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 : 리꾀르의 Narrative Identity 이론의 소그룹 성경공부에로의 적용

        강미랑 ( Mi Rang Kang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29 No.-

        이 논문은 리꾀르의 이야기적 정체성 이론을 소그룹 성경공부에 적용하기 위한 교수학적 이론형성을 목적한다. 리꾀르는 자아와 타자간의 반성적이고 해석적인 활동을 통하여 인간이 자아이해에 이를 수 있다고 한다. 해석으로서의 정체성은 다른 이들과 다른 이야기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반성의 결과이다. 그의 이야기적 정체성 개념은 성경본문과 독자사이의 의사소통적 관계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이야기적 정체성은 본문의 세계와 독자의 세계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이 해석적 과정을 리꾀르는 선구성-구성-재구성의 이야기적 구조로서 설명한다. 리꾀르는 이야기, 즉 본문의 언어들이 우리의 삶의 행동으로 옮겨져 우리의 삶을 위한 실천적 제안과 가능성들을 제공할 수 있는 해석의 길을 찾고자 하였다. 특히 성경본문의 해석에 있어서 증거의 개념을 사용함으로 성경의 권위의 의미와 독자의 실천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리꾀르의 이야기 해석학은 소그룹 성경공부를 통하여 자아정체성을 재구성하고자 하는 참가자들에게 성경과 자신, 타자간의 해석적 과정을 통한 풍성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룹은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의 장으로서 타자와의 만남을 제공하고, 해석의 공동체로서 개인의 해석을 점검하고, 타자들의 다양한 해석을 듣게 한다. 소그룹 성경공부에서 인도자는 그룹 속에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신앙여정의 동반자로서 함께 대화하는 파트너이면서 동시에, 신학자이자, 영적 안내자로서 개개인의 다양한 정체성 재구성 작업을 격려한다. 본 논문은 성경연구를 통해 기독인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리꾀르의 이야기적 정체성이론과 그 교육의 장으로서 소그룹 성경 공부라는 한 방법을 연결함으로 설명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form Bible-didactical theory to apply the theory of Ricoeur`s narrative identity to Bible study in a small group. Ricoeur`s understanding of the self is that a human being can understand one`s own self through the reflective and interpretative activities of others. This identity as interpretation is the outcome of reflec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and other narratives.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ommunicative relation among the Bible texts and its writers and readers or hearers. Narrative identity is 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world of the text and the world of the reader. This interpretative process is represented as ``narrative arc`` that moves from prefiguration through configuration to prefiguration. Through these hermeneutical phases, readers or participants of the Bible study get the practical proposals or possibilities for their own lives. Ricoeur`s hermeneutic of testimony helps the Korean church as a hermeneutic community to accept the differences among the various (personally applied) interpretations and to cooperate with hope from the biblical testimonies, and to form its own attestation. In relation to Christians` identity, this hermeneutics offers rich possibilities in the process of shaping their identity through Bible study. Especially in the group situation they can learn each other with the Bible. Group functions as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is identity formation process through the Bible study, a leader plays a role as a companion making a journey with other participants in the group. At the same time the leader takes a role as leading learner who is a theologian and spiritual guide.

      • KCI등재

        선택적 함구증 청소년의 심리적 불안감소를 위한 기독교상담 사례연구

        김상인 ( Sang In Kim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5 복음과 상담 Vol.23 No.2

        선택적 함구증은 일반적으로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특정상황이나 사람에게 말을 못하는 심리적 불안장애이다. 선택적 함구증은 일반적으로 수줍음, 사회적 심리불안, 그리고 대인기피증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외상경험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이 갑자기 말을 하지 않는 것으로 의사소통 장애로 알려져 있다. 선택적 함구증은 만성우울증과 심리적 불안 또는 대인관계와 정서적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장애의 의학적 치료는 페넬진과 플루옥세틴을 통한 약물치료가 있다. 상담치료 방법은 미술치료, 음악치료, 게임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 인지행동치료, 가족치료가 있다. 본 연구는 선택적 함구증 청소년의 심리적 불안감소를 위한 기독교상담을 통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선택적 함구증의 증세로 심리적 불안을 호소하는 17세 청소년이다. 사례연구는 개인상담9회기 실시하였다. 심리적 불안감소를 위한 기독교상담 방법은 성경읽기, 중보기도, 예배드림이다. 연구결과는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가 약 35.7%, 상담종결후 3개월이 21.9%로 심리적 불안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여자는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선택적 함구증 청소년의 심리적 불안감소를 위한 기독교상담 방법이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The selective mutism is an psychological anxiety disorder in which a person who is normally capable of speech does not speak in specific situations or to specific people. The selective mutism usually coexists with shyness, social psychological anxiety, and social phobia. Also, the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are known communication disorder to suddenly stop speaking. The selective mutism can contribute to chronic depression, further anxiety, and other interpersonal re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The medical treatment of this disorder is medication to with phenelzine and fluoxetine. The skills of counseling psychology is art therapy, music therapy, game play therapy, play therapy,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family therapy. But this study is qualitative case research with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reduce of psychological anxiety of selective mutism in the adolescents. The participant is 17-year-old boy to have psychological anxiety by selective mutism’ symptom. This case research implemented to be 9 times of individual counseling. The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reduce of psychological anxiety is Bible leading, intercessory prayer, and worship service. The result of research has been reduced of psychological anxiety by 35.7% than in pre-test, decreased 21.9% than in after-test. In addition, participant has been improved communication with the mother. In the above result, Christian counseling’ skill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 reduce of psychological anxiety of adolescents’ selective mut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