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과제

        우인혜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9

        This Study examines into what kind of roles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oing to do for immigrants to merge into Korean society when Korea is chang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facing a number of changes in this field. In other words, for foreign workers,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an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the study is reviewing immigrants' detailed problems and taken measures in the past, and is trying to look for a desirable future direction. In 3.1.,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workers, in 3.2., for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migrants, and in 3.3., for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this study has reviewed how the government and civilian institutions took their measures ab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s related supports, and the study has checked out the poor education environment, its unskillful conditions, and the learners' difficult situations for taking in class. Under this present situation, the ro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are the followings: First: In order to lessen Korean ethnic and cultural exclusiveness, introduce both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rovide Korean people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o reconsider their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Construct Bilingual Learning system to support for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to grow up as world leaders. Third, Organically systematize all supporting programs and government measures through local agencies to upgrad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o the high-level by the government. Fourth, Research and develop not only taking in class using Korean but also broadcasting programs and texts for learners' native languages. In addition, the study excludes illegal workers and their children's education. But suggest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should support and participate in their education voluntarily and professionally. 이 글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로 전환함에 따라 한국어 교육계에서 발생하고 있는 커다란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한국 사회의 통합을 위해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해야 할 역할을 진단해 보려는 것이다. 즉, 외국인근로자와 국제결혼 이주 여성, 국제결혼 가정 자녀에 대한 세부적 문제점과 그 동안의 대처 방안을 점검하는 가운데 앞으로 한국어 교육계가 추구해야할 방향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3.1에서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해서, 3.2에서는 국제결혼 이주 여성에 대해서, 3.3에서는 국제결혼 가정 자녀에 대해서 현재 민・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한국어 교육 관련 지원 상황들을 살펴보고, 아직도 열악한 학습 환경과 교육의 비전문성, 수업 받기 어려운 현실적 상황 등을 점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래 한국어교육계의 역할은 첫째, 민족적이고 문화적인 배타성을 완화시키기 위해 한국어와 다문화 교육을 병행하고, 내국인에게도 다문화주의 의식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한다. 둘째, 국제결혼가정 자녀를 위한 이중 언어 학습 환경을 지원하여, 이들 자녀들을 국제적 인재로 성장 시킬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셋째, 각 부처 기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 문화 체험, 생활 정보제공 프로그램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부처 간 협력 교육 사업을 범정부 차원에서 운영해 나가야 한다. 넷째, 다문화 가정의 교육을 위해서는 한국어만 사용하는 집합교육뿐 아니라, 학습자 언어권을 고려한 교육 방송 프로그램과 방송교육용 교재를 연구 개발해야한다. 이 글에서는 불법 외국인 근로자 자녀 문제를 다루지 않고 있는데, 이들 자녀들도 학교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계의 전문적이고도 자발적인 참여가 남은 과제라 하겠다.

      • KCI등재

        베트남 유학생 유치의 효율적 방안

        조항록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7 언어와 문화 Vol.13 No.4

        Recent years, one of the biggest featur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is the diversifi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Chinese students, who have been possessing about 60 percent of the whole foreign students since 2000, were decreasing continuously between the year of 2012 to 2015. Besides, during this period the Vietnamese students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This has a great influenc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s, it required to provide a stable and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e Vietnamese students and make them possible to achieve their goals through studying in Korea. ‘Learner-centeredness’ is the most important for successful education to Vietnamese students. In this paper, I will observ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flow of the Vietnamese students from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I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targeting Vietnamese students in Korea for two years(2015 and 2016). The number of Vietnamese students is 123 in 2015 and 106 in 2016. I analyzed Vietnamese students’ needs for making better studying and living conditions for Vietnamese students’ in Korea. Following to this, I suggested some ways to maintain attracting Vietnamese students into Korea from the base of the survey’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