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난민면접 조작(허위작성) 사건’을 통해 확인한 한국 난민심사 제도운영의 문제점과 사건 문제제기 과정의 기록

        김연주 ( Kim Yeonju )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20 공익과 인권 Vol.20 No.-

        2015년 법무부는 난민심사가 진행되는 전국의 사무소에 난민신청자의 신청을 “신속· 집중·일반·정밀”의 네 가지로 분류하도록 하는 지침을 운영하면서, ‘신속’으로 분류된 심사 대상자에 대해서는 면접을 1-2시간 이내로 간이하게 실시, 사실조사 생략, 7일 이내(최대 14일 이내) 처리, 신속심사 적용대상에 대한 처리비율을 40%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등의 지시를 내렸다. 이 신속심사로 분류된 대상자 가운데, 서울출입국·외국인청에서 난민신청을 한 아랍권 난민신청자 다수의 난민면접조서가 심각하게 조작된 사실이 드러났다. 피해자들의 난민면접조서에는 ‘난민신청을 하면 합법적으로 한국에서 체류하면서 일을 할 수 있어 난민신청을 하였고, 난민신청서에 기재된 난민신청 사유는 모두 거짓이며, 언제든지 본국으로 돌아갈 수 있다’라는 내용들이 거의 복사한 수준으로 유사하게 적혀 있었고, 난민불인정결정통지서와 함께 수령한 난민불인정사유서에는 난민불인정결정을 내린 사유로 “취업목적”이라고 적혀 있었다. 또한 피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이들의 난민면접은 약 20-30분 정도로 졸속으로 진행되었고, 피해자들에게 제대로 발언할 기회도 제공되지 않았으며, 피해자들의 진술이 어떻게 면접조서에 기재되었는지 확인하는 절차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그리고 밝혀진 피해사례 모두에서 난민법상의 녹음 또는 녹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서울행정법원과 서울고등법원은 판결에서 “난민면접이 형해화될 정도로 졸속으로 이루어진” 사실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난민면접을 기초로 하여 내린 난민불인정결정은 “중대한 절차적 하자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피해자들은 2018년 7월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하였고, 법무부는 이 사건에 대하여 문제가 제기되자 내부적으로 942건을 전수조사하여 55건의 난민불인정결정에 조작이 있었다고 인정해 직권취소하였다. 아울러 난민전문통역인의 결격사유 등을 조사해 위촉과정과 교육을 재정비하고, 난민업무 담당자 역량강화 교육을 확대하며, 난민업무 담당자를 신규채용하고, 2018년 7월부터는 전국 난민심사 거점사무소에서 난민면접 과정 녹음·녹화를 전면 실시하는 조치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직권취소의 대상이 되지 않은 피해자들이 발견되고, 피해자들에 대한 피해회복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이 사건의 책임자에 대한 어떠한 징계 및 처벌 등의 조치도 진행되지 않는 등 법무부의 미온적인 태도가 이어지자 피해 당사자들은 2019년 6월 피해자 증언대회를 열었다. 증언대회를 통해 다수의 언론이 이 사건을 다시 이슈화하였고, 대한변호사협회는 법무부를 방문해 난민 면접조서를 허위로 작성한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 및 재발방지 의견서를 전달했다. 이에 따라 2019년 7월 법무부는 이 사건에 관련한 담당자에 대해 내부 감찰을 진행하여 중앙징계위원회에 중징계조치를 요구했다. 아울러 2020년 2월 피해자 피해 회복 조치로서 “신속심사가 지시되었던 2015년 9월부터, 난민면접 녹음·녹화를 전면 의무화한 2018년 7월 전까지 아랍어로 난민심사가 진행된 난민신청자 전원에게 다시 난민신청의 기회를 부여하는” 내용의 재심사 방침을 시행하였다. ‘난민면접 조작(허위작성) 사건’은 처음에는 특정 통역인이 허위로 통역을 진행한 사건인 양문제제기가 되었지만, 사건의 전말을 밝혀가는 과정에서 법무부가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 및「난민법」에 위배되는 신속심사를 지시하고, 이를 무리하게 이행하며 발생한 구조적인 문제임이 드러났다. 또한 난민심사과정에서 난민심사 녹음·녹화, 변호사 조력 등 난민신청자의 권리보장 방안이 미흡한 문제, 난민심사를 담당하는 공무원의 자격요건과 책임의 문제, 난민전문통역인의 부실한 선발 및 교육과정의 문제, 난민심사의 인적·물적 역량이 부족한 문제, 난민면접조서·난민불인정사유서 등 난민심사의 공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문서가 한국어로만 제공되는 문제 등 난민심사과정 전반의 전문성·공정성·투명성 결여가 여실히 반영되어 나타난 사건이라는 점에서도 시사점이 매우 크다. 본 글에서는 ‘난민면접 조작(허위작성) 사건’을 통해 드러난 난민심사제도의 현황을 진단하고, 책임자 징계·피해회복 방안·일부 난민심사제도 개선 등 이 사건의 수습을 위하여 법무부의 움직임을 이끌어 낸 과정을 기록해 본다. 그리고 그간의 과정을 기록함으로써 ‘난민면접 조작(허위작성) 사건’의 해결과 인권의 회복을 위하여 여전히 남아있는 과제에 대하여, 향후 활동 목표와 그 방향을 잡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In 2017,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terview records of many Arabic refugee applicants who had applied for refugee recognition at the Seoul Immigration Office had been fabricated. The majority were interview records of refugee applicants from Arabic-speaking countries such as Egypt, Sudan, Morocco, Libya who had applied for refugee recognition from 2015 to 2016; all the record had the signature of the same interpreter at the bottom. According to the victims, not only were their interviews for refugee recognition done in haste, typically within 20 to 30 minutes, but also they were given no opportunity to fully elaborate on their case and review how their testimony w as i ncorporated i nto the i nterview r ecord. D espite t he R efugee A ct, not a s ingle victim could have their interview audio-recorded or video-taped. The extent of fabrication was quite severe. The record of each of the refugee applicants contained surprisingly similar questions and answers in response to: “Did you actually experience what you wrote in your refugee application?” “No, I did not, I got th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Is what you wrote in your refugee application true?” “No, it is not.” “Why did you apply for refugee recognition?” “To stay in Korea for work.” “Will you face any persecution or danger if you return to your home country?” “No, I will not.” After a fabricated refugee recognition interview, each victim was handed a Notice of Denial letter, written in Korean, that read “this applicant does not qualify as a refugee because he/she came to Korea for economic reasons.” The victims appealed to the Ministry of Justice after the initial denial, only to receive the same denial letter after a long wait, and later initiated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v ictims were not aware that their interview records had been f abricated until recently. A handful of them who received legal assistance during the litigation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ir records had been fabricated―only then did this fabrication issue come to light. There may be other refugee applicants not even aware of t he f act t hat t heir i nterview records h ad b een f abricated d ue t o l ack o f l egal assistance. In two court cases, both the Seoul Administrative Court and the Seoul High Court recognized that “refugee recognition interviews were done in such an abrupt manner that they became almost meaningless,” and decided that any determination on refugee recognition made on the basis of such interviews “were procedurally defective.” In July 2018, NANCEN Refugee Rights Center and the Dongcheon Foundation submitted a complaint to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nd the Ministry revealed in a press release in September 2018 that they had cancelled denial of refugee status on 55 victims. In addition, measures were taken since July 2018 to inspect appointment and education of refugee interpreters, expand education of refugee affairs, hire new officers for refugee affairs, and conduct full-scale recording of refugee interviews nationwide. But none of the officers implicated in this incident were penalized, and all of them still remain in their posts at the Immigration Office. This issue was first disclosed two years ago, but no remedy has been provided to most of the victims. Hence the victims held a rally with NANCEN Refugee Rights Center in June 2019 to raise accusations on the Justice Ministry's lukewarm attitude. The case was widely covered by a number of media, and the Korean Bar Association visited the Ministry of Justice and delivered their opinion on the ‘cases of fabricated refugee interview’. Accordingly, in July 2019, the Ministry of Justice conducted an internal inspection of those involved in the case and demanded heavy disciplinary action from the Central Disciplinary Commission. In addition, as a measure to recover victims' damages, in February 2020 Ministy of Justice implemented a review policy that all refugee applicants who had been screened in Arabic from September 2015, when the expedited screening policy was ordered, to July 2018, when recording of refugee interviews became mandatory, will be given opportunity to apply for refugee status again. When this incident first surfaced, the Ministry of Justice attempted to place all the blame on the implicated officers and the interpreters. However, what the press disclosed was contradictory to what the Justice Ministry had f irst c laimed: three officers were involved in this incident, and the 55 cases were aftermath of the expedited screening policy implemented in lieu of the Ministry’s Asylum Backlog Reduction Task Force since 2015. It is thus more than apparent that the Ministry of Justice has systematically been involved in fabrication of the records. In short, the Ministry of Justice is in fact creating the illusion of ‘fake refugees’ and ‘refugee recognition applicants who exploit the Refugee Act’. In addition, there remains insufficient protection of rights of refugee applicants, namely lack of recording of refugee screening and legal assistance, inadequate qualification and responsibility of officers in charge of refugee screening, questionable appointment and curriculum of refugee interpreters, lack of personnel and support system for refugee screening, and the fact that in general even the most basic documents such as refugee interview reports and refugee recognition documents are only provided in Korean. In this article, diagnosis of the status of the refugee screening system in Korea will be implemented through review of the ‘cases of fabricated refugee interview’ and records of civil campaign against the Ministry of Justice for their resolution.

      • KCI등재

        난민심사절차에서의 채증 및 심리에 대한 개관 및 한국에의 시사점 -신빙성 개념을 중심으로

        강우현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3

        The Refugee Status Determination (RSD) Process is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erson coming from another State is in danger of being persecuted in that State, often without any material evidence whatsoever. The peculiarities of RSD mean that a systematic method of evaluating the credibility of the testimony of the asylum-seeker, as well as the ability to examine each case from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is needed. The leading States in this field have in fact are trying to stop the credibility assessment from becoming simply an intuitive process based on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asylum-seeker, thoroughly examining the logic behind the acceptance or denial of credibility. Korea has tried its best to apply jurisprudence established in the leading nations to its own RSD process, but cannot escape the criticism that it in fact has relied on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asylum-seeker when judging whether he or she actually is a refugee. In particular, the Korean court’s stance toward credibility assessment, emphasizing external factors irrelevant to the facts of the case itself, such as the time of application or the mixture of economic motives, has the danger of corrupting the overall RSD process. This paper aims to address the key issue of credibility assessment by looking into the jurisprudence that ha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in regards to preventing the process from becoming a mere assessment of impression and evaluate the practice of Korean courts on the premise that most of the jurisprudence mentioned above are actually standards to evaluate whether Korea is actually fulfilling the duty to protect human rights. 난민심사절차는 별다른 물적 증거가 없는 상황에서 타국에서 온 이가 그 타국에서 실제로 박해를 받을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로서, 그 특성상 난민신청자의 진술에 대한 존중, 난민신청자의 관점에서 사건을 미래지향적으로 바라보는 능력과 더불어 진술의 신빙성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하다. 실제로 난민문제를 선도하여 온 국가들은 신빙성을 “난민신청자 본인이 얼마나 믿음직한지”의 문제로 포괄적으로 바라보는 것을 벗어나, 단순히 “난민신청자의 난민 요건에 관한 진술이 신빙할 만한지”의 문제임을 인식함으로써 난민심사절차가 개인에 대한 인상평가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난민신청자의 유관 진술의 신빙성을 기각하거나 보강하는데 주로 활용되는 논거의 타당성을 계속 검토하고, 외적으로 그 신빙성을 보강하거나 기각하는 방법으로 국가상황정보의 활용에 대한 방법론을 지속 정립하여 왔다. 대한민국은 난민문제에 관한 한 후발국가로서, 나름대로 난민신청자 본인의 진술의 신빙성을 평가하기 위한 서구의 법리들을 수입하여 왔으나, 실제 실행에 있어서는 난민신청자 개인에 대한 인상평가에 의존하여 난민 여부를 판단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난민신청자의 신청의 시기라거나 경제적 동기의 혼재 등 박해의 객관적인 위험과 관련된 이유와 실질적으로 무관한 점들을 중시하는 법원의 태도는 난민면접절차의 형해화 및 전체적인 난민심사절차의 형식화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피하기 위해 여타 선도국가들이 난민심사절차에서의 채증 및 심리에 대해 발전시킨 법리를 고찰한 후, 이들 법리 중 상당수가 대한민국의 인권보호의무 판단의 한 기준이 되었음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한국 법원의 실행을 평가하여 보기로 한다.

      • KCI등재

        한국에서의 난민여성의 삶과 인권

        송효진,김소영,이인선,한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8 이화젠더법학 Vol.10 No.3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refugee act in 2013, the number of women refugees has fundamentally increased, at the same time, the refugees in korea showed a growth in its amount. Among the population of refugees, only males make their voices, not females. By doing so, refugee women could not reveal how vulnerable they are in Korea. It makes them unable to receive timely protection from the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refugee women staying in Korea to grasp the status of their human rights and reflect their voices and desire, finally analyzing refugee-related law in terms of gender perspective.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s and legal improvement methods in order to develop better treatment for refugee women in Korea. In such context, it is indispensable to add some regulations for refugee women when they are on a process for their legal status to be determined under the current refugee law considering varied situations refugee women have. It is because there is the first priority for some groups such as pregnant women or people accompanying children who must be provided with proper space and nutrition. Ultimately, this paper strongly argues importing further gender consideration into refugee law and policy, especially toward refugee women.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난민여성의 삶과 인권 상황을 파악하고 그들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국에 체류 중인 난민여성(난민신청자, 인도적 체류자, 난민인정자) 21명에 대한 심층면접조사 및 그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난민여성의 인권을 젠더박해와 난민인정, 입국과정과 난민신청절차에서의 여성 인권 보호, 생활정착과정에서의 여성 인권이라는 세 차원에서 파악하고 이들 영역을 난민여성의 인권 실태 연구의 범위에 포함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민사유와 그에 대한 인정과정에서 젠더 차별적 양상이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국가나 공동체의 묵인 하에 성폭력 등에 노출되면서 난민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민인정 심사과정, 절차에서 성인지적 관점의 결여, 부족으로 인해 제기되는 인권의 문제들이 발견돼 절차상의 개선이 요구되었다. 또한 트라우마나, 임신 등 여성으로서 경험한 피해나 건강 상황에 대한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등 어려움도 발견되었다. 난민여성은 난민과 여성이라는이중적인 불리함을 경험하며, 특히 어린 자녀가 있어 돌봄과 자립을 함께 해야 하는 경우 생계와 자립, 자원에의 접근성과 한국사회로의 통합에서 훨씬 더 취약하다. 심층면접 결과 한국 내난민여성들은 한국사회에서 ‘난민’과 ‘여성’, 그리고 ‘인종’의 다중적인 차별을 경험하고 있었다. 최근 다년간 한국사회는 결혼이주 여성과 이주 노동자의 증가로 점차 다문화적인 사회로변화되어 왔으나, 난민 사유로 인한 이주에 대한 이해와 수용은 아직 많이 미흡하다. 생명을위협하는 박해와 인권침해를 피해 본국을 떠나온 난민의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개선이 필요하며, 난민 여성들이 한국사회에서 자립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성인지적 관점의 정책적 지원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