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젊은 문화연구(자)’는 어디로 향하는가

        김선기(Sun-Gi Kim),김지수(Ji Su Kim) 한국문화연구학회 2022 문화연구 Vol.10 No.1

        우리는 ‘젊은 문화연구(자)’라는 모호한 기표에 관해 문화연구 영역의 젊은 주체들이 어떠한 생각을 집합적으로 구성해가고 있는지 대략적으로나마 알아보고자, 간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전공과 연령대의 응답자 31명이 주관식 단답형 위주로 설계된 설문지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대학 내 제도의 한계로부터 경험한 결핍을 대학과 기성 제도 바깥의 학술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일부 해소하며‘문화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한편 문화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전망에 있어, 응답자들은 문화연구 정치성에 대한 재인식과 아카데미 중심주의 극복 및 분과학문 중심성을 넘어선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수요를 제시했다. 응답자들의 고민은 2018년 문화연구캠프를 통해 제기 된 문화연구의 미래에 관한 질문과 궤를 같이한다. 문화연구자로서의 정체성과 존재 조건을 둘러싼 질문에 대한 반복적인 고민과 실천은, 어쩌면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유일한 대안일 수 있다. We conducted a brief survey to find out what kind of thoughts collectively constructed on the ambiguous signifier of ‘young cultural studies’. Thirty-one participants of various majors and age group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y experienced a deficiency from the limitations of the university, and they partially resolved this by participating in academic activities outside the university, forming their identity as cultural studies researchers. Regarding th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the respondents presented various opinions including the re-recognition of cultural politics, overcoming academy-centrism and discipline-centricity. Repeated thinking and practice of identity and conditions of existence may be the only alternative for the renewal of cultural studies.

      • KCI등재후보

        혁명사상 전통 계승으로서의 1990년대 한국의 문화연구

        강내희(Kang, Nae-hui)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2

        한국에서 ‘문화연구’ 전통은 1990년대 초에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 시점은 현실사회주의 붕괴와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전개, 이와 맞물린 변혁운동의 후퇴와 소비자본주의 발흥 등에 대한 한국 진보이론계의 성찰과 반성이 요구되던 때다. 이 글은 당시 문화연구가 새로운 지적 기획으로 등장한 것은 이런 요구에 대한 부응이었다고 보고, 문화연구 전통을 한국 혁명사상 전통의 계승이라는 맥락에서 조명하고 한다. 한국의 혁명사상은 20세기 초 독립운동의 주요 흐름이 중국에서 전개됨에 따라 사회주의와 진보적 민족주의 성향을 띠게 되었고, 해방정국에서도 이런 전통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1950년대 초 이후 한미 동맹이 형성되고 좌파에 대한 숙청이 이루어지면서 혁명사상은 한국에서 크게 퇴조하게 된다. 이런 보수화의 흐름을 꺾고 혁명사상을 새롭게 복원시킨 것이 1980년대에 성장한 변혁운동의 도전이었다. 하지만 ‘혁명의 시대’가 오래 지속된 것은 아니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 현실 사회주의가 붕괴하고 한국 자본주의가 발전하게 되면서 좌파적 혁명사상은 다시 후퇴하게 된다. 이 글은 이런 역사적 국면에서 새로운 지적 기획으로 등장한 한국의 문화연구가 어떤 식으로 독립운동 시기, 해방정국, 1980년대에 발전한 혁명사상 전통을 계승하고자 했는지 살피려는 시도다. The tradition of cultural studies in South Korea began in earnest in the early 1990s when, in the midst of radical social changes such as the collapse of existing socialism, the globalization of neoliberalism, the retreat of revolutionary movement, and the rise of consumer capitalism, there rose a need for the introspection and self-reflection of progressive intellectual circles in South Korea. Taking the rise of cultural studies to be an intellectual response to this changed situati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ultural studies and the tradition of revolutionary thought. Due to the fact that the mainstream liberation movement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ook place in China, Korean revolutionary thought was socialist and nationalist in its tendencies. One can find the same tradition in the post-liberation years. But it soon began to decline in the early 1950s, as there followed a massive surge of the left tradition in the country. In the 1980s, this conservative shift met with a momentous challenge in the formidable growth of the revolutionary movement. The ‘revolutionary decade’ did not last long, however, for new social tendencies emerged beginning in the early 1990s. This paper considers Korean cultural studies as a progressive intellectual project to inherit and renew the tradition of revolutionary thought in this new conjuncture.

      • 다문화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최충옥(Choi, Chung-Ok),조인제(Cho, In-Je)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이 논문은 지난 20년 동안 국내의 다문화교육 연구동향을 반성적으로 분석 검토하고,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를 탐색하는데 있다. 다문화교육 연구는 대체로 2006년 이후 정부, 대학, 학교 등에 연구의 인프라가 구축되어 활성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정책연구, 학술연구, 현장연구로 구분하여 각종 학술논문과 연구보고서를 문헌분석 하였다. 그리고 각 영역의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첫째, 정책연구는 실태조사나 당연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어 중장기 발전과 정책연구가 미흡하고, 국제결혼 자녀의 동화와 사회적응에 연구가 편중되어 있으며, 외국인근로자 자녀 및 중도입국 자녀 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둘째, 학술연구는 다양하고 확대되어 있으나, 개념과 용어에 있어서 혼란을 보여주고 있다. 일부에서는 국제이해교육, 세계화교육, 한글 및 한국문화교육 등을 다문화교육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현장을 위한 연구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었고,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였다. 그러나 사회과와 미술ㆍ음악 등과 같은 특정 교과교육 분야에 편중되어 있고, 평가와 관련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향후 다문화교육 연구의 활성화와 '다문화교육학' 정립을 위한 연구과제로 중장기적 패널연구, 각종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등을 제안한다. 또한 정책연구ㆍ학술연구ㆍ현장연구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연구자와 현장실천가의 상호 소통과 교류를 확대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the infrastructure in Korea, and to suggest tasks for the further study. I reviewed several research resources such as policy report, research articles and papers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rea, which was published during 1984-2010. The stu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rapidly from 2006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infrastructure of government, university, and school level. Critical findings are as following : 1) Most studies, which focuses on the problem of the student of international marriage's family, support melting-pot policy of the Government.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find out the student problems of foreign worker's family. 2) Some researchers misunderstood the concept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a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or Korean language education. 3) There are less studies on evaluation compare to the studies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in multicultural education. Finally, this paper suggests some tasks for further studies. 1) Greater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ed research projects, such as long-term panel research of student achievement is needed. 2) The effect of divers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further analyzed. 3) More discussion on the critical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policy analysts, academic researchers, and specialists of field study of an academic community is strongly recommended.

      • 결혼이주여성가정에 나타나는 문화 간 의사소통 연구

        김미라(Kim, Mi Ra),응우엔 뚜언 아잉(Nguyen, Tuan Anh)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1 다문화교육 Vol.2 No.1

        한국 사회에 이주민 유입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현재 한국에 체류 중인 외국인은 120만 명이 넘었다. 다양한 민족이 함께 생활하게 되면서 복합적인 문화공간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여러 문화들이 파생되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들과 한국인들 간의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자녀교육과 양육 등 사회적•문화적인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 동안 한국 사회에서는 이들을 이방인으로 인식해 왔지만, 이제는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구성원으로 바라보아야 하며, 중장기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가정에 나타나는 문화 간 의사소통 실태를 문화교육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서 이론적 근거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 간 의사소통의 본질적 문제점과 극복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해결방안을 검토하여 정책결정에 반영하게 된다면 결혼이주여성 가정 뿐만 아니라 한국에 거주하는 이주민이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With the influx of rapidly increasing migrants in Korean society, foreigners who stay in Korea has reached at over 12 million people at present. On account that various races are living together, complex cultural space is expanded, and several cultures are derived from this change. Especially, education of children and child-rearing are raised as social and cultural issues due to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immigrants and Koreans. Meanwhile, they have been recognized as strangers in Korean society. However, it is urgent that they should be incorporated in Korean society as members of society, and medium or long-term methods should be provide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actual condition of communication of international married family, which is shown between different cultures by focusing on cultural education. To achieve the goal, it examined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has been carried out in the current center to support multicultural families across the nation. For analyzing problems,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were employed as a theoretical basis.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suggest methods which can surmount the essential problems in communication of different cultures. If solution methods found in this study are reflected in the decision of policy, it will contribute to the growth of all immigrants as a member of the Korean society going beyond international married families.

      • KCI등재후보

        동남아시아 문화연구의 특징과 전망

        홍석준(Hong, Seok-Joon)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1

        이 글에서는 우선 영국에 기원을 둔 문화연구의 특징과 발전과정, 그리고 그 내용과 전술, 전략에 대해 살펴보고,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 그리고 말레이시아에서 문화연구가 출현하게 된 배경과 특징,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와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의 상호 관계,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와 인류학적 연구와의 상호 관련성이라는 각각의 주제를 고찰한다. 문화연구 전체의 구도 속에서 동남아시아의 문화연구, 특히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에 대한 고찰은 문화연구의 역사적 기원이나 계보학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레이먼드 윌리엄스나 스튜어트 홀, 그리고 그 이후의 주요 문화연구자들이 문화연구를 둘러싸고 어떠한 상황에 직면해 ‘문화’와 관련된 연구 질문이나 문제를 제기하고, 어떠한 구체적인 기술과 분석을 수행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일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는 문화연구의 특수성과 보편성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과 필요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 글에서 영국 문화연구의 초기 역사와 활동 내용을 소개하고, 설명하는 데 상당한 분량을 할애한 것은 동남아시아, 특히 말레이시아에서는 ‘문화연구’라는 용어가 아직까지도 인문사회과학계를 포함한 학계일반에 널리 소개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의 특성이나 의미에 대한 해석과 주장을 둘러싸고 의견이 분분한 사정이 현재까지도 지배적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그 특징에 대한 설명에 이어서, 앞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문제점에 대해 비판적 진단과 평가를 한 후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 것으로 말레이시아 문화연구의 동향과 전망에 대한 검토 작업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this paper, I review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of British cultural studies, and the contents, methodological strategies and tactics of cultural studies, originated from British cultural studies. Then, I investigate the historical background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the thema on the interactions between Malaysian cultural studies and postcolonialism,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studies and anthropological studies in Malaysia as well. This has relation to explore the reason why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with special reference to Malaysia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on-Western societies and postcolonial situation in the age of globalization. In the world of cultural studies, the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of cultural studies in Southeast Asia, especially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s an inseparable relations to the examination or review of the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oncept of culture in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as well as in British cultural studies. This work evokes the interest in the dialectical interactions between specialty and universality of cultural studies in general and that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particular. For this purpose, I do explain the current situ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and suggest the future prospect of cultural studies in Malayisia. Then,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 do diagnose and estimate the problems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In conclusion, I propose how to develop and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of cultural studies in Malaysia more successfully and meaningfully.

      • KCI등재후보

        문화를 연구하는 것과 문화연구를 수행하는 것

        김상민(Sangmin Kim) 한국문화연구학회 2018 문화연구 Vol.6 No.1

        문화연구는 하나의 이론적 경향이면서 현실에 대한 실천적 개입이고, 하나의 독자적인 학문의 영역이면서 일련의 매우 다양한 방법론의 집합으로서 늘 그 정체를 규정하기 어렵다. 또한 문화연구는 늘 열린 체계를 지향하고 완성된 하나의 학문 분야로 고착되지 않으려는 본질적 속성상 그 자신의 죽음이나 종말을 내포하고 있다. 문화연구의 이러한 본래적 불안정성은 흔히 그것의 위기나 종말로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이동연의 책 문화연구의 종말과 생성은 언뜻 문화연구의 위기와 종말을 알리는 문화연구의 부고나 한국 사회에서 이미 빈사한 문화연구를 되살려내려고 하는 성급한 시도로 오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서평은 이 책에서 그가 비판적 문화연구란 그 자체의 종말과 더불어 생성의 계기를 창출하는 바로 그런 것이라는 사실을 그 자신의 문화연구적 이론과 실천이라는 글쓰기를 통해 증명한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Cultural studies is a theoretical tendency, a practical intervention in reality, a domain of independent discipline, and a set of a very diverse methodologies, so that it is always difficult to define what it is. Also since cultural studies is always oriented towards an open system and not tend to be fixed as a completed academic field, it seems to include the death or the end of itself in its intrinsic nature. This inherent instability of cultural studies often tends to be understood as its crisis or demise. At first glance, Lee Dong-Yeon’s book The End and Creation of Cultural Studies can be misunderstood as an obituary of cultural studies that informs the crisis and end of it or a hasty attempt to revive cultural studies that have already died in Korean society. This book review, however, tries intended to show that in this book the author demonstrates that critical cultural studies is the very thing that creates the moment of creation during its own end, through his writing as theory and practice of cultural studies.

      • KCI등재후보

        어쩌다 ‘문화연구자’의 문화연구 편력

        임영호(Yung-Ho Im) 한국문화연구학회 2022 문화연구 Vol.10 No.2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이 글은 연구자 개인의 다양한 문화연구 편력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려 한다. 문화연구는 문제의식, 이론 공부, 연구 전략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 세 가지 차원에서 주류 문화연구자와 거리를 두고 접근하면서 나름대로 문화연구 방식을 모색해왔다. 문화연구는 기본적으로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정치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해야 하는데, 현재의 문화연구는 1980년대에 비판 사회과학의 문제의식을 점차 망각하고 이론적 유희에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 나는 이러한 이유로 문화연구와 거리를 둔 채 다양한 사회/문화이론을 섭렵하면서 한국적인 상황에 맞는 문제의식을 탐색하려 하였다. 연구 전략 측면에서는 처음에는 지성사적 접근으로 문화연구의 문제의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 주력하는 방식에 주력했으나, 저널리즘 연구나 다양한 질적 방법론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 등의 탐색을 통해 연구 전략을 다변화하는 방향을 지향하게 됐다. 이러한 시행착오 경험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연구의 정립을 위해서는 이 세 가지 차원에서 좀 더 치열한 고민과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제시한다. What is cultural studies?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is question through a reflection on tmy personal experience as a ‘non-conformist’ cultural theorist. It may be feasible to define cultural studies in terms of problematic, theory (or theories), and research strategies. I have tried to grope for a personally right formulation, while maintaining distance with the mainstream cultural studies both in the United State and Korea. Given that mainstream cultural studies have embroiled themselves into theoretical sophistication at the expense of critical inquiry into the social reality, I have attempted to develop political-theoretical sensitivity to domestically legitimate problematics relying upon a broad spectrum of social-cultural theories. In terms of a research strategy, I would like to suggest experimentations with a variety of approach, ranging from intellectual-history, empirical journalism studies to collective qualitative research, all of which have contributed to my version of cultural studies in their own ways. I conclude my review with a suggestion that, for a sustainable model of cultural studies, we need to develop multi-level strategies in studying and teaching theories as well as viable research strategies for next generation of scholars.

      • 초등학교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방안 모색

        윤석룡(Yoon Seok-Ryong)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2 다문화교육 Vol.3 No.2

        본 논문은 초등학교 이중언어교육의 효율적 운영방안 모색에 대한 연구 논문이다. 이 논문은 일부 초등학교에서 실행된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 등 선행 연구와 현재 일선학교에서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을 투입하여 실시한 결과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과 과제를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중언어교육 연구는 대체로 2006년 이후 정부, 대학을 중심으로 한 연구학회와 다문화센터 등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며 현장중심의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도 외국인근로자자녀특별학급, 다문화교육연구학교, 다문화교육거점학교 등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본 연구자의 학교에서 개발하고 투입한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린이에게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있었는지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첫째,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린이의 학력 향상에 기여하였고 학교생활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도록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학부모를 이중언어교육 프로그램에 강사로 투입하는 것이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학부모에게 자존감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린이를 지도하는 이중언어강사에 대한 지도역량을 강화하는 연수를 자주 실시하고 교육과정과 학습자료를 공유하는 네트워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중언어교육의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학회중심의 정책연구, 학술연구와 더불어 일선학교 중심의 현장연구 간에 소통과 교류를 확대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study is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purpose of study is from elementary school which made progress in research and finding future assignments. The research has begun from 2006 from the government and colleges. From the study, the program that the school exploited tells the results and problems which educational effect has occurred for multicultural students and tells future assignments. Main results are fallowing : 1) The program has helped improve students ' grade and made them think positive of school life. 2) Inviting parents of students as a bilingual language teacher has enlarged self-confidence of the student and the parents of students. 3) It needs to apply multicultural education to bilingual language teacher more often and share materials. In order to activate the education, I propose exchanging researchers from school to school.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 문화연구의 동향과 쟁점

        야마 요시유키(山泰幸)(YAMA Yoshiyuki),전성곤(Jun, Sung-Kon)(번역)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1

        본 논고는 일본의 문화연구 동향의 전반적인 개관을 기술하는 것이다. 1990년대 중반 일본에 도입된 ‘컬츄럴 스터디즈’(이하, CS)로 아카데미즘의 제 분야를 월경하는 문화연구가 유행하게 되었다. CS는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비판이나 푸코의 권력분석 이론들과 연동하면서 새로운 사상적 조류를 만들어 내고, 학지(學知)와 권력 관계에 대한 자아비판을 요구했다. 연구자들도 포지션 문제가 아주 강도 높게 힐문 당했다. 그러나 일본에서의 CS가 독립된 분야로 확립되지는 못했고, 문학이나 미술사, 영화 연구, 인류학이나 사회학 분야 등등, 기존의 인문사회과학 분야에 속하는 연구자들이 CS연구자라는 실정이다. 일본에서는 ‘문화연구’라고 할 경우 ‘문화사회학’ 혹은‘문화의 사회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일본에서 문화연구가 사회학을 기반으로 발달했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에서의 문화연구 동향에서 중요한 것은 문화인류학이다. 문화인류학이 현지인의 주체성을 중시한다는 의미에서 실시한 문화개념 갱신은 CS와 연결되면서 기존의 인류학이 가진 정치성에 대한 비판과 반성, 발화(発話) 포지션 문제, 타자연구에서 자아연구로 전환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민족문화의 관광자원화나 자문화(自文化) 내부의 에스니스티 마이너리티 표상의 정치역학을 주요 연구테마로 상정하고 있다. 동시에 일본에서 문화연구의 또 하나의 쟁점은 다양성과 획일성 사이의 딜레마다. 다양한 문화형태 출현은 역설적으로 문화형태의 평면화(平面化)를 가져왔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give a description of the general overview of Japan’s trend of culture study. As the Cultural Studies (hereinafter, ‘CS’) which were introduced into Japan in the mid 1990s, the ones passing through the general fields of academism came into vogue. CS in line with Edward W. Said’s criticism of Orientalism or Michel Foucault’s power analysis theory, etc., created a new ideological tide and demanded the self-criticism about the power relations with Knowledge. Researchers were also under cross-examination about the issue of their position very intensely. However, CS in Japan failed to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field and the realities are that the researchers, who belong to the exist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isciplines, such as literature, art history, film studies, anthropology or sociology, etc., are actually the ones of CS. When it comes to ‘Cultural Studies’ in Japan, its realm is dominated mostly by the researchers on ‘Cultural Sociology’ or ‘Sociology of Culture.’ It’s because the culture studies in Japan have developed on the base of sociology. In addition, what matters in the trend of CS in Japan is cultural anthropology. The renewal of the cultural concept, which was implemented as a meaning that cultural anthropology values independence of locals, created an impetus for the criticism and self-reflection of the politicity of the existing anthropology, an issue of telling position, and conversion from the research on others to the research on self as it was linked to CS. CS is bringing in the issue of turning the national culture into tourist resources, or the dynamics of ethnic minority emblem of the internal own culture as a major subject of study. In addition to this, another controversial issue of CS is a dilemma between diversity and conformity. Paradoxically speaking, the advent of diverse cultural forms has brought the complanation of a cultural form.

      • KCI등재후보

        어쩌다 ‘문화연구자’의 문화연구 편력 -시행착오에서 문화연구의 방향 찾기-

        임영호(Yung-Ho Im) 한국문화연구학회 2022 문화연구 Vol.10 No.2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이 글은 연구자 개인의 다양한 문화연구 편력에 대한 성찰을 통해 이질문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려 한다. 문화연구는 문제의식, 이론 공부, 연구 전략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파악할 수 있다. 연구자는 이 세 가지 차원에서 주류 문화연구자와 거리를 두고 접근하면서 나름대로문화연구 방식을 모색해왔다. 문화연구는 기본적으로 현실에 대한 비판적인 정치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해야 하는데, 현재의 문화연구는 1980년대에 비판 사회과학의 문제의식을 점차 망각하고 이론적 유희에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 나는 이러한 이유로 문화연구와 거리를 둔 채 다양한 사회/문화이론을 섭렵하면서 한국적인 상황에 맞는 문제의식을 탐색하려 하였다. 연구 전략 측면에서는 처음에는 지성사적접근으로 문화연구의 문제의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 주력하는 방식에 주력했으나, 저널리즘 연구나다양한 질적 방법론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 등의 탐색을 통해 연구 전략을 다변화하는 방향을 지향하게 됐다. 이러한 시행착오 경험을 통해 지속가능한 문화연구의 정립을 위해서는 이 세 가지 차원에서좀 더 치열한 고민과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제시한다. What is cultural studies?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is question through a reflection on tmy personal experience as a ‘non-conformist’ cultural theorist. It may be feasible to define cultural studies in terms of problematic, theory (or theories), and research strategies. I have tried to grope for a personally right formulation, while maintaining distance with the mainstream cultural studies both in the United State and Korea. Given that mainstream cultural studies have embroiled themselves into theoretical sophistication at the expense of critical inquiry into the social reality, I have attempted to develop political-theoretical sensitivity to domestically legitimate problematics relying upon a broad spectrum of social-cultural theories. In terms of a research strategy, I would like to suggest experimentations with a variety of approach, ranging from intellectual-history, empirical journalism studies to collective qualitative research, all of which have contributed to my version of cultural studies in their own ways. I conclude my review with a suggestion that, for a sustainable model of cultural studies, we need to develop multi-level strategies in studying and teaching theories as well as viable research strategies for next generation of schol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