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산 류병덕의 남북 통일과 평화 철학

        원영상(Won Yong-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본 논문은 한반도 통일을 위한 류병덕의 평화철학 사상을 규명한 것이다. 원불교학은 물론 한국의 종교학을 구축하고, 나아가 철학계, 종교계, 문화계 등에서 폭넓게 활동한 그의 삶은 행동하는 지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무엇보다도 원불교사상의 핵심인 일원철학(一圓哲學)을 구축하고자 했다. 원불교야말로 모든 사상을 원융회통시키고, 민족의 근원적인 종교성을 밝히는 동시에 동아시아의 전통적인 유불선 사상을 계승한 개혁불교임을 밝혔다. 평화철학은 이러한 일원철학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류병덕은 동학, 정역,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를 근대 민중철학의 5대맥으로 보고, 한국철학의 한 분야로 위치 지었다. 또한 이를 한반도의 평화를 확립하는 핵심철학으로 삼았다. 그 이유로는 무엇보다도 이들 민중종교는 외세에 의존하려는 사대성이 없었다는 점, 따라서 자주적인 통일을 이끌어 줄 사상으로 보았다. 한 마디로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남북 공통의 민중의 심성에 기반한 통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통일국가의 면모는 이러한 자주성에 바탕한 중립 국가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한다. 류병덕은 이들 5대민중종교의 공통점을 네 가지로 든다. 첫째는 후천개벽의 역사의식, 둘째는 민중종교로서 출발했다는 점, 셋째는 한민족 고유의 사상이 깔려 있다는 점, 넷째는 국가팽창주의이거나 폐쇄된 민족주의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리고 이 5대맥이 남북평화통일의 기조가 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분단 이전에 이미 자주적으로 민중들을 깨우쳤다는 점, 교조들 스스로 자각된 힘으로 대도와 진리를 깨치고 세상을 향해 외쳤다는 점, 억눌린 민중 세계에서 새로운 도덕과 질서를 확립하고자 했다는 점, 봉건전제체제의 왕권에 항거했다는 점, 외세를 막아 내고자 하는 주체적 힘을 보여주었다는 점, 민심을 수습하며 개혁의 용단력을 보여주었다는 점을 들고 있다. 류병덕은 한반도 통일은 이처럼 민중의 역사에서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보았다. 총체적으로 보았을 때, 이들 5대민중종교가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동양의 양보와 조화의 생명의 변증법은 생성의 논리와 생명의 변증법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이러한 사상에 기반 했을 때 새로운 평화통일의 길이 열릴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상호문화철학과 한반도 분단: 종족적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주광순 ( Joo Kwang-sun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5 No.-

        현재 우리의 남북의 분단과 적대감이라는 현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근대화 담론과 민족주의 담론이라는 관점은 필수적이다. 일제 강점뿐만 아니라, 외세에 의한 분단도 서구 근대만이 문명이라는 담론의 논리를 따른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저항한 것이 민족주의 담론이다. 이 점은 민족주의 담론의 기여이다. 그러나 남과 북이 한반도를 통일하려고 하고 자기 정권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이용한 것도 또한 민족주의 담론이다. 더 나아가 남한 내에 있는 외국인이나 북한 탈주자를 배제하는 것에서도 민족주의 담론의 역할이 크다. 상호문화철학은 민족들과 문화들의 다양성과 동등한 존엄성을 강조한다. 또한 상호문화철학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민족들과 문화들이 발전해왔다고 하는 상호문화성을 드러낸다. 그러므로 그것은 서로서로 이해하고 대화하며 스스로를 변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을 우리 역사에 적용해 보자면 상호문화철학은 열강이 우리나라를 식민지로 만들고 남과 북으로 가른 것을 서구 중심주의적이라고 비판한다. 그렇지만 민족주의 담론에 대해서는 상호문화철학이 한편으로 강력한 외세에 대한 저항 담론으로서는 긍정하지만, 다른 한편 남한 정권과 북한 정권이 체제 이데올로기로 그것을 사용한 것은 비판한다. 왜냐하면 체제 이데올로기로서의 민족주의 담론은 민족을 중심으로 타자를 배척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우리와 그들’의 이항대립과 타자인 ‘그들’의 배제는 남한 내의 탈북자에게도 적용된다. 이러한 민족주의 담론으로는 평화 통일도 이룰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남북 간의 긴장 완화도 이룰 수 없다.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current reality of division and hostil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perspectives of modernization discourse and nationalism discourse are essential. Not only the Japanese occupation, but also the division by foreign powers followed the logic of the discourse that Western modernity is the only civilization. And what resisted this is the nationalist discourse. This is a contribution of nationalist discourse. However, it is also the nationalist discourse that the South and the North have used to unify the Korean peninsula and to justify their regimes. Furthermore, nationalist discourse plays a large role in excluding foreigners in South Korea or North Korean defectors. Intercultural philosophy emphasizes the diversity and equal dignity of peoples and cultures. In addition, intercultural philosophy reveals interculturality, which states that peoples and cultures have developed while exchanging mutual influences. Therefore, it insists on understanding each othe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nd changing itself. To apply this to our history, intercultural philosophy criticizes the fact that the great powers colonized Korea and divided it into South and North Korea as Western-centered. However, regarding the discourse of nationalism, the intercultural philosophy affirms on the one hand as a discourse of resistance to powerful foreign powers, but on the other hand criticizes the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regimes for using it as an ideology to defend their systems. This is because the discourse of nationalism as a systemic ideology excludes others centering on the nation. And this binary opposition between ‘us and them’ and exclusion of ‘them’ as the other also applies to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Such a nationalist discourse cannot achieve peaceful reunification, nor can it reduce tensions between the two Koreas.

      • KCI등재

        북한 '조선철학'의 연구경향과 학문적 특성

        전미영(Joen Mi-Ye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8 한국민족문화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academic features of Korean philosophy, 'Joseon philosophy' in North Korea.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zes North Korean philosophy by focusing on the North Korean's most authoritative Journals of philosophy, Research of Philosophy and Journal of Kim 11 Sung University. In North Korea, the philosophy has been distorted by dictatorial political power and restructured by unitarian ideology, Juche philosophy since 1960. Consequently North Korean philosophy became a means to develope their political ideology. Korean philosophical circles produced a large quantity of output every year in various fields of philosophy. But, most philosophical opinions were based on 'Juche Philosophy'. Evidently, there is neither controversy nor academic argument in North Korean academic circles. The studies of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Joseon philosophy, have been researched by a guiding principle of Juche methodology. Consequently a difference of a point of view of traditional philosoph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sever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s the materialistic conception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