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esearch on Strategies for Adapting to Futur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hanges

        Dong-Sik Kang,Tae-Yeop Noh,Jun-Sub Lee,Jeong-Min Ju,Ho-Hyeon Lee,Sung-Hyun Noh 사단법인 국제융복합연구원 2024 International Journal of Convergence Vol.1 No.1

        Science refers to systematic knowledge aimed at discovering universal truths or laws, while technology refers to the methods and means of applying science to make human life more useful. When these two concepts are combined, science and technology refer to the means of applying natural sciences, applied sciences, engineering, and the like to make human life more useful. In this way, science and technology are the key driving forces behind the transformation of future societies, and they are the most important assets for our country, which lacks natural resources, to achieve the desired future. Furthermore, the industrial revolutions that have brought about innovativ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s have demonstrated how countries lead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prospered. As evidenced by the COVID-19 pandemic, countries that have prepared for the future and those that have not show clear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cope with unforeseen cri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future changes in science and technology. Results : Combing hair was improved and AROM and contraction time of shoulder flexor and external rotator increased. Conclusion : we can be found that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and PNF approach was effective way to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with hemiparetic patient after stroke.

      • 디지털 치료제를 이용한 군 장병 정신건강 관리 향상 방안

        김인찬, 장세진, 신승민, 김창호, 안효원, 계원빈, 김종훈 사단법인 국제융복합연구원 2024 혁신과융합 Vol.1 No.1

        어려운 환경 속에서 근무하고 있는 군 장병들의 정신건강 악화가 ‘개인의 문제’나 ‘군인정신 부족’으로 치부되어서는 안 된다. 정신건강이 악화한 군인은 인명사고, 전투력 약화, 부대의 사기 및 국민의 신뢰도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군 장병 정신건강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하여 국내외에서 효과성 및 안전성이 검증된 디지털 치료제(DTx, Digital Therapeutics/‘질병을 예방・관리・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소프트웨어를 통해 근거 기반으로 치료제를 개입하는 것’)의 도입을 제안한다. 디지털 치료제의 도입을 통하여 끌어낼 수 있는 효과와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한 극복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디지털 치료제가 군 내 정신건강 관리에 크게 기여할 방안이 되리라 기대한다.

      • AI시대 메가시티에 대한 테러 예상 시나리오와우리 군의 대응 방안

        김인찬, 장세진, 이호현, 이준형, 황규훈, 강기홍, 김종훈 사단법인 국제융복합연구원 2024 혁신과융합 Vol.1 No.1

        군사목적의 AI기술 발달, 메가시티의 발전, 테러위협 증대의 특징을 가지는 현대사회는 군사목적의 AI가 오용되었을 때 커다란 파장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실제로 일어났던 사례들을 바탕으로 예상한 AI기술을 활용한 테러의 시나리오로는 가짜뉴스 배포, 신약 개발 AI를 활용한 생화학 테러 등 다양한 양상이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각각의 테러 양상마다 대응책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대응책과 더불어 예측되는 테러 위험을 미리 차단할 수 있도록 예산, 법령, 제도, 장비, 전담 조직 정비를 제안한다.

      • 근접전투 간 전투원의 심리적 상처의 실체와 극복

        심준학, 양순일, 이재건, 오예은, 선예지, 배현이 사단법인 국제융복합연구원 2024 혁신과융합 Vol.1 No.1

        인간에게 있어 공포와 두려움은 기본 감정이다. 더욱이 생과 사를 오가는 전투 현장이라면 그 감정은 극에 달할 것이다. 전장의 불확실한 속성, 이런 속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스트레스는 직접 전투를 수행하는 전투원의 심리와 신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다. 이런 공포와 두려움, 죄책감 등의 심리적 상처의 근원은 전투 간 사람(적)을 살해해야만 하는 전장 상황이 가장 큰 요인일 것이다. 따라서 근접전투 간 전투원의 감정반응 단계를 이해한다면, 그리고 이런 감정이 전투원의 심리・신체적 반응으로 나타나 현상을 이해한다면 그 근본적인 극복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전투원의 비전투손실을 예방하여 전투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전장의 속성과 전투원의 심리적 상처의 증상을 분석하고, 전장에서 느끼는 공포와 두려움과 같은 심리적 상처의 실체를 살해 감정반응 단계로 분석한다. 이어서 전투원의 심리적 상처를 극복하기 위한 반복적이고, 이원화된 훈련 방안으로 군에서 적용할 수 있는 행동화 훈련과 인간 심리 정신교육 방안을 아이디어 차원에서 제안한다.

      • 예비군훈련장 시설의 자연친화적 도시공원화 방안 연구

        반정민, 정현수, 이준섭, 주정민, 신원진, 김가람 사단법인 국제융복합연구원 2024 글로벌 융복합 Vol.1 No.1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시・군・구 단위로 운영 중이던 예비군훈련장을 3∼5개의 시・군・구를 통합 및 권역화하여 운영하는 '예비군훈련대'를 2016년부터 창설하여 현재도 계속해서 진행 중이다. 지역사회는 생태학적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도시 숲, 공원 설치 등 자연친화성 향상을 위한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군도 그동안 지역사회에서 지역경제에 방해가 되는 존재, 훈련 및 부대이전 문제 등으로 인한 지역사회에 골치 아픈 존재로만 여겨졌다. 이제는 그러한 인식에서 탈피하여 도시지역을 위주로 창설되고 있는 예비군훈련대 시설을 활용한 도시공원화를 조성하여 자연친화성 도시개발에 동참하고, 그 시설을 활용하여 지역주민들과 군의 친화성 강화 또한 추구하여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지역사회에서 꼭 필요로 하는 존재로서 전환하자는 연구이며, 그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우크라이나 군의 해상 드론 전투 사례 연구

        김인찬, 장세진, 이호현, 이준형, 황규훈, 강기홍, 김종훈 사단법인 국제융복합연구원 2024 글로벌 융복합 Vol.1 No.1

        우크라이나는 2014년에 크름 반도를 러시아에게 강탈당했다. 당시 크름 반도의 세바스토폴 항구에는 우크라이나 해군 전력의 약 80%가 주둔해 있었다. 우크라이나의 해군 인력은 러시아로 망명했고, 우크라이나의 함정은 대부분 러시아로 약탈 당했다. 이후 우크라이나는 약해진 해상전력을 보완하기 위해 생산단가가 낮고, 생산시간이 비교적 짧은 해상 드론(Maritime Drones)의 개발과 활용에 노력을 집중하였고, 그 결과가 최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에서 식별된 제385여단의 활약에서 나타나고 있다. 제385여단은 크름 반도의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에서부터 흑해함대에 대한 공격 등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러시아가 이를 효과적인 방어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통해 해상 드론이 우크라이나 해군의 수적 열세를 충분히 상쇄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우크라이나의 해상 드론 전투사례에서 도출한 시사점이 우리군의 유무인 복합체계 전술과 전략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 군사드론 테러 위협분석 연구

        이주혁, 조세림, 박세인, 박원성, 권순영 사단법인 국제융복합연구원 2024 글로벌 융복합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군사드론의 위협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군사드론의 위협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군사작전 분야에 목적으로 활용되어야 하는 군사 드론이 민간인 대상 위협 및 테러로 전개될 경우 그 치명적인 여파의 영향은 상상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사 드론의 개념 및 군사분야 활용사례를 고찰함으로써 군사드론의 위협에 대해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고 군사 드론의 위협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국가방위 관계자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바라보는 관점 연구

        심준학, 양순일, 김무천, 신별들해, 차소현, 방성현 사단법인 국제융복합연구원 2024 글로벌 융복합 Vol.1 No.1

        2023년 10월 7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기습적으로 대량의 로켓을 이스라엘에 발사했다. 이와 더불어 하마스 대원이 가자지구 장벽을 넘어 인근 이스라엘 영토를 과감하게 공격했다. 이스라엘은 즉시 전쟁을 선포하고 가자지구 장벽을 넘어 하마스를 공격했다. 한반도 분단 상황도 이곳과 다르지 않다. 하마스의 대량 로켓 공격과 기습 침투는 그간 북한 핵・미사일 위협 때문에 가려져 있던 우리 안보의 현실을 일깨워 준다. 북한은 하마스와는 비교할 수 없는 대규모 포격 전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중동에서 벌어지고 있는 타국의 전쟁이지만 분단된 한반도 상황을 고려하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클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북한의 미사일과 장사정포 위협으로부터 전쟁을 대비하는 상황에서 국가방위요소(국군, 예비군, 경찰・해양경찰, 민방위대, 국가기관/지방자치단체, 통합방위협의회를 둔 직장) 관계자라면 조금은 다른 관점으로 이 전쟁을 바라보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 뉴로 피드백을 이용한 군 장병 정신건강 관리 향상 방안

        김인찬, 장세진, 신승민, 김창호, 안효원, 계원빈, 김종훈 사단법인 국제융복합연구원 2024 글로벌 융복합 Vol.1 No.1

        정신건강의 악화는 부대의 전투력 약화 및 군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다. 현재 악화되고 있는 군 정신건강과 제한적인 군 장병 정신건강 관리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훈련 대상자가 자신의 뇌파상태를 실시간으로 피드백 받고 원하는 방향으로 뇌파를 훈련시키는 뉴로피드백 활용을 제안한다. 뉴로피드백은 국내 연구를 통해 불안장애, PTSD, 수면장애, 기분장애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뉴로피드백을 군 내 그린캠프에 우선 적용한 뒤 효과성이 검증되면, 이후 군 병원과 사단급 이상 의무부대에 설치한 뒤 이후 대대급 의무실까지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뉴로피드백이 미래 군 장병의 정신건강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 The Pattern of Cognitive Warfare in Modern Battles and Conflicts

        In-Chan Kim,Se-Jin Jang,Seung-Min Shin,Chang-Ho Kim,Hyo-Won Ahn,Won-Bin Kye,Jong-Hoon Kim 사단법인 국제융복합연구원 2024 International Journal of Convergence Vol.1 No.1

        Cognitive warfare, also known as fifth generation warfare, is considered a crucial factor in achieving victory in modern battles and conflicts. Authoritarian State such as the N.Korea, Russia, and China have identified the cognitive domain as the sixth domain, following land, maritime, air, space, and cyber/electromagnetic domains. These countries are actively seeking to gain an advantage in the cognitive domain through the use of social media and dissemination of false information. In light of this, we will analyze the cognitive warfare tactics employed in the 2020 Armenia-Azerbaijan War and the 2021 Israel-Palestine Conflict, define the concept of cognitive warfare for our military, and propose strategies for both conducting and responding to cognitive war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