 이해에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넷째, 현대에 있어 보조 간화선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제기 아래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보조에게 있어 간화선의 유입은 자신의 수행 상에 나타난 정견(情見)의 병통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당시 중국에서 유행하고 있던 대혜의 간화선을 종파적인 입장에서 수용한 것이 아니라 주체적이고 실존적으로 받아들였음을 의미한다. 둘째, 보조선의 체계 내에서 간화선은 돈오점수의 수행 상에 나타나는 지해의 병통을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행법으로서 자리함과 동시에 선문의 상근기가 가장 빨리 구경각에 도달할 수 있는 깨달음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돈오점수, 원돈신해의 수행법을 배격하고 있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셋째, 지눌과 성철 모두 간화선이 최고로 수승한 수행법이며, 교외별전인 선종의 수행법이라 보고 있다. 또한 돈오점수의 수행법이 지해의 병통에 빠지기 쉽다는 점도 똑같이 인식한다. 그런데 성철이 돈오점수를 철저히 배격하는 반면 지눌은 돈오점수의 수행을 배제하지 않는다. 오히려 돈오점수를 기본적인 수행법으로 세워 놓고 그 병통의 치유법으로 간화선을 활용하고 있다. 상근기의 경우는 곧장 간화선을 수행하여 구경각에 이를 수 있음도 말하고 있다. 이점이 보조와 성철이 간화선을 대하는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보조선에 있어서 수행의 기초는 마음이며, 깨달음의 방법은 회광반조와 간화선에 있다. 이는 조사선과 간화선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현재에도 여전히 선수행의 토대로서 작용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looked into Bojo's Ganhwa-Seon(看話禪), a part of his Seon thought, about its characteristic and modern significance. First,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advocacy of Bojo's Ganhwa-Seon? Which position does Ganhwa-Seon gave within the system of Bojo's Seon? Are there ant differences between Bojo and Seongcheol in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about Ganhwa-Seon? What is the significance of Bojo's Ganhwa-Seon in modern society? I drew there following conclusion about these questions. First, Bojo accepted Ganhwa-Seon to remove the trouble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exposed in his practice. Daehyea's Ganhwa-Seon is prevalent in China at that time. It means that he did not accept Daehyea's Ganhwa-Seon as a sectarian stand-point but subjective and existent. Second, in Bojo's system, Ganhwa-Seon was situated as an effective method of practice to remove the trouble in intellectual understanding showed in the practi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also Ganhwa-Seon was situated as a method to achieve the supreme enlightenment fastest to the trainee of high level practicing Seon. Nevertheless we can see that Bojo didn't reject the method of practi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Avatamska. Third, Bojo and Seongcheol regarded Ganhwa-Seon as the best method of practice in Seon-sect. And they also recognized that it is easy to fall into the trouble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in the practi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In that point, Seongcheol rejected throughly the practi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But Bojo did not reject that practice. On the contrary, Bojo set up the practice as a basic practice and applied Ganhwa-Seon to cure the practice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in the case of the trainee of high level, Bojo said that they could achieve the supreme enlightenment without delay. This point i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Bojo and Seongcheol about Ganhwa-Seon. Fourth, in the standpoint of Bojo's Seon, the mind is the basic of practice and the method of enlightenment is Hoikwang-banjo(廻光返照) and Ganhwa -Seon. It is to succeed the tradition of Josa-Seon(祖師禪) and Ganhwa-Seon. And that have acted an the foundation of the practicing Seon even now.

      • KCI등재

        보조지눌의 간화선관(看話禪觀)에 내재된 문제점 연구

        최용운 한국선학회 2010 한국선학 Vol.26 No.-

        오늘날 간화선은 한국불교계의 대표적 수행법으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간화선을 태동시킨 중국을 포함해 세계 어느 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현상이다. 간화선에 대해 논할 때 창안자인 대혜종고와 국내에 간화선을 처음 소개한 보조지눌을 빼놓을 수는 없을 것이다. 대혜는 당시 중국 불교계에 만연했던 묵조선과 문자선의 폐해를 간파하며 그 병폐로부터 벗어나 증득에 이르는 올바른 수행의 길을 제시하고자 간화선을 창안하였다. 이 간화선 수행을 통해 대혜가 강조하고자 했던 중요한 정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선의 대중화’였다. 이 대혜의 사상이 대혜어록 을 통해 국내로 전해졌으며, 지눌이 이것을 접하게 됨으로써 최초로 간화선이 국내에 소개되었다. 대혜어록 을 접할 당시 지눌은 ‘지적 알음알이의 병통[知解病痛]’을 겪고 있었는데, 대혜의 가르침을 통해 그 병통을 물리칠 수 있었다. 이후 지눌은 본인이 정립한 세 가지 수행문[三門] 가운데 하나로 간화선을 포함시켰으며, 무심합도문(無心合道門)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부여하며 간화선의 가치를 더욱 선양하였다. 하지만 지눌이 정립한 간화선 이론에 따르면 간화선은 최상승근기에만 적합한 수행이다. 이는 대혜가 간화선을 통해 강조하고자 했던 근본정신 가운데 하나인 ‘선의 대중화’라는 중요한 관점에서부터 너무 동떨어진 입장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 불교계는 간화선의 대중화를 외친다. 하지만 지눌의 이론에 따르면 간화선은 결코 대중화될 수 없는 수행법이다. 간화선 보조지눌의 간화선관(看話禪觀)에 내재된 문제점이 최상승근기에게나 가능한 수행법이라는 이론을 정립한데는 지눌 나름의 개인적인 이유가 있었다. 그러나 비록 그 이유가 그가 대혜어록 을 접할 당시의 상황으로 인해 형성된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것으로 인해 후대에 간화선 수행을 하고자 하는 이들 앞에 높디높은 장벽이 세워져서는 안 된다. 간화선의 대중화라는 화두를 타파하기 위해 지눌의 관점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Today Ganhwa Seon[Ch. Kanhua Chan 看話禪], as a representing practice method, has a matchless position in Korean Buddhism. This is a unique phenomenon that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country, including China where Ganhwa Seon was founded. In discussing about Ganhwa Seon we cannot count out Tahui Tsungkao[大慧宗杲, 1089~1163], the founder of Ganhwa Seon and Pojo Chinul [普照知訥, 1158~1210], a Seon master who was the first to introduce Ganhwa Seon to Korea. Penetrating the harmful effects of Mochao Chan[黙照禪] and Wentzu Chan[文字禪] that has prevailed in Chinese Buddhism, Tahui invented Ganhwa Seon in order to show the right way of practice for obtaining enlightenment. One of the important ideas that Tahui wanted to emphasize through the Ganhwa Seon practice was 'popularization of Seon'. The idea of Tahui, popularization of Seon, was transferred into Korea through Tahui yulu , by which Chinul introduced Ganhwa Seon into Korea. Chinul was undergoing ‘a sickness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知解病痛]’ at the time he encountered Tahui yulu _; through Tahui's teaching he was able to defeat the sickness. Afterwards Chinul included Ganhwa Seon as one of his three approaches of Seon practice and enhanced the value of Ganhwa Seon by giving it a new name, the ‘approach of no-mind that conforms with the path’[Musim hapto mun 無心合道門]. However according to the theory of Ganhwa Seon that was made by Chinul, Ganhwa Seon is suitable only for highly superior faculties. This position is far away from Tahui’s idea of popularization of Seon, one of the basic ideas that Tahui wanted to stress. Today Korean Buddhism emphasizes the popularization of Ganhwa Seon. According to the theory of Chinul, however, Ganhwa Seon cannot be popularized at all. There is a personal reason explaining why Chinul made his theory that Ganhwa Seon is only possible for highly superior faculties. However, even if that reason was formed due to the context of the encountering with Tahui yulu , a high obstacle should not be built in front of practitioners who want to cultivate with Ganhwa Seon. In order to destroy the hwadu of the popularization of Ganhwa Seon, the perspective of Chinul need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간화선의 심리치료적 기능에 대한 고찰

        이필원(Lee, Pil-W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5

        불교는 오랜 역사만큼 다양한 수행방법을 발전시켜왔다. 불교 수행의 특징은 단순한 이해의 차원이 아닌 체험의 영역으로 확대되어, 인격의 완전한 변화를 초래한다는데 있다. 따라서 불교 수행의 핵심은 수행 전과 수행 후의 인격의 ‘변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수행법 가운데 간화선에 주목하여, 간화선 수행 프로그램이 갖는 심리치료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수행이 궁극적으로 인격의 변화를 초래한다고 하면, 수행의 과정 속에서 전격적인 인격의 변화는 아니더라도 부정적인 심리상태가 긍정적으로 변화되는 경험은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특히 그 변화의 중심에는 ‘앎’이 놓여 있다고 필자는 이해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불교 수행의 특징을 ‘참된 앎’의 획득에서 찾고, 이러한 전통을 가장 잘 계승하고 있는 수행법 가운데 하나가 바로 간화선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다시 말해, 불교의 많은 수행법이 결국은 지혜를 계발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간화선은 그것이 극단적으로 강조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간화선은 지혜를 계발하는 한 방법이고, 이를 통해 우리를 괴롭히는 번뇌가 지멸된다는 논리적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간화선이 심리치료적 기능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사실 간화선은 모든 문제의 출발을 우리의 잘못된 ‘앎’에서 찾는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갖는 심리적 문제들 역시 많은 경우 잘못된 ‘앎’에 기인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간화선의 ‘참된 앎’을 추구하는 방식이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간화선이 심리치료를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 아니기에,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들에 적용된 예를 찾기란 쉽지 않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심리문제 가운데, 특히 불안과 망상이라는 두 가지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본문에서는 초기불교의 경전적 근거를 제시하면서, 간화선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간화선이 초기불교의 맥락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함이기도 하다. Buddhism, with a long history, has developed various types of practices. The feature of Buddhist practice is that the practice does not remain in the realm of simple understanding but extends to experiencing, which causes a complete change of personality. Therefore,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s is ‘change’ of personality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This article focuses on Ganhwa-seon,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Buddhist pactices, and investigates the psychotherapeutic functions of a practice program based on Ganhwa-seon. While the ultimate goal of practice is to change ones personality, a person participating in a practice program may easily experience a change of a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to a positive state, if not a complete personality change. It is understood that what is at the center of the change is ‘knowing.’ Therefore,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assumptions that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 is at ‘true knowing’ and that Ganhwa-seon is the practice method which best succeeds such a tradition. In other words, if it is presumed that the ultimate goal of the many practicing methods of Buddhism is to acquire wisdom, Ganhwa-seon is the kind of practicing method in which acquisition of wisdom is extremely emphasized. Therefore, Ganhwa-seon is a method of acquiring wisdom, through which the defilement that distresses humans may be attenuated or eliminated. In this context, Ganhwa-seon may have psychotherapeutic functions. Ganhwa-seon presumes that the starting point of all problems is the wrong ‘knowing’ that people have. Most of the psychological problems that people have may also be caused by the wrong ‘knowing.’ Therefore, it is assumed in this article that the method of seeking ‘true knowing(=wisdom)’ in Ganhwa-seon may be applied to the resolution of such psychological problems. However, since Ganhwa-seon was not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sychological treatment, it was difficult to find examples in which Ganhwa-seon has been applied to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Therefore, this article is focused on two of the many psychological problems, which are anxiety and delusion. The article provides the scriptural basis of the early Buddhism to explain the features of Ganhwa-seon, indicating that Ganhwa-seon has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early Buddhism.

      • KCI등재

        A Convergence Study between Ganhwa Seon and Positive Psychology

        최용운(Yong Un Choe) 보조사상연구원 2021 보조사상 Vol.60 No.-

        본 연구는 간화선과 긍정심리학 간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양자 간 연구의 가치와 의의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의 성격 강점과 덕성을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불교 명상을 통해 그러한 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다양한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불교 명상 중 간화선에 초점을 맞춘다. 비록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 진행된 다른 연구들의 주된 목적은 간화선 수행을 통한 성격 강점과 덕성의 변화 현상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성격 강점과 덕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간화선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마틴 셀리그만의 웰빙이론과 간화선의 이론적 틀을 비교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성격 강점과 덕성을 높이는 데 작용하는 간화선의 특징을 연구하는 것을 추구하며, 세 번째는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이론의 관점에서 현대 한국 간화선을 조명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nhancing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research between Ganhwa Seon and positive psychology through an analysis of their correlations. It is a well-known fact that altering the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of human beings is not something easily done, but a variety of phenomenological researches reveal that such change is possible through Buddhist meditation. Of the various Buddhist meditations, this study focuses on Ganhwa Seon. Although no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yet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conducted so far has been to validate the phenomenon of change in personality strength and virtue, by practicing Ganhwa Seon. This study, however, focuses on characteristics of Ganhwa Seon that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personality traits and virtues, and it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parts. The first is to compare Martin Seligman s well-being theory an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Ganhwa Seon. The second seeks to explore features of Ganhwa Seon that would function towards increasing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development of the joint efforts of Christopher Peterson (1950~2012) and Seligman, and the third is to envision contemporary Korean Ganhwa Se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low theory of Mihaly Csikszentmihalyi.

      • KCI등재

        『벽암록(碧巖錄)』을 통한 대혜 종고 이전의 간화선 수행 근거 고찰

        엄미경 ( Um¸ Mi-kyo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7

        간화선은 대혜 종고 시기에 문자선과 묵조사선의 폐해로 인해, 제대로 된 수행법을 선보이겠다는 대혜 종고 자신의 수행행로에 따라 대오각성의 계기가 된 화두 참구 수행법이었다. 간화선을 통해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송대 사회를 이끌던 당시의 지도자 계층인 사대부들에게 교화를 펼쳤다. 이러한 간화선은 대혜 종고가 창안한 것이 아니라, 대혜 종고 자신도 스승인 원오극근으로부터 지도받은 것이었고, 원오 극근 또한 그의 스승 오조 법연으로부터 지도받은 수행법이었으며, 위로 거슬러 당대(唐代) 선사들의 수행법이기도 하였음을 『벽암록』을 통해 확인하였다. 다만, 대혜 종고 시기에 승속을 불문하고 사회적으로 불교의 선어록을 열람하고 선을 수행하던 분위기에 따라 선을 알음알이로 이해하려는 문자선의 만연으로 인해 간화선을 다시금 현창하였고, 한편에서 유행하던 묵조사선의 폐해에 의해 간화선 수행법과 사상을 올바르게 정립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본 논고에서는, 간화선은 대혜 종고가 창안한 것이 아니라 더욱더 현창하고 정립한 것이기 때문에 간화선 창안설에 대한 문제제기로서 제언하는 것이다. 『벽암록』을 통해 화두와 공안의 개념을 살펴보고 공안선과 간화선의 정의를 고찰함으로써 당대(唐代) 시기에도 간화선 수행이 엄연히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Ganhwa Seon was a method of carrying out investigation of hwadu(話頭; Key-phrase) which triggered Great enlightenment in accordance with Dahui Zonggao’s own practice way of showing proper performance due to the harmful effects of the Munja Seon(文字禪; Literary Seon) and Mukjo Seon(黙照禪; Silent illumination Seon) during the period of Dahui Zonggao, and was used to educate the nobility, the leaders of the time who led the Song Dynasty society politically and socially through the Ganhwa Seon. It was confirmed in the Biyan-lu(碧巖錄; The Blue Cliff Record) that Dahui Zonggao was not invented by Dahui Zonggao, but that Dahui Zonggao himself was guided by his Seon master Yuanwu Keqin(圓悟克勤; 1063-1135), and that Yuanwu Keqin was also guided by his Seon master Wuzu Fayan(五祖法演; 1024-1104), and that the Ganhwa Seon became the practice of many Seon master as it went up. However, during the period of the Dahui Zonggao’s reign, the social atmosphere, was used to read the Buddhist scriptures and perform good deeds, along with the widespread use of Munja Seon to understand the good as well as the harmful effects of Wrong Mukjo Seon, which was popular in the past, to re-emerge the practice method and idea of Ganhwa Seon and was also established. Therefore, this thesis argues that Ganhwa Seon was not invented by Dahui Zonggao, but was revealed and established, and suggests as a raising question of Dahui Zonggao’s invention of the Ganhwa Seon. This trend of Ganhwa Seon has enriched the history of Seon school of China, and the Seon veins of the Linjiyixuan(臨濟義玄; ?-867) continued to flow and bloom in Korea. By examining the concept of Hwadu and Gong-an and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Gong-an Seon and Ganhwa Seon, Biyan-lu(碧巖錄)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simplified ships existed even during the Tang dynasty.

      • KCI등재

        『高峰和尙禪要』에 나타난 看話禪의 修行次第 一考

        오태섭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30 No.-

        두 학자로부터의 ‘看話禪 實參者가 보따리를 제대로 풀지 않는다.’라는 問題提起를 筆頭로 하여 ‘Ⅱ. 高峰原妙와 『禪要』’에서는 고봉의 일대사에 배대하여 고봉과 『선요』를 간략히 소개하였다. ‘Ⅲ. 『禪要』에 나타난 禪思想 및 修行次第’에서는 ‘看話三要’와 ‘看話禪의 修行次第’를 기술하였다. ‘간화삼요’는 간화선을 수행함에 있어 필연적으로 갖춰야 하는 근본적인 마음가짐인 大信心ㆍ大墳志ㆍ大疑情으로 고봉의 선사상에 있어 뿌리를 이루는 가르침이다. 고봉 자신이 修行時 많은 난관을 헤쳐 나가면서 무너지지 않는 진리에 대한 확고한 신념인 大信心, 장애를 만나 허덕일 때마다 힘껏 박차고 일어나 다음 단계를 향해 힘껏 매진할 수 있는 구동력을 주는 大憤志, 그리고 수행의 主 기둥이요 次第의 母胎가 되는 大疑情에 대하여 고봉의 법문을 근간하여 각 요소를 분별하여 살펴보고 三要間의 시너지적 상호관계에 대하여 간략히 고찰하였다. ‘看話禪의 修行次第’에서는 『선요』의 處處에 있는 고봉의 화두선 초기 수행 시기의 경험과 감상, 화두를 청하는 대중에게 공부에 대하여 說한 법문 등 여러 수행에 관련된 법문들을 수행차제라는 잣대로 時間의 軸과 修行境界의 軸을 기준으로 하여 一連性이라는 관점에서 수행 단계를 분별하고 고찰하여 정리하였다. 고봉은 수행에 있어서만큼은 徹頭徹尾함을 말만이 아닌 간화선을 통하여 자신의 存在 그 자체를 증명하였고 그럼으로써 뒤를 따르는 수행자들 또한 철두철미 하여 누구나 깨달을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고봉은 『선요』의 곳곳에서 간화선 과정이 ‘화두만 애써서 의심하다보면 疑情이 발현되고 疑團이 打破 되어 일대사가 단박에 끝난다.’는 매우 단순한 과정은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의심을 밀어 붙이고 밀어 붙여 더 이상 갈 곳이 없도록 밀어 붙이면 물살의 방향이 바뀌고 이러한 때에 이르면 省力處가 되어 힘을 쓰지 않고 애쓰지 않아야 오히려 공부가 되는 자리가 있다’고 설하고 있다. 그래서 성력처가 곧 득력처가 된다고 하고 이 자리에서의 공부방법은 힘을 쓰지 않으면서 見聞覺知 行住坐臥에 의단만을 지켜야 되는 공부 경계 등이 있다는 것을 『선요 에서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간화선을 수행하여 일대사를 마쳐 생사를 벗어나고자 한다면 고봉이 설한 바와 같이 수행차제를 잘 숙지하고 제대로 시행해야만 깨침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Two scholars suggested the problems that Ganhwa Seon practicers didn't opening completely their packages by introductory chapter. and than Chapter Ⅱ Gaofeng Yuanmiao(高峰原妙) and 『Chan-Yao』 was simple introduced with Gaofeng's life. There were traced the three essentials of Ganhwa Seon & the disciplinal Ganhwa Seon process in the chapter Ⅲ. It's displayed the thought of Seon and the disciplinal Seon process in 『Chan-Yao』. The three essentials of Ganhwa Seon(看話三要) were teachings, to become with root of the Gaofeng's thought of Seon, of great faith(大信心)ㆍgreat flare-up emotion(大憤志)ㆍgreat doubt feeling(大疑情) that were necessarily possessed basic mind to practice the Ganhwa Seon. Therefore those were contemplated to be discriminated the three essentials of Ganhwa Seon and between synergic correlation. Thus those were organized the practice process to be discriminated and to be contemplated as criterion that time & practice stage axis from a series of patterns of it many relational practice preachings; Gaofeng's early time practice experiences & feelings, to require several hwadu his disciples to study preachings etc, from place to place of 『Chan-Yao』in the disciplinal Ganhwa Seon process. Gaogeng proved own being himself at least thoroughgoing practice not only words but through Ganhwa Seon, and thereby he demanded practicer followed him to anyone finding enlightenment. Geofeng said not very simple process if Ganhwa Seon process had diligently doubting hwadu and then doubt feeling(疑情) was manifested and then doubt mass(疑團) was broken so the one great work(一大事) was finished immediately in here and there of 『Chan-Yao』. He preached if push the doubt and more push ahead it so that there is no more go anywhere than is changed direction of current of water become save power stage(省力處) preferably not use force or save effort than there is place that become practice. Therefore he made the point clear handson stage that save power stage(省力處) is become immediately obtained power stage(得力處) and the way of practice doesn't used force and that must keep only doubt mass(疑團) with seeingㆍhearingㆍawakeningㆍcognizingㆍwalkingㆍstandingㆍsittingㆍlying(見聞覺知行住坐臥) by 『Chan-Yao』. Thus you will arrive at enlightenment that you must understand and properly practiced the disciplinal process by preached Geofeng if you want finish the one great work(一大事) and be free births and deaths(生死).

      • KCI등재

        백파긍선 『禪要記』에 해석된 고봉원묘의 간화선삼요

        엄미경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2

        There is a tendency to misinterpret the meaning of the second essence the higly determined will (大憤志) in The Three Essences of Ganhwa Seon (看話禪三要) of Gaofeng Yuanmiao appearing in Chanyao (禪要, Korean: Seonyo) as anger and resentment. When it i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Seonyo Gi (禪要記) by Baekpa Geungseon, this refers to undaunted and determined will to pursue the thing that it must be done. Regarding the three essences of Ganhwa Seon of Gaofeng Yuanmiao, Baekpa Geungseon has interpreted foundation of strong belief (大信根) as foundation of the path, higly determined will (大憤志) as firm will and strong doubt (大疑情) as cutting off entire external relations and removing of panting in internal mind (外息諸緣內心無喘). Dahui Zonggao (大慧宗杲) also revealed the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three essences of Ganhwa Seon with the firm belief (決定信), firm will (決定志), and doubt (疑情). the higly determined will that Gaofeng Yuanmiao speaks of corresponds to the firm will that Dahui Zonggao. Seen from the fact that Baekpa Geungseon defined the higly determined will as one should strive with a determined will, the higly determined will is not a simple anger in the sense of resentment, but a determined will with resolution. If we look at the three essences of Ganhwa Seon in order, they are arranged in sequence foundation of strong belief, highly determined will and strong doubt. They are in organic relationships so that it becomes defective in the practice of Hwadu meditation when one of the elements is missing. The three essences are neither created by Gaofeng Yuanmiao nor succession from Dahui Zonggao since the principles of this practice of Ganhwa Seon had already long been set. Whoever wants to practice Ganhwa Seon, they must follow the same procedure. Thus Dahui Zonggao and Gaofeng Yuanmiao simply have expressed the already established principles of Ganhwa Seon in different terminologies. Hence it can only be said that Gaofeng Yuanmiao have grouped them and applied the terminologies ‘the three essences (三要)’, and it was transmitted and settled under the name of the three essences of Ganhwa Seon.

      • KCI등재

        『看話決疑論』에 나타난 普照知訥의 看話禪觀

        황금연(Hwang, Geum-Ye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4

        본 논문의 핵심은 『看話決疑論』의 총 다섯 가지 문답을 통해 普照知訥(1158-1210)의 看話禪에 관한 견해를 정밀히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중심인 『간화결의론』은 보조지눌의 사후 『圓頓成佛論』과 함께 발견되었으며, 서책의 저작연대는 1198년 이후로 추정한다. 그의 제자 眞覺慧諶(1178-1234) 등에 의해 지눌의 사후인 貞祐 3년, 1215년에 판각되었다. 서책의 내용은 『華嚴經』에 이미 法界의 無碍緣起를 밝혀 취하고 버릴 것이 없는데, 무슨 이유로 선문에서는 열 가지 병을 가려 화두를 보는지(看話)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하여 모두 다섯 가지의 문답을 통해 지눌이 밝히고자하는 간화선이 피력되어있다. 지눌은 大慧宗杲(1089-1163)의 간화선이론을 전체적으로 수용하고 있어, 그가 논하는 간화선의 큰 줄기는 『대혜어록』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그만이 피력하고 있는 독자적인 내용이 있다면 무엇일까? 이것을 밝혀내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내용이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논자는 『간화결의론』에 나타나있는 그의 간화선의 특성을 네 가지정도로 요약해보았다. 이 책이 지닌 무엇보다 중요한 핵심은 화엄교학과의 비교를 통해 간화선이 지닌 우월성을 드러낸 데 있다. 지눌은 간화경절문의 화두참구, 즉 活句의 참구야말로 일체의 사량과 분별 및 情識과 교학을 통한 불법의 지견마저도 붙을 여지가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음을 확연히 드러내고 있다. 그는 이 서책에서 간화선의 화두참구는 일체의 교리적 이론이나 분별적 사유를 초월하여 있기 때문에 말길이 끊어지고 마음의 작용이 사라진 마음의 본바탕을 꿰뚫어 들어가는 방편이라 파악하고, 화엄원교가 비록 교학 중에서 뜻과 이치가 가장 원만하고 미묘한 길이긴 하지만, 모두가 알음알이와 뜻으로 들어서 알고 생각으로 헤아리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선문의 화두를 참구해 바로 끊어 깨달아드는 문(경절문)과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이다. 이 논서 『간화결의론』은 여러 가지 해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글자가 표명하는 것처럼 ‘간화선의 의심을 결단하는 논서’ 또는 ‘간화선으로 의심을 결단하는 논서’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n elaborate analysis of Bojo Jinul’s perspective on Ganhwa Seon based on the five questions and answers recorded in the Ganhwa Gyeoruiron (看話決疑論; Resolving Doubts about Observing the Hwadu). The Ganhwa Gyeoruiron, which i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discovered after the death of Jinul, along with Wondon Songbullon (圓頓成佛論), and is thought to have been authored sometime after 1198. It was inscribed on printing woodblocks in 1215 by Jinul’s disciple, Jingak Hyesim(眞覺慧諶; 1178-1234). In this book, Jinul begins by asking why the Seon School investigates the Hwadu by discriminating between ten kinds of illnesses, even though the Flower Ornament Sutra (華嚴經) had already illuminated the unhindered dependent origin of the Dharma realm, and thus revealed that there is nothing to select or reject. He then sets forth his view on Ganhwa Seon by proposing five questions and answers. Jinul’s perspective and the broader framework of Seon, as reflected in Ganhwa Gyeoruiron, is based on the Ganhwa Seon of Dahui Zonggao, as Jinul himself clarified. However, what if there is something about himself that he is telling us? Revealing this is the core of this paper. The essay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his simplified lines in Ganhwa Gyeoruiron in four way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book is that it shows the superiority of the Ganhwa Seon by comparison with the Hwaham Academia. It is evident that investigating the Hwadu in shortcut gate (investigating a living phrase) has the advantage that there is no room to attach all charges, discretion, and knowledge of illegality, although Hwaham Wongyo(華嚴圓敎) is the most peaceful and subtle way of teaching, it is different from the conversation of a preface as everyone goes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thinking. Ganhwa Gyeoruiron may be viewed from various perspectives. I would say it is also ‘a book which resolves the suspicion of the Ganhwa Seon’, Or ‘an essay that resolves suspicion by Ganhwa 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