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니어의 문화예술 소비 다양성이 여가생활 만족, 건강 인식, 행복에 미치는 영향

        최순화(Choi, Soonhwa)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문화예술 시장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시니어 소비자의 문화예술 소비 다양성이 여가생활 만족, 건강 인식,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화자본론과 옴니보어 가설을 바탕으로 문화자본(학력)과 경제자본(가구소득)이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고,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이 여가생활 만족, 나아가 건강과 행복 수준에 미치는 관계에 관한 가설과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가설 검증을 위해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에서 60대 이상 응답자의 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은 전시회, 박물관, 음악연주회, 전통예술공연, 연극공연, 무용공연, 영화, 연예공연 중 소비자가 관람한 분야의 가짓수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시니어 소비자의 학력 수준은 문화예술 소비 다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문화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한 옴니보어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가구소득은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시니어를 위한 저비용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증가한 환경 속에서 경제자본의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은 전반적인 여가생활 만족에 긍정적이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여가생활 만족은 시니어의 건강 인식과 행복 수준에 순차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 소비의 질적 차원인 소비 다양성의 선행 및 결과요인의 영향 관계를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관련 연구와 이론이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문화소비의 다양성이 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실제적인 효과를 지닌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문화예술 향유의 다양성을 추구하여야 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시니어의 문화예술 소비가 보다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of seniors on leisure satisfaction, health perception and happiness. Based on cultural capital and omnivore theories, the relationships among cultural capital(education), economic capital(household income), and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were hypothesized. And the diversity was hypothesized to sequentially influence leisure satisfaction, health perception, and happiness. This study used data of respondents in 60s or older from the 「2019 National Leisure Activities Survey」.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was measured by the number of fields that consumers attended among exhibitions, museums, music concerts,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theater performances, dance performances, movies, and entertainment performances. Supporting omnivore theory, it was found that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Household incom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ption diversity, and it is interpreted that the effect is not significant in an environment where low-cost culture programs for seniors are increasing. The cultural consumption divers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which sequentially affected health perception and happines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that helps the development of related research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ultural consumption diversity, the qualitative dimension of consumption. In addition, by confirming that the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improves seniors’ quality of life, it provides a basis for socially pursuing cultural diversity. Also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seniors enjoy various cultural performances.

      • KCI등재

        문화예술 소비 다양성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최순화(Choi Soonhw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시하는 가치가 확산하고 문화예술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증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소득과 학력,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 여가만족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분석 결과, 소득과 학력은 여가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여가태도는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이 증대할수록 전반적인 여가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경제 및 문화자본, 여가태도, 문화예술 소비의 다양성, 그리고 여가만족의 순차적 영향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관련 연구가 발전하는 데 필요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포용적 소비문화가 형성되고 문화예술 산업이 질적으로발전할 수 있도록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s the value work-life balance spreads and the cultural art market grows rapidly, the need for related research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leisure attitude, diversity of cultural art consump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2020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 It was found that income and educ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leisure attitude, which has a sequential effect on diversity of cultural consump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leisure satisfaction increases as people experience more diverse cultural art consumption.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by finding sequential influences of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leisure attitude, and diversity of cultural art consumption on leisure satisfaction. Also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form more inclusive cultural art consumption environment and to further develop the cultur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