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술치료 전문가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김효은 ( Kim Hyo-eun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3 미술심리치료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미술을 전공한 연구자가 미술치료 전문가로 성장하며, 그 과정 가운데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의미 탐색과 성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경험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이 주는 의미를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을 통해 기술하였다. 연구 대상은 연구자 자신의 16년간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돌아보고, 수도권 소재의 심리상담연구소에서 2022년 8월 15일~8월 20일까지 4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총 6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경험을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미술을 전공한 연구자는 졸업 후 개인에게 있는 고유함과 잠재력을 다시 일깨워주는 미술치료가 좋아서 열정적으로 숙달하여 외부적으로는 정교해졌으나 내면적으로는 부족해 통합되지 않은 고군분투의 여정을 보낸다. 둘째, 연구자는 개인 분석을 받으며, 치유는 치료자의 인격으로 인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간다. 셋째, 연구자는 자기 안의 불안으로 인한 성급함을 내려놓고, 기다림이 집단 참여자에 대한 존중이라는 것을 배워간다. 넷째,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인식의 확장이 보다 치유적이라는 것을 깨달아 간다. 미술을 전공한 연구자가 전문가가 되어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하며 성찰한 의미는 인내와 견뎌줌, 또 다른 나를 만나기까지의 부화의 과정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reflect on the meaning of experiencing group art therapy in the process as a researcher who majored in art grows into an art therapy specialist. To this end, the meaning experienced by the researcher in group art therapy will be described as an autobiographical research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researcher herself, who looks back on her 16-year group art therapy experience, and the four participants who conducted group art therapy for a total of six sessions from August 15 to August 20, 2022 at a psychological counseling research center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researchers who majored in art like art therapy, which reawakens the uniqueness and potential of individuals after graduation, so they passionately mastered it, and spend a difficult journey that is externally sophisticated but inwardly insufficient, so it is not integrated. Second, the researcher undergoes a personal analysis and learns that healing occurs due to the personality of the therapist. Third, the researcher lets go of the impatience caused by the anxiety within herself and learns that waiting is respect for the group participant. Fourth, researchers realize that expanding awareness that respects the diversity of participants is more curative. The meaning of the reflection that a researcher majoring in art majored in as an expert and experienced group art therapy was the process of perseverance, and incubation until she met another me.

      •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남성 독거노인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애도과정 중심의 미술치료사례연구

        김소희 ( Kim So-hee ),곽진영 ( Kwak Jin-young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2 미술심리치료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애도과정 중심의 미술치료가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남성 독거노인의 애도 과정과 우울감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만 69세이고 배우자와 사별한 남성 독거노인으로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연구는 2021년 6월부터 8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2회 진행되었다. 측정도구는 한국어판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GDS-K), 문장완성검사(SCT), 이야기 그림검사(DAS)이고 각 회기의 활동내용과 변화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는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남성 독거 노인의 애도과정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미술치료는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남성 독거노인의 우울감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애도과정 중심의 미술치료가 배우자 사별을 경험한 남성 독거노인의 애도과정과 우울감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focusing on the mourning process on the process of mourning in elderly male living alone who have experienced spouse bereavement an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69-year-old elderly male living alone who was widowed and experiencing depression. The study was conducted 12 times, once a week for 60 minutes, from June to August 2021. For analysis, the researcher used Korean version of the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K), Sentence Completion Test (SCT), and Draw-A-Story(DAS).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activities in each session were observed and record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the mourning process of an elderly male living alone who experienced spouse bereavement. Second,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male living alone who experienced spouse bereave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rt therapy art therapy focusing on the mourning process i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nd mourning in the elderly male living alone who experienced spouse bereavement.

      • 상실을 경험한 우울 청소년의 발달적 애도를 위한 미술심리치료 사례연구

        길은영 ( Gil Eun-young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2 미술심리치료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상실의 아픔과 고통을 외면하고 현실에 부적응한 우울 청소년이 미술심리치료를 통해 발달적 애도과정을 거쳐 우울함이 감소한 미술심리치료사례연구이다. 내담자는 우울을 호소하고 가족 간 갈등을 가진 16세 청소년으로 총 40회의 미술심리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BDI, KHTP, DAS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 변화를 비교 검증하였다. 미술심리치료결과, 내담자는 형제상실과 왕따라는 관계상실에 대한 감정과 상처를 자발적인 미술작업으로 풀어내면서 발달초기로 퇴행하여 상실에 대한 고통을 마주하고 애도의 시간을 다시 살아내었다. 미술심리치료 과정에서 내담자는 상실한 대상과 경험을 시각화하고 자신을 인식하고 수용하면서 분리와 독립을 향하는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고 현실에 적응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내담자의 우울이 감소하였으며,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단일 사례로 상실외상을 경험한 이들에게 적용하는 것에 제한이 있으나 미술작업과 우울, 그리고 애도과정의 관련성을 밝히고 미술심리치료가 상실을 받아들이고 고통을 경험하며, 슬픔을 표현하는 애도의 능력을 발달시키고 손상된 관계를 회복하여 건강한 정체성을 형성하게 함에 의의를 가진다. This is a case study of art psychotherapy in through which depressive adolescents who reppressing the pain of loss and adapted to reality worked through a developmental mourning process. The client was a 16-year-old who complained of depression and had family conflicts, and a total of 40 sessions were conducted. Research tools used BDI, KHTP, and DAS to compare and verify pre-post changes. Art psychotherapy expressed feelings and wounds about the loss of brother and bullying through voluntary art work, regressed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faced the pain of loss, and lived a time of mourning again. Art psychotherapy visualized lost objects and experiences, made her recognize and accept herself. And She adapted to reality by discovering a new self toward separation and independence. As a result, the client's depression decreased, and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is a single case and has limitations in applying it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loss trauma.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i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art work, depression, and mourning process, art psychotherapy accepts loss, experiences pain, and repair damaged relationships while expressing sadness to form a healthy identity.

      • 지역사회 공원을 이용하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단예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김효은 ( Kim Hyo-eun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2 미술심리치료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공원을 이용하는 남녀 노인에게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활동에서의 의미를 탐구하여 노인들이 사회적 관계 안에서 자신들의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삶의 이야기를 어떻게 드러내고자 하는지 주목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지역 소재의 공원을 이용하는 70세∼75세에 해당하는 노인 12명∼15명을 대상으로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1회씩 총 6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공원을 이용하는 노인에게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노인들은 ‘무료함에서 벗어나 기분이 좋아지고’, ‘날마다 이러한 활동을 하고 싶은’ 욕구가 생겨났다. 둘째, 지역사회 공원을 이용하는 노인에게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노인들은 손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를 표현하면서 ‘이 손으로 열심히 살았던’ 과거를 떠올리고, 그 시절로 돌아가 가족들과 친구들을 떠올리며 ‘이제는 희미해진’기억이지만 ‘그리움’과 ‘아련함’을 느끼면서 감정이 정화되었다. 셋째, 지역사회 공원을 이용하는 노인에게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노인들은 점차 굳어져있던 감각이 풀어지고, 활발하게 감정을 표출하면서 내면에 있는 ‘암만 늙었어도 마음은 젊은’ 자신에 대한 솔직하고도 진실된 자각을 하는 체험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공원을 이용하는 남녀 노인에게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단예술치료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pplied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o the elderly men and women who use community parks and explored the meaning of their activities to pay attention to how the elderly want to reveal their active and independent life stories in social relation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15 elderly people aged 70 to 75 who use parks in Chungcheong Province, and a total of six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were conducted once a week.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elderly who use community parks, the elderly developed a desire to “get out of boredom and feel better” and “do these activities every day.”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elderly who use community parks, the elderly recalled the past of “living hard with this hand” by expressing various things using their hands, and returned to those days, thinking of their families and friends, and felt “nostalgic” and “sentimental.”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elderly who use community parks, the elderly experienced honest and sincere awareness of themselves, “Even if the mind was young even if cancer was o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s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men and women who use community parks was confirmed.

      • 미술치료사의 발달수준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송은옥 ( Song Eun-ok ),박성혜 ( Park Sung-hae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2 미술심리치료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의 발달수준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미술치료사로 활동하는 미술치료사 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와 PROCESS MACRO 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와 그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사의 발달수준, 정서인식, 치료적 동맹 간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발달수준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정서에 대한 명확성, 정서에 대한 주의)의 부분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발달수준, 치료적 동맹, 정서인식 변인 간의 관계와 매개효과를 확인한 선행연구로서 가치와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와의 긍정적인 치료적 동맹을 맺기 위해서는 전문가로서 성장하는데 발달수준과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중요함을 입증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긍정적인 치료효과를 위해 미술치료사의 성장과 발달이 중요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in the effect of art therapist’s developmental level on therapeutic allianc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art therapis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4. The main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have all emerged among art therapists’ developmental level, emotional awareness, and therapeutic alliances. Second, the partial mediated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emotional clarity, attention to emotion)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art therapists’ developmental level on therapeutic alliances. This study is valuable as a prior study that confirms the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between of the developmental level, therapeutic alliance, and emotional awareness of art therapists. Through this, art therapists proved that it is important to clearly recognize and pay attention to their developmental levels and their emotions in growing up as experts to form a positive therapeutic alliance with their clients. Ultimately, it suggests tha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rt therapists are important for positive therapy effects.

      • 칼 융의 그림자 이론을 통해 본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자기 치유 및 내적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탐구

        양지연 ( Yang Ji-yeun ),서경리 ( Seo Gyeong-ri ),김효은 ( Kim Hyo-eun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4 미술심리치료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Carl Gustav Jung의 그림자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자의 그림자 인식에 따른 미술치료를 통해 자기 치유와 내적 성장의 경험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과정을 통하여 불안이라는 감정의 실체를 이해하고 실존적인 물음에 답을 찾아가며 자기 경험의 의미를 기록해 나가는 현상학적 탐구 방식으로 전개하였다. 이를 위해 2023.10.12.~2023.12.08 매주 1회 약 30분씩 10회기 미술치료를 실시하며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미술치료 과정에서의 그림자 인식은 무의식 내용과 의식화 과정, 실체로서의 그림자, 그림자의 의식화 과정, 마음 세계에서의 그림자 자리 단계를 거치며 내면의 미해결된 상처와 감정을 회복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둘째,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서 자신의 아픔에 다가가고 억압된 감정을 만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서 자기 치유와 내적 성장에 다다름을 경험하였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gain the experience of self-healing and internal growth through art therapy with focus on the researcher's shadow perception, focusing on the basic of Jung's shadow theory.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developed a phenomenological inquiry method in which they understood the reality of the emotion of anxiety, sought answers to existential questions, and recorde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oing 10 sessions of art therapy once a week for about 30 minutes once a week from October 12, 2023 to December 8, 2023.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hadow recognition in the art therapy process enables the subjects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the unsolved wounds and emotions through the process of consciousness of the shadow as the unconscious content and the finding of shadow positions in their mind world. Second, they experience self-healing and internal growth through the repetitive processes of approaching their pains and encountering suppressed emotions in this art therapy exper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모 사별을 경험한 아동의 상실감 극복을 위한 애도 미술치료 사례연구

        김정현 ( Kim Jung-hyun ),박성혜 ( Park Sung-hae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4 미술심리치료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애도 미술치료가 모와 사별한 아동의 상실감 극복에 대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모와 사별하여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6세 남자 아동이다. 연구는 2023년 3월에서 7월까지 1회기 당 40분씩 총 20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새둥지화(BND)와 집나무사람(HTP) 그림 검사이고 각 회기 활동내용과 변화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도 미술치료는 모와 사별한 아동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애도 미술치료를 통해 모의 사별을 경험한 아동이 긍정적인 정서상태 및 태도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애도 미술치료가 모와 사별을 경험한 아동의 상실감 극복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grief art therapy is effective in overcoming the sense of loss in a child who has lost his mother. The study participant was a 6-year-old boy who had lost his mother and was showing signs of anxiety.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0 sessions, each lasting 40 minutes, from March to July 2023.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the Bird's Nest Drawing (BND) and House Tree Person (HTP) drawing tests, and the activities and changes in each session were recor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ief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in a child who lost his mother. Second, a child who experienced his mother’s bereavement through grief art therapy showed positive emotional states and changes in attitud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grief art therapy is effective in overcoming the sense of loss in a child who has experienced the loss of his mother.

      •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 미치는 효과

        윤지영 ( Yun¸ Ji-young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3 미술심리치료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가 구성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Y 지역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으로 남학생 2명과 여학생 4명의 총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는 120분씩 주 1회로 총 12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 청소년에게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orea Youth Self Report: K-YSR)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v.28.0을 사용하여 비모수 통계분석인 Wilcoxon singed rank 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양적분석이 갖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실험집단의 프로그램 회기 과정에 대한 청소년의 변화과정을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해 본 결과, 불안/우울과 위축/우울, 그리고 신체화 증상에서 사전 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감소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질적 분석한 결과, 집단원 안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 대상 청소년들이 자기 알아차림을 통한 자기 문제를 재인식하게 되었고, 보편성을 통한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게 되었으며, 미술치료로 인한 자기정화와 통찰에 이르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게슈탈트 집단미술치료가 내재화 문제를 가진 학교부적응 청소년에게 치료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으며, 집단원 내에서 치료적 요인이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In this study, a researcher-organized Gestalt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6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attending a middle school in the Y area of Gyeonggi-do, 2 boys and 4 girls. Gestalt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120 minut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The study subjects were given Pre- and Post-Test compares and analyzies on the Korea Youth Self Report (K-YSR). For data analysis, the Wilcoxon Singed Rank Test, which is a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v.28.0 to compare and analyze the pre- and post-tests in the group.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rocess of change in adolescents in the program session proc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there was a change in anxiety/depression, withdrawal/depression, and somatization symptoms in which the post-score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score. Secon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Gestalt group art therapy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showed changes within the group members. The adolescents studied were recognizing their problems through self-awareness, engaging in positive interactions through universality, and leading to self-purification and insight through art therapy.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Gestalt group art therapy has a therapeutic effect on school-maladjusted adolescents with internalization problems, and that therapeutic factors within the group are effective in reducing internalization problems in adolescents.

      • 부모 사별을 경험한 고등학생의 애도과정에 관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중심으로 -

        임선희 ( Lim Sun-hee ),길은영 ( Gil Eun-young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4 미술심리치료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부모와 사별을 경험한 고등학생의 애도과정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알아보고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내담자는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으로 00기관에서 부모와 사별로 인한 상실로 의뢰되어 12회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축어록, 내담자의 작품, 일지, 연구자의 반응작업, 기관담당자의 보고와 애도이론과 관련 문헌을 활용하였다. 미술치료과정에서 발현된 내담자의 작품과 이야기를 질적 분석한 결과, 첫째, 멍한 상태와 감정표현이 억제된 내담자에게 고인의 기억과 감정을 안전하게 표현하고 사별로 인한 상실을 다루는 시간을 제공하였다. 둘째, 미술치료 작업을 통해, 내담자는 상실, 이별, 그리움, 이중성, 자신감, 받아들임, 예술의 의미를 발견하게 하였다. 셋째, 내담자의 애도과정에서 미술치료사는 반응작업을 통해 전이 과정을 다루면서 민감한 돌봄을 위해 상실의 감정을 견디고 담아내는 능력을 시각화하여 내담자가 자신의 삶을 헤쳐 나가도록 도울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미술치료는 사별로 인한 상실을 겪은 청소년에게 정서적 재인식과 현실을 수용하게 하였고, 힘든 과정을 함께 하는 치료사에게 미술작업은 애도 상담에서 치료적 관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rt therapy proceeds in the mourning proces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bereavement with their parents, and to examine the response work of art therapists. The client is a second-year high school male student attending a high school in Seoul and was referred to 00 institutions for loss due to consecutive bereavement of parents, and 12 sessions of art therapy were performed. The research data used the oral record, the client’s work, the journal, the researcher’s response work, the report of the institution manager, the mourning theory and related literature. As a result, first, it provided time to safely express the memory and emotions of the deceased and deal with the loss caused by bereavement to the client who was in a state of blankness and emotional expression. Second, through art therapy work, the client discovered the meaning of “Loss”, “Separation”, “Longing”, “Ambivalence”, “Confidence”, “Acceptance” and “Art”. Third, during the client's mourning process, the art therapist was able to help the client navigate his life by visualizing the ability to endure and capture the feelings of loss for sensitive care while dealing with the transfer process through reaction wor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rt therapy allowed adolescents who suffered loss due to bereavement to re-recognize and accept reality emotionally, and that art work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 therapeutic relationship in mourning counseling for therapists who shared a difficult process.

      • 대상 관계 이론 관점에서 본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미술치료 사례 연구

        길은영 ( Gil¸ Eun-young ),박성혜 ( Park¸ Sung-hae ) 한국미술심리치료연구학회 2021 미술심리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미술치료 사례를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례 내담자는 시설에 거주하며 출산을 앞둔 20세 여성으로 주 1회, 80분씩, 11회기 중 면담 회기를 제외한 총 9회기 단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 BDI, 투사 검사로 KFD, DAS를 사용하였고, 연구자료는 이야기, 일지, 축어록, 작품, 기관담당자의 보고, 대상관계이론 관련 문헌을 활용하였다. 미술치료 과정에서 발현된 내담자의 작품과 이야기를 대상관계이론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 ‘엄마가 없는 우울한 날들’을 살면서 ‘울타리가 필요했던 나’를 인식하였고, ‘내가 좋아하는 것과 아기오리가 있는 풍경’, ‘가장 슬프고 행복한 이야기, ‘내가 곁에 있을게.’라는 기억과 애도의 시간을 가졌다. 이후, ‘공부도 하고 여행도 가고, 아프지 마, 평생 사랑해’, ‘나도 부모가 있어요.’라는 회복과 일상과 연결되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친족간 성폭력 피해자의 부정적인 대상 관계가 변하여 자기 능력이 향상되고 현실 관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대상 관계 미술치료가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신의 외상을 진술하고 증언하게 하였으며, 미래를 기대하고 현재를 살아가게 하는 힘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대상 관계 접근의 단기 미술치료가 친족 성폭력 피해자를 위해 치료관계와 목표, 치료사의 자세와 태도를 제시하고 미술치료 현장에 적용 가능성을 제안했음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rt therapy cases of victims of relatives sexual viol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A 20-year-old woman who lived in a facility and was about to give birth to a child, and was conducted art therapy for nine sessions, excluding interview sessions, once a week, 80 minutes a week. As a research tools, BDI, KFD, and DAS were used as a projective test, and the research data used for analysis were a story, diary, verbatim record, works, and object relations theory literatur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works and stories of the interviewees expressed in the art therapy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 relations theory, she recognized ‘me who needed a fence’ while living, ‘depressing days without a mother.’ and she had a time of memories and mourning, such as ‘my favorite and the scenery of a baby duck’, ‘the saddest and happiest story’ and ‘I'll be there’. Since then, the theme of recovery has been drawn up and linked to the daily routine of ‘study, travel’, ‘don't get sick, and love you forever’, ‘I have parents, too.’ First, these results changed the negative object relationship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improving her self-ability and leading to changes in real relationships. Second, the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reduced the depression of victims of relatives sexual violence, made her narrate, testify her trauma and have the power to live in the present while wating for the futur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rt therapy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approaches to victims of relatives sexual violence presented therapeutic relationships, goals, and attitudes, and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linical art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