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이온교환섬유를 이용한 수중 5가 비소 이온 제거 및 회수

        이승찬 ( Seungchan Lee ),김재현 ( Jaehyun Kim ),강진규 ( Jinkyu Kang ),심은혜 ( Eunhye Sim ),김성배 ( Songbae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본 연구에서는 세 종류의 음이온교환섬유 (KC31, SA, SA2)를 이용하여 수중 5가 비소 이온 (As(V))을 제거하고 이를 회수하였다. 음이온교환섬유의 수중 5가 비소 제거에 있어 pH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10 mg As(V)/L 비소용액의 pH를 0.1 M HCl과 0.1 M NaOH를 이용하여 2 - 12의 범위로 조절한 후 회분실험을 수행하여 pH에 따른 각 섬유의 수중 비소 제거능을 평가하였다. 비소가 흡착된 이온교환섬유의 재생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0.1 M NaCl 용액을 이용하여 재생을 수행하였으며 재생과정에서 탈착된 비소 이온을 회수하기 위하여 탈착용액에 다양한 농도와 pH의 FeCl<sub>3</sub> 용액을 적용하여 회수를 수행하였다. 용액 내 비소 이온의 농도는 ICP-AES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pH 실험결과, KC31의 경우 pH 4에서 제거능이 9.480 mg/g으로 가장 높으며, SA와 SA2의 경우 pH 10에서 제거능이 각각 9.753 mg/g, 8.419 mg/g으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재생 전후의 비소 농도 측정을 통하여 0.1 M NaCl로 재생 시 KC31과 SA2의 경우 100 %, SA의 경우 77 %의 탈착효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회수 실험 결과 비소 이온과 3가 철의 몰 비 1 : 6, pH 5 조건에서 침전물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리섬유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를 통해 침전물을 회수할 수 있었다. 침전-여과를 통해 회수한 후의 남은 수용액의 비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 탈착되었던 비소 이온이 모두 고체 형태로 회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금(金) 정광(精鑛)내의 비소(砒素)(As) 제거(除去) 및 회수(回收)에 관한 연구(硏究)

        류경근,신선명,박제현,최의규,왕제필,Yoo, Kyoungkeun,Shin, Shun-Myung,Park, Jay Hyun,Choi, Ui Kyu,Wang, Jei-Pil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4

        열분해법(thermal decomposition method)을 이용하여 금 정광으로부터 비소를 제거하기 위해 $700^{\circ}C$에서 반응시간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금 정광으로부터 휘발된 비소는 bag-filter를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정광중의 비소 함량은 $700^{\circ}C$에서 1시간 소성한 결과 12.62 wt.%에서 1.40 wt.%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2시간 이후부터는 1 wt.%이하로 감소하여 대략 95%의 비소 제거율을 보였다. A study on the removal of arsenic from gold concentrate was conducted using thermal decomposition method at $700^{\circ}C$ as a function of reaction time. In addition, the arsenic removed from the concentrate was also collected in the bag-filter as a form of AsS. The content of arsenic in the concentrate was dramatically decreased from 12.62 wt/% to 1.40 wt.% for 1 hour and even lower than 1 wt.% after two hours. The removal efficiency of arsenic was finally achieved to be about 95% after 2 hours at a given temp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