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의 이념적 다면성

        오연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4

        In debating on ideological lin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s been simplified too progressive to be a feasible approach. It is a obstacles on general education of social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to be simplified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This mak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more actualization. With two criteria, it is analyzed and is drawn a conception of learner's nature. The criteria are the openness of learner's approach social issues and the value relativism.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s value relativism as it suggest to cooperative inquiry.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s more open its contents and has the value relativism. Though the distinctive feature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is more progressive than that of conservatives,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is some conservativ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prefer feasible publicizing social issues to social and cultural structural problems.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s more narrow contents than other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s a conservative aspect as it surrender to inquire general value, or American Creed. This study has shown that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is a multi-ideological approach with a certain conservative perspectives. Its multi-ideological line is adaptable and feasible in Public school practice.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를 다른 쟁점 중심 사회과의 성격으로 일괄적으로 평가됨으로써, 그 이념적 성격에 대하여 불충분하게 논의되거나, 분석적 논의가 미미하였다.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의 이념적 성격을 단순하게 인식하는 것은 ʻ일반 교육(general education)ʼ으로서의 장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의 이념적 성격을 명료하게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진보주의와 보수주의의 근간이 학습자 본성(leaner's nature)에 대한 관점 차이에서 비롯되며, 이와 연동된 준거들을 도출할 수 있다. 학습자에게 허용되어지거나 제안되는 사회과 교과 내용(subject matter)의 범위와 가치에 대한 상대주의 입장의 유지 정도라는 두 가지 준거로 이념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는 사회적으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쟁점을 다룰 것을 제안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폭넓은 교과 내용을 제안한다. 또한,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는 학습자가 논쟁적 맥락에서 합의된 것을 가치로운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가치 상대주의 관점을 가진다. 이들은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의 진보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는 문화나 사회 구조적 문제보다는 상대적으로 공론화하기 쉬운 사회적 쟁점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확장적인 교과 내용 범위라고 하기 어렵다. 또한,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는 사회적 일반가치들에 대해서는 가치상대주의를 유보하며, 일반 가치의 내면화를 제안하였다. 이들은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의 이념적 보수적 국면이라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는 이념적 다면성을 가지며, 이러한 다면성은 쟁점 중심 사회과가 공교육에서 수용가능성 있는 노선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배영민 ( Yung Min Ba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1

        본 논문은 쟁점 중심 사회과의 전통을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고찰한 문헌 연구다. 이 글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지배적인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에 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네 개의 대표적인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모형을 선정하여 교육과정의 기본 틀과 이론적(철학적)근거 측면에서 이들을 분석한다. 또한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기존의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은 서로 간에 뚜렷한 관련이 없는 역사와 사회과학의 개념, 일반화(이론), 그리고 연구방법 등을 연대기식 또는 백과사전식으로 나열하는 대신에 사회적 쟁점의 탐구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지식과 경험만으로 구성된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학자들은 사회적 쟁점의 탐구를 중심에 두는 사회과 교육과정이 유능한 민주 시민을 양성함으로써 사회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보다 나은 민주 사회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전통적인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은 유능한 민주 시민의 양성이라는 사회과 교육의 목표에 비추어 볼 때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 같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에 관한 담론은 현재 우리 사회의 위기 상황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이 쟁점 중심으로 개편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tradition in term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discourses o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n alternative curriculum paradigm to ``the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dominant in both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elects and analyzes four representative models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constructed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only directly related to social issues inquiry instead of listing the concepts, generalizations or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from history and social sciences chronologically and/or encyclopedically whose relationship is not evident. The proponents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sist tha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rganized around social issues inquiry is able to foster competent democratic citizens who could overcome a social crisis so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realize a better democratic society. The traditional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various limitations considering the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the cultivation of a competent democratic citize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a discourses in this study imply that when we think over the crisis of our country it is necessary to reform our current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o the issues-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의 사회적 구성주의 토대

        오연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1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social studies that the implication of th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representative approach in issues-centered education. There is no general agreement on the implication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in philosophical or ideological position and in classroom practical position. The advocators of issues-centered education tried to prove the outcome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but they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the analytic meaning on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My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educational base of the Public Issue centered social studies through alternative framework. Two research problems were explored with text analysis. First,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constructivism. Secon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fist research problem, it was analyzed to investigate educational foundation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Constructivism had progressive viewpoint, and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d social constructivist foundation as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was suggested to be made a emphasis on individual intellectual process, analysis, and student's choic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was suggested to be manipulated social issues which give rise to conflict in cognitive process. Second,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considered that student has cognitive structure in his mind and that he has capability of a cooperative inquiry in classroom debates. Last,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was suggested to be made a emphasis on context or situatedness in group discussion and its utility on social constructive process in debates. 쟁점 중심 사회과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는 공공 쟁점(public issue) 중심 접근의 본질에 관해 적지 않은 논란이 이어져오고 있다. 철학적․이념적인 입장에서뿐만 아니라 교육 실재의 효과성 면에서 비판과 한계가 제기되어 왔다. 공공 쟁점 중심 접근의 지지자들은 정당화 논거를 개발하고 교육 효과성을 입증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렇지만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분석적으로 드러내는 연구는 간과되어 온 편이다. 본 연구는 대안적인 교육 관점으로서 공공 쟁점 사회과의 교육 기초를 분석적으로 조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에 대안적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구성주의에 주목하면서, 이를 전제로 공공 쟁점 중심 접근의 사회 구성주의적 토대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는 교과 내용으로서 인지적 과정 그 자체를 중시하며, 인지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사회적 쟁점을 다룰 것을 제안하고 있다. 둘째, 학습자는 사회를 이해하는 나름의 선행 지식 구조를 갖고 논쟁의 맥락에서 협동적 탐구를 수행하는 존재로 상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성을 강조하고 수업의 효능성을 사회적 의미 구성과정에 두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의 사회 구성주의적 토대를 강하게 시사하는 것이었다.

      • KCI등재

        쟁점 중심 사회과의 관점에서 본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 미국 사회과 교육계의 논쟁을 중심으로

        이태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2 사회과교육연구 Vol.29 No.3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론자들에게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를 설정하는 일은 난해한 문제이다. 배경 학문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를 질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사회과의 정체성을 둘러싼 논쟁에서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는 더욱 복잡해진다.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를 탐색하는 논의를 보면, 사회과는 ‘단순화된 사회과학’으로 인식되기도 하고, ‘사회과학의 종합’으로 개념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자 간의 단편적인 포섭 관계만으로는 사회과의 고유한 정체성을 말하기 어렵다. 사회과의 역사를 고찰하면, 사회과의 정체성 논의는 사회과학과의 관련을 유지하면서도 시민성 교육이라는 독자적인 교과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방향으로 전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은 시민성 교육에 중점을 두는 사회과를 지탱해 온 대표적인 교육 담론이다. 이들의 논리 속에서 사회과의 정체성이 보다 구체화되고 있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 담론을 검토하면, 사회과가 사회과학과의 공통된 토대를 공유하면서도 인문학 및 비판주의를 포섭하여 그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된다. 본고는 쟁점 중심 사회과의 관점에서 사회과와 사회과학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 구축을 시도한다.

      • KCI등재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원류를 찾아서: Harold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의 설계 및 개발 탐색

        배영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3

        Recently, our social studies educators have shown a renewed interest i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education. Because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ally necessary to cultivate students’ thinking, and moreover achieve the social integration and fair society we all desire now. However, issues-centere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available for secondary schools have not been developed until now. This paper investigates Harold Rugg’s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design and development in terms of the selection, organization, and presentation of contents. Considering the school’s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contribute to solving American problems, Rugg designed and developed his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series based upon both the social needs and the learning theories. It appears that his textbook development model is still effective in developing problem-based issues-centere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today. If we are going to develop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we will learn much from his model. 최근 국내외 사회과 교육학계에서는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학생들의 사고력을 함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통합과 공정사회를 이루는 데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의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쟁점 중심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내용 선정과 조직 그리고 내용 제시 방식의 측면에서 Harold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의 설계와 개발에 관하여 고찰한다. Rugg는 당시에 미국 사회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학교의 사회과 교육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고, 사회적 요구뿐만 아니라 아동의 학습 심리에 부합되게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그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 설계와 개발 모형은 사회문제에 기초한 사회적 쟁점의 탐구가 가능한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오늘날에 적용하기에도 거의 손색이 없다. 우리가 앞으로 쟁점 중심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개발한다고 할 때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 설계 원리와 개발 방식은 눈여겨 볼만하다.

      • KCI등재

        사회과는 ‘정치적’ 쟁점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이태성(Lee, Taeseo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4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정치적 쟁점에 접근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이다. 도덕 혹은 윤리적 차원으로 귀결되어 탐구되는 정치적 영역을 그것으로부터 분리하여 새롭게 개념화하고, 정치적 맥락에 적합한 쟁점 탐구의 대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과에서 쟁점을 다루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사회과에 필요한 쟁점의 의미를‘사회성’‘, 논쟁성’‘, 학문성’차원에서 복합적으로 드러내고, 쟁점에 대한 수용이 고정된 가치 갈등 형태의 정태적 수용에 머물고 있다는 점과, 쟁점에 대한 판단 기준이 Kohlberg식의 인지주의에 치중되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정치가 도덕 및 윤리와 구별되는 지점을 설정하여 탐구 논리의 전향을 도모하였다. 도덕 및 윤리와는 다르게 정치의 영역이 불평등한 관계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이에 따라 정치적 판단이 자유주의 정치 철학을 넘어서야 할 필요성을 논증하였다. 이와 함께, 정치의 본질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정치의 개념이 실증주의 정치학을 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정치적 쟁점의 교육적 수용 논리를 제안하였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 담론의 이론적 토대인 Dewey의 논의에 터하여 정치적인 것의 평가 기준을 민주주의를 실현하는‘마음의 사회화’로 설정하고, 정치적인 것의 실현을 위한 조건으로‘공감적 의사소통을 통한 사회적 지성’의 함양을 강조하였다. 교수·학습의 차원에서는 정치적 쟁점에 대한 탐구 논리를 공적인 것에 대한 숙의 과정으로 구체화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정치적 쟁점을 다루는 사회과 교육이 정치 현실에 대한 이해와 좋은 삶을 향한 교육적 이상을 균형 있게 고려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a new attempt to approach political issues in soci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parate the political domain to be explored as moral or ethical dimensions and to newly conceptualize it, and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search for issues suitable for the political context. To achieve this aim, first of all, the method of dealing with issues in social studies was critically analyzed. The meaning of issues appropriate for social studies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ocial’, ‘controversial’, and ‘disciplinary’dimensions. It was shown that the acceptance of issues remains in the form of a fixed value conflict, and that the criterion for judgment was excessively focused on Kohlberg"s cognitivism of morality. Next, by establishing a point that differentiates politics from morality and ethics, the shift of inquiry logic was pursued. Contrary to morality and ethics, it was revealed that the essence of politics is based on unequal relations, and accordingly, it demonstrated the need for political judgment to move beyond liberal political philosophy. It was argued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politics, the concept of politics needs to go beyond positivism of politics. Finally, the logic of the educational acceptance of political issues was proposed. Based on Dewey"s discussion, which i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education discourse,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political things is set as the ‘socialization of the mind’ that realizes democracy, and the ‘cultivation of social intelligence through empathetic communication’ as a condition for realizing the political things is emphasize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logic of inquiry on political issues was embodied as a process of deliberation on public issue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dealing with political issues has been established so that it can balance understanding of political reality and educational ideals for a good life.

      • KCI등재

        사회과 쟁점중심모형을 적용한 학생주도 지역사회 참여의 가능성 모색

        이윤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with various position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youth policy participation. It raises a problem from the fact that existing youth participation has been conducted at a justifiable level according to a uniform discussion and discussion method. By raising the need for sharing preference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subjects with various positions in the youth policy participation process, it emphasizes the process of identifying and mutually sharing preferences of stakeholder subjects with various positions that have been somewhat neglected in the existing youth participation process. To this end, perspectives and preferences of various stake-holders surrounding youth policy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case of operating a policy participation pilot project based on a local youth council. The importance of decision-making was emphasized by sharing positions of multiple stake-holders. 사회과에서는 시민성 함양을 목표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시민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의 쟁점중심 토의·토론모형 접목한 지역사회 학생 참여 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대부분 학교를 중심으로 실행되어 온 지역사회 참여가 교실을 중심으로 시행되면서 학생들이 현장에서 경험하면서얻는 살아있는 지식에 접근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사회과에서 활용하는 쟁점중심수업을 토대로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에 적용함으로써 학교와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과의 연계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회과에서의 지역사회 참여를 둘러싼 초·중등 교육과정 분석을 토대로 사회과에서의 쟁점중심 수업에서 활용하는 수업 모델을 지자체 지역사회 청소년참여 사업 운영 과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교 중심으로 시행되었던 활동이 지역사회 현장으로 확장되면서 학생들은 보다 적극적으로 자신들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실천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시행하는 학생과 청소년 관련 정책의의사결정에 있어 성인 중심 관점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학생·청소년 대상 정책수요자 중심의 정책 논의가 학교 교실 뿐 아니라 지역사회 전반으로 연장되었을 때 학생들이 공동체 시민으로서의 정체성과 책임감을 더욱 크게 체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 수업과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 간 연계를 통해 동일한 지역 공간을 살아가는 학생과 청소년들이 능동적이고 살아있는 지식 뿐 아니라 기능과 태도까지 함양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다원주의 사회에서 사회과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의 전형으로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 논고

        배영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이 글은 Donald Oliver, James Shaver, 그리고 Fred Newmann이 출간한 법리적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문헌들을 근거로 하여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에 관하여 고찰한다. 이 글의 목적은 법리적 교육과정의 토대가 되는 주요한 논리(이론)적 근거를 상세히 검토함으로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가들은 가치갈등이 불가피한 다원주의 사회의 본질을 고려할 때 중등학교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공공 쟁점에 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내용 선정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비판받아야 할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과의 역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발(내용 선정) 논리에 있어서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이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을 비롯한 여타의 사회과 교육과정과 어떻게 다른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이에 대한 비판을 충분히 수용한다면 다원화된 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을 구축하고자 할 때 본보기로 삼을 만하다. Based upon various research papers on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published by Donald Oliver, James Shaver, and Fred Newmann, this essay reviews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by examining in detail the rationale of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Considering the pluralist nature of the American society,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ists insist that a rational decision-making about public issues should be the criteria for content selection i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pite of some criticism,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social studies because it is a model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It clearly shows that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totally different from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logic of content selectio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is an exemplary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to which we could refer in developing our own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 KCI등재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의 정치적 관심도에 따른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 실천에 대한 인식과‘회피’지향성 분석 - 충청권 소재의 국립대 재학생을 중심으로 -

        오연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5 사회과교육연구 Vol.22 No.4

        As this study researches on Korean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cognition of practice and their role orientation in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depended on their degree of political interest. We try to serve the basic practice of controversial political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This study surveyed the 295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Chungchung, pre-service teacher i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history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on analysis of questionnaire. The first, ‘Lower Political interest group’ has more sensitive cognition about practice of public issues-centered education. The second, ‘Higher Political interest group’ has less orientation of ‘Avoidance’ teachers’ role on a certain public issues-centered discussion than ‘Political interest group’s. To make a conclusion,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political interest might be one of factor for authentic classroom discussion and ‘Lower Political interest group’ has more passive practice of public issues-centered discussion.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의 실천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실천하는 사회과 교사의 정치적 인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을 실천할 것으로 기대되는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정치적 관심에 따라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의 실천 지향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충청권 소재의 두 국립 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교육, 지리교육, 그리고 역사교육을 전공하는 재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 결과, 낮은 정치적 관심도 집단이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 실천의 정치성을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낮은 정치적 관심을 가진 중등 예비 사회과 교사 집단이 높은 정치적 관심 집단보다 일부의 공공쟁점에 대한 토론학습 실천에 대하여 ‘회피’ 역할 경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정치적 관심도가 낮은 중등 사회과 예비교사는 공공쟁점 중심 토론학습에 대하여 위축적인 실천 지향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에 적합한 평가체제 모색 -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즈음하여 -

        배영민(Bae, Yung-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2

        우리의 청소년들이 독자적인 판단력을 갖춘 책임감 있는 민주시민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사회과 수업에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논란이 많은 쟁점을 다루어야 한다. 그런데 중등학교에서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의 실천을 가로막는 주요한 장애물 중의 하나는 평가의 어려움이다. 이 글은 사회적으로 논란이 많은 쟁점을 탐구하는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에 적합한 평가체제를 모색한다. 필자는 먼저, 사회과 교육과정의 설계와 개발을 위해 Ralph Tyler가 제안한 목표 모형의 전통적 평가 방식을 비판한다. 그리고 목표 모형의 대안으로 Lawrence Stenhouse가 제안한 과정 모형의 대안적 평가 방식으로 성취기준 참조 평가(standards-referenced assessment)를 고찰한다. 또한, 대표적인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인 인문학 수업과 법리적 수업에서 시행한 성취기준 참조 평가의 실제를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쟁점 중심 사회과 수업에 적합한 평가체제로서 성취기준 참조 평가제의 도입을 제안한다. In order for our youth to grow into responsible democratic citizens with independent judgment, teachers must address controversial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n social studies classes. However, one major obstacle to the practice of issue-centered social studies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is the difficulty of assessment. This article seeks an appropriate assessment system for issue-centered social studies classes that explore socially controversial issues. First, this study criticized the traditional assessment approach of the objectives model proposed by Ralph Tyler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sidering standards-referenced assessment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approach of the process model proposed by Lawrence Stenhouse as an alternative to the objectives model, this study then discussed the practice of standards-referenced assessment conducted in humanities class and jurisprudence class as representative issue-centered social studies classes. Finally, this study proposed standards-referenced assessment system as an appropriate assessment system for issue-centered social studies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