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과 미래의 전망

        구본영 한국문헌정보학회 20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6 No.3

        The Study focused on the four area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changing identity of the LIS Professionals, and change in LIS curricula. Second, the study addressed the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library to the virtual model. Third, the study asked how the traditional technical service of LIS professionals is changing to user-centered service. Finally, the study viewed the skills and the roles of the LIS professionals.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정체성을 밝히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교과과정, 전통적인 도서관 대 가상도서관으로의 변화, 전통적인 기술 업무에서 이용자 중심 서비스로의 변화, 그리고 문헌정보학 전문직의 기술과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다. 전통적으로 사서직의 가치는 인문학적이고 민주적인 것이었으며, 사람들의 지혜를 증진시키고, 오락을 제공하며 그리고 교육을 담당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의 지식과 삶을 향상시키고 풍요롭게 하는 문화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사서직 기능). 그런데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의 양이 급증하고, 다양한 정보매체와 정보형태는, 적절한 정보를 적자(이용자)에게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 정보검색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정보창출을 위한 정보전달의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정보전문직 기능). 현재 우리는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 환경을 함께 맞고 있다. 전통적인 도서관에서는 기록정보를 보전 전승하는 문화적인 기능이 강하고,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전달과 정보공유의 기능이 강하다. 전통적인 도서관과 디지털 도서관이 공존할 수 밖에 없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 사서직과 정보전문직의 기능을 함께 수행해야 할 막중한 책임이 우리에게 있기 때문에 문헌정보학의 정체성 규명은 필요한 연구이다.

      • KCI등재

        디지털정보환경에서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구본영 한국정보관리학회 2000 정보관리학회지 Vol.17 No.3

        문헌정보학 교육은 실제적인 기술요소를 교육과정에 도입하여야 한다. 문헌정보학을 포함하여 전문직을 위한 어떤 종류의 교육이건 한 가지 필수적인 요소는 교육과정에서 실무를 준비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정보환경과 기술 도입, 그 기술 도입이 도서관환경에 미친 영향 그리고 미국의 변화된 교육과정을 고찰하였고 교유과정의 이상적인 버전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 needs of university libraries for design of user-center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To do this, 6 kinds of basic system design factors necessary for user-center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design of the university libraries are used. The user need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system design are examined and analyz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made by user-centered approach according to the design factors.

      • KCI등재

        문헌정보학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 분석 연구 - K대학교를 중심으로 -

        이종문,Lee, Jongmo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K대학을 중심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를 분석,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2006년 8월부터 2011년 2월까지 5년간 취업가능 졸업자 178명을 분석한 결과, 취업실태는 취업 65%, 미취업 32%, 진학 3%로 나타났다. 이 중 취업자 116명을 분석한 결과, 고용형태는 정규직 40%, 비정규직 60%로, 직장 유형은 일반회사 29%, 공공도서관 16%, 학교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각각 10%, 대학/학교행정 9%, 공공기관과 출판/서점 각각 6%, 전문도서관 5%로 나타났다. 또 담당직무는 사서업무 38%, 사무업무 30%, 영업/관리 7%, 텔러/판매 7%, 조교업무 5%, 웹/전산 3%, 학원 강사와 상품기획/디자인 각각 2%, 사서교사, 보육교사, 비서, 사보기자, 군인, 자영업 각각 1%로 나타나 40%대의 전공일치도를 보였다. 미취업자(56명)의 희망 진로는 취업준비 57%, 공무원 준비 21%, 교사임용 준비와 미확인 각각 11%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문제점은 미취업률이 32%에 달할 정도로 높은 점,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취업률이 높은 점, 전공일치도 평균 40%대에 불과한 점 등이었다. 이를 토대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도서관적 일자리를 적극 창출할 것, 전공학생이 정보 분야 일자리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할 것, 학문분야 차원에서 전공분야에 대한 일자리를 개발하고 지도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mployment of graduate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in K University, to identify problems in the employment of those graduates, and to propose approaches to improve employment. Among 178 graduates getting a job for five years from August 2006 to February 2011, 65% of them was employed, 32% was not employed, and 3% continued further study, The 116 graduates employed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40% are full-time employees and 60% are part-time workers. For workplace types, 29% worked in general companies and 16% worked in public libraries. 10% worked in school libraries and college libraries. Those who worked in administrative divisions in colleges or schools comprised 9%. Those who worked in public organizations and publishing companies/bookstores were 6% each. 5% worked in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case of duties, 38% were librarians. 30% were engaged in office work. Those in sales/administration were 7%. Tellers/salesperson comprised 7%. 5% worked as teaching assistants and 3% worked in the web or in IT related businesses. Those who worked in private institutes and product planning/design comprised 2% each. Teacher librarians, day care center teachers, secretaries, company newsletter reporters, soldiers and self-employed workers were 1% for each. As a result, the major congruence was around 40%. For the career which the (56) unemployed desired, 57% prepared themselves for employment and 21% prepared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Those who prepared for teacher recruit examination and who weren't confirmed were 11% for each. The problems identified were high unemployment to 32%, higher employment as part-time workers than full-time workers, and major congruence of just around 40%. As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at the national and local authorities should actively create jobs, make the students majoring in LIS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jobs related to information science, develop jobs related to LIS on the academic level and provide guidance to graduates.

      • KCI등재SCOPUS

        Skills Development Programmes and Activities for LIS Professionals in India: A Road Map For South Asian Countries

        라메샤,Ramesha, Ramesha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 2011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2 No.4

        IT의 융합과 함께 시작된 새로운 천년을 맞이하면서 도서관 전문직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술개발과 평생학습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인도의 도서관계에서 이러한 상황에서 실무와 교육을 위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지속적으로 새로이 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는 최신의 프로그램과 활동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인도가 가지고 있는 조직적인 인프라와 문헌정보학의 교육과 연구, 실무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야들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프로그램과 이를 통해 얻은 잠재적인 능력들은 인도는 물론 서아시아를 포함한 인근국가의 프로그램개발과 인프라구축, 나아가서는 인력개발을 위한 협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e new millennium with mystifying convergence of IT has opened new challenges to LIS profession. This has resulted to continuous skill development and lifelong learning, for capacity building in consonant with contemporary changes. The LIS profession in India has created several mechanisms to organize and conduct several skills development programmes through which professionals are continuously enabled to updat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practice and teaching. There is a good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and identified areas related to the recent developmental trends and as such LIS professionals and educators have facilities for updating their knowledge at veritable levels and intervals. The paper has surveyed programmes conducted by different organizations at different levels and highlights the aspects of the organizational infrastructure and the emergent areas of applications in LIS teaching, research and professional practices in India. The selection of areas and subjects for various skill development programmes suggest the competencies acquired by the LIS professionals from India, and the empowerment of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can be of immense value to its neighbouring countries. The paper highlights the knowledge and competencies of the LIS professionals in India and the broad-based facilities available here which can be a model for those countries which are seeking to utilize the LIS human resources from this part of the sub-continent. The paper in this circumstance surveyed on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skill developmental opportunities available in India which would meet such requirements within and to the countries outside in the South Asian region seeking its collaboration in such manpower development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