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강댐 선버들 군락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김기흥 한국수자원학회 202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5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xpansion and withering of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on the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The distribution area of the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was 0.12 km2 in 2003 for the first time, but it was 3.58 km2 in 2019, which has increased rapidly by about 30 times in 16 years. However, in 2013, the distribution area has decreased by 0.17 km2 due to long-term immersion in high turbidity, and self-thinning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The lake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showed a combination of lake type and river type in terms of average water depth, watershed area/lake surface area ratio, water residence time, flushing rate, and stratification.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long-term changes in lake water quality, COD, TP, and chlorophyll-a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in the three point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reservoir.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value of chlorophyll-a showed the maximum value in winter rather than summer, unlike the trend of the three points in the Namgang Dam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is thought to have occurred internally rather than externally. It can be estimated that one cause of this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Namgang Dam reservoir is the huge amount of nutrients generated in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by-products such as fallen leaves, branches and withered trees in Salix subfragilis communities. 본 연구는 남강댐에서 대규모 선버들 군락의 확장과 고사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버들 군락의 분포면적은 최초로 2003년에 0.12 km2였으나 2019년에는 3.58 km2 로서 16 년 사이에 약 30 배로 급격하게 확장되었다. 그러나, 2013년에는 일부가 고탁도 장기 침수와 선버들 군락 내에서의 자기 솎음질(self-thining)에 의하여 분포면적이 0.17 km2 감소했다. 남강댐 저수지의 호소특성은 평균수심, 유역면적/호수 수면적 비, 체류시간, 회전율 및 성층화 등의 측면에서 호소형과 하천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호소수질에 대한 장기변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규모 선버들 군락지에서 COD, TP 및 엽록소 a 등이 남강댐 수역의 중앙부에 위치한 3 개 지점에 비하여 현저하게 크게 나타났다. 특히, 엽록소 a의 값이 남강댐 수질측정망 3 개 지점의 경향과 다르게 여름이 아닌 겨울에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은 외부의 유입보다는 내부에서 발생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남강댐 저수지에서 수질 악화의 한 가지 원인은 선버들 군락에서 낙엽, 가지 및 고사목 등 부산물의 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영양염류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