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와 활동 집단의 특성 그리고 활동 만족도의 관계

        진은설 ( Eun Seol Jin ),임영식 ( Young Sik L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와 활동 집단의 특성이 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활동 집단의 특성으로 청소년과 지도자 간의 상호작용, 집단응집력이 청소년활동의 참여동기와 활동의 만족도 사이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청소년수련시설 소속 청소년운영위원회 2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과 지도자 간의 상호작용, 집단응집력 모두 청소년활동 동기와 활동 만족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지만, 두 변인 모두 유의미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활동 집단의 특성은 청소년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며, 특히 청소년 개인의 활동 참여동기와 활동만족도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어, 활동현장에서 지도자와 청소년의 상호작용과 집단응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participating motivation and group characteristics on youth activity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level of youth activity,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roles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n group cohesion and interaction between youth and youth worker as character of group activity or not, between participating motivation of youth activity and its level of satisfaction. There are 215 youths who has been subjected on this study. The data were verified wit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ere are the effects of mediation by the interaction between youth and the worker, and group cohesion. However, the effect of moderation is not significant by interaction between youth and youth worker, and group cohesion. But,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t factor that group characteristics give the positive effects for satisfaction level of youth activities. Specially, group characteristics play important role of mediating between participating motivation of youth activity and its level of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 for increasing group cohesion and interaction between youth and youth worker in youth activities` fields.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Youth Activities for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 Lee Hae Gyoung ),( Son Jin Hee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4

        목적: 청소년활동현장을 탐색하여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추진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시설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관련학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청소년지도자 300명에게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청소년활동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PA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결론: 첫째, 청소년활동현장이 고교학점제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전문지도자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다음으로는 “다양한 활동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효율적 활동환경구축”, “타 기관 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 청소년활동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것은 “전문지도자 활용”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진로활동 내실화”, “청소년활동 중심으로 수업 개선”, “효율적 활동환경 구축”,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운영”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요도가 높지만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중점개선 영역에는 “다양한 활동개설”, “타 기관 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이 포함되었다. 고교학점제를 위해 중요한 요소이면서 청소년활동현장에서 충분히 실행되고 있는 유지강화영역에는 “다양한 활동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지역 기관 및 단체를 활용한 수업 운영”, “전문지도자 활용”, “효율적 활동환경 구축”이 있었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점진개선영역에는 “희망 활동 수요에 대한 사전 조사”, “과정중심평가 활성화”가 포함되었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가 높은 지속유지 영역에는 “개설 활동에 대해 청소년이 직접 신청”, “청소년활동 중심으로의 수업 개선”이 있었다. Purpose: We propose a promotion plan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ploring youth activities. Methodology: To this e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confirmed to 300 youth leaders and prospective youth leaders majoring in youth-related stud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IPA technique. Findings: First, it is most important to use professional youth workers to successfully prepar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youth activity field. Next, various activities, online joint curriculum operation,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establishment, and joint curriculum operation linked to other institutions were considered important. Second,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what is being implemented in the youth activity field to introdu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the use of professional lead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areer activities were internalized, classes were improved,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was established, and online joint curriculum was operated, focusing on youth activities. Third, looking at the IPA analysis results, opening various activities and operating other institutions-linked joint curriculum were included in the areas of key improvement that were important but not implemented. Areas of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re fully implemented in youth activities, included opening various activities, operating classes using loc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using professional youth workers, and building an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The areas of gradual improvement, where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low, included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demand for desired activities and activation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In the areas of maintenance, which are low in importance but high in performance, there were Youth directly apply for opening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classes centered on youth activities.

      • KCI등재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참여활동이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동진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2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8 No.4

        배경: 본 연구는 청소년정책참여에 있어서 청소년들의 정책인지도 제고를 위해 청소년활동과 관련된 청소년의 시설이용경험, 참여활동,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모색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의 관계에서 참여활동의 매개효과와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2018 청소년활동 참여실태조사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에 이르는 청소년 9,041명의 데이터를 SPSS 27.0과 SPSS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은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의 관계를 참여활동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참여활동의 관계를 청소년활동 지원정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의 관계에 있어서 청소년활동 지원정도는 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 제고를 위해서는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 참여활동의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청소년활동에 대한 가정, 지역사회 등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박가나 ( Ga Na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7 시민교육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최근 우리사회에서 다양한 영역으로 외연이 확대되어 가고 있는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해 청소년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현행 청소년 참여활동에 대한 인지도, 청소년 참여활동 전반에 대한 인식 그리고 자신이 직접 경험한 참여활동에 대한 평가와 관련하여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534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행 참여활동 목록 대부분에 대해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는 등 청소년들은 실제 참여활동에 대해 잘 알고 있지 못했고, 참여경험을 묻는 질문에도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 외의 참여활동에는 경험이 많지 않아 참여 경험이 특정한 활동에 편중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응답경향은 성적, 성별, 사회과의 흥미 등 청소년들의 배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성적이 높을수록, 사회과에 대한 흥미가 높을수록 그리고 여학생이 참여활동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후 만족도에 있어서도 참여 동기나 기간, 참여과정 중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청소년 참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에게 참여활동에 대한 접근 기회를 늘릴 수 있는 지지기반의 확대와 다양성 확보 노력이 더욱 요구되며 이와 함께 그 활동이 청소년들의 실제 욕구와 생활을 반영한 의미 있는 것이 될 수 있도록 활동 내용의 내실화를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youth`s perception of ``youth participation`` 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it in Korea, in order to propose better strategies for youth participation. For this study, 534 youth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provided concrete statements about ``youth participation`` and questions about their own participation experienc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Youth didn`t know well about current youth participation catalogues in Korea. Respondents only exceeded a majority on 4 of 12 youth`s activities. and youth`s experiences also incline to service learning activity which conducted in school and community. Second, Youth mostly were unhappy with their own experiences. Many of them think that they didn`t have time enough to take an active part for satisfaction, and didn`t exercise their empowerment sufficiently. But, Youth think that youth participation activity is important and need to both youth oneself and our society. and many have expressed intent participate these activities in the futu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o activated youth participation, we have to provide more chances for an easily access. We should be prepared to appropriately programs to youth`s needs and youth`s problems.

      • KCI등재후보

        청소년활동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주계순,권일남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8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중학교2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까지 청소년활동만족도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에 청소년활동의 종단적 효과를 확인하고 청소년활동 현장에서의 실천방안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에 복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2011년부터 2014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자는 2011년 중학교 2학년, 2280명이다.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만족도와 공동체의식, 학교적응은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하였으나 변화의 정도에는 개인차가 있었다. 초기에 공동체의식은 청소년활동만족도와 학교적응에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었고 성장과정에서는 공동체의식변화율이 청소년활동변화율과 학교적응변화율에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청소년활동으로 얻은 만족감이 공동체의식의 함양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가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게 되는 연속적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남녀의 성차를 비교한 결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가 청소년활동만족도와 학교적응에 영향을 주는 과정은 동일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성장과 변화에는 남녀에 관계없이 청소년활동만족도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직접적 관계보다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통해 학교적응으로 변화하는 성숙의 단계적 과정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확실하게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는 청소년활동만족을 통한 공동체의식의 함양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제도적 개선과 프로그램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정책의 지속적 성과를 이룰 청소년단체의 새로운 출구전략

        권일남 ( Kwon Il-nam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6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2 No.1

        청소년정책은 청소년기본법의 제정 이후 커다란 발전을 이루어 왔고 이 법을 근간으로 청소년시설, 청소년활동, 청소년상담 등 독자적 영역을 개척하여 청소년들의 성장과 적응에 지대한 공헌을 해 왔다. 특히 청소년단체는 청소년관련법의 가장 큰 수혜자로 출발하였으나 이후 정책의 관심에서 멀어지면서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한 관심과 조명을 받아 왔다. 하지만 청소년단체활동이 청ㅇ소년의 인성교육 증대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는 관점에서 청소년단체를 발전시키고 정잭적 지원을 확대하는 새로운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청소년관련법에서 다소 소홀히 여겨져 온 청소년단체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관점에서 청소년단체 활동도 과학화, 창의적 특성, 기록체계의 안정화 등을 이루고 각 단체마다 특화된 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의 성장에 크게 기여하는 자발적 노력을 강구해야 하는 협력적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요청하고 있다. Youth policy has made a significant development since the enactment of the Youth Basic Law. Youth facilities, youth activities, youth counseling parts has significant pioneered a unique area for grow and adapt of youth. Also, youth groups have also gained great benefit from early youth related laws. But, the support of the policy for youth organizations has lost and struggling for survival in recently. Youth group activities are highly effective to youth personal development. So, we should endeavor to develop the youth organizations However, youth organizations should also make an effort to lead change themselves. For example, scientific activities, creative programs, specific effort and structured system of record. are needed every youth organizations at this point.

      • KCI등재

        청소년활동의 사회적 가치 연구

        최용환 ( Yong Hwan Choi ),김보경 ( Bo Kyung Kim ),성유리 ( Yoo Ri Seong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청소년활동을 통해 내면화하고 체득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가 무엇인지 규정하고, 실제로 청소년활동의 경험들이 청소년의 사회적 가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청소년활동을 통해 청소년이 체득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먼저, 사회적 가치에 대한 개념, 관련 연구의 결과 및 현재 추진 중인 공공정책의 시사점을 고찰하여 청소년활동을 통해 청소년이 체득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 10요소를 조작적 정의하였다. 청소년활동도 현장의 특성을 반영해 9가지의 광의의 활동으로 조작적 정의하였다. 이 후 청소년활동에 따른 청소년의 사회적 가치 인식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이중차분모형과 행동실험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가치 함양을 위한 전문가의 의견으로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중차분모형을 이용하여 청소년활동의 경험여부가 청소년들의 사회적 가치변화에 미치는 순효과를 추정한 결과, 청소년활동을 경험한 청소년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청소년들이 체감하는 인권, 사회통합, 윤리평등, 의사결정참여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불확실해 사회적 가치 중 공동체 인식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독재자 게임을 이용하여 공동체의식의 변화에 대한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행동실험에 대한 패널고정효과 분석결과, 청소년활동의 경험은 공동체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오히려 배려심이 강한 청소년들이 주로 청소년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의견조사에서는 안전, 인권, 의사결정, 사회통합 요소가 청소년이 우선적으로 체득해야할 중요한 사회적 가치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 때, 청소년활동의 경험에 따른 청소년들의 사회적 가치변화가 인권, 사회통합, 윤리평등, 의사결정참여 인식제고에 효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이는 교내 중심의 활동 및 교과적 수준의 인지도 제고의 성과로 제한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defines what social values adolescents can internalize and acquire through youth activities, and how their experiences actually affect the changes in their social values. Unfortunately, no previous study in the literature directly identified the social value of youth activities. This study considered the concept of social value, consequences of relevant research, implications of the current public policy, and newly defined it. As the plan to enhance social values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in the country, the social value of youth activities has been reviewed based on the “Study on Social Value for Implementing an Inclusive Societ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in 2019. First, in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estimated the net effect of the youth activities on social value changes in adolescents through the difference in difference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differences model has the advantage of making it possible to calculate the pure effects of social value changes based on the experience of youth activities, because it eliminates the maturation effect and intergroup difference effect in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show that the youth group who experienced youth activitie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awareness on human rights, social integration, ethical equality, and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than those who did not. However, the expected development of a sense of community through youth activities could not be statistically confirmed. Among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school-related activities such as free semester activities had the greatest impact on social values. The study also conducted a further analysis of changes in the sense of community using the dictator game, which is widely used in experimental economics, as the possibility cannot be excluded that the uncertain concept of community may have contributed to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adolescen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youth activities tended to show a greater quality of considerateness or thoughtfulness. Overall, it was shown that changes in social values due to youth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awareness of human rights, social integration, ethical equality, and decision-making, but this was limited to achievements through school-oriented activities and raising educational awarenes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청소년 활동과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조현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통해 청소년활동과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역량 중심의 청소년활동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textom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 청소년+역량, 청소년+활동+역량을 검색어로 하여 온라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두 번의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단어빈도를 바탕으로 상위 키워드 50개를 선정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위해서 상위 키워드를 매트릭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청소년 활동에 관한 사회적인 인식에는 봉사활동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봉사활동과 연구가 청소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밀접한 요인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으로서 봉사활동과 관련된 연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 역량의 빈도분석 결과, 청소년, 연구, 지원, 프로그램, 역량, 교육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에고 네트웍크 시각화에서는 교육과 프로그램이 청소년 역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색어였던 청소년과 역량 키워드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청소년 역량과 관련해서는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춘 역량교육을 중요한 키워드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 활동, 역량을 모두 고려할 때, 사회적인 인식은 역량개발, 프로그램요소, 청소년 연구주제, 활성화의 4가지 토픽으로 대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중심의 청소년 활동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단체활동 경력과 교사의 지도성 유형이 청소년의 단체활동 효과 지각에 미치는 영향

        임성택,김진호 한국청소년학회 2006 청소년학연구 Vol.13 No.5-1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time in youth group activities, teachers' leadership styles, and satisfaction with youth group activities on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Satisfaction with youth group activity was set as a variable mediating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time in youth group activities and teachers' leadership styles on the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404 sixth graders were asked to respond the questionnaires constructed to measure various variables of the stud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8.30, the study found that participation time in youth group activities did not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atisfaction with and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However, both type of teachers' leadership, which consisted of task-oriented and human-oriented leaderships showed the positive direct effects on satisfaction with and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In addition, teachers' leadership had the indirect effects on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through the mediate variable, satisfaction with youth group activities. All these findings imply that teachers' leadership style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outcomes of youth group activities, even when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time in youth group activities were controlled. Finally, More implications of findings were presented for youth group leaders and youth policy makers. 본 연구는 청소년단체 지도교사의 지도성유형과 청소년들의 단체활동 참여기간, 청소년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가정하고, 이들 변수들간의 인과구조를 확인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청소년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청소년단체활동 참여기간과 지도교사의 지도성유형이 단체활동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매개변수의 역할을 할 것으로 가정되었으며, 청소년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가지는 영향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청소년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는 초등학생 404명이었다. 자료는 Lisrel 8.30을 통해 분석되었다. 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단체활동 참여기간은 청소년의 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단체 지도교사의 지도성유형은 청소년의 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업중심 지도성과 인화중심 지도성은 모두 청소년의 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각각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단체 지도교사의 지도성유형은 청소년단체활동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청소년단체활동의 효과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단체활동 참여기간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단체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단체활동의 효과는 청소년의 단체활동 참여기간과는 관계없이 청소년단체 지도교사가 과업중심 지도성과 인화중심 지도성을 발휘할수록 높아진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들이 갖는 의의와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 문화활동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 칠곡군 청소년을 대상으로

        장승옥,한선혁 한국청소년학회 2004 청소년학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ng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self-esteem and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activating cultural activities in working with adolescents. The major findings of survey data from 34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Chilgok-gun, Kyongbuk were as following: First, adolescents in Chilgok-Gun need to be provided more various opportunities of leisure activities. They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indirect cultural activities such as watching movie, participating in cultural festivals, or reading and writing written materials and in direct activities like computer games, sports, or visiting cultural sites. Second, participating in both indirect and direct cultural activities showed close correlations with self-esteem index scores. Participating in direct activities were more likely to be related with self-esteem scores than participating in indirect activities and participating more in cultural activities was also related to higher level of self-esteem. Third, participating in juveniles’ cultural activiti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b areas of self-esteem composed of general self, social self, school self but not with domestic self. In spite of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should participate and play a leading role in developing cultural activities which will influence enhancing their self-esteem. More need to be done in research of developing and putting in operation of various cultural programs according to adolescent's need. 본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화활동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탐색하고, 청소년 복지의 한 영역으로서 청소년 문화활동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3년 8월 경북 칠곡군에 거주하는 중․고생 3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칠곡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은 전반적인 문화활동의 참여 기회가 부족했으며, 간접 문화활동 중에서는 영화관람이나 문화축제 참여, 문학작품 감상에, 직접 문화활동 중에서는 컴퓨터 게임, 문화탐방, 스포츠 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은 간접 문화활동과 직접 문화활동 모두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직접 문화활동이 간접 문화활동보다 더 높은 관련성을 보이며 여가활동에 참여정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문화활동 참여는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제외한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에서 모두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 문화활동을 청소년 성장에 필요한 청소년 복지의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청소년이 주도하여 참여할 수 있는 청소년 문화활동 특히 자아존중감과 관계가 높게 나타난 활동들을 탐색하여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문화지원 서비스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