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의 한국 지배에 대한 인식의 갈등과 그 지양

        정연태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3 No.-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을 둘러싼 갈등이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갈등은 정치적·사회적 갈등, 남북 대립, 그리고 한일 역사분쟁과 결합돼 소모적인 이념 대립으로 비화되고 있다. 그 상징적 양상은 최근에 벌어진 한국사 교과서 검정파동에서 나타났다. 한국학계 또한 이런 양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식민지 수탈론, 식민지 근대화론, 탈근대론 사이의 근대 역사관 논쟁이 학문 외적인 이념 대립과 연동돼 논쟁 자체가 변질되고 있다. 심지어 학계의 논쟁이 소모적 이념 대립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기는커녕 불필요한 갈등을 오히려 증폭시키는 데 이용되는 경향조차 있다. 본고는 한국 근대사 인식의 이러한 정치성을 특별히 주목하고 싶다.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인식을 둘러싸고 한국학계에서 전개되는 학술 논쟁이 정치 사회적 현실과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모적인 갈등을 지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주제어 : 식민지배, 역사분쟁, 교학사(敎學社) 한국사 교과서, 종북(從北) 좌편향 프레임, 식민지 수탈론, 식민지 근대화론, 탈근대론, 열린 민족주의 The recent conflicts over the recogni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are serious in the Korean society. These conflicts are connected with political and social antagonism, inter-Korean confrontation, and history disputes between Korea and Japan. For this reason, they are creating exhaustive conflicts of ideology. A symbolic development aspect of these conflicts is the recent controversy over the official certifica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academic world of Korea is not also free from these conflicts. The disputes on the view of the modern history of korea between the theory of colony exploitation, the theory of colony modernization, the theory of post-modernism are deteriorating in sync with the conflicts of ideology in Korean society. The disputes in the academic world didn’t contribute to settle these exhaustive conflicts. They even tend to be used to intensify unnecessary conflicts. In this paper, I would particularly like to pay attention to this kind of the politics of recognition of Korean modern history. And I want to examine how these disputes in the academic world are connected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ies in Korea today. Additionally, I would like to attempt to seek for solution to sublate this kind of exhaustive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