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및 산하단체에서 제안한 한국 치위생학 연구의제 분포

        이가영 ( Ga-yeong Lee ),이선미 ( Sun-mi Lee ),김창희 ( Chang-hee Kim ),배수명 ( Soo-myoung Bae ),김남희 ( Nam-hee K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6 치위생과학회지 Vol.16 No.5

        치위생학이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연구의 세부영역이 확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치위생학 관련 기관 중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및 그 산하단체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이용하여 연구의제를 수집하여 연구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및 산하단체 총 8개 기관의 기관장에게 유선으로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전자우편으로 델파이 설문지를 배포 및 수거하였다. 연구의제는 한국 치위생학 학문 분류와 미국 NDHRA의 분류를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IBM SPSS를 이용하여 기관별 분류된 연구의제 수에 차이가 있는지 교차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316개의 연구 의제가 수집되었다. 한국 치위생학 학문분류로 연구의제를 분류한 결과 ‘임상치위생(36.7%)’에 관련된 연구의제를 가장 많이 제안하였고, 기관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또 제시된 연구의제를 미국 NDHRA 분류로 분류한 결과 기관별 제시한 연구의제 수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4),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27.8%)’에 관한 연구 의제가 가장 많았다. ‘기초치위생’에 관련된 연구요구는 대한치위생(학)과교수협의회에서 높았고, ‘임상치위생’에 관련된 연구요구는 한국치위생학회, 대한치과위생학회, 한국 치위생감염관리학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임상회에서 높았으며, ‘사회치위생’에 관련된 연구요구는 대한치과위생 사협회, 한국치위생과학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보건회에서 높았다. 이상의 결과 각 기관에서는 창설 목적과 유사한 연구의제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유사학문과 비교해보았을 때, 국내 치위생학관련 전문기관들은 비교적 기관별로 뚜렷한 특성 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치위생학 연구의 세부영역이 확립되기 위해서는 각 기관에서 치위생학 학문분류에 따른 특성을 뚜렷이 하고, 그에 맞는 연구의제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연구자들이 연구결과를 투고 시 본인의 연구영역을 미리 분류하게하여 세부영역을 확립하게 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alize research demands by gathering the research agenda from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nd affiliated groups through a Delphi survey. The study subjects were the heads of eight group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by e-mail after a researcher explained the objective of the study to the heads. The research agenda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Korean dental hygiene academic classification and the National Dental Hygiene Research Agenda classification. To compare the number of research agenda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among the groups, we conducted a chi-squared test by using IBM SPSS 20.0. In total, 316 agendas were submitted. According to the Korean dental hygiene academic classifi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and the agendas associated with clinical dental hygiene (36.7%) were the best. According to the National Dental Hygiene Research Agenda classifi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agendas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27.8%) were the best. In conclusion,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and affiliated groups demanded similar research agenda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each establishment. However, the groups did not seem to show uniqu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each establishment. In other words, the groups should corroborate such characteristics and suggest a corresponding agenda to establish specific areas of research in dental hygiene. Also, dental hygiene researchers should mark the academic classification of the studies they want to submit.

      • KCI등재

        전문가 치면세균막관리 중심의 예방관리프로그램의 효과적인 관리주기

        조민정 한국치위생과학회 2017 치위생과학회지 Vol.17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management interval in 33 healthy adults by observing changes in oral health on the basis of the plaque control index and gingival index. When plaque control score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period, it was found that oral hygiene management was the best in the fourth visit (p<0.05). Improved oral hygiene status was observed during the 3- and 6-month follow-up (p<0.05). Regarding gingival index, the fourth visit showed the healthiest gingival status (p<0.05). At the 3-month follow-up, the gingival index worsened, but a healthy gingival status was attained by 6-month follow-up (p<0.05). The plaque control score according to interest in dental health showed that the ‘interested’ group had good oral hygiene management (p<0.05). As a motivation for oral hygiene status and gingival health, examination with a ‘phase contrast microscope’ in the first visit and calculation of the ‘evaluation index’ in the follow-up visit tended to improve the patients’ ability for oral hygiene management (p>0.05). The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optimal management interval was 1, 3, and 6 months. As a result, with the effective management interval for the preventive management program focused on professional mechanical tooth cleaning, which was administered weekly, the maximum ability for oral hygiene management was attained at the fourth visit. The effective management period was 1 month. The use of a phase contrast microscope and the calculation of the evaluation index for oral hygiene management could influence the motivation to improve oral hygiene management.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33명을 대상으로 예방관리프로그램의 핵심인 PMTC를 활용하여 구강건강의 변화를 치면세균막지수와 치은염지수를 통하여 관찰하여 최적의 관리주기를 찾아보고자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주기에 따른 치면세균막관리점수와 치은염지수를 비교한 결과, 4차 방문에서 가장 구강위생관리가 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은염지수도 가장 좋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 3개월 follow-up에서 구강위생상태는 나빠졌다(p<0.05). 그러나 3개월, 6개월 follow-up에서는 1차방문보다 구강위생이 향상된 상태를 보였다(p<0.05). 이는매주 반복된 구강위생관리학습에서는 효과를 보였으나 올바른 구강위생관리능력이 배양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행된계속관리주기는 적절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예방관리프로그램의 효과는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재교육의 중요성을인지할 수 있는 결과였다. 둘째, 평균 치은염지수에서 1차방문부터 3차 방문으로 이행될수록 치은염지수의 차이가크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4차 방문의 치은염지수는3차 방문보다 개선되지 않은 경향을 보였다(p>0.05). 이는PMTC를 3회 이상 적용하였을 때 잇몸건강에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 종료 후 문진 결과, 프로그램경험에 따른 피험자들의 구강위생상태와 잇몸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부여방법은 1차 방문에서는 ‘위상차현미경’, follow-up에서는 ‘평가지수’가 구강위생관리력을 향상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피험자들의 54.5%가 프로그램 경험 후 1개월 단위를 추천하는 적정 관리주기로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PMTC 중심의 예방관리프로그램의 운영은 구강위생상태를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4차 방문과 계속관리를 비교한 연구결과와 프로그램 경험 후 문진에서 조사된 피험자들의 응답을 통하여올바른 구강위생관리능력이 배양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적정 관리주기는 1개월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예방관리프로그램의 경험에 따른 문진에서 피험자들의 구강위생관리력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부여방법으로 위상차현미경과평가지수가 구강위생관리력을 향상시키는 경향을 보이는것으로 조사되어 위상차현미경의 사용과 구강위생상태의평가는 필요하며 평가된 내용을 문자 전송하는 방식의 도입또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향후 추가 연구에서는 환자의 특성에 따른 구강위생관리를 위한 태도 변화를유도하기 위한 학습기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적정 관리주기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치과내원 환자의 치주건강인식도와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의 관련성

        장지언 ( Ji Eon Jang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 치위생과학회지 Vol.15 No.5

        본 논문은 치주건강인식도와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의 수준과 관련성을 파악하여 환자들에게 효율적이고 올바른 구강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계속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D지역의 치과의원 1곳을 임의로 선정하여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 2일부터 12월 31까지 설문조사하여 회수한 설문지 592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주건강인식도에서 연령은 ‘증상’ 에서 50∼59세가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 학력과 월 소득은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치료’와 ‘관리’에서 건강할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에서 성별은 남자보다 여자가 더 유의하게 높았으며 연령은 20∼29세가 가장 유의하게 높았고 학력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월 소득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높을수록 치주건강인식도는 유의하게 높았다. 치주건강인식도와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의 상관관계에서 치주건강인식도 중 관리 및 오개념과 자기구강위생관리 행위는 정(+)의 약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과 치주건강인식도가 자기구강 위생관리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에서 학력과월 소득이 높을수록, 남자보다 여자가, 관리에 관한 치주건강인식도가 높을수록, 치료에 관한 치주건강인식도가 낮을수록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독립변수중 관리에 관한 치주건강인식도가 상대적으로 자기구강위 생관리행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관리와 오개념에 관한 치주건강인식도가 높을수록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는 높은 것으로 연관성이 있었으며,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력, 월 소득, 치주건강인식도 하위영역 중 치료와 관리였다. 따라서 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치주건강에 관한 교육을 통하여 환자들의 치주건강관리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여 자기구강위생관리행위를 잘 실천할 수 있도록 계속구 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통해 도와주어야 하겠다. Abstract This paper was trying to investigate the periodontal health recognition and self oral hygiene behaviors and figure out that relationship. The results having analyzed 592 questionnaires returned patient who had visited the dental clinic which is selected randomly were following.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iodontal health recognition and self oral hygiene behaviors. Self oral hygiene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women did than men did, education level,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periodontal health recognition about managements were higher and periodontal health recognitions about treatment were lower. It was the periodontal health recognition that was influential the most in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refore, knowledge related to the periodontal health should be educated to the patients visiting the dental clinic, and the patients should receive helps to perform self oral hygiene behaviors by inducing the transition of attitude to periodontal health.

      • KCI등재

        전문가 구강위생관리가 장기요양시설 재원노인의 구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이근유 ( Keun-yoo Lee ),임순연 ( Soon-ryun L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6 치위생과학회지 Vol.16 No.6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재원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6년 5월까지 전문가 구강위생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재원노인의 구강위생상태 개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문가 구강위생관리와 노인구강보건교육을 제공받은 요양보호사에 의한 일상 구강관리를 중재한 32명의 실험군 I, 노인구강보건교육을 제공받은 요양보호사에 의한 일상 구강관리를 시행한 30명의 실험군 II, 요양보호사에게 일상구강관리를 제공받은 32명의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치면세균막 지수, 구취, 설태, 타액 분비량의 개선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 치면세균막 지수는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실험군 I, 실험군 II,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재기간에 따른 변화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중재 방법에 따라서 치면세균막 지수의 변화 양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취는 실험군 I, 실험군 II, 대조군사이와 중재기간에 따른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재 방법에 따라서 구취의 변화 양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설태는 실험군 I, 실험군 II,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재기간과 중재 방법에 따른 설태의 변화 양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타액 분비량은 실험군 I, 실험군II, 대조군에 따른 변화와 중재기간에 따른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재 방법에 따라서 타액 분비량의 변화양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 구강위생관리와 요양보호사에 대한 노인구강교육 실시가 재원노인들의 구강위생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기에, 재원노인의 구강위생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치과 촉탁의 제도와 병행한 전문가 구강위생관리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직원을 포함한 간호 인력을 대상으로 노인 구강위생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oral healthcare program in eldery residents long-term care facilities. Ninety-four elderly residents from 5 different facilities in A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32 in experimental group I, 30 in experimental group II, and 32 in the control group.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I were treated by a dental hygienist with professional oral healthcare and received daily oral care from caregivers who had completed elderly oral healthcare cours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II received daily oral care from caregivers who had completed elderly oral healthcare course. Control group received daily oral care from caregivers. These 3 groups were tested for dental plaque, halitosis, tongue coating, and salivary flow at baseline, and after 4 and 12 weeks of treat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ntal plaque index between the groups, mediate times, and mediate methods, in halitosis between the mediate methods, and in tongue coating between the mediate times, as well as the mediate methods. Finally, salivary flow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mediate methods between experimental group II and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o improve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elderly residents, involvement of a part-time dentist and scheduled professional oral healthcare are necessary. Furthermore, elderly oral healthcare education for nursing staff, including manager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후보

        일부 노인의 구강 위생관리 및 치석제거에 대한 인식

        고은정,Go, Eun-jeong 대한치과위생학회한국치위생과학회 2020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alculus removal, an essential factor in periodontal dis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Further,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oral hygiene management matters of individuals and to use the information as primary data for preventing dental loss and improving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From December 20, 2019, to January 15, 2020, the results of 171 studies on oral hygiene management and awareness of calculus removal among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in Busan and Gyeongnam are as follows: The elderly with good health appreciated their functional oral health statu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Χ<sup>2</sup>=298.26, p<.001). Many of the elderly brushing their teeth at least three times a day had a better health statu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health status (= 134.42, p <.001). Usually, older people who are in good health have a dental floss (Χ<sup>2</sup>=89.31, p<.001), and the dental floss were used more often and significantly differed depending o health status (Χ<sup>2</sup>=92.53, p<.001). The elderly's perception of tartar removal has shown that the overall average out of five points is positive at 3.48. Older female adults were more positive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gender (t=-7.95, p<.001). Senior citizens aged 65 to 70 were more positive about dental removal than those aged 71 or older,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6.65, p<.001). As described above, oral hygiene management for the elderly population needs to develop a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program linked to systemic diseases, considering that there are many chronic diseases.

      • KCI등재

        신규치과위생사의 직무교육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김혜영 ( Hye Young Kim ),김형미 ( Hyeong Mi Kim ),이정숙 ( Jung Suk Lee ),이수영 ( Su Young Lee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5 치위생과학회지 Vol.15 No.5

        본 연구는 현재 치과의료기관에서 재직 중인 신규치과위 생사를 대상으로 직무교육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5년 5월 1일부터 2015년 5월 31일까지 서울, 경기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의 치과의료기관에 재직 중인 신규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편의 표집추출법에 의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62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신규치과위생사의 직무교육 형태는 집단 및 개별교육을 병행하는 형태가 가장 많았고, 직무교육의 교육자는 선임치과위생사가 가장 많았으며, 직무교육 소요시간은 10시간 이하가 가장 많았다. 직무교육의 만족도는 ‘보통이다’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난이도는 ‘어렵다’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교육의 영역별 내용 충실도는 치위생중재 교육의 ‘발치준비 및 주의사항 안내’가 가장 충실하였고, 복무규정 안내의 ‘승진제도 안내’가 가장 미흡하였다. 신규치과위생사의 조직사회화는 평균 3.10으로 ‘보통이다’에 가깝게 나타났다. 직무교육 형태는 집단 및 개별교육을 혼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의원급에서는 집단교육보다 개별교육이 많이 이뤄지며, 병원급에서는 개별교육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의원급에서는 치과의사가 교육하는 경우가 16.0%인 반면 병원급에서는 치과의사가 교육하는 경우가 2.9%에 불과했다. 신규치과위생사의 직무교육 소요시간, 난이도, 만족도와 직무교육 내용(병원소개, 병원복무규정안내, 직장예절, 전화응대와 치위생중재 교육 등)의 특성 및 내용은 조직사회화에 26.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사회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치위생중재 교육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함축적으로 제시하고 치위생학에 조직사회화 개념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신규치과위생사가 새로운 조직에 효과적으로 사회화될 수있도록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give a positive effect for both new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institutions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one the job training o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argeting 162 new dental hygienists who currently worked in dental clinic.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ire, independent-samples t-t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a duration of inservice training for new dental hygienists, difficulty, satisfaction, and details of on-the-job training affecte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by 26.1%.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as dental hygiene service training, followed by guidance of hospital service regulation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applied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o the dental hygienists. The future study on the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 training program will be needed to help new dental hygienists be socialized more effectively in the new organization.

      • 일부 초등학교 학생들의 책상 및 의자상태와 이용자세에 따른 신체증상에 관한 연구

        윤수홍,박상래,안형자 한국위생과학회 1998 한국위생과학회지 Vol.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symptoms by postures and conditions of used chairs and desks for 515, 6th-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n Koryung-kun, Kyeongsangbukdo from December 20, 1997 to March 30, 1998. Children who have experienced trunk and low back pain were the higher 44.1%, low extremities 29.1%, neck 27.8%, upper extremities and shoulders 19.6%, gluteal pain 14.7% in the physical symptoms by using chairs and desks in class. Children(10.7%) who sat uprightly were lower than the others(71.8%) in a posture seated an the chair. Forward hyperflexion was the highest 63.8%, backward hyperextension 21.9%, left and right bending 11.9% in the reason why didn't sit in a correct posture. In the distribution of a posture seated an the chair by gender, boys 72.7% that answer a wrong posture were similar to girls' 70.9%, girls forward hyperflexion 69.1% was higher than boys' that 58.9%, boys' backward hyperextension 29.2% was higher than girls' that 14.0%, and girls' left and righ lateral flexion 14.0% was a sightly higher than boys' that 9.9% in the reason of wrong postures. There were upper extremities and shoulders(P=0.001), trunk and low bask pain(P=0.001) and low extremities pain(P=0.001) in the significant variables associated with height of desk compare to pain part of bodies. Children who answered low(each 34.7%, 33.9%, 46.7%) were higher than that of high(7.9%, 3.5%, and 7.3%). The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the height of chairs and physical symptoms were neck(P=0.001), upper extremities and shoulders (P=0.003), trunk and low back(P=0.001), gluteus(P=0.001), and low extremities(P=0.001). Children' s physical symptoms rates are 34.3%, 34.6%, 33.0%, 40.8%, and 37.3% that answer low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s' 5.6%,6.9%, 4.8%, 1.3%, and 8.0%, each ot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ymptoms and seatpan, trunk and low back pain(P=0.006), gluteal pain(P=0.001) were significant variables. Broad in seatpan condition 11.4% was similar to narrow 11.0% in trunk and low back pain. Narrow in seatpan condition 25.0% was higher than broad 9.2% in gluteal pain. Trunk and low back pai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posture seated an the chair(P=0.025), from Children' s 77.9% that answer a wrong pos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